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799B1 -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799B1
KR100474799B1 KR10-2001-0054996A KR20010054996A KR100474799B1 KR 100474799 B1 KR100474799 B1 KR 100474799B1 KR 20010054996 A KR20010054996 A KR 20010054996A KR 100474799 B1 KR100474799 B1 KR 10047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insulation
panel
roof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638A (ko
Inventor
송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융건설 주식회사
송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융건설 주식회사, 송병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5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7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누름판을 구비하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패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하며,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견고하게 설치하여 건물옥상의 방수와 단열기능의 확보는 물론, 콘크리트 슬라브나 단열층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온도변화에 따른 기화 수증기압을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옥상 바닥면을 바탕조정하는 단계; 상기 바탕조정된 옥상바닥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하부에 구비하는 4각 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바둑판 모양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부위에 누름판을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를 동시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이 설치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4각 변을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연결접착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연결접착대가 부착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상부면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물 옥상의 바닥면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 사이에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십자형의 고정부를 삽입하여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연결 설치하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RENEWAL METHOD FOR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ON A ROOF OF BUILDINGS}
본 발명은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호누름층이나 방수층이 형성된 건물옥상 바닥면에 4각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다수개를 바둑판 정렬/배열하고,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를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하며, 상기 패널 상부면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건물 옥상 바닥면을 단열/방수하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는 방수층과 단열층을 깐 다음, 이것들을 외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누름 콘크리트를 깔아 사용한다. 그러나, 건물의 옥상은 외기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라 할 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고, 또한 표면에 있는 빗물 등의 흡수, 겨울철 동결융해에 따른 풍화와 이로 인한 돌가루의 발생 및 바람에 실려 날라오는 흙먼지의 퇴적에 따른 식물의 번식, 이러한 식물뿌리의 침투에 따른 개공 등으로부터의 물의 침투에 의해 내부의 단열재가 노화되어져 단열기능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방수층에 영향을 미쳐, 전면이 누수되는 등의 생활상 중대한 결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건물에서의 방수보수는 단열기능의 회복은 필수적인 사항이고, 이 외에도 공사비 자체도 저렴하여야 하며, 또한, 품질관리나 시공도 보다 간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보호누름층을 두고 있는 건물옥상의 경우, 방수층의 손상은 물론 단열층의 손상도 상당히 심각하여 건물방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함요인이 되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에 대응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건물옥상의 경우, 방수보수를 위하여 누름 콘크리트층과 단열재 및 방수층을 전면적으로 철거한 다음, 새로이 방수층과 단열층을 설치하고, 그 위를 보호누름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고가의 철거비용과 철거한 폐기물의 처리 등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어 최근에는 보호누름층의 표면만 보수하고, 그 위를 방수처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수방법은 단기간에 다시 방수층에 결함이 발생하여 보수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음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도 막대하고, 단열층을 전혀 보수할 수 없어 생기는 단열기능의 저하는 구조체의 거동을 촉진시켜 건물의 내구년한을 단축시키기도 하고, 에너지 손실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옥상 바닥면에 경질 금속시트, PE 개량 EVA 시트 및 특수구조 아스팔트 시트를 설치한 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시트를 설치하는 공법은 단열기능의 회복이나 방수층의 내구성 확보 등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에 대하여는 대부분 미흡하고, 다단계의 시공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불편하며, 이에 따라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상기 시트를 건물옥상 방수보수를 위한 종래의 공법을 요약하면 표1 과 같다.
표 1
공정 명 칭 경질 금속시트를 이용한 도막방수공법 PE개량 EVA시트와 무기질탄성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특수 구조 아스팔트 시트와 폴리우레탄의 복합 방수공법
개발자 A사 B사 C사
1 바 탕 조 정 바 탕 조 정 바 탕 조 정
2 완충층 깔기 합성고분자 시트 깔기 개량아스팔트 시트 깔기
3 금속시트 깔기 겹침부위 처리(실링) 겹침부위 처리(실링)
4 겹침부위 처리(실링) 도막방수재 1회 도포 도막 방수재 1회도포
5 도막방수재 1회 도포 도막방수재 1회 도포 도막 방수재 1회도포
6 도막방수재 1회 도포 보호도료(Top Coat) 도포 규사살포
7 보호도료(Top Coat) 도포 보호도료(Top Coat) 도포
주재료 무기유기혼합형 무기유기혼합형 폴리우레탄
특 징 -완충층과 금속판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공법을 적용하여 바탕거동에 따른 추종성, 균열저항성, 부풀어오름 저항성 및 유지관리 용이성 등을 극복하고 있음.-금속판의 내구성을 강조하고 있음. -한면 시트재를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공법을 적용하여 바탕거동에 따른 추종성, 균열저항성, 부풀어오름 저항성 및 유지관리 용이성 등을 극복하고 있음.-좌기공법의 금속판을 합성고분자계 시트로 대체하고 있음. -절연(부분접착)공법을 적용하여 바탕거동에 따른 추종성, 균열저항성, 부풀어오름 저항성 및 유지관리 용이성 등을 극복하고 있음.-좌기공법의 합성고분자계 시트를 개량아스팔트 시트로 대체하고 있음.
또한, 상기 시트를 이용한 단열/방수 보수공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일본 특개평 3-87467호도 있으나, 이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패널(900)은 표면재(901)와 이면재(902)와의 사이에 단열재(9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패널(900)의 줄눈(910)부분은 제혀쪽매와 같이 맞대어 붙이는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줄눈보호용 덮개(94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철물(920)을 각각 나사(930)로 고정하고, 줄눈(910)부분에 실링을 목적으로 한 코킹재를 충전하면서 패널(900)을 붙여 깐 다음, 앵커볼트(950)로 건물옥상의 바닥면에 고정하고, 줄눈보호용 덮개(940)를 고정철물(920)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는 등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워 시공성에 문제가 있었다.
즉, 줄눈 부분이 암컷과 수컷이 만나는 것과 같은 제혀쪽매 형상을 하고 있어,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복잡하고, 또한, 2종류의 금형이 필요하여 패널가격이 상당히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잡한 형상을 한 패널을 정형화된 4변형의 패널로 하여 옥상 바닥면에 깔 경우, 4장의 패널 모서리를 서로 붙여 맞춘 줄눈부분이 복잡해져 실질적으로 4변형의 패널로 정형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패널자체가 대형화되어 대량생산하는 것이 곤란하며, 가격도 상대적으로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제 시공에 있어서도 줄눈보호 덮개, 이러한 덮개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철물, 다수의 앵커볼트, 실링재의 충전 등, 소요되는 부품의 종류가 많으며, 시공공정수도 극단적으로 늘어나, 건물 옥상구조로서는 가격이 너무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279713호의 경우,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0)의 표면재에는 보오드(1080)를 걸쳐 놓을 수 있고, 또한, 앵커볼트(1010)의 머리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凹凸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凹凸면 부분에는 앵커볼트(1010)의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1020)가 패널(1000)안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시공하는 방법은 먼저, 옥상 바닥면(1090)에 줄눈판(1030)을 앵커볼트(1010)로 고정하고, 그 다음에 패널(1000)을 이 줄눈판(1030)에 맞추어 깔고, 줄눈(1030)에 실링재를 충전하고 앵커볼트(1010)로 패널(1000)을 옥상 바닥면(109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양 끝부분에 줄눈보호용 덮개(106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철물(1070)을 붙인 보오드(1080)를 패널(1000)의 양 끝부분에 걸쳐 놓고, 앵커볼트(1010)로 옥상 바닥면(1090)에 고정한 다음, 줄눈보호용 덮개(1060)를 고정철물(1070)에 끼워넣도록 하고 있어, 이 역시 설치가 매우 복잡하고는 까다로워 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줄눈판을 앵커볼트로 미리 고정하여두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만약 이 줄눈판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부정확하면 옥상 바닥면의 콘크리트를 깨어내고 앵커볼트를 빼낸 다음, 깨어낸 콘크리트 부분을 다시 채워넣고, 새로이 정확한 위치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는 등 시공성에 있어서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누름판을 구비하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설치하여, 패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하며,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견고하게 설치하여 건물옥상의 방수와 단열기능의 확보는 물론, 콘크리트 슬라브나 단열층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온도변화에 따른 기화 수증기압을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옥상 바닥면을 바탕조정하는 단계; 상기 바탕조정된 옥상바닥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하부에 구비하는 4각 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바둑판 모양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부위에 누름판을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를 동시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이 설치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4각 변을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연결접착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연결접착대가 부착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상부면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물 옥상의 바닥면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 사이에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십자형의 고정부를 삽입하여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연결 설치하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바닥면(800)에 다수개의 요철(11)을 하부에 구비하는 4각형상의 단열/방수 패널(10)을 바둑판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의 모서리를 누름판(21)을 구비하는 앵커볼트(20)에 의해 고정하여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의 모서리를 동시에 고정하며, 상기 누름판(21)을 구비하는 앵커볼트(20) 상부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의 모서리변을 따라 연결접착대(30)를 설치하여, 일측 패널과 이에 인접하는 또다른 패널을 긴밀하게 일체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옥상바닥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바탕조정을 한 다음, 상기 옥상 바닥면에 단열층과 경질수지 재질의 표피층으로 구성된 4각형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각변이 서로 맞도록 배열하고, 상기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누름판을 구비하는 앵커볼트를 옥상바닥면에 설치하여 누름판에 의해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은 옥상 바닥면에 바둑판 모양으로 정렬/배치되어 있으므로,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누름판은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에 동시 접촉되며, 이로 인해 4개의 인접하는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는 고정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앵커볼트의 머리와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앵커볼트의 머리에 의해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 상부면에 밀착/접촉되어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의 하단면 즉, 건물 옥상 바닥면에 접촉되는 패널의 하부에 다수개의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요철과 요철사이의 공간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누름판(21)에 의해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이 고정되면, 상기 누름판(21)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변을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섬유재질의 연결접착대(30)를 부착하고, 상기 연결접착대(30) 상부 및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상부면에 마감재(40)로서, 액상의 접착제, 방수제 또는 바닥제등을 도포하여 인접하는 각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3 은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평면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저면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실시예1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실시예 1 에 따른 전체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은 단열층(10a)과 경질수지 재질의 표피층(10b)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열층 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요철(11)에 의해 통기구를 구비하고, 상단면(12) 중앙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변(13) 즉, 4변에는 일정폭으로 평평한 플랜지부(14)가 패널의 상단면(12)과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 끝단(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에는 플랜지부(14)와 층을 이루고 단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상단면(12)은 일정폭으로 평평함을 구비하는 플랜지부(14)에서 소정의 경사각도를 구비하고 중앙부가 최고 높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면(12)은 사각뿔대 또는 사각뿔과 같은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요철(11)은 옥상 바닥면에 접촉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상부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요철(111)과, 옥상 바닥면과 패널간의 통기구를 형성하는 보조요철(11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은 요철의 요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되고, 옥상 바닥면과 접촉되는 요철부의 철부에 의해 패널이 지지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요철이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요철과 요철의 간격에 의해 옥상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많은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를 통해 건물 옥상 바닥면의 콘크리트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배출하여 수증기압에 의한 패널의 부풀어오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널 상단면(12)은 사각뿔대형상 또는 사각뿔형상을 구비하고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요철(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15)는 단열/방수겸용 패널(10)의 4군데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14)와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4)와 단차부(15)의 높이차는 누름판(21)의 두께와 동일한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방수겸용 패널에 형성된 단차부(15), 플랜지부(14), 패널 상단면(12)은 각각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건물 옥상 바닥면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건물 옥상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시공품질과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옥상 바닥면을 바탕조정한 다음, 상기 옥상 바닥면에 4각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각 변이 서로 인접하는 또다른 단열/방수겸용 패널에 접촉되도록 즉, 바둑판 모양으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배열시킨 다음,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플랜지부와 층을 이루는 단차부에 누름판이 삽입된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하나의 누름판에 서로 접촉되는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단차부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판의 높이는 플랜지부와 단차부의 높이차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여 플랜지부 상단면과 설치된 누름판의 상단면이 평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건물 옥상 바닥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각 모서리가 다수개의 누름판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누름판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플랜지부를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연결접착대를 부착하여 일측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변과 이에 접촉되는 또다른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변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접착대에 의해 긴밀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상부면에 액상의 접착재, 방수재 또는 바닥재등을 도포하면 건물 옥상 바닥면에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옥상 바닥면에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할 시, 먹줄등의 위치지정수단에 의해 설치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위치를 지정한 후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배열하여도 된다.
실시예 2
도 3 은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평면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저면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실시예 2 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를, 도 8 은 실시예 2 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조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건물 옥상 바닥면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먼저 건물 옥상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시공품질과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옥상 바닥면을 바탕조정한 다음, 상기 옥상 바닥면에 4각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각 변이 서로 인접하는 또다른 단열/방수겸용 패널에 접촉되도록 즉, 바둑판 모양으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배열시킨 다음, 상기 옥상 바닥면에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 즉, 누름판에 의해 고정되는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 사이에 십자형상의 고정부(5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십자형상의 고정부(50)에는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각 모서리가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각 모서리가 십자형상의 고정부에 접촉되면, 상기 고정부 중앙에 누름판을 구비하는 앵커볼트를 삽입/관통하여 옥상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가 고정부를 관통하여 옥상바닥면에 설치되면, 누름판은 고정부에 접촉되는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각 모서리 상부면에 접촉되어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 옥상 바닥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각 모서리가 다수개의 누름판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누름판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플랜지부를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연결접착대를 부착하여 일측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변과 이에 접촉되는 또다른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변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접착대에 의해 긴밀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상부면에 액상의 접착재, 방수재 또는 바닥재등을 도포하면 건물 옥상 바닥면에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옥상 바닥면에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할 시, 먹줄등의 위치지정수단에 의해 설치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위치를 지정한 후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배열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 1 및 2 와 같이 본 발명은 4장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각 변을 맞추어 깔고, 그 중심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앵커볼트의 누름판으로 4장의 패널 모퉁이 끝부분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건물의 옥상에 채워까는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플랜지부 및 앵커볼트 누름판 위를 점착층이 있는 연결접착대(합성섬유제의 직포나 부직포)으로 접착시키고, 그 위를 액상의 접착재, 방수재 또는 바닥재 등을 발라 각 패널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바닥면에 바둑판모양으로 다수개의 4각 패널을 배열하고, 상기 4각 패널의 모서리를 누름판 및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패널의 배열 및 고정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시공기간이 짧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 및 앵커볼트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4각 패널의 변을 따라 연결접착대를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설치된 패널과 패널을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요철을 구비한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건물 옥상 바닥면에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어, 외부 온도에 의해 건물옥상 바닥면과 패널 사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요철과 요철 사이의 공간(통기구)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패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4각의 정형화된 패널을 배열하므로, 패널을 대량생산할 수 있고, 물품의 다량확보로 인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4변에 연결접착대가 부착되는 일정폭의 평탄한 플랜지부를 층을 이루고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연결접착대의 부착완료시 패널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를 제외한 패널의 상부면을 실시예와 같이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부위에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할 경우, 배수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먹줄치기등의 위치지정수단을 통해 건물옥상 바닥면에 배열되는 패널의 위치를 결정하고, 4장의 패널의 모퉁이를 맞추어 깐 다음, 이 중심에 앵커볼트를 타설하여 앵커볼트의 누름판으로 4장의 패널 프랜지부의 귀퉁이를 고정할 수도 있어 시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평면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실시예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저면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실시예1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실시예 1 에 따른 전체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실시예 2 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예시도
도 8 은 실시예 2 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종래의 설치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또다른 설치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방수겸용 패널 (10a) : 단열층
(10b) : 표피층 (11) : 요철
(12) : 패널 상단면 (13) : 패널 모서리변
(14) : 플랜지부 (15) : 단차부
(20) : 앵커볼트 (21) : 누름판
(30) : 연결접착대 (40) : 마감재
(50) : 고정부 (111) : 메인요철
(112) : 보조요철 (800) : 옥상바닥면

Claims (4)

  1. 삭제
  2. 건물 옥상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옥상 바닥면을 바탕조정하는 단계; 상기 바탕조정된 옥상바닥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하부에 구비하는 4각 형상의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바둑판 모양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부위에 누름판을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4개의 단열/방수겸용 패널 모서리를 동시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누름판이 설치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4각 변을 따라 점착성을 구비하는 연결접착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연결접착대가 부착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상부면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물 옥상의 바닥면 단열/방수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단열/방수겸용 패널의 모서리 사이에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십자형의 고정부를 삽입하여 단열/방수겸용 패널을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3. 삭제
  4. 삭제
KR10-2001-0054996A 2001-09-07 2001-09-07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KR10047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996A KR100474799B1 (ko) 2001-09-07 2001-09-07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996A KR100474799B1 (ko) 2001-09-07 2001-09-07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38A KR20030021638A (ko) 2003-03-15
KR100474799B1 true KR100474799B1 (ko) 2005-03-08

Family

ID=2772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996A KR100474799B1 (ko) 2001-09-07 2001-09-07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454B1 (ko) * 2016-08-12 2018-10-29 여환욱 옥상바닥 방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060B1 (ko) * 2020-06-12 2020-11-05 해정씨엔씨(주)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36361B1 (ko) * 2020-09-25 2023-05-24 (주)성원토건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492A (en) * 1975-12-31 1978-02-21 Star Manufacturing Co. Of Oklahoma Prefabricated watertight structural system
KR900006627A (ko) * 1988-10-28 1990-05-08 전석재 조립식 단열방수패널로 이루어진 지붕의 드레인 시공방법
JPH05331974A (ja) * 1992-05-28 1993-12-14 Hiroshi Ogawa 屋上等の防水材及びその構造並びにその防水工法
KR19980066612A (ko) * 1997-01-27 1998-10-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JP2000001953A (ja) * 1998-06-17 2000-01-07 Shintouyou Gosei Kk 防水ボードおよび該防水ボードを用いた防水構造
KR20000074386A (ko) * 1999-05-20 2000-12-15 이헌구 슬라브 지붕의 단열, 방수공법
JP2001123587A (ja) * 1999-10-25 2001-05-08 Tsutsunaka Sheet Bosui Kk 折板屋根の改修構造及び改修工法
KR200237764Y1 (ko) * 2001-02-12 2001-09-28 송병창 단열·방수겸용 패널
KR20020036563A (ko) * 2000-11-10 2002-05-16 송병창 건물의 옥상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492A (en) * 1975-12-31 1978-02-21 Star Manufacturing Co. Of Oklahoma Prefabricated watertight structural system
KR900006627A (ko) * 1988-10-28 1990-05-08 전석재 조립식 단열방수패널로 이루어진 지붕의 드레인 시공방법
JPH05331974A (ja) * 1992-05-28 1993-12-14 Hiroshi Ogawa 屋上等の防水材及びその構造並びにその防水工法
KR19980066612A (ko) * 1997-01-27 1998-10-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JP2000001953A (ja) * 1998-06-17 2000-01-07 Shintouyou Gosei Kk 防水ボードおよび該防水ボードを用いた防水構造
KR20000074386A (ko) * 1999-05-20 2000-12-15 이헌구 슬라브 지붕의 단열, 방수공법
JP2001123587A (ja) * 1999-10-25 2001-05-08 Tsutsunaka Sheet Bosui Kk 折板屋根の改修構造及び改修工法
KR20020036563A (ko) * 2000-11-10 2002-05-16 송병창 건물의 옥상구조
KR200237764Y1 (ko) * 2001-02-12 2001-09-28 송병창 단열·방수겸용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454B1 (ko) * 2016-08-12 2018-10-29 여환욱 옥상바닥 방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38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US9038330B2 (en) Light weight molded roof tile with integrated solar capabilities
CA2674956C (en) Sloping roof system and insulating board for sloping roof systems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US20120272592A1 (en) Light weight molded roof tile with integrated solar capabilities
KR102187841B1 (ko)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JP2014231734A (ja) 防水シートの端部処理方法
CN113931384A (zh) 一种钢结构泄压屋面施工方法
KR101379669B1 (ko) 단열방수패널 설치용 방수바탕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열방수층 시공방법
KR100474799B1 (ko) 건물 옥상용 단열/방수 보수공법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063260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20200112393A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CN111705640A (zh) 一种用于桥梁接缝处理的无缝伸缩缝结构及其施工工艺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US20190390456A1 (en) Reinforced water-resistant board with traffic coat
JP2007009655A (ja) 断熱瓦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屋根構造
KR100333118B1 (ko) 단열 및 방수효과가 우수한 슬라브 지붕 보수를 위한 시공방법
KR20070046509A (ko) 구조물의 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200445758Y1 (ko) 전천후 시공이 간편하고 완벽한 단열,방수 Al패널
CN218437827U (zh) 一种装配式坡瓦屋面相邻防水保温板连接结构
KR0179941B1 (ko) 옥상바닥용 포장판 및 옥상바닥 시공방법
CN111877645B (zh) 一种金属屋面抗风支座防水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