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00B1 -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00B1
KR100751800B1 KR1020060071070A KR20060071070A KR100751800B1 KR 100751800 B1 KR100751800 B1 KR 100751800B1 KR 1020060071070 A KR1020060071070 A KR 1020060071070A KR 20060071070 A KR20060071070 A KR 20060071070A KR 100751800 B1 KR100751800 B1 KR 10075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as
guide tube
pip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7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기에 설치되어 세탁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고, 불완전 연소를 억제토록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 상기 가스관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노즐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소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 일측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 정도를 감지하여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이면 다시 발화작동을 행하는 보조점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가이드관, 점화플러그, 혼합관, 가스관

Description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GAS HEATER FOR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혼합관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흡입량조절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배기유로 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4 : 토출구
60 : 드럼 62 : 지지패널
62a : 관통홀부 64a : 배출구
70 : 흡기관 80 : 배기관
82 : 배기팬 84 : 연결관
86 : 하우징 90 : 구동모터
100 : 히터 110 : 가이드관
120 : 혼합관 124 : 혼합부
130 : 가스관 140 : 노즐
150 : 밸브 160 : 브래킷
170 : 점화플러그 180 : 화염홀더
190 : 흡입량조절수단 200 : 안착수단
230 : 체결수단
본 발명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기에 설치되어 세탁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고, 불완전 연소를 억제토록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 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22)과, 상기 배기 수단(22)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 됨)과, 상기 드럼(12)과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됨) 및 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2)의 내주면에는 피건조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터(11)가 배치된다.
상기 배기 수단(22)은 상기 드럼(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필터(24)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덕트(25)와, 상기 린트 덕트(25)와 연통되고 상기 송풍팬(30)을 에워싸는 팬 하우징(26)과, 상기 팬 하우징(26)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 단이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 배기 덕트(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12) 및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12) 내의 피건조물은 상기 리프터(11)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상기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상기 흡기 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여 상기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흡기 덕트와 연통되는 관 내부에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코일이 설치되어 히터를 이루기 때문에 건조작업이 개시된 후에 히터가 가열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비교적 고가인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기 때문에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가인 가스를 발열 재료로 사용하고, 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억제토록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 상기 가스관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노즐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소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 일측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 정도를 감지하여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이면 다시 발화작동을 행하는 보조점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점화장치는 상기 가이드관 내벽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율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관 내벽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조점화플러그와, 상기 화염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점화플러그에 점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보조점화플러그는 상기 가이드관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이드관의 양측 내벽에 교호로 설치되는 제 1 보조점화플러 그와, 제 2 보조점화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의 제어방법은 캐비닛 내부의 공기와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혼합관을 통해 가이드관에 분사되고, 점화플러그에 전원이 인가되는 연소 개시단계, 상기 연소 개시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관에 설치되는 화염감지센서로부터 불완전 연소율이 감지되어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에서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이면 측정치가 제 2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감지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단계 및 상기 제 2 감지단계에서 판단되는 정보에 의해 점화플러그, 보조점화플러그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재 점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혼합관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흡입량조절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소정 공간을 이루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0)과,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과, 드럼(60) 내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리프터(60a)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드럼(6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기관(70)과, 흡기관(70)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100)와, 드럼(60)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팬(82 : 도 9 참조)과, 배기팬(82)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된 배기관(80)과, 배기팬(82)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90 : 도 9 참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팬(82)이 회전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터(100)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드럼(6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60) 내부에서 세탁물과 접촉되면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배기팬(8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관(80)을 따라 캐비닛(50)의 토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토출구(54)는 캐비닛(50)의 배면 하단의 중앙에 형성되어 드럼(60) 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캐비닛(50)의 배면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드럼(60)은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캐비닛(50)의 개구부에 대응되고, 관통홀부(62a)가 형성된 지지패널(62)에 배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패널(62)은 캐비닛(50)의 배면 내벽에 설치되어 드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관통홀부(62a)에 흡기관(70)이 설치된다.
또한, 드럼(60)의 전방측 단부와 캐비닛(50)의 개구부 사이에 전면패널(64)이 설치되고, 전면패널(64)의 하측 단부에 배출구(64a)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64a)에는 배기팬(82) 측으로 향하는 연장관(84)이 설치되고, 연장관(84)과 배기관(80) 사이에 배기팬(82)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86 : 도 7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흡기관(70)은 히터(100)로부터 관통홀부(62a)와 대응되는 캐비닛(50)의 배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이루어짐으로써, 캐비닛(50)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100)를 지나면서 소정 온도 이상의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모터(90)와 벨트(미도시)로 연결된 드럼(60)이 회전되면서 더운 공기와 세탁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히터(100)는 캐비닛(50) 일측에 설치되어 캐비닛(5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 는 가스관(130)과, 가스관(130)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140)과, 가스관(130)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150)와, 노즐(140)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120)과, 혼합관(120) 외측에 설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170)와, 혼합관(120)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소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110)과, 가스관(130), 혼합관(120), 가이드관(110)이 장착되며, 캐비닛(50)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60)과, 혼합관(120)과 가이드관(110) 사이에 설치되어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는 화염홀더(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밸브(150)가 개방되어 가스관(130)을 따라 가스가 혼합관(120)에 공급되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고, 이때 점화플러그(170)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화염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화염의 크기 및 생성 위치가 조절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에 화염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관(110)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화염을 지나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온도가 변화되어 세탁물에 분사되므로 건조작업이 이루어진다.
혼합관(120)은 일측에 혼합부(124)가 형성되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바, 혼합부(124)는 노즐(140)이 결합되어 가스가 혼합관(120)에 유입되도록 하고,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소정량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혼합관(120)은 양측 단부에 한 쌍의 결합리브(122)가 형성되고, 결합리브(122)에는 홀부(122a)가 형성되어 후술될 브래킷(160)의 체결홀부(162a)에 볼 트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혼합부(124)는 혼합관(120)의 단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바, 중공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노즐(140)에 대응되는 단부에 노즐(140)이 억지끼움되는 삽입홀부(124a)가 형성되며, 둘레면 일측에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홀부(124b)가 형성된다.
이로써, 노즐(140)에 의해 혼합부(124) 내측에 가스가 주입될 때에 유입홀부(124b)를 통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혼합부(124) 내측으로 공급되므로 가스와 공기로 이루어지는 혼합가스는 혼합관(120)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으로 분사된다.
혼합부(124)에 흡입량조절수단(190)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유입홀부(124b) 내측에 흡입량조절수단(190)이 설치되어 유입홀부(124b)의 크기를 가변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량조절수단(190)은 혼합부(124)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홀부(124b)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조절관(192)과, 조절관(192)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부(192c)와, 기어부(192c)에 대응되는 혼합부(124)에 형성되는 장공부(196)와, 장공부(196)를 통해 혼합부(124)에 삽입되어 기어부(192c)에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198)와, 종동기어(198)와 기어물림되는 모터(1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관(192)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삽입홀부(124a)에 대응되는 정면에 흡기홀부(192a)가 형성되고, 유입홀부(124b)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조절홀부(192b)가 형성된다.
이로써, 모터(194)가 구동되면 모터(194)의 회전축에 기어물림된 종동기어(198)의 회전에 의해 조절관(192)이 회전되는 바, 조절관(192)의 조절홀부(192b)와 유입홀부(124b)가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유입홀부(124b)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히터는 가스관(130), 혼합관(120), 가이드관(110)이 장착되며 캐비닛(50)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60)을 더 포함한다. 브래킷(160)에는 브래킷(160)과 캐비닛(50) 사이에 설치되어 브래킷(160)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안착수단(200)과, 브래킷(160)과 캐비닛(50)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수단(230)이 형성된다.
이로써, 히터(100)의 설치시에 브래킷(160)을 안착수단(200)에 의해 캐비닛(50)의 바닥면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킨 후에 체결수단(230)에 의해 브래킷(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160)은 그 정면 형상이 사각형에서 저면이 개방된 모양으로 전후 방향으로 긴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고, 혼합관(120)이 대응되는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부(162)와, 가이드관(110)이 대응되는 후방측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지지부(168)와, 안착부(162) 일측에 형성되어 혼합관(120)이 결합되는 체결홀부(162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착수단(200)은 브래킷(16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10)와, 가이드 돌기(210)에 대응되는 캐비닛(50) 내벽에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210)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지는 삽입부(220)와, 가이드 돌기(210)의 외측 단부 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스토퍼(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212)에는 상단 일부분이 절개되어 가스관(130)이 안착되도록 하는 결합홈부(214)가 형성된다.
이로써, 히터(100)를 설치할 때는 브래킷(160)에 혼합관(120) 및 가스관(130)을 설치한 후에 가이드 돌기(210)를 삽입부(220)에 밀어 넣고, 관통홀부(232)에 볼트를 체결하면 관통홀부(232)를 통과한 볼트가 결합홀부(234)에 체결되면서 히터(10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화염홀더(180)는 혼합관(120)과 가이드관(110) 사이에 설치되는 바, 화염홀더(180) 일측에서 연장되어 혼합관(120) 단부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84)와, 점화플러그(170)에 대응되는 지지대(184) 일측에 형성되어 혼합관(120)과 점화플러그(170) 사이를 구획하는 커버부(18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화염홀더(18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182)로부터 지지대(184)가 연장되고, 지지대(184)와 지지대(184) 사이에 다수 개의 날개(186)가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날개(186)는 혼합관(120)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고, 커버부(188)는 지지대(184)의 일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량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170)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데, 커버부(188)에 의해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자마자 점화플러그(170)에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화염의 발생은 혼합관(120)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위에서 나타나고, 화염홀더(180)의 본체(182)와 날 개(186)에 의해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분산되므로 발생된 화염의 모양이 가이드관(110)을 따라 길게 형성되지 않고, 화염홀더 근처에 모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화염은 가이드관(110) 내부 중앙부에 모여지므로 혼합관(120)이나 흡기관(70)이 화염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는 가이드관(110) 일측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 정도를 감지하여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이면 다시 발화작동을 행하는 보조점화장치(17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점화장치(178)는 가이드관(110) 내벽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율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174)와, 가이드관(110) 내벽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조점화플러그(172)와, 화염감지센서(17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인지를 감지하여 보조점화플러그(172)에 점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점화플러그(172)는 가이드관(110)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이드관(110)의 양측 내벽에 교호로 설치되는 제 1 보조점화플러 그(172a)와, 제 2 보조점화플러그(172b)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흡기관(7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연소작동이 개시되면 밸브(150)가 개방되어 가스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혼합관(120)에서 섞여져 점화플러그에서 생성되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가이드관(110) 내부에서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면 화염감지센서(174)에 의해 불완전 연소가 감지되고,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보조점화플러그(172)가 구동되어 미처 연소되지 않은 물질이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버튼(미도시)을 조작하면 구동모터(90) 및 히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배기팬(82) 및 드럼(60)이 회전되는 바, 배기팬(82)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를 따라 드럼(6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를 통과한 후에 캐비닛(5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히터(100)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 건조 공기로 가열된다.
이후에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건조작업을 행한다.
드럼(60)의 개구부와 캐비닛(50) 내벽 사이에 설치된 전면패널(64)에 배출구(64a)가 형성되는 바,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는 이 배출구(64a)를 따라 드럼(60) 외측으로 배출되고, 배출구(64a)에 연통되는 연결관(86)을 지나 배기팬(82)의 하우징(84)으로 유동되며, 하우징(84)에서 배기관(80)을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54)를 통해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히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건조작동의 개시와 함께 밸브(150)가 개방되어 노즐(140)을 통해 혼합관(120)으로 가스가 분사되고, 혼합부(124)의 유입홀부(124b)를 통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1차로 가스와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가스는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는데, 혼합관(120)의 외측, 즉 가이드관(110)의 내벽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어 흡기관(70)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가이드관(110)의 중앙부에 모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혼합관(120) 및 흡기관(7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바, 이는 화염홀더(180)의 커버부(188)가 혼합관(120)의 토출구 측에서 혼합가스와 점화플러그(170)를 구획하므로 화염이 혼합관(120)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지 않게 하고, 화염홀더(180)의 본체(182)와 날개(186)에 의해 혼합가스가 분산되게 하므로 화염의 형상이 가이드관(110) 내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기관(70) 쪽에 화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 중에 가이드관(110) 내부에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면 캐비닛(50) 외측으로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토출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조점화장치(178)를 설치하며, 보조점화장치(178)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의 제어방법이 도시 된 순서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의 제어방법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와 가스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혼합관(120)을 통해 가이드관(110)에 분사되고, 점화플러그(170)에 전원이 인가되는 연소 개시단계(S1)와, 연소 개시단계(S1) 후에 가이드관(110)에 설치되는 화염감지센서(174)로부터 불완전 연소율이 감지되어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감지단계(S2)와, 제 1 감지단계(S2)에서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이면 측정치가 제 2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감지단계(S3)와, 제 1 감지단계(S2) 및 제 2 감지단계(S3)에서 판단되는 정보에 의해 점화플러그(170), 보조점화플러그(172)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재 점화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가이드관(1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염감지센서(174)에 의해 불완전 연소율이 측정되는 바, 이 화염감지센서(174)는 가이드관(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화염으로부터 불완전 연소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공지의 센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화염감지센서(174)에 의해 불완전 연소율이 감지되면 감지된 측정치와 제 1 설정치를 비교하여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보다 낮으면 점화플러그(170)만이 구동되어 정상 운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보다 높고 제 2 설정치 보다 낮으면 점화플러그(170)와 제 1 보조점화플러그(172a)만이 구동되어 가이드관(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를 이룬다.
또한, 측정치가 제 2 설정치 보다 높으면 점화플러그(170), 제 1 보조점화플러그(172a) 및 제 2 보조점화플러그(172b)가 구동되어 가이드관(110) 내부 전체에 걸쳐 발화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미처 연소되지 않은 혼합가스가 연소되므로 가이드관(110) 내부에서의 불완전 연소를 억제토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조기에 사용되는 가스히터가 아닌 다른 제품의 가스히터에도 본 발명의 가스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은 점화플러그가 설치되는 가이드관 내측에 화염감지센서 및 보조점화플러그가 설치됨으로써, 가이드관 내부에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면 보조점화플러그로부터 불꽃이 공급되어 재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불완전 연소를 억제하여 가스히터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
    상기 가스관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노즐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소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 일측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 정도를 감지하여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이면 다시 발화작동을 행하는 보조점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점화장치는 상기 가이드관 내벽에 설치되어 화염의 불완전 연소율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관 내벽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조점화플러그와, 상기 화염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불완전 연소율이 설정치 이하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점화플러그에 점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점화플러그는 상기 가이드관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이드관의 양측 내벽에 교호로 설치되는 제 1 보조점화플러그와, 제 2 보조점화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
  4. 캐비닛 내부의 공기와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혼합관을 통해 가이드관에 분사되고, 점화플러그에 전원이 인가되는 연소 개시단계;
    상기 연소 개시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관에 설치되는 화염감지센서로부터 불완전 연소율이 감지되어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1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에서 측정치가 제 1 설정치 이상이면 측정치가 제 2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감지단계; 및
    상기 제 1 감지단계 및 상기 제 2 감지단계에서 판단되는 정보에 의해 점화플러그, 보조점화플러그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재 점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가스히터의 제어방법.
KR1020060071070A 2006-07-27 2006-07-27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75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070A KR100751800B1 (ko) 2006-07-27 2006-07-27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070A KR100751800B1 (ko) 2006-07-27 2006-07-27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00B1 true KR100751800B1 (ko) 2007-08-27

Family

ID=3861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070A KR100751800B1 (ko) 2006-07-27 2006-07-27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430A (zh) * 2014-12-22 2016-07-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干衣机的燃气加热系统和具有它的燃气干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42A (ko) * 1998-09-15 1998-12-05 박흥원 고효율 가스버너
KR20030021045A (ko) * 2001-09-05 2003-03-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버너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42A (ko) * 1998-09-15 1998-12-05 박흥원 고효율 가스버너
KR20030021045A (ko) * 2001-09-05 2003-03-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버너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430A (zh) * 2014-12-22 2016-07-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干衣机的燃气加热系统和具有它的燃气干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377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800B1 (ko)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1004B1 (ko) 건조기의 점화장치
KR20030033895A (ko) 건조기의 히터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85102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4637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98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9541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62341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99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063652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57716A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EP2305878B1 (en) Control method for a gas-type clothes dryer
KR100526941B1 (ko) 열풍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127768A (ko)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H06190197A (ja) ガス衣類乾燥機の点火方法
KR20080057707A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6037B1 (ko) 청소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104492A (ja) 衣類乾燥機
KR100847049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476438B1 (ko)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KR101385098B1 (ko)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1444B1 (ko) 순환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11231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636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