KR100445471B1 -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5471B1 KR100445471B1 KR10-2001-0066075A KR20010066075A KR100445471B1 KR 100445471 B1 KR100445471 B1 KR 100445471B1 KR 20010066075 A KR20010066075 A KR 20010066075A KR 100445471 B1 KR100445471 B1 KR 100445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lt
- gas
- supplied
- flame
- dry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에너지의 발생을 위한 연소 동작시에 화염의 존재여부를 검출하여, 안전한 연소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너의 발생 화염으로 부터 직접 화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고, 가스 공급을 위한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동작시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공급하는 가스를 화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연료 공급과 이상동작에 의한 위험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에너지의 발생을 위한 연소 동작시에 화염의 존재여부를 검출하여, 안전한 연소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종래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수평방향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쳄버(5)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에 있는 건조대상물을 뒤집어주는 배플(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는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전면헤드(7)와 드럼(1)의 사이 및 상기 후면헤드(9)와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8)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헤드(7)에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후면헤드(9)에는 에어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에어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 공기, 보다 정확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헤드(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헤드(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쳄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2)가 구비된다.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조립체(12)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3)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블로워(17)의 힘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결되게 열풍덕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20)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을 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덕트(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는 가스노즐(22)이 설치된다. 상기가스노즐(22)은 공급된 가스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노즐(22)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25)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23은 가스관이다.
상기 밸브(25)는, 도시되지 않고 있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제어되어, 가스관(23)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가스노즐(22) 측으로 공급되도록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이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서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는 상기 가스노즐(22)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스파크플러그(26)가 설치되어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에 건조 대상물인 세탁포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2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로 1차공기가 들어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 가스와 1차공기가 섞이고,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에서 최초에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에 의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상기 열풍은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실밥 등의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다음은 종래 건조기에서 건조동작에 필요로 하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소제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연소제어장치가 동작 중일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연소제어장치가 소화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연소제어장치는, 밸브(25)를 개폐시키기 위한 코일(266,269,27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일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은, 상기 밸브(25)가 직렬 연결된 2단 이상의 밸브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코일이 모두 동작되어야만 상기 밸브(25)를 통해서 가스가 공급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점화동작시의 염 발생을 위한 점화기(275)와, 온도의 영향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되는 바이메탈 형태의 센서(272, 일 예로 radiant sensor)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제어장치의 초입부에 써모스탯(26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272)와 써모스탯(263)은 열이 없는 상태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히터의 구동으로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오프상태로 전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25)의 동작을 위한 코일 중에서 가장 나중에 구동되도록 구성된 코일(269)은 상기 센서(272)보다 저항치가 높게 설정된다. 이것은 초기 전원공급상태에서 상기 센서(272)를 통해 점화기(275)로 우선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종래의 연소제어장치는, 열이 없는 초기 동작시에 센서(272)와 써모스탯(263)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면, 온 상태를 갖는 센서(272)를 통해서 점화기(275)로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점화기(275)가 가열되어진다.
상기 점화기(275)가 가열되므로 인해 발생된 열로 센서(272)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진다. 그리고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오프 상태의 센서(272)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가스 밸브(2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코일(266,269,278)로 공급되면서, 밸브를 열림상태로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밸브(25)가 열리면,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서 계속해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건조기에서 필요로 하는 열에너지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기의 건조동작이 완료되면서,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각 코일(266,269,278)로 공급되던 전류를 차단하면서, 밸브(25)의 동작을 닫힘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동작으로 밸브(25)가 닫히면서 혼합관(24)으로 공급되던 가스가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소화동작이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수 초)동안은 열풍덕트(20) 내부에 남아있는 잠열로 인해서 센서(272)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건조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명령을 인가했거나 또는 제어부의 오동작으로 상기 연소제어장치로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열려있는 센서(272)를 통해서 점화기(275)로 전류가 공급되지 못하면서 가스 밸브(25)의 개폐동작을 위해 구동되는 코일(266,269,278)로 즉시 흘러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연소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측에서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서 연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채, 가스 공급상태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건조동작에 의한 연소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가스를 공급하므로서, 연료낭비를 발생시킴은 물론, 정상적인 건조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염이 없는 상태에서 밸브(25)가 소정시간 이상 열림상태로 제어된경우, 상기 가스관(23)에서부터 공급되어져 가스노즐(22)을 통해 혼합관(24)으로 분사된 가스가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지 못하면서 잔류하는 일이 발생된다. 이렇게 연소 안된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한 점화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혼합관(24)에 차있던 가스량에 의해서 폭발의 위험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건조기는 화염이 없는 상태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점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까지도 위험한 문제를 발생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기에서 화염의 존재여부를 검출하고, 안전한 연소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과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소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염 검출을 위한 원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가스노즐 23 : 가스관
24 : 혼합관 25 : 밸브
26 : 스파크플러그 60 : 염검지센서
63 : 써모스탯 66,69,78 : 코일
72 : 라디엔트센서 75 : 점화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는, 가열된 공기를 회전 드럼 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가열 건조하고, 회전 드럼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버너의 화염을 직접 검출하는 염검지봉, 상기 염검지봉의 검출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염검지부, 상기 염검지부의 값에 기초해서 온/오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염검출수단과; 다수개의 코일로 구성된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염검출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가열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가열연료구동수단과; 초기 점화시에 동작되어 염을 발생시키는 점화기와; 상기 가열연료구동수단의 다수개의 코일 중 가장 나중에 구동되는 코일보다 저항치가 낮게 설정되어, 초기 점화시에 상기 점화기의 전류통로를 개폐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건조동작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봉에서 염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염검출수단은 오프동작되면서 상기 가열연료구동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서 연소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건조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는, 혼합관(24) 내부에서 화염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염검지센서(60)의 동작에 제어를 받도록 한다.
상기 염검지센서(60)에 대한 원리는 도 6과 같다. 상기 염검지센서(60)는,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버너(56)에서 발생된 화염을 직접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기 염검지봉(50)에서 염의 존재여부를 검출했을 때, 동작되는 스위칭 센서이다.
상기 염검지봉(50)에서 검출된 신호는 신호라인을 통해서 염검지부(54)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염검지부(54)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진 후, 제어부(58)에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염검지봉(50)에서 염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염검지센서(60)는 온 상태를 유지하지만, 염이 검출되지 않을때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는, 밸브(25)를 개폐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코일(66,69,78)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코일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은, 상기 밸브(25)가 직렬 연결된 2단 이상의 밸브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코일이 모두 동작되어야만 상기 밸브(25)를 통해서 가스가 공급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점화동작시의 점화기(75)와, 온도의 영향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되는 바이메탈 형태의 센서(72, 일 예로 radiant sensor)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염검지센서(60)의 다음단에 써모스탯(6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72)와 써모스탯(63)은 열이 없는 상태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히터의 구동으로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오프상태로 전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25)의 동작을 위한 코일 중에서 가장 나중에 구동되도록 구성된 코일(69)은 상기 센서(72)보다 저항치가 높게 설정된다. 이것은 초기 전원공급상태에서 상기 센서(72)를 통해 점화기(75)로 우선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에 건조 대상물인 세탁포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상기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2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로 1차공기가 들어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 가스와 1차공기가 섞여서 화염이 형성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에서는 최초에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되고, 이후부터는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서 화염이 유지된다.
상기 점화동작은,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면, 열이 없는 초기 동작시에 센서(72)와 써모스탯(63)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은 온 상태를 갖는 센서(72)를 통해서 점화기(75)로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점화기(75)가 가열되어진다. 이렇게 해서 초기 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점화기(75)가 가열되면, 열이 발생되면서 높아진 온도로 센서(72)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진다. 이때,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오프 상태의 센서(72)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가스 밸브(25)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코일(66,69,78)로 공급되면서, 밸브를 열림상태로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밸브(25)가 열리면,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서 계속해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건조기에서 필요로 하는 열에너지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만들게 된다.
상기 열풍은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실밥 등의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열에너지로부터 건조기의 건조동작이 진행되고, 건조기의 건조동작이 완료되면서,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 상기 각 코일(66,69,78)로 공급되던 전류를 차단하면서, 밸브(25)의 동작을 닫힘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동작으로 밸브(25)가 닫히면서 혼합관(24)으로 공급되던 가스가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건조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은, 도 5에서 화염 검출에 따른 동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건조동작이 진행될 때, 정상적인 동작과정에서는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 화염이 형성되고 있어야만 한다. 이때의 화염은 상기 혼합관(24)으로 분사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면서 유지되어진다.
즉, 상기 구동상태의 코일(66,69,78)에 의해서 열림상태로 제어된 밸브(25)가 가스관(23)에서부터 가스노즐(22)로 가스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가스노즐(22)로 공급된 가스가 혼합관(24)의 내부에 계속적으로 분사되면서 열에너지를제공하기 위한 화염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 형성된 화염은 염검지봉(50)에 의해서 검지되고, 이 검지된 신호에 의해서 염검지센서(60)는 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화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온 상태의 상기 염검지센서(60)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상기 코일(66,69,58)로 전류가 공급되면서 혼합관(24) 내부로 가스가 분사되는 것이다. 즉, 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염검지부(60)는 계속해서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열에너지의 발생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다음은, 이상동작으로 염이 검출되지 않을 때, 도 5의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건조동작 중, 외부 영향 또는 내부적인 영향으로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 화염이 소멸되는 경우가 발생되어진다. 이때,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 형성되는 화염을 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 염검지봉(50)은 염을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염검지봉(50)으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지 못한 염검지부(54)는 화염이 소멸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58)로 출력하고, 제어부(58)는 염이 소멸되었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염 검지원리에 의해서 염검지센서(60)는 화염이 소멸되었음을 인식하고,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밸브(25)를 열림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각 코일(66,69,78)로 공급되던 전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염검지센서(60)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차단되면서,상기 밸브(25)는 닫힘상태로 조절된다. 상기 밸브(25)가 닫힘상태로 조절되면, 상기 가스관(23)을 통해서 가스노즐(22)로 공급되던 가스가 차단된다. 따라서 더 이상 혼합관(24) 측으로 가스가 분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정상적으로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코일(66,69,78)로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하여, 소화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있어서도(밸브를 잠금상태로 제어해서 가스 공급을 차단한 상태), 상기 혼합관(24)의 출구 측에는 더 이상의 화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염검지봉(50)에서 염을 검출하지 못하면서 염검지센서(60)도 오프상태로 전환되어진다.
한편, 열풍덕트(20)에서는 남아있는 잠열로 라디엔트센서(72)는 소정시간 동안 오프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소화가 이루어진 직 후, 상기 라디엔트센서(7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소정시간 범위 내에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오프 상태로 전환된 염검지센서(60)에 의해서 전류는 코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버너의 발생 화염으로 부터 직접 화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고, 가스 공급을 위한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동작시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공급하는 가스를 화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연료 공급과 이상동작에 의한 위험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화염이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화염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혼합관(24)과 열풍덕트(20) 내에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건조 동작을 수행할 때, 잔류된 가스량에 의한 폭발의 위험과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 가열된 공기를 회전 드럼 내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가열 건조하고, 회전 드럼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버너의 화염을 직접 검출하는 염검지봉, 상기 염검지봉의 검출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염검지부, 상기 염검지부의 값에 기초해서 온/오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염검출수단과;다수개의 코일로 구성된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염검출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가열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가열연료구동수단과;초기 점화시에 동작되어 염을 발생시키는 점화기와;상기 가열연료구동수단의 다수개의 코일 중 가장 나중에 구동되는 코일보다 저항치가 낮게 설정되어, 초기 점화시에 상기 점화기의 전류통로를 개폐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건조동작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염검지봉에서 염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상기 염검출수단은 오프동작되면서 상기 가열연료구동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6075A KR100445471B1 (ko) | 2001-10-25 | 2001-10-25 |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6075A KR100445471B1 (ko) | 2001-10-25 | 2001-10-25 |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3894A KR20030033894A (ko) | 2003-05-01 |
KR100445471B1 true KR100445471B1 (ko) | 2004-08-21 |
Family
ID=2956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6075A KR100445471B1 (ko) | 2001-10-25 | 2001-10-25 |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4547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419A (ja) * | 1985-12-06 | 1987-06-17 | Iseki & Co Ltd | バ−ナの燃焼制御方式 |
JPH05115696A (ja) * | 1991-10-30 | 1993-05-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ガス衣類乾燥機 |
JPH10211399A (ja) * | 1997-01-30 | 1998-08-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ガス衣類乾燥機 |
KR20030012402A (ko) * | 2001-07-31 | 2003-02-1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건조기의 염검출장치 |
-
2001
- 2001-10-25 KR KR10-2001-0066075A patent/KR1004454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419A (ja) * | 1985-12-06 | 1987-06-17 | Iseki & Co Ltd | バ−ナの燃焼制御方式 |
JPH05115696A (ja) * | 1991-10-30 | 1993-05-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ガス衣類乾燥機 |
JPH10211399A (ja) * | 1997-01-30 | 1998-08-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ガス衣類乾燥機 |
KR20030012402A (ko) * | 2001-07-31 | 2003-02-1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건조기의 염검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3894A (ko) | 2003-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246219A (ja) | 乾燥機およびそのための乾燥制御方法 | |
KR100445471B1 (ko) |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 |
KR100461637B1 (ko) | 건조기의 히터제어방법 및 장치 | |
KR100780348B1 (ko) |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 |
KR960014285B1 (ko) | 가스의류건조기의 점화방법 | |
KR101084097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256147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063652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0798942B1 (ko) |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 |
KR100507034B1 (ko) | 건조기의 가스안전차단장치 및 방법 | |
KR20030012402A (ko) | 건조기의 염검출장치 | |
JP3882563B2 (ja) | ガス衣類乾燥機 | |
CN101701420B (zh) | 气体式烘干机的点火控制装置及方法 | |
CN100383333C (zh) | 烘干机的煤气安全切断装置及其方法 | |
KR100507030B1 (ko) | 건조기의 히터구동장치 | |
KR100512309B1 (ko) | 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308636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0869504B1 (ko) |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 |
KR100751800B1 (ko) |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30012418A (ko) | 드럼 밸트 끊김감지방법 | |
KR100476438B1 (ko) |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 |
KR101385100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CN100383334C (zh) | 烘干机的燃烧控制装置 | |
KR20030012415A (ko) | 드럼모터 정상동작 감지방법 | |
KR940004178B1 (ko) | 온풍난방기의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