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122B1 -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122B1
KR100873122B1 KR1020020049772A KR20020049772A KR100873122B1 KR 100873122 B1 KR100873122 B1 KR 100873122B1 KR 1020020049772 A KR1020020049772 A KR 1020020049772A KR 20020049772 A KR20020049772 A KR 20020049772A KR 100873122 B1 KR100873122 B1 KR 10087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grill
inlet
drum
hot air
clothes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616A (ko
Inventor
한인희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1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만들어내는 가스연소장치의 인렛그릴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드럼(1)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1)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면상에 인렛그릴 설치공(900)이 형성된 리어 서포터(9)와, 상기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900) 내측에 인렛그릴(120)이 위치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9)의 후방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덕트(12)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인렛그릴(120)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을 동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렛그릴(120)의 상부폭 및 하부폭(W2)을 동일 폭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그릴 구조가 제공된다.
의류건조기, 가스, 연소, 인렛그릴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structure of inlet grill in clothes dr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열풍공급덕트와 리어 서포터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그릴 구조가 적용된 열풍공급덕트와 리어 서포터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드럼 9:리어 서포터
900:인렛그릴 설치공 910: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
12:열풍공급덕트 120:인렛그릴
120a:홀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만들어내는 가스연소장치의 인렛그릴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으로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공간인 건조챔버(5)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챔버(5)내의 건조대상물을 끌고 올려가 낙하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뒤집에 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터(6)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는 상기 드럼(1)의 앞쪽과 뒷쪽의 막아 건조챔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회전하는 드럼(1) 사이 및 상기 리어 서포터(9)와 회전하는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프론트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전방과 후방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는 상기 건조챔버(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 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9) 후방에는 인렛그릴(120)이 형성된 열풍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챔버(5)로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인렛그릴(120)에 형성된 홀(120a)들을 통해 상기 건조챔버(5)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챔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에는 가이드 펀넬(20)(Guide funnel)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펀넬(20)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입구측에는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혼합관(24)의 출구부는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입구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들어온 상태로 위치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노즐(22)은 혼합관(24)의 입구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스노즐(22)에는 가스의 공급 및 공급량 제어를 위한 밸브(30)가 연결된다.
상기 밸브(30)에는 별도의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스관(23)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스파크플러그(26)가 설치되어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에 건조 대상물(예:세탁포)을 투 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건조챔버(5)로는 상기 열풍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 공기는 열풍공급덕트(12)로 유입되기에 앞서 가스연소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 상태가 되어 상기 열풍공급덕트(12)로 유입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로 1차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 가스와 1차공기가 섞이고,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에서 최초에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한편,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덕트(12)에 형성된 인렛그릴(120)을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실밥등의 이물은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의류건조기에서는 인렛그릴(120)의 구조적 단점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인렛그릴(120)은 그릴의 상부폭(W1)이 하부폭(W2)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릴의 내측변(S1)이 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인렛그릴(120)의 면적이 작고 이에 따라 열풍 유입 면적 또한 작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열풍공급덕트(12)는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900)을 통해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인렛그릴부가 삽입될 때, 상기 인렛그릴부가 인렛그릴 설치공(900)을 통해 드럼(1)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여서 열풍이 드럼(1) 내측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의 유로저항이 커며, 드럼(1)의 회전시 옷감이 상기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900)과 인렛그릴(120) 사이에 끼어 손상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만들어내는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인렛그릴의 열풍유입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렛그릴 설치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옷감이 상기 리어 서포터의 인렛그릴 설치공과 인렛그릴 사이에 끼어 손상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드럼 후 방에 설치되어 드럼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면상에 인렛그릴 설치공이 형성된 리어 서포터와, 상기 리어 서포터의 인렛그릴 설치공 내측에 인렛그릴이 위치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덕트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인렛그릴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을 동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렛그릴의 상부폭(W1) 및 하부폭(W2)을 동일 폭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그릴 구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리어 서포터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는 인렛그릴면에 비해 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선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는 인렛그릴의 열풍유입 면적이 종래에 비해 확장되고, 유로저항 및 옷감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은 가급적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그릴 구조가 적용된 열풍공급덕트와 리어 서포터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드럼(1)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1)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면상에 인렛그릴 설치공(900)이 형성된 리어 서포터(9)와, 상기 리어 서포터(9)의 인렛 그릴 설치공(900) 내측에 인렛그릴(120)이 위치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9)의 후방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덕트(12)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인렛그릴(120)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을 동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렛그릴(120)의 상부폭(W1) 및 하부폭(W2)을 동일 폭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910)는 인렛그릴(120)면에 비해 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선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덕트(12)는 인렛그릴(120)의 내측변(S1)과 외측변(S2)의 곡률이 동일하고, 그릴의 상부폭(W1)과 하부폭(W2)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므로 인해 인렛그릴(120)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인렛그릴(120) 및 인렛그릴 설치공(900)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이 리어 서포터(9)의 곡률을 따르도록 형성하고, 상부폭(W1) 및 하부폭(W2)을 동일한 폭으로 가져감으로 인해, 종래 구조의 인렛그릴(120)에 비해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열풍 유입 면적 또한 확장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910)가 인렛그릴(120)면에 비해 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돌출된 선단부가 라운드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이 인렛그릴(120)면에 대해 처마 역할을 함에 따라, 옷감이 인렛그릴 설치공(900)과 인렛그릴(120)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즉, 상기 리어 서포터(9)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910)는 인렛그릴(120)면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인렛그릴(120)면에 대해 일종의 처마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1)의 회전시 위에서부터 낙하하는 옷감은 상기 라운드지게 돌출된 선단부를 타고 드럼(1) 내측 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인렛그릴 설치공(900)과 인렛그릴(120) 사이로의 옷감 유입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렛그릴(120)면이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910)에 비해 후방으로 물러나 있어 인렛그릴(120)을 통해 드럼(1) 내측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의 유로저항이 극소화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인 드럼(1)의 형상에 맞추어 리어 서포터(9)의 면상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열풍이 인렛그릴(120)을 빠져나올 때의 유로저항을 극소화하고 옷감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인렛그릴(120)의 형상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만들어내는 가스연소장치의 인렛그릴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인렛그릴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을 동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렛그릴의 상부폭(W1) 및 하부폭(W2)을 동일 폭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인렛그릴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리어 서포 터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는 인렛그릴면에 비해 면 전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열풍이 인렛그릴을 빠져나올 때의 유로저항을 없앰과 더불어 더불어 옷감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3)

  1. 드럼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면상에 인렛그릴 설치공이 형성된 리어 서포터와, 상기 리어 서포터의 인렛그릴 설치공 내측에 인렛그릴이 위치하도록 상기 리어 서포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열풍공급덕트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인렛그릴의 내측변(S1) 및 외측변(S2)의 곡률을 동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렛그릴의 상부폭(W1) 및 하부폭(W2)을 동일 폭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서포터의 인렛그릴 설치공 주변부는 인렛그릴면에 비해 면 전방으로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선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KR1020020049772A 2002-08-22 2002-08-22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KR10087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72A KR100873122B1 (ko) 2002-08-22 2002-08-22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72A KR100873122B1 (ko) 2002-08-22 2002-08-22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16A KR20040017616A (ko) 2004-02-27
KR100873122B1 true KR100873122B1 (ko) 2008-12-09

Family

ID=3732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72A KR100873122B1 (ko) 2002-08-22 2002-08-22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04172A (zh) * 2021-08-09 2023-02-1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装置的筒体组件及衣物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992U (ko) * 1988-01-07 1989-07-14
JPH05184785A (ja) * 1992-01-10 1993-07-27 Rinnai Corp 衣類乾燥機
KR100438618B1 (ko) * 2002-01-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992U (ko) * 1988-01-07 1989-07-14
JPH05184785A (ja) * 1992-01-10 1993-07-27 Rinnai Corp 衣類乾燥機
KR100438618B1 (ko) * 2002-01-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16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635B1 (ko) 가전기기용 드럼장치
KR20040023998A (ko) 의류건조기의 공기유입을 위한 베이스 구조
KR20040023997A (ko) 의류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이드펀넬과 인렛덕트와의조립구조
KR100873122B1 (ko)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KR100937409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122078B1 (ko)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
KR101154947B1 (ko) 건조기의 히터 어셈블리
KR100780348B1 (ko)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0873123B1 (ko) 건조기의 블로워 하우징 조립구조
KR100893857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노즐과 혼합관간의 결합구조
KR100780355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69504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20060100670A (ko) 의류 건조기
KR100869503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79894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662480B1 (ko) 의류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706203B1 (ko) 흡기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
KR101241876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KR10086950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662771B1 (ko) 복사형 가열 장치가 구비된 배기식 건조기
KR100589908B1 (ko) 의류건조기
KR100873121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20040008284A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241874B1 (ko) 드럼식 의류건조기의 컨트롤부
KR100429251B1 (ko) 의류 건조기 겸용 가스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