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57A -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57A
KR20190120957A KR1020180044362A KR20180044362A KR20190120957A KR 20190120957 A KR20190120957 A KR 20190120957A KR 1020180044362 A KR1020180044362 A KR 1020180044362A KR 20180044362 A KR20180044362 A KR 20180044362A KR 20190120957 A KR20190120957 A KR 2019012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hamber
dryer
fuel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8004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957A/ko
Publication of KR2019012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23B3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 F23B30/06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with fuel supporting surfaces that are specially adapted for advanc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B30/1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with fuel supporting surfaces that are specially adapted for advanc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zone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having fuel advancing elements that are movable, but remain essentially in the same place, e.g. with rollers or reciprocating grate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원단이나 세탁물 등의 건조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챔버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소각실 및 열기순환실이 각각 상,하층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소각실의 내부 저면에는 연료가 탑재되는 반구형의 수납받침 및 이 수납받침의 하부에 재처리받침이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열기순환실 내에는 제1 및 제2수평관로를 포함하여 이들 수평관로의 양단에 상호 결속되는 접속파이프 및 상기 제1수평관로 상에 연결되어 본체 외부로 연이어지는 연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소각실의 하단부 일측에는 흡기팬을 갖는 외기 유입관이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열기순환실의 일측에는 배기팬 및 열풍 배출관이 장착되어 열풍을 건조기 측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연료소각실 내의 수납받침 상에 탑재되는 연료를 유동시킴으로써 종전에 비해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고, 열기순환실 내에서의 소비되는 열량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열풍의 잔류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설비를 가동시킬 수 있으며, 제반 설비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Hot air supplying apparatus for dryer}
본 발명은 섬유원단이나 세탁물 등의 건조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챔버로 열풍(熱風)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물론 열풍의 잔류시간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의 염색공정이 완료된 후에 건조를 행하거나 혹은 직물을 일정한 폭으로 조정하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에서 사용하는 텐타기에는 별도 설비의 가동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게 되며, 대형 세탁업소에서는 다량의 젖은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해 대개 고온의 열기가 공급되는 챔버(Chamber) 내로 세탁물을 통과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780348호에 개시된 기술은,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열부와, 내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동되고 건조 챔버와 연이어져 열풍을 공급하는 단열 덕트와, 이 단열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동되도록 단열 유로를 형성하고, 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에 열풍이 형성되어 건조 챔버로 유동되게 하며, 일측에서 단열 유로와 연이어지는 열풍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51655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에는, 온수 챔버에 급탕 코일 및 보조 물탱크 등을 연결하여 온수를 빠르고 균일하게 생성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있지만 온수를 순환시켜야 할 시설이 설치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기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온수 공급 용도로만 사용하게 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이를 온전하게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별도의 난방 장치를 필요로 하여 난방 비용을 이중으로 부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0780348호(2007.11.22 등록) -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등록특허 제0323209호(2002.01.22 등록) -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등록특허 제1051655호(2015.07.16 등록) -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공개특허 제2015-0133419호(2015.11.30 공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에 구성되는 연료소각실 내에서의 연료를 유동성 있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열기순환실 내에서의 열풍이 잔류하는 시간을 한층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설비를 가동시킬 수 있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비 자체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킴에 따라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소각실 및 열기순환실이 수직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이들의 외부 둘레에 공기유통실이 각각 구분되어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소각실의 내부 저면에는 연료가 탑재되는 반구형의 수납받침 및 이 수납받침의 하부에 재처리받침이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열기순환실 내에는 제1 및 제2수평관로를 포함하여 이들 수평관로의 양단에 상호 결속되는 접속파이프 및 상기 제1수평관로 상에 연결되어 본체 외부로 연이어지는 연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통실의 하단부 일측에는 흡기팬을 갖는 외기 유입관이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열기순환실의 일측에는 배기팬 및 열풍 배출관이 장착되어 열풍을 건조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연료소각실 및 열기순환실의 외벽과 공기유통실의 내벽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이어 장착되는 연결봉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또, 상기 수납받침의 바닥면 양측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수납받침은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회동축 상에 설치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연료소각실 내의 수납받침 상에 탑재되는 연료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반복하여 유동시켜 줌으로써 종전에 비해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순환실을 포함하여 열기순환실 내에 설치되는 관로를 최적으로 배치함에 따라 외부로 소비되는 열량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열풍의 잔류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설비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제반 설비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등록특허 제1422145호에 개시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풍 공급장치 및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체 내의 열기순환실 및 공기유통실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6은 수납받침의 구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재처리받침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본 출원인이 제안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는 등록특허 제1422145호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는 피건조물을 처리하기 위한 건조 챔버(20)로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펠렛을 연소시키기 위한 화덕(200)과, 이 화덕으로 펠렛을 공급하는 펠렛공급장치(300)와, 화덕(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펠렛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로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연소 하우징(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 하우징(100)의 경우, 외부 쉘(112) 및 내부 쉘(114) 사이에 외부 챔버(116)가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 쉘(114)의 내부에 내부 챔버(118)가 구비되며, 외부 쉘(11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20)가 화덕(20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202)와 체결된다.
상기 내부 챔버(118)에는 열교환 파이프(HEP)가 배치되며, 외부 쉘(112)에 제1외기 공급관(AP1) 및 제1외기 배출관(AP2)이 각각 연결되어 외부 챔버(116)로 외기가 공급되고, 외부 챔버(116)에서 외기가 내부 챔버(118)의 연소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외부 챔버(116)에서 가열된 외기가 제1외기 배출관(AP2)을 통해 열교환 파이프(HEP)로 공급되며, 열교환 파이프(HEP)에서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재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 챔버(20)로 공급되고, 내부 챔버(118)의 연소가스가 제1가스 배출관(GP1)을 통해 집진장치(40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연소 하우징(100)에서는 내부 챔버(118)의 열에 의해 열교환 파이프(HEP)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고온의 공기(열풍)가 열교환 파이프(HEP)에서 건조 챔버(20)로 공급된다. 이 때 외기가 제1외기 공급관(AP1)을 통해 외부 챔버(116)로 공급되어 먼저 1차 가열된 후 이 공기가 제1외기 배출관(AP2)을 통해 열교환 파이프(HEP)로 공급된다.
이러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는, 펠렛을 원료로 이용하게 되며, 내부 챔버(118)의 둘레를 외부 챔버(116)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내부 챔버(118)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쉘(112)과 내부 쉘(114)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요철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쉘(112)과 내부 쉘(114)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두께(t1)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연소 하우징(100)은 제1가스 배출관(GP1)에 제1송풍팬(F1)이 장착됨과 동시에 제1외기 공급관(AP1)에 제2송풍팬(F2)이 장착되며, 제1외기 배출관(AP2)에서 분기관(BP)이 분기되고, 이 분기관(BP)이 화덕(200)에 장착된 버너(210)의 제3송풍팬(F3)에 연결된다.
집진장치(400)에서 여과된 연소가스가 펠렛공급장치(300)의 저장통(340)에 형성된 에어 챔버(342)의 제4가스 공급관(GP4)로 공급되고, 에어 챔버(342)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5가스 배출관(GP5)에 제4송풍팬(F4)이 장착되고, 열교환 파이프(P1)의 입구에 제5송풍팬(F5)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1송풍팬(F1)에 의해 내부 챔버(118)의 연소가스가 제1가스 배출관(GP1)을 통해 집진장치(400)로 공급되고, 이 집진장치(400)에서 여과된 연소가스가 제4가스 공급관(GP4)을 통해 펠렛공급장치(300)의 저장통(340)에 형성된 에어 챔버(342)로 공급됨으로써, 고온의 에어 챔버(342)에 의해 펠렛공급장치(300)의 저장통(340)에 수용되는 펠렛에 수분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송풍팬(F2)에 의해 외기가 제1외기 공급관(AP1)을 통해 외부 챔버(116)로 공급되고, 외부 챔버(116)의 제1외기 배출관(AP2)에서 배출되는 외기 중의 일부가 분기관(BP)을 통해 버너(210)의 제3송풍팬(F3)으로 공급됨으로써, 제3송풍팬(F3)에 의해 따뜻한 공기가 화덕(200)으로 공급되어 펠렛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진장치(400)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바 있는 공개특허 제2011-0067330호(2011.06.22. 공개)의 "분진제거장치"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집진장치(400)의 경우, 외통(410)의 둘레에 커버체(420)가 배치되어 외통(410)과 커버체(420) 사이에 에어 챔버(415)가 형성되고, 이 에어 챔버(415)에 제3외기 공급관(AP3)과 제4외기 배출관(AP4)이 형성됨으로써, 제1가스 배출관(GP1)의 연소가스가 제2가스 공급관(GP2)을 통해 내통(430)으로 공급된다.
또, 내통(430)의 연소가스가 필터(440)에 의해 여과되어 분진은 배출구를 통해 재처리통(450)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연소가스는 외통(410)으로 공급되며, 여과된 외통(410)의 연소가스가 외통(410)의 제3가스 배출관(GP3)을 통해 펠렛공급장치(300)의 저장통(340)의 제4가스 공급관(GP4)으로 공급될 때, 외기 챔버(415)의 외기가 외통(410)의 연소가스와 열교환되어 제4외기 배출관(AP4)을 통해 연소 하우징(100)의 제1외기 공급관(AP1)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집진장치(400)에서 연소가스를 여과할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의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여 연소가스의 열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화덕(200)은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화덕(200)의 하부가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채널부(230)가 형성되며, 하부 채널부(230)에 스크류 샤프트(240)가 장착되어 화상(220)의 재가 채널부(230)로 낙하되면 스크류 샤프트(240)에 의해 재처리통(250)으로 배출된다.
상기 펠렛공급장치(300)는 공급관(310)의 일단이 펠렛을 공급할 수 있도록 화덕(200)에 연결되고, 공급관(310)의 타단에 저장통(340)의 하단이 연결되어 저장통(340)의 펠렛이 공급관(310)으로 공급되며, 이 공급관(310)의 내부에 스크류 샤프트(320)가 배치되어 모터(325)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화덕(200)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챔버를 외부 쉘 및 내부 쉘로 분할 구획하여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제작 자체가 쉽지 않고,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인해 단가를 낮출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화덕에 펠렛을 그대로 적재하여 연소시켜야만 하므로 연료를 최적으로 연소시킬 수 없어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더구나, 챔버 내에서 순환하는 외기가 빠르게 건조기 측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많은 열량을 소비하는 것에 비례한 열기를 생성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개선한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로서,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본체(30)는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로 분할 제작됨과 동시에 이들의 외부 둘레에 공기유통실(40C)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0)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연결 플랜지(31a,31b)들이 패킹(도시생략)을 개재하여 체결부재(32)에 의해 조립되며,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의 외벽과 공기유통실(40C)의 내벽에는 연결봉(31c)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호 결속된다.
상기 연료소각실(40A)의 내부 저면에는 연료(F)가 탑재되는 반구형의 수납받침(41) 및 이 수납받침(41)의 하부에 재처리받침(42)이 각각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받침(41)에는 다수의 통공(41a)들이 형성됨에 따라 소각된 연료(F)의 재가 자중에 의해 재처리받침(42)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수납받침(41)의 경우, 감속모터(43)의 가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감속모터(43)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44a) 및 이 구동기어(44a)에 체인(45)으로 연결된 종동기어(44b)가 회전하게 되고, 이 종동기어(44b)의 회동축(46) 상에 수납받침(41)이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바닥면 양측에 설치된 롤러(47a,47b)에 유지됨에 따라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처리받침(42)의 저면에는 받침다리(48a)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받침다리(48a)는 브라켓(48b)을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롤러(49) 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수납받침(41) 및 재처리받침(42)은 도시하지 않은 도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연료(F)를 공급하거나 연소된 재를 손쉽게 후처리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공기유통실(40C)의 바닥면 일측에는 소정량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흡기팬(33)을 구비한 외기 유입관(34)을 포함하여 수납받침(41) 상에 탑재된 연료(F)를 점화하기 위한 버너(3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는 공기유통실(40C)을 통해 유입되어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의 외벽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열기순환실(40B)의 상단에 형성된 인입공(36a,36b)을 통해 열기순환실(40B) 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열기순환실(40B) 내에는 제1 및 제2수평관로(50A,50B)가 각각 상,하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수평관로(50A,50B)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접속파이프(51a,51b)가 상호 결속되어 연료소각실(40A)로부터의 연소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수평관로(50A)의 일측에는 배기팬(52)이 구비된 연도(53)가 장착되어 본체(30)의 외부로 연이어져 있다.
상기 열기순환실(40B)의 일측에는 배기팬(54)이 구비된 열풍 배출관(55)이 장착되어 열기순환실(40B) 내에 생성된 고온의 열기를 건조기(도시생략)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소각실(40A) 내의 수납받침(41) 상에 연료(F)를 탑재한 상태에서 버너(35)를 이용하거나 혹은 토치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연료(F)에 점화를 행할 수 있는 것이며, 흡기팬(33)의 가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외기 유입관(34)을 통해 공기유통실(40C)을 거쳐 열기순환실(40B) 측으로 강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료(F)의 소각시에 발생하는 폐가스는 연료소각실(40A)로부터 제1접속파이프(51a)→ 제2수평관로(50B)→ 제2접속파이프(51b)→ 제1수평관로(50A)→ 연도(53)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며, 이 때 연도(53)에 설치된 배기팬(52)이 가동함에 따라 배기되는 폐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도(53)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집진설비로 이송시킴에 따라 오염된 공기가 직접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열기순환실(40B)로 공급된 외부 공기는 실 내의 내벽을 따라 순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각열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수평관로(50A,50B)로부터 발생되는 소각열에 의해 열교환이 일어나면서 고온의 열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며, 열풍 배출관(55)에 장착된 배기팬(54)의 가동에 의해 건조실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에 의하면, 연료소각실 내의 수납받침 상에 탑재되는 연료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반복하여 유동시켜 줌으로써 종전에 비해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순환실을 포함하여 열기순환실 내에 설치되는 관로를 최적으로 배치함에 따라 외부로 소비되는 열량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열풍의 잔류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설비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제반 설비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 본체 31a,31b: 연결 플랜지
31c: 연결봉 32: 체결부재
33: 흡기팬 34: 외기 유입관
35: 버너 36a,36b: 인입공
40A: 연료소각실 40B: 열기순환실
40C: 공기유통실 41: 수납받침
41a: 통공 42: 재처리받침
43: 감속모터 44a: 구동기어
44b: 종동기어 45: 체인
46: 회동축 47a,47b: 롤러
48a: 받침다리 48b: 브라켓
49: 롤러 50A: 제1수평관로
50B: 제1수평관로 51a,51b: 접속파이프
52: 배기팬 53: 연도
54: 배기팬 55: 열풍 배출관

Claims (3)

  1.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이 수직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이들의 외부 둘레에 공기유통실(40C)이 각각 구분되어 이루어진 본체(30)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소각실(40A)의 내부 저면에는 연료가 탑재되는 반구형의 수납받침(41) 및 이 수납받침의 하부에 재처리받침(42)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열기순환실(40B) 내에는 제1 및 제2수평관로(50A,50B)를 포함하여 이들 수평관로의 양단에 상호 결속되는 접속파이프(51a,51b) 및 상기 제1수평관로 상에연결되어 본체 외부로 연이어지는 연도(5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통실(40C)의 하단부 일측에는 흡기팬(33)을 갖는 외기 유입관(34)이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열기순환실(40B)의 일측에 배기팬(54) 및 열풍 배출관(55)이 장착되어 열풍을 건조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를 구성하는 연료소각실(40A) 및 열기순환실(40B)의 외벽과 공기유통실(40C)의 내벽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이어 장착되는 연결봉(31c)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받침(41)의 바닥면 양측에는 롤러(47a,47b)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수납받침은 감속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종동기어(44b)의 회동축(46) 상에 설치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20180044362A 2018-04-17 2018-04-17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20190120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62A KR20190120957A (ko) 2018-04-17 2018-04-17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62A KR20190120957A (ko) 2018-04-17 2018-04-17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57A true KR20190120957A (ko) 2019-10-25

Family

ID=6842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62A KR20190120957A (ko) 2018-04-17 2018-04-17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95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209B1 (ko)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780348B1 (ko) 2001-07-19 2007-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1051655B1 (ko) 2010-12-30 2011-07-26 강훈이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KR20150133419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에스디케이 건조기의 열풍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209B1 (ko) 1999-04-17 2002-02-19 김원묵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KR100780348B1 (ko) 2001-07-19 2007-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1051655B1 (ko) 2010-12-30 2011-07-26 강훈이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KR20150133419A (ko) 2014-05-20 2015-11-30 주식회사 에스디케이 건조기의 열풍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587B1 (ko) 슬러지 건조장치
JP4899220B2 (ja)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CN102277708B (zh) 一种具有烘干功能洗衣机的内外筒结构
CN107120956A (zh) 无耗电式抽风干燥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8032357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CN105063765A (zh) 一种多室热回用的烘茧机
KR20190120957A (ko)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CN206352832U (zh) 一种风冷干渣机
CN208114127U (zh) 一种旋转式制鞋烘干机
KR20110067072A (ko) 방사형 로타리 간접열원 건조기
CN107178991A (zh) 无耗电式送风干燥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358758B (zh) 干衣机
CN216644777U (zh) 一种电加热烘干机回收装置
JP5102499B2 (ja) ロータリー炭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7655284A (zh) 新型天然气多筒烘干机
CN207922238U (zh) 一种热风循环垃圾脱水装置
CN207071385U (zh) 炉体加热装置
CN203857764U (zh) 干燥机
CN107990683B (zh) 干燥装置
CN106758480B (zh) 一种智能火焙纸干燥成套设备
WO2003042520A1 (en) Energy economical compact drying system
CN206430157U (zh) 一种垃圾燃烧处理系统
CN110017681A (zh) 带式烘干机
CN218545191U (zh) 一种节能网带式烘干机
CN104452146A (zh) 一种专用烘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