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348B1 -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348B1
KR100780348B1 KR1020010043486A KR20010043486A KR100780348B1 KR 100780348 B1 KR100780348 B1 KR 100780348B1 KR 1020010043486 A KR1020010043486 A KR 1020010043486A KR 20010043486 A KR20010043486 A KR 20010043486A KR 100780348 B1 KR100780348 B1 KR 10078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
heat
heat insulation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650A (ko
Inventor
김경수
한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3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부(30)에서 발생한 열로 열풍을 만들어 건조쳄버(5)로 공급함에 있어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주변부품에 열에 의한 영향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를 발열부(30)에서 발생된 열로 열풍을 만드는 열풍덕트(50)가 단열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덕트(50)의 하류부에는 상기 단열덕트(40)와 열풍덕트(50)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유로(42)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열풍덕트(50)의 연소유로(52) 내부로 안내하도록 혼합공(5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소유로(52)의 내부의 발열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단열덕트(40)로 까지 전달되지 않게 되고 단열덕트(40) 주변 부품에 열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덕트(50)의 외부로 전달된 열이 상기 단열유로(42)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되어 에어공급덕트(12)로 전달되므로 열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건조기, 열풍, 단열

Description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Hot air supplying apparatus for dr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발열부 32: 가스노즐
34: 혼합관 36: 스파크플러그
37: 베이스 39: 안착단
40: 단열덕트 42: 단열유로
45: 지지대 50: 열풍덕트
52: 연소유로 54: 혼합공
56: 가이드편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가 진행되는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상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쳄버(5)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에 있는 건조대상물을 뒤집어주는 배플(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는 상기 드럼(1)의 개방된 부분을 막아 건조쳄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전면헤드(7)와 드럼(1)의 사이 및 상기 후면헤드(9)와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헤드(7)에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후면헤드(9)에는 에어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 공기, 보다 정확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헤드(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헤드(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쳄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블로워(17)의 힘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결되게 열풍덕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20)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을 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덕트(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는 가스노즐(22)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노즐(22)은 공급된 가스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노즐(22)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23은 가스관이다.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이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서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는 상기 가스노즐(22)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스파크플러그(26)가 설치되어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에 건조 대상물인 세탁포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20)를 통과 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로 1차공기가 들어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 가스와 1차공기가 섞이고,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에서 최초에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상기 열풍은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실밥 등의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에서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한 열이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전달되는 열풍을 가열하기 위해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열풍덕트(20)자체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열풍덕트(20)를 통해 열풍덕트(20)의 외부로 열이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덕트(20)의 표면으로 전달된 열은 건조기 내부의 온도를 높이게 되고, 특히 상기 열풍덕트(20) 근처에 위치하는 열에 약한 부품에 손상을 주거나 심하면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에서 열효율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에서 발생된 열이 주변 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와, 내부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동되고 건조쳄버와 연통되어 상기 발열부에서 바생한 열풍을 상기 건조쳄버로 공급하는 단열덕트와,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덕트와의 사이에 상기 외부공기가 유동되도록 단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에 열풍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쳄버로 유동되게 하며, 일측에서 상기 단열유로와 연통되는 열풍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덕트는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동심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에는 상기 단열덕트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열풍덕트의 내부로 전달되게 하는 혼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공에는 단열덕트의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다.
상기 열풍덕트는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연결지지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는 단열덕트의 내부에 동심이 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단열덕 트의 내면에는 단열덕트의 중심으로 향해 지지돌부가 다수개 돌출되어 열풍덕트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에 의하면 그 열효율이 극대화되고 주변의 부품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종래 기술 도면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쳄버(5)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형성하기 위해 발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발열부(30)의 구성을 설명하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노즐(32)이 건조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37)에 설치되는 안착단(39)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노즐(32)과 그 입구가 대응되게 혼합관(34)이 설치된다. 상기 혼합관(34)의 출구 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열풍덕트(50) 내부로 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혼합관(34)은 상기 가스노즐(32)에서 분사된 가스와 1차공기가 혼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안착단(39)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혼합관(34)의 출구 측에는 혼합관(34)에서 분사되는 1차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점화시켜 주는 스파크플러그(3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열부(30)가 가스의 연소에 의해 열을 얻도록 구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발열부(30)로서 전기히터를 사용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관(34)의 출구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건조쳄버(5)로 열풍을 안내하는 에어공급덕트(12)와 연통되게 단열덕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덕트(40)는 그 입구가 개방되고, 출구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통된다.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열풍덕트(50)가 설치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단열유로(42)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단열유로(42)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아래에서 설명될 열풍덕트(50)에서 전달된 열이 단열덕트(40)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단열덕트(40)는 그 입구측이 베이스(37)에 설치된 지지대(45)에 의해 지지되고, 출구측이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열풍덕트(50)는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열풍덕트(50)에는 상기 혼합관(34)의 출구가 위치하고, 그 내부에서 가스의 연소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열풍덕트(50)의 내부에는 연소유로(52)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면서,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공급받아 열풍으로 된다.
상기 열풍덕트(50)의 선단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 상기 단열덕트(40)의 단열유로(42)와 열풍덕트(50)의 연소유로(52)를 연통시키는 혼합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공(54)에는 각각 상기 단열유로(42)에서 연소유로(52)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편(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혼합공(54)에 의해 상기 단열유로(42)를 따라 흐르던 공기가 상기 연소유로(52)로 전달되어 연소유로(52)에서 형성된 열풍과 혼합되어 에어공급덕트(12)로 유동된다.
상기 열풍덕트(50)는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부에 다수개의 연결지지구(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결지지구(6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덕트(5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스크류(62)로 체결되어 설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면에 밀착되어 열풍덕트(50)가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부에 동심으로 설치되게 한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열풍덕트(50)가 단열덕트(40)의 내부에 다른 형태로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단열덕트(40)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돌부(65)가 단열덕트(4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덕트(50)의 외주면이 상기 지지돌부(65)에 끼워져서 상기 열풍덕트(50)가 단열덕트(40)에 동심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건조기가 동작되면 드럼(1)이 회전하면서 건조쳄버(5)내로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가 진행된다. 상기 건조쳄버(5)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고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서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열풍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덕트(50) 내에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32)을 통해 혼합관(34)의 내부로 가스가 분사되고, 혼합관(34)의 내부로 전달된 1차공기가 혼합관(34)의 내부에서 혼합된다. 상기 가스는 상기 혼합관(34)에서 배출되면서 상기 스파크플러그(36)에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상기 가스의 연소에 의해 상기 열풍덕트(50)의 연소유로(52)를 유동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열풍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덕트(40)의 단열유로(42)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50)의 표면으로 전달된 열을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단열유로(42)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50)의 열이 상기 단열덕트(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열풍덕트(50)의 외주면을 둘러 단열유로(42)를 형성함에 의해 발열부(30)에서 발생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열풍공급장치 주변의 부품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풍덕트(50)의 하류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혼합공(54)은 상기 단열유로(42)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를 연소유로(52)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연소유로(52)로 단열유로(42)의 공기를 안내함에 의해 연소유로(52)의 내부로 2차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연소유로(52)의 공기와 단열유로(42)의 공기가 혼합되어 열풍의 온도가 적절한 상태로 되어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전달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는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로 열풍을 형성하는 열풍덕트를 둘러 단열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덕트의 외주면과 단열덕트의 내부 사이를 통해 단열유로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단열유로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상기 단열덕트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낭비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덕트로까지 발열부의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열덕트 주위의 부품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와,
    내부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동되고 건조쳄버와 연통되어 상기 발열부에서 바생한 열풍을 상기 건조쳄버로 공급하는 단열덕트와,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덕트와의 사이에 상기 외부공기가 유동되도록 단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에 열풍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쳄버로 유동되게 하며, 일측에서 상기 단열유로와 연통되는 열풍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덕트는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동심이 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덕트에는 상기 단열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열풍덕트의 내부로 전달되게 하는 혼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공에는 단열유로의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덕트는 상기 단열덕트의 내부에 연결지지구에 의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덕트는 단열덕트의 내부에 동심이 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단열덕트의 내면에는 단열덕트의 중심으로 향해 지지돌부가 다수개 돌출되어 열풍덕트를 지지함을 특징으로하는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20010043486A 2001-07-19 2001-07-19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078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86A KR100780348B1 (ko) 2001-07-19 2001-07-19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86A KR100780348B1 (ko) 2001-07-19 2001-07-19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50A KR20030008650A (ko) 2003-01-29
KR100780348B1 true KR100780348B1 (ko) 2007-11-29

Family

ID=2771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86A KR100780348B1 (ko) 2001-07-19 2001-07-19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957A (ko) 2018-04-17 2019-10-25 윤성구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942B1 (ko) * 2001-09-05 2008-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937409B1 (ko) * 2002-12-05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13588B1 (ko) * 2006-11-03 2008-03-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CN109267277A (zh) * 2018-10-26 2019-01-25 江苏四方纺线有限责任公司 一种纺织产品上色加工用烘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979A (ko) * 1996-03-29 2000-01-25 오카노 도시미치 고온공기가열기 및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979A (ko) * 1996-03-29 2000-01-25 오카노 도시미치 고온공기가열기 및 폐기물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957A (ko) 2018-04-17 2019-10-25 윤성구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650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3488A1 (en) Base structure for air inflow in clothes dryer
KR100780348B1 (ko)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US20040123487A1 (en) Assembling structure between guide funnel and inlet duct in gas combustion device for clothes dryer
KR100578349B1 (ko)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KR10079894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211004B1 (ko) 건조기의 점화장치
KR100937409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154947B1 (ko) 건조기의 히터 어셈블리
KR100780355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93857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노즐과 혼합관간의 결합구조
KR101122078B1 (ko)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
CN220318205U (zh) 烘干机
KR100869504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69503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662480B1 (ko) 의류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73122B1 (ko)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KR101431446B1 (ko) 건조기
KR100445471B1 (ko)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KR100873123B1 (ko) 건조기의 블로워 하우징 조립구조
KR100706203B1 (ko) 흡기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
KR10086950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311231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873121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507030B1 (ko) 건조기의 히터구동장치
KR100589908B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