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716A -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 Google Patents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716A
KR20080057716A KR1020060131326A KR20060131326A KR20080057716A KR 20080057716 A KR20080057716 A KR 20080057716A KR 1020060131326 A KR1020060131326 A KR 1020060131326A KR 20060131326 A KR20060131326 A KR 20060131326A KR 20080057716 A KR20080057716 A KR 2008005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guide tube
gas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3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716A/ko
Publication of KR2008005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토록 하는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 외측에 설치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커버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히터, 가이드관, 지지대, 고정수단

Description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GAS HEATER AND DRYER THEREWI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혼합관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흡입량조절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가이드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4 : 토출구
60 : 드럼 62 : 지지패널
62a : 관통홀부 64a : 배출구
70 : 흡기관 80 : 배기관
82 : 배기팬 84 : 연결관
86 : 하우징 90 : 구동모터
100 : 히터 110 : 가이드관
120 : 혼합관 124 : 혼합부
130 : 가스관 140 : 노즐
150 : 밸브 160 : 브래킷
170 : 점화플러그 180 : 화염홀더
190 : 흡입량조절수단 200 : 고정수단
202 : 지지대 203 : 체결홀부
204 : 홀부 206 : 제 1 돌기
208 : 제 2 돌기 209 : 홈부
300 : 연결수단 310 : 지지대
312 : 걸림부 320 : 안착홈부
본 발명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의 장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토록 하는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 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22)과, 상기 배기 수단(22)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 됨)과, 상기 드럼(12)과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됨) 및 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2)의 내주면에는 피건조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터(11)가 배치된다.
상기 배기 수단(22)은 상기 드럼(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필터(24)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덕트(25)와, 상기 린트 덕트(25)와 연통되고 상기 송풍팬(30)을 에워싸는 팬 하우징(26)과, 상기 팬 하우징(26)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 배기 덕트(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12) 및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12) 내의 피건조물은 상기 리프터(11)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상기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상기 흡기 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면서 상기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흡기 덕트와 연통되는 관 내부에 전기 에 너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코일이 설치되어 히터를 이루기 때문에 건조작업이 개시된 후에 히터가 가열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비교적 고가인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기 때문에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예열시간을 단축하여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 건조물에 공급되는 공기 유동을 이루기 위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토록 하는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커버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부와, 상기 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제 1 돌기와, 상기 브래킷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관 단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되고, 하단은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커버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혼합관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흡입량조절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지지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의 가이드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0)과,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과, 드럼(60) 내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리프터(60a)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드럼(6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기관(70)과, 흡기관(70)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100)와, 드럼(60)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팬(82)과, 배기팬(82)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된 배기관(80)과, 배기팬(82)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팬(82)이 회전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터(100)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드럼(6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60) 내부에서 세탁물과 접촉되면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배기팬(8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관(80)을 따라 캐비닛(50)의 토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럼(60)은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캐비닛(50)의 개구부에 대응되고, 관통홀부(62a)가 형성된 지지패널(62)에 배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패널(62)은 캐비닛(50)의 배면 내벽에 설치되어 드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관통홀부(62a)에 흡기관(70)이 설치된다.
또한, 드럼(60)의 전방측 단부와 캐비닛(50)의 개구부 사이에 전면패널(64)이 설치되고, 전면패널(64)의 하측 단부에 배출구(64a)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64a)에는 배기팬(82) 측으로 향하는 연장관(84)이 설치되고, 연장관(84)과 배기관(80) 사이에 배기팬(82)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86)이 설치된다.
또한, 흡기관(70)은 히터(100)로부터 관통홀부(62a)와 대응되는 캐비닛(50)의 배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이루어짐으로써, 캐비닛(50)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100)를 지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모터(90)와 벨트(미도시)로 연결된 드럼(60)이 회전되면서 더운 공기와 세탁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히터(100)는 캐비닛(50) 일측에 설치되어 캐비닛(5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130)과, 가스관(130)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140)과, 가스관(130)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150)와, 노즐(140)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120)과, 혼합관(120) 외측에 설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170)와, 혼합관(120)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일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110)과, 가스관(130) 및 혼합관(120)이 장착되며 캐비닛(50)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60)과, 혼합관(120)과 가이드관(110) 사이에 설치되어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는 화염홀더(180)와, 가이드(110)관과 캐비닛(50)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 드관(110)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한다.
이로써, 밸브(150)가 개방되어 가스관(130)을 따라 가스가 혼합관(120)에 공급되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고, 이때 점화플러그(170)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화염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화염의 크기 및 생성 위치가 조절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에 화염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관(110)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화염을 지나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온도가 변화되어 세탁물에 분사되므로 건조작업이 이루어진다.
혼합관(120)은 일측에 혼합부(124)가 형성되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바, 혼합부(124)는 노즐(140)이 결합되어 가스가 혼합관(124)에 유입되도록 하고,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소정량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혼합관(124)은 양측 단부에 한 쌍의 결합리브(122)가 형성되고, 결합리브(122)에는 홀부(122a)가 형성되어 후술될 브래킷(160)의 체결홀부(162a)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혼합부(124)는 혼합관(120)의 단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바, 중공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노즐(140)에 대응되는 단부에 노즐(140)이 억지끼움되는 삽입홀부(124a)가 형성되며, 둘레면 일측에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홀부(124b)가 형성된다.
이로써, 노즐(140)에 의해 혼합부(124) 내측에 가스가 주입될 때에 유입홀부(124b)를 통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혼합부(124) 내측으로 공급되므로 가스 와 공기로 이루어지는 혼합가스는 혼합관(120)을 따라 유동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혼합부(124)에 흡입량조절수단(190)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유입홀부(124b) 내측에 흡입량조절수단(190)이 설치되어 유입홀부(124b)의 크기를 가변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흡입량조절수단(190)은 혼합부(124)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홀부(124b)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조절관(192)과, 조절관(192)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부(192c)와, 기어부(192c)에 대응되는 혼합부(124)에 형성되는 장공부(196)와, 장공부(196)를 통해 혼합부(124)에 삽입되어 기어부(192c)에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198)와, 종동기어(198)와 기어물림되는 모터(1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관(192)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삽입홀부(124a)에 대응되는 정면에 흡기홀부(192a)가 형성되고, 유입홀부(124b)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조절홀부(192b)가 형성된다.
이로써, 모터(194)가 구동되면 모터(194)의 회전축에 기어물림된 종동기어(198)의 회전에 의해 조절관(192)이 회전되는 바, 조절관(192)의 조절홀부(192b)와 유입홀부(124b)가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유입홀부(124b)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는 가스관(130), 혼합관(120), 가이드관(110)이 장착되며 캐비닛(50)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60)이 더 포함되어 가스 관(130) 및 혼합관(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화염홀더(180)는 혼합관(120)과 가이드관(110) 사이에 설치되는 바, 화염홀더(180) 일측에서 연장되어 혼합관(120) 단부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184)와, 점화플러그(170)에 대응되는 지지대(184) 일측에 형성되어 혼합관(120)과 점화플러그(170) 사이를 구획하는 커버부(188)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화염홀더(180)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182)로부터 지지대(184)가 연장되고, 지지대(184)와 지지대(184) 사이에 다수 개의 날개(186)가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날개(186)는 혼합관(120)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고, 커버부(188)는 지지대(184)의 일부분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량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170)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점화되는데, 커버부(188)에 의해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자마자 점화플러그(170)에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화염의 발생은 혼합관(120)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위에서 나타나고, 화염홀더(180)의 본체(182)와 날개(186)에 의해 분사되는 혼합가스가 분산되므로 발생된 화염의 모양이 가이드관(110)을 따라 길게 형성되지 않고, 화염홀더 근처에 모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화염은 가이드관(110) 내부 중앙부에 모여지므로 혼합관(120)이나 흡기관(70)이 화염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관(110)에는 캐비닛(50)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 흡입 구(110a)가 형성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에 발생되는 화염에 캐비닛(50) 내부의 공기를 더 공급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화염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러한 보조 흡입구(110a)는 가이드관(110) 둘레면의 일 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바, 보조 흡입구(110a)는 가이드관(110)의 둘레면이 'ㄷ'모양으로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가이드관(110) 외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보조 흡입구(110a)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절개되는 방향이 혼합관(120) 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관(110)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방향과 보조 흡입구(110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이 동일해지도록 하므로 보조 흡입구(110a)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흡기관(70)은 가이드관(110)에 대응되는 단부에 가이드관(110)의 지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이루는 유입홀부(70a)가 형성되고, 유입홀부(70a)와 가이드관(110) 사이에 연결수단(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수단(300)은 유입홀부(70a)의 테두리로부터 중앙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310), 및 지지대(310)에 대응되는 가이드관(11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가이드관(110)을 흡기관(70)에 설치할 때는 가이드관(110)의 내측 단부를 흡기관(70)의 유입홀부(70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지지대(310)의 단부가 가이드관(110)의 외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일정량 변형되면서 안착홈부(320)에 끼워지고, 다시 지지대(310)의 형상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가이드관(110)의 연 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지지대(310)는 안착홈부(320)에 대응되는 단부가 절곡되어 곡면의 단부를 이루는 걸림부(312)가 형성되므로 곡면 형상의 걸림부(312)가 가이드관(110)의 외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걸림부(312)와 가이드관(11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지지대(310)가 가이드관(110)의 외벽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가이드관(110)의 용이한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200)은 가이드관(130)과 캐비닛(5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202)와, 지지대(202)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부(204)와, 홀부(204)에 대응되는 캐비닛(50)에 형성되는 제 1 돌기(206)와, 지지대(20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기(208)와, 제 2 돌기(208)에 대응되는 가이드관(110) 단부에 형성되는 홈부(209)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 1 돌기(206)에 홀부(204)를 삽입하여 지지대(202)를 직립시키고, 제 2 돌기(208)를 홈부(209)에 삽입하면 제 1 돌기(206) 및 제 2 돌기(208)에 의해 가이드관(110)이 흡기관(70) 측으로 가압되면서 가이드관(110)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대(202)는 상하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관(110)에 체결되고, 하단은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캐비닛(50)에 체결되는데, 이러한 결합을 이루기 위해 절곡된 상단 및 하단에 다수 개의 체결홀부(203)가 형성된다.
이러게 절곡된 지지대(202)의 상단은 가이드관(11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므 로 가이드관(110)이 상항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버튼(미도시)을 조작하면 구동모터(90) 및 히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배기팬(82) 및 드럼(60)이 회전되는 바, 배기팬(82)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를 따라 드럼(6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를 통과한 후에 캐비닛(5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히터(100)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 건조 공기로 가열된다.
이후에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건조작업을 행한다.
드럼(60)의 개구부와 캐비닛(50) 내벽 사이에 설치된 전면패널(64)에 배출구(64a)가 형성되는 바,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는 이 배출구(64a)를 따라 드럼(60) 외측으로 배출되고, 배출구(64a)에 연통되는 연결관(84)을 지나 배기팬(82)의 하우징(86)으로 유동되며, 하우징(86)에서 배기관(80)을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54)를 통해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히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건조작동의 개시와 함께 밸브(150)가 개방되어 노즐(140)을 통해 혼합관(120)으로 가스가 분사되고, 혼합부(124)의 유입홀부(124b)를 통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1차로 가스와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가스는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는데, 혼합관(120)의 외측, 즉 가이드관(110)의 내벽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어 흡기관(70)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가이드관(110)의 중앙부에 모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혼합관(120) 및 흡기관(7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바, 이는 화염홀더(180)의 커버부(188)가 혼합관(120)의 토출구 측에서 혼합가스와 점화플러그(170)를 구획하므로 화염이 혼합관(120)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지 않게 하고, 화염홀더(180)의 본체(182)와 날개(186)에 의해 혼합가스가 분산되게 하므로 화염의 형상이 가이드관(110) 내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기관(70) 쪽에 화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관(110)의 보조 흡입구(110a)를 통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므로 화염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가 흡기관(70)을 통해 드럼(60)으로 유동될 때에 유입홀부(70a)로부터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드럼(60)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진행될 때에 드럼(6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데, 고정수단(200)의 지지대(202)는 제 1 돌기(206) 및 홀부(204)에 의해 직립되고, 제 2 돌기(208) 및 홈부(209)에 의해 가이드관(110)을 흡기관(70) 측으로 가압하므로 가이드관(110)의 진동을 억제하여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 조용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조기에 사용되는 가스히터가 아닌 다른 제품의 가스히터에도 본 발명의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히터가 설치됨으로써, 예열시간을 단축하여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가이드관과 캐비닛 사이에 고정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드럼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가이드관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건조기 구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되어 조용한 건조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커버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부와, 상기 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제 1 돌기와,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관 단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히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체결되고, 하단은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히터.
  4.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상기 가스관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어 화염을 커버하고, 가열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캐비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60131326A 2006-12-20 2006-12-20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80057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26A KR20080057716A (ko) 2006-12-20 2006-12-20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26A KR20080057716A (ko) 2006-12-20 2006-12-20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716A true KR20080057716A (ko) 2008-06-25

Family

ID=3980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326A KR20080057716A (ko) 2006-12-20 2006-12-20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5077A (zh) * 2022-04-03 2023-08-22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风干筒的泥土风干器及其在土壤微生物检测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998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공기유입을 위한 베이스 구조
KR20060036639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버너 어셈블리 고정구조
KR20060050627A (ko) * 2004-08-26 2006-05-1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 건조기
KR2006005850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998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공기유입을 위한 베이스 구조
KR20060050627A (ko) * 2004-08-26 2006-05-1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탁 건조기
KR20060036639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버너 어셈블리 고정구조
KR2006005850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5077A (zh) * 2022-04-03 2023-08-22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风干筒的泥土风干器及其在土壤微生物检测的应用
CN116625077B (zh) * 2022-04-03 2024-02-20 黑龙江省黑土保护利用研究院 一种含风干筒的泥土风干器及其在土壤微生物检测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82B2 (en) Dryer
KR101246377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17637B1 (ko) 건조기의 가스히터
KR10079541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80057716A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11004B1 (ko) 건조기의 점화장치
US20090307922A1 (en) Gas heater and dryer therewith
KR10124637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98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99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62341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84713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800B1 (ko)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0348B1 (ko)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0847049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80057707A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85102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60036639A (ko) 건조기의 버너 어셈블리 고정구조
KR101311231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080057708A (ko) 보조도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431446B1 (ko) 건조기
KR101308472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431444B1 (ko) 순환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635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431435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