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971B1 -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971B1
KR100473971B1 KR10-2000-7011644A KR20007011644A KR100473971B1 KR 100473971 B1 KR100473971 B1 KR 100473971B1 KR 20007011644 A KR20007011644 A KR 20007011644A KR 100473971 B1 KR100473971 B1 KR 10047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eat belt
sensor
magnetic field
bel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870A (ko
Inventor
허스비헤럴드에스
파텔바이항씨
파텔어쇼크에프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a third element, the position of Hall device and the source of magnetic field being fixed in respec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 시스템은 강자성의 래치(26)가 돌출하는 갭 위에 자석(50)으로부터 이격된 거대 자기저항(Giant Magnetoresistive; GMR) 센서(46)를 구비한 시트 벨트 버클(20)을 이용한다. 래치는 3개의 다른 위치, 즉 비래치 위치, 래치 위치 및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래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래치는 자계 집속기로서 기능하며, 그 결과 감지된 자계는 래치 위치에 따라 좌우된다. GMR 센서는 센서가 항상 작동하는 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고, 벨트의 중요한 부품의 물리적 위치에 근거하여 버클이 시트 벨트 걸쇠(38)에 결합되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DEVICE TO DETECT SEAT BELT BUCKLE STATUS}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벨트(seat belt)와, 시트 벨트가 채워져 있는 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시트 벨트가 채워져 있는가를 판정하는 센서는 자동차의 탑승자가 그들의 시트 벨트를 착용하도록 경고하는데 또는 주의시키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시트 벨트에 의해 제공된 보호를 향상시키고 보완하기 위해서 차량에는 에어백이 이용되고 있다. 이 시트 벨트와 에어백의 조합은 시트 벨트가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가를 판정할 수 있는 경우에 최대한 효과가 발휘된다. 시트 벨트가 채워져 있는 경우, 에어백의 전개는 시트 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한다. 시트 벨트 래치(seat belt latch) 상태의 정확한 감지 정보는 에어백 시스템의 판정 로직 및 전개 방법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보다 중요하며, 시트 벨트 착용 상기 시스템(seat belt fastening reminder system)의 일부로서 단순히 이용되는 경우에도 중요하다.
에어백 전개 시스템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시트 벨트 래치 표시 시스템은 저항 회로망과 조합되는 시트 벨트의 버클내의 기계식 스위치이다. 가장 간단한 저항 회로망은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된 제 1 저항과, 스위치와 병렬로 접속된 제 2 저항을 구비한다. 따라서, 스위치 및 저항 회로망의 저항값은 스위치가 닫히면 변화한다. 그러나, 저항은 스위치의 개방 리드를 가로질러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스위치를 확실히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값이 제로로 떨어지거나, 또는 스위치 및 저항 회로망의 2개의 설계 상태와 실질적으로 다른 저항값을 갖고 있는 경우, 시트 벨트 래치 검지기는 쓸모없게 된다.
시트 벨트가 설치되는 환경은 비우호적 환경일 수 있다. 스위치는 더럽혀지거나, 젖거나, 심지어 엎지른 음료수의 찌꺼기로 덮이게 될 때 조차도 작동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차임(chime) 또는 버저(buzzer)의 소리를 내는 시트 벨트 래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때때로 성가신 것으로 생각되어, 사람들로 하여금 안전 벨트를 착용하는 것을 꺼리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버클을 벨트의 걸쇠(hasp)와 결합시키지 않고 래치시킴으로써 시트 벨트 래치 표시기를 불능으로 할 수 있다. 시트 벨트 래치 정보가 에어백 전개 로직에 이용되는 경우, 안전 장치를 불능으로하는 이 어리석은 행동으로 인해, 로직에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여 전개 로직이 최선의 판정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가 항상 작동하고 있는 가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벨트의 중요한 부품의 물리적 위치에 근거하여, 래치가 작동되고 버클이 시트 벨트의 걸쇠와 결합하고 있다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시트 벨트 래치 센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벨트 버클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시트 벨트 버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래치된 시트 벨트 버클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시트 벨트 래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종래 기술의 시트 벨트 래치의, 래치된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6-6 선을 따라 취한 시트 벨트 버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시트 벨트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작동 위치에 도시된 도 1의 벨트 버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벨트 버클 및 센서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 버클 및 센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
도 1 내지 도 9(여기서, 동일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냄)를 참조하면, 시트 벨트 버클(20)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시트 벨트 버클(20)은 본체(22)를 구비한다. 본체(22)는 앵커 구멍(24)을 구비하며, 시트 벨트 버클(20)은 이 앵커 구멍(24)에 의해 자동차(도시하지 않음)의 구조 부품(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된다. 본체(22)는 횡방향 슬롯(28)을 가지며, 시트 벨트가 버클에 결합되면,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래치(spring-loaded latch)(26)가 상기 횡방향 슬롯(28)내로 연장된다. 횡방향 슬롯(28)은 T자형 슬롯(30)의 상부를 형성한다. T자형 슬롯(30)의 몸체는 종방향 슬롯(32)에 의해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능한 이젝터(34)가 본체의 평행 플레이트 사이에 유지되어, 종방향 슬롯(32)의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젝터는 래치(26)쪽으로 스프링(36)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시트 벨트(40)는 시트 벨트 걸쇠(hasp)(38)를 규정하는 중앙 구멍을 갖는 평평한 스틸 플레이트에서 종결한다. 벨트(40)는 탑승자를 자동차내에 구속하도록 탑승자 주위에 둘러져 있다. 탑승자가 벨트 걸쇠(38)를 버클(20)내로 삽입하는 경우, 이젝터(34)는, 래치(26)가 래치 스프링(42)의 작용에 의해 걸쇠내의 래치 구멍(44)을 통과하고 버클 본체내의 횡방향 슬롯(28)을 통과할 때까지 눌려진다. 래치(26)가 걸쇠(38)를 통해 연장되면, 버클 본체(22)는 걸쇠에 로크(lock)된다. 버클 본체에 의해 벨트는 자동차의 구조 부품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탑승자를 자동차에 확실하게 고정하게 된다.
거대 자기저항(Giant Magnetoresistive; GMR) 효과 형태의 자계 센서(46)가 시트 벨트 버클 본체(22)의 외측 표면(48)에 종방향 슬롯(32) 위에 놓이도록 장착된다. 자석(50)은 시트 벨트 버클 본체(22)의 외측 표면(48)에 장착되며, GMR 센서(46)에 의해 횡방향 슬롯(28)의 건너편에 위치된다.
GMR 센서(46)는 센서(46)의 위치에서의 자계 강도를 측정한다. 자석(50)은 GMR 센서(46)가 검지하는 국소적인 자계를 생성한다. 래치(26)은 강자성 재료인 고장력강(high strength steel)으로 구성된다. 시트 벨트 버클(20)의 본체(22)는 고장력강을 스탬핑(stamping)한 것이다. 자석(50)에 의해서 생성된 것과 같은 자계가 존재하는 경우, 강자성 재료는 자속선을 집중시키고, 그 결과 자계의 발생원으로부터 보다 떨어진 곳에서 보다 강한 자계가 야기된다.
T자형 슬롯(30), 특히 횡방향 슬롯(28)이 강자성인 시트 벨트 버클 본체(22)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래치(26)는, 강자성체 즉 래치(26)의 돌출부(52)로 횡방향 슬롯(28)을 채움으로써 자속선의 집중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보다 많은 자속이 센서(46)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걸쇠(38)가 버클(20)내에 로크되어 있다는 것이 명확하게 표시된다.
센서(46)는 정적인 자계를 감지한다. 센서는 GMR 형태이며, 1988년에 발견된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효과는, 두께가 수 나노미터이고 동일한 두께의 비자성 층들로 분리된 자기박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저항이, 이 저항에 가해진 자계의 강도에 좌우되는 저항값을 갖는 박막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자계가 가해지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저항내에서 약 10% 내지 20% 사이의 저항값의 감소가 관찰된다. 저항값의 감소에 대한 물리적인 이유는, 전자 산란(scattering)의 스핀 의존(spin dependence) 및 강자성 금속내의 전도 전자의 스핀 분극(spin polarization)이다.
매우 얇은 인접한 자기 층은, 각 자기 층의 자기 모멘트가 인접한 자기 층에 평행하지 않게 정렬되도록, 서로 반강자성적으로 결합한다. 하나의 자기 층에서 스핀 분극화된 전자는 이들이 인접한 층 사이에서 이동할 때 산란되기 쉽다. 빈번한 산란의 결과, 저항이 높아진다. 외부 자계는 반강자성 결합을 극복하고, 인접한 강자성 층에서의 모멘트의 평행한 정렬을 형성한다. 이것이 산란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디바이스 저항을 감소시킨다.
GMR 기술에 근거하는 4개의 저항의 그룹은 휘트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로 배열되며, 브릿지의 2개의 다리는 가해진 자계로부터 차폐된다. 다른 2개의 다리는 자기 차폐체 사이에 배치된다. 자기 차폐체는 선택된 세기의 자속에 감도를 맞추는 디바이스를 형성하도록 자속 집속기(flux concentrator)로서 작용한다. 표준 전압 또는 전류가 고체 상태 디바이스(46)로 공급되는 한편, 디바이스가 노출되는 자계에 비례하는 전류 또는 전압에 관한 값이 판독된다. 디바이스는 자속 차폐체의 배향에 의해 생성된 감도의 축선을 갖는다. 센서(46)에 있어서, 이 축선은 T자형 슬롯(30)의 종방향 슬롯(32)과 정렬되며, 자석(50)을 통과한다.
GMR 센서는 미국 미네소타주 에덴 프레이리 밸리 뷰 로드 11409에 소재하는 "Nonvolatile Electronics Inc."로부터 입수가능하다. GMR 센서는, 뛰어난 온도 안정성을 갖고, 높은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 소비 전력이 매우 낮고, 가격도 다른 경쟁 장치에 비해 낮은, 소형이고 고감도인 장치이다. 이들 모든 요소는 자동차 안전 장치에 이용되는 디바이스에서 중요하다.
시트 벨트를 체결함으로써 작동되는 단순한 스위치가 시트 벨트가 래치되었는가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GMR 센서(46)는 래치 동작의 질적인 지표를 제공한다. GMR 센서(46)의 출력은 버클(20)이 래치되지 않은 경우의 하나의 값과, 걸쇠(38)가 버클(20)내에 래치된 경우의 다른 하나의 값을 갖는다. 또한, 시트 벨트 버클(20)의 구조는, 래치의 위치가 시트 벨트 걸쇠(38)가 버클(20)내에 로크되었는가에 의존하도록,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가 존재하지 않으면, 래치(26)는 센서(46)와 자석(50) 사이에 형성된 갭을 향해 더 이동된다. 그 결과 래치가 결합되지만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센서(46)로부터 상이한 값 또는 출력이 발생된다. 시트 벨트가 래치되었는가를 단순히 검지하는 종래의 센서에서는, 걸쇠를 삽입하지 않고 래치를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면 오작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6)는 돌출부(52)와, 본체(22)에 형성된 슬롯(58)내에서 이동하는 수직 가이드(56)를 갖는다. 래치(26)는 판 스프링(42)에 의해 횡방향 슬롯(28)쪽으로 바이어스된다. 이들 요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기존의 시트 벨트 버클에 공통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비래치 위치(unlatched position)에 있는 종래 기술의 버클에서의 통상의 래치(62)를 도시한 것이다. 래치(62)는 통상의 시트 벨트 버클 본체(68)내에 형성된 슬롯(66)내에서 이동하는 수직 가이드(64)를 갖는다. 통상의 래치(62)는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에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62)의 부분(70)이 내부 플레이트(72)에 결합하므로, 래치(62)의 이동이 플레이트(72)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체(68)와 플레이트(72)사이에 배치된 걸쇠(74)는 래치가 래치될 때 래치(62)가 취하는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 벨트 버클에 자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은 개시된 발명의 영역내에 있으며, 도 1 및 도 3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는 돌출부(52)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는 면(76)을 갖는 래치(26)를 이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76)은 버클(20)이 래치된 경우에 걸쇠(38)에 접촉한다. 내부 플레이트(78)는 래치(26)의 면(76)을 본체(2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80)를 갖고 있다. 시트 벨트 버클(2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38)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래치되면, 면(76)은 본체(22)의 내측 표면(8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52)가 자석(50)과 센서(46) 사이의 갭(54)을 향해서 본체(22)의 외측 표면(48) 위로 연장되도록 래치(26)가 위치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가 시트 벨트 버클(20)의 실제 상태와 버클이 시트 벨트 걸쇠(38)에 확실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를 판단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별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충돌을 검지하기 위한 충격 센서를 포함한 다른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통상 접속되며, 모든 센서 입력을 고려한 로직에 의거하여 에어백(도시하지 않음)을 전개하거나 전개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의 시트 벨트 버클(84)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시트 벨트 버클(84)은 개구부(88)가 횡방향 슬롯(9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횡방향 슬롯(90)에 이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와 유사한 본체를 갖는다. 센서 하우징(92)은 개구부(88)내에 위치된다. 센서 하우징(92)은 회로 기판(94)상의 GMR 센서(95)와, GMR 센서(95)로부터 짧은 거리 만큼 이격된 자석(96)을 구비하고 있다. GMR 센서(95) 및 자석(96)은, 걸쇠(98)가 버클(84)과 결합할 때 자석(96) 및 GMR 센서(95) 양자가 걸쇠(98)와 결합되거나 또는 걸쇠(98)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GMR 센서(95)는 걸쇠(98)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검출한다. 횡방향 슬롯(90)을 통한 래치(100)의 운동이 또한 자석(96)과 GMR 센서 사이의 갭에 충분히 근접하고 있어 래치(100)의 존재가 또한 직접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GMR 센서(95) 및 자석(96)이 걸쇠(98)의 존재를 직접 검지하도록 위치되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치(100)가 2개의 위치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버클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시트 벨트 버클 및 센서 조립체(102)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3단계 동작을 이용한다. 그러나, 장치(102)는 자석(106)과 래치(110) 뒤에 위치된 GMR 센서(108)를 포함하는 GMR 센서 패키지(104)를 갖는다. 강자성 래치(110)는 센서(108)와 자석(106) 사이의 갭(112)을 출입한다. 래치(110)가 갭(112)으로부터 멀리 변위되면, 센서(108)에서의 자계가 감소된다. 따라서, 비래치 상태, 도 6에 도시된 걸쇠가 존재하는 래치 상태 및, 도 7에 도시된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래치 상태의 3개의 상태가 구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GMR 기술에 근거하는 센서를 설명했지만, 홀 센서(Hall sensor) 및 다른 고체 상태 센서(solid state sensor)와 같은 기존의 또는 개발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자계 센서가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GMR 센서가 기준 전압 또는 전류와 함께 이용될 수 있지만, 1개 이상의 GMR 저항값의 변화가, 저항계로서 기능하는 회로에서 직접적으로 판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GMR 센서와 자석 사이의 갭이, 시트 벨트 버클의 부품의 진퇴 이동과 GMR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계 강도를 감소시킴이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갭은 검지된 자계를 변화시키는 자석 및 센서에 대한 이동으로서 규정된다. 이 이동은 통상, 자속선이 집중되어 센서가 높은 자계를 판독하도록 갭을 강자성체로 물리적으로 채우는 동작일 수 있다. 갭으로부터 강자성체를 제거하는 역동작이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자계를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나, 자기 현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1개 이상의 강자성 부품의 다양한 운동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자기 분로자(magnetic shunt)의 제거와, 부품의 일부분의 물리적 갭을 향하는 운동 및 부품의 일부분의 물리적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6)

  1.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에 있어서,
    시트 벨트 버클(20)과;
    시트 벨트(40)와;
    상기 시트 벨트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 벨트를 상기 버클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시트 버클에 설치되는 시트 벨트 걸쇠(38)와;
    상기 시트 벨트 버클내에 장착된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벨트 걸쇠가 상기 시트 벨트 버클내에 기계적으로 유지되는 래치 위치(latched position)와 비래치 위치(unlatch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치(26)와;
    상기 시트 벨트 버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자계 센서(46)와;
    자계를 갖는 자석(50)으로서, 상기 자석은 상기 자계 센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시트 벨트 버클에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자석과 센서는 그 사이에 갭(54, 112)을 규정하며, 상기 비래치 위치와 상기 래치 위치 사이에서의 래치의 이동은 상기 시트 벨트 버클의 래치 동작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계를 변화시키도록 되어있는, 상기 자석을 포함하는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6)는 비래치 위치, 래치 위치 및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래치 위치로 구성되는 3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래치 위치는 상기 비래치 위치보다 갭(54, 112)에 근접하며, 상기 걸쇠가 존재하지 않는 래치 위치는 상기 래치 위치보다 갭에 근접하는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센서(46)는 GMR(Giant Magnetoresistive) 형태인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강자성 본체(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자성 본체는 시트 벨트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강자성 본체는 상기 래치가 통과하는 개구부(80)를 규정하며, 상기 자계 센서(46)는 상기 래치가 통과하는 개구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50)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센서와 상기 자석 사이에 갭을 규정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 측면에 배치되는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강자성 본체(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자성 본체는 시트 벨트(40)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강자성 본체는 래치(26)가 통과하는 개구부(80)를 형성하며, 상기 강자성 본체는 상기 강자성 본체를 관통하고 상기 걸쇠가 시트 벨트 버클내에 있을 때에 상기 시트 벨트 걸쇠(38) 위에 놓이도록 위치하는 개구부를 규정하며, 상기 자계 센서는 상기 걸쇠에 인접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자계 센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자석(50)이 또한 상기 걸쇠에 인접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장착되는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센서(46) 및 자석(50)은, 상기 비래치 위치와 래치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래치(26)의 이동이 상기 래치의 일부를 상기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 벨트 버클(20)의 래치 동작이 상기 자계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계를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는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KR10-2000-7011644A 1998-04-24 1999-02-02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KR100473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65,684 US6079744A (en) 1998-04-24 1998-04-24 Device to detect seat belt buckle status
US09/065,684 1998-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870A KR20010042870A (ko) 2001-05-25
KR100473971B1 true KR100473971B1 (ko) 2005-03-07

Family

ID=2206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44A KR100473971B1 (ko) 1998-04-24 1999-02-02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79744A (ko)
EP (1) EP1071587B1 (ko)
JP (1) JP3598326B2 (ko)
KR (1) KR100473971B1 (ko)
CA (1) CA2324508C (ko)
DE (1) DE69912415T2 (ko)
WO (1) WO1999055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199B1 (en) * 1998-07-07 2002-07-16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Device for monitoring a locked condition of locking and support components of a connecting device for fixing a child seat in a motor vehicle
JP3458351B2 (ja) * 1999-09-21 2003-10-20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
JP4567835B2 (ja) * 2000-02-18 2010-10-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US6400145B1 (en) 2000-05-04 2002-06-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methods of integration and attachment
US6389661B1 (en) * 2000-05-25 2002-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Latch sensing seatbelt buckle
DE10026444C2 (de) * 2000-05-30 2002-04-04 Autoliv Dev Sicherheitsgurtsystem mit einer Messanordnung zur Bestimmung der Gurtbandkraft
CA2358762A1 (en) 2000-10-11 2002-04-11 Steven R. Takayama Car seat having looped adjustable shoulder harness
DE10127058A1 (de) * 2001-06-02 2002-12-0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Klassifizierung der Sitzbelegung in einem Kraftfahrzeug
US6819233B2 (en) 2001-08-13 2004-11-16 Alan L. Beaty Prisoner escape seat belt detection and alert system
DE10146630A1 (de) 2001-09-21 2003-04-1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Gurtkraft- und Gurtbenutzungserkennung
JP3869247B2 (ja) * 2001-10-29 2007-01-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US6448907B1 (en) 2002-01-18 2002-09-10 Nicholas J. Naclerio Airlin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JP3961920B2 (ja) * 2002-09-27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DE10255324A1 (de) * 2002-11-27 2004-06-17 Cherry Gmbh Vorrichtung zur Abfrage des Verriegelungszustandes eines Gurtschlosses für Fahrzeuge
US6965231B1 (en) 2003-10-31 2005-11-15 Fonar Corporation Belt buckle and use thereof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20050092546A1 (en) * 2003-11-04 2005-05-05 Hsu Samuel W. Safety belt device having warning device
DE102004011299A1 (de) * 2004-03-09 2005-10-06 Hirschmann Automotive Gmbh Gurtschlossschalter
US20060061201A1 (en) * 2004-09-21 2006-03-23 Skinner Charles W Seat belt restraint and alarm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179758B2 (en) * 2005-12-16 2015-11-10 Kolcraft Enterprises, Inc. Child carri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44427B1 (ko) 2007-09-04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착용여부 감지시스템 및 방법 및 방법
JP5207227B2 (ja) * 2007-09-26 2013-06-12 勲 湯浅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7770929B2 (en) * 2008-04-22 2010-08-1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ehicular seatbelt restraint with selectively disabled inertia reel assembly
US8333433B2 (en) * 2010-02-10 2012-12-18 Friedman Mark J Locking harness apparatus and method
US20120104826A1 (en) * 2010-09-15 2012-05-03 Amsafe Commercial Product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components having status indicators and/or media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CH708643A2 (de) * 2013-09-25 2015-03-31 Polycontact Ag Gurtschloss mit Hallsensor.
US9781977B2 (en) 2015-08-11 2017-10-10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Interlocking web connectors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0357083B2 (en) 2016-09-16 2019-07-23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US10857916B2 (en) * 2017-04-13 2020-12-08 Chad Glerum Seat belt tension indicator
US10703327B2 (en) * 2018-02-07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US11124152B2 (en) 2018-11-20 2021-09-21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Buckle assemblie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personal restraint systems
EP4287830A1 (en) * 2021-02-03 2023-12-13 Ashored Inc. Magnetic releas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6612A (en) * 1972-05-02 1973-10-23 Tokai Rika Co Ltd Seat belt buckle provided with a switch means
FR2468486A1 (fr) * 1979-10-30 1981-05-08 Smadja Francois Dispositif pour l'asservissement du demarrage d'un vehicule automobile a la fermeture d'une ceinture de securite
DE3605179A1 (de) * 1986-02-19 1987-08-2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Naeherungssensor
US4668552A (en) * 1986-07-28 1987-05-26 Collins & Aikman Corporation Wrap yarns having low-melt binder strands and pile fabrics formed therefrom and attendant processes
JPS6340045A (ja) * 1986-07-31 1988-02-20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円柱のx形配筋構造
FR2630984B1 (fr) * 1988-05-06 1991-04-12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Boucle perfectionnee simplifiee pour ceinture de securite
DE3904668A1 (de) * 1989-02-16 1990-08-30 Daimler Benz Ag Insassen-rueckhaltesystem
JPH02227348A (ja) * 1989-03-01 1990-09-10 Nippon Seiko Kk 車両乗員保護装置用マグネット組込部品
DE3908993A1 (de) * 1989-03-18 1990-09-20 Daimler Benz Ag Einrichtung zur ueberwachung der ordnungsgemaessen funktion eines den schliesszustand eines gurtschlosses in einem kraftfahrzeug abfragenden schaltbauelements
JPH038045U (ko) * 1989-06-12 1991-01-25
DE4032757A1 (de) * 1990-10-16 1992-04-23 Daimler Benz Ag Kraftwagen mit einem sicherheitsgurt und einem airbag-system
US5133425A (en) * 1990-11-29 1992-07-28 Han Chong K Passive seat belt system
EP0562740B1 (en) * 1992-03-24 1995-09-06 University Of Teesside Seat belt warning device
US5675134A (en) * 1992-05-25 1997-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ffic accident detecting sensor for a passenger protection system in a vehicle
US5483221A (en) * 1993-11-12 1996-01-09 Ford Motor Company Seat belt usage indicating system
US5752986A (en) * 1993-11-18 1998-05-19 Nec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DE9317678U1 (de) * 1993-11-19 1995-03-16 Autoliv Dev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9505334C2 (de) * 1995-02-17 2003-08-14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s Gerät
US5590904A (en) * 1995-08-15 1997-01-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resistance switch for buckle confirmation
US5752299A (en) * 1996-05-06 1998-05-19 Alliedsignal Inc. Seat belt buckle with usage indicator
JPH09329461A (ja) * 1996-06-10 1997-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検出装置
DE19630108A1 (de) * 1996-07-25 1998-01-29 Siemens Ag Ein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der Geschwindigkeit oder Position eines ferromagnetischen Geberteils
US5742986A (en) * 1997-02-13 1998-04-28 Trw Inc. Seat belt buckle with hall effect locking indicator and method of use
US5839174A (en) * 1997-06-13 1998-11-2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belt buckle
US5966784A (en) * 1997-07-25 1999-10-19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of a seat belt buckle
US5898366A (en) * 1997-09-23 1999-04-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with Hall effect locking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5561A1 (en) 1999-11-04
EP1071587A1 (en) 2001-01-31
CA2324508C (en) 2006-04-11
US6079744A (en) 2000-06-27
KR20010042870A (ko) 2001-05-25
DE69912415T2 (de) 2004-07-22
JP3598326B2 (ja) 2004-12-08
DE69912415D1 (de) 2003-12-04
EP1071587B1 (en) 2003-10-29
CA2324508A1 (en) 1999-11-04
JP2002512918A (ja)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971B1 (ko) 시트 벨트 버클 및 래치 표시기 센서
EP1150584B1 (en) Seat belt buckle sensor
US6081759A (en) Seat belt tension sensor
EP1272376B1 (en) Seat belt tension sensing device
KR20000069178A (ko) 빌라리 효과 좌석벨트 인장센서
US20040060761A1 (en) Seat belt tension sensor assembly
KR20000070299A (ko) 압축 빌라리 효과 좌석벨트 인장센서
US7014005B2 (en) Seat belt latch sensor assembly
US8547217B2 (en) Belt lock with status detector
KR102490294B1 (ko) 시트 벨트 센서의 움직임 검출
US6895643B2 (en) Buckle device
US6889408B2 (en) Buckle apparatus
US6737862B1 (en) Magnetosensitive latch engagement detector for a mechanical fastening system
EP1003042A1 (en) Pendulum mass acceleration sensor
US20110094067A1 (en) Belt lock with a switch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the locking status
EP1125802B1 (en) Buckle Device
JP2001224408A (ja) バックル装置
JP2003102515A (ja) ベルト力とベルト使用と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US71596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latching device
WO2022187298A1 (en) Seatbelt buckl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atch in a seatbelt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