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459B1 - 광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459B1
KR100473459B1 KR10-2002-0001638A KR20020001638A KR100473459B1 KR 100473459 B1 KR100473459 B1 KR 100473459B1 KR 20020001638 A KR20020001638 A KR 20020001638A KR 100473459 B1 KR100473459 B1 KR 10047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bble signal
signal
recording
outpu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894A (ko
Inventor
마시모아키라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82Mea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가능 또는 추기형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고속기록시에도 워블신호를 확실히 재생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디스크(10)에는 워블된 안내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광 픽업부(16)로 얻을 수 있는 반사광의 신호는 워블신호 재생부(18)에 공급된다. 워블신호 재생부(18)에서는, 기록시에, 입력신호를 재생파워시에 샘플링함과 동시에, 기록파워시에도 샘플링하여, 양 신호를 가산하여 워블신호를 재생한다. 기록파워시의 샘플링은, 피트 형성 뒤의 반사광량이 안정화된 기간에 행하여도 된다. 재생파워시 뿐만 아니라 기록파워시에도 워블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고속기록시에도 재생워블신호의 S/N이 향상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장치{OPTICAL DISK DEVICE}
본 발명은 광 디스크장치, 특히 CD-R이나 CD-RW 등의 기록가능 또는 소거 가능한 광 디스크장치의 워블신호재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D-R이나 CD-RW, DVD-RAM 등의 기록가능(또는 소거가능)한 광 디스크에 있어서는, 안내트랙을 지그재그(워블(wobble))시키는 것으로 절대정보시간(ATIP)이나 어드레스 정보(ADIP)를 매립하고 있다. ATIP나 ADIP(이하, 이들을 간단히 어드레스 정보라 칭함)는, 광 디스크의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서 사용되고, 이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기록/재생제어가 행하여진다.
어드레스 정보는,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을 수 있는 전기신호에 포함되는 워블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검출기로서 4분할 포토다이오드(수광면을 각각 A, B, C, D로 함)를 사용하여, 수광면 A, D와 수광면 B, C가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고 하면, 피트의 유무에 의해 변조(EFM 변조)된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을 수 있는 신호는 양 수광면에서 동위상으로 되고, 워블신호는 양 수광면에서 역위상으로 된다. 따라서, 각각의 출력신호의 차동을 취함으로써 EFM 변조성분을 제거하여, 워블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도 7에는, 종래의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워블신호 재생계의 구성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 A, B(4분할 포토다이오드의 경우, 수광면 A, D를 통합하여 광 검출기 A, 수광면 B, C를 통합하여 광 검출기 B라고 간주할 수 있다)로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각각 반사 광 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광 검출기 B의 출력신호는 샘플 홀드회로(S/H)(50)에 공급되고, 광 검출기 A의 출력신호는 샘플 홀드회로(S/H)(52)에 공급된다. 한편, 샘플 홀드회로(50, 52)에는 각각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광 빔이 재생파워시의 타이밍에 동기한 샘플링 펄스가 공급되고, 샘플 홀드회로(50, 52)는 이 샘플링 펄스에 따라서 광 빔이 재생파워의 기간에서 출력신호를 샘플링 한다.
이때, 재생파워의 기간에서 샘플링하는 것은 재생파워와 기록파워가 교대로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기록시에 관한 것이고,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재생시에 관해서는 항상 재생파워이기 때문에 샘플 홀드회로(50, 52)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샘플 홀드된 신호는 각각 증폭기(54, 56)에서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되어, 차동기(58)에 공급되어 양 신호의 차이가 연산된다. 차동기(58)에서 차이를 연산하는 이유는, 상술한 것처럼 EFM 변조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차동기(5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밴드패스필터(BPF)(60)에 공급된다. BPF(60)에서는 입력신호로부터 소정의 워블 주파수(예컨대 22kHz) 근방의 성분만을 추출하여 워블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8에는, 종래의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워블신호재생의 타이밍 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시에 있어서는 광 디스크표면의 색소층의 일부를 용융하여 피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광 빔의 파워가 증대한다. 따라서, 기록시에 있어서는 동일 도면(a)에 도시된 것처럼 재생파워와 기록파워가 교대로 출현한다. 통상, 피트의 길이는 3T∼11T(T는 트랙방향의 기준주기)이기 때문에, 3T∼11T의 범위에서 파워가 변동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동일 도면(b)에 도시된 것처럼 재생파워의 기간 내에서 출력신호를 샘플링 홀드하여, 워블신호를 재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록시에는 재생파워의 기간 내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최근의 고속 기록화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고속 기록시에는 광 디스크의 고속회전에 따라 상기한 기준주기 T도 단축되기 때문에, 특히 3T, 4T 등이 짧은 신호기간에 있어서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일반적으로, 3T 등의 짧은 신호의 전체에 대한 발생 확률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짧은 신호 기간에 있어서의 샘플링 불능은 워블신호의 S/N 저하를 초래하여, 이 워블신호에 따라서 어드레스 정보를 복조할 때에도 에러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고속기록에 따라 고속으로 샘플링이 가능한 샘플 홀드회로를 설치하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장치구성의 복잡화 또는 비용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속기록시에도 워블신호를 확실히 재생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광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지그재그시킨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수단과,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서 출력하는 수광수단과, 상기 수광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트랙의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워블신호 재생수단을 갖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광 빔이 기록파워의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광 빔이 기록파워의 기간 내에서, 상기 반사광이 소정 레벨로 안정된 피트 형성 후의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광 빔이 재생파워의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디스크장치는,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지그재그시킨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기록파워 및 재생파워의 광 빔을 교대로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수광면을 갖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와, 상기 기록파워의 기간에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샘플 홀드회로와, 상기 샘플 홀드회로에서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차동기를 갖고, 상기 차동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샘플 홀드회로는, 상기 기록파워의 기간 내에 있어서, 기록 개시 후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킨 샘플링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파워의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제 2 샘플 홀드회로와, 상기 제 2 샘플 홀드회로에서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제 2 차동기와, 상기 차동기와 상기 제 2 차동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갖고, 상기 가산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샘플 홀드회로 및 상기 제 2 샘플 홀드회로로부터의 출력 레벨을 일치시키는 레벨 조정회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디스크장치는,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서 지그재그시킨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기록파워 및 재생파워의 광 빔을 교대로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수광면을 갖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와,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상기 기록파워 기간과 상기 재생파워 기간에서 각각의 파워에 따른 증폭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차동기를 갖고, 상기 차동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시에 있어서 기록파워와 재생파워가 교대로 광 디스크에 조사될 때, 기록파워시에도 광 검출기의 출력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재생한다. 기록파워는 재생파워보다도 크니까, 기록파워시에는 반사광량도 커지므로, 재생워블신호의 S/N도 증대하여 고속기록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재생파워시 뿐만 아니라 기록파워시에도 워블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고속기록시에 짧은 신호기간에서 워블신호의 재생이 불능하더라도, 다른 신호기간에 있어서 재생파워시 및 기록파워시 함께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S/N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고 어드레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구성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 가능(또는 추기형)의 광 디스크(10)에는, 어드레스 정보인 ATIP에 의거하여 워블된 안내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광 디스크(10)는 스핀들 모터(12)에 의해 중심축 회전으로 회전 구동된다. 스핀들 모터(12)는, 회전 구동부(14)로부터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고, 회전 구동부(14)는 광 디스크(10)가 예컨대 선속도 일정(CLV)이 되도록 제어한다.
광 디스크(10)의 기록면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광 픽업부(16)가 설치된다. 광 픽업부(16)는, 광 빔을 조사하는 LD, LD구동장치, LED에서 사출된 광 빔을 광 디스크(10)의 기록면으로 도입함과 동시에 광 디스크(10)의 표면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분광하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서 출력하는 복수의 광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송 기구에 의해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구동된다. 광 픽업부(16)의 LD는, 재생시에는 재생파워의 광 빔을 사출하고, 기록시에는 기록신호로 변조되어 재생파워와 기록파워(재생파워 < 기록파워)가 혼재하는 광 빔을 사출한다. LD에서 사출되어 광 디스크(10)에 조사된 광 빔은, 재생시에는 광 디스크(10)에 형성되어 있는 피트 및 워블된 트랙에 의해 강도 변조되고, 기록시에는 피트 형성시에 따른 변조 및 워블된 트랙에 의해 강도 변조되어, 반사광으로서 광 검출기에 입사한다. 광 검출기는,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로 설치되고, 반사광의 강도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광 검출기는, 실제로는 전술한 것처럼 4분할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설명의 사정상,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되어 광 검출기 A, 광 검출기 B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광 검출기로부터의 반사광에 응한 출력신호는, 워블신호 재생부(18)에 공급된다.
워블신호 재생부(18)는,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EFM 변조성분을 제거하여 워블신호를 추출하고, 그 워블신호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복조하여 제어부(2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워블신호 재생부(18)는, 종래와 같이 기록시에 있어서 광 픽업부(16)의 LD가 재생파워가 되는 기간에서만 출력신호를 샘플링하여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은 아니고, 기록파워 기간에도 워블신호를 재생한다. 워블신호 재생부(18)에 관해서는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회전 구동부(14), 광 픽업부(16) 및 워블신호 재생부(18)를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 픽업부(16)를 반경방향으로 전송 제어함과 동시에 LD의 파워를 기록신호에 따라서 제어하고, 또한 워블신호 재생부(18)에 대하여 샘플링 펄스를 공급하여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한다. 워블신호 재생부(18)에서 얻어진 어드레스 정보는, 제어부(20)에 공급되어 광 픽업부(16)의 현재 위치 제어에 사용된다.
이때, 실제로는 광 픽업부(16)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워블신호 재생부(18) 외에, 포커스 에러신호 생성회로나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회로에도 공급되고, 이들에 따라서 제어부(20)는 광 픽업부(16)의 포커스 및 트랙킹을 제어하지만, 이들에 관해서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광 픽업부(16)로부터의 출력신호는, EFM 복조회로에도 공급되어 기록 데이터의 재생이 행하여지지만, 이에 관해서도 종래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기록시의 워블신호 재생의 타이밍 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 도면(a)에 도시된 것처럼 기록시에는 재생파워와 기록파워가 혼재하여, 기록파워시에 색소층을 용융하여 피트를 형성하지만, 재생파워 기간(100)에 있어서 워블신호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이 기록파워 기간(102)에도 워블신호를 재생한다. 종래기술의 재생 타이밍을 도시한 도 8과 대비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 타이밍의 차이는 분명할 것이다. 재생파워 기간뿐만 아니라, 기록파워 기간에도 워블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가령 고속기록시에 3T 등의 짧은 신호기간에서 샘플링이 불능하여도, 종래 이상으로 많은 타이밍으로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워블신호의 S/N이 향상하는 것이 정성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워블신호 재생부(18)의 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워블신호 재생부(18)의 기본 구성은, 재생파워시에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하는 회로와, 기록파워시에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하는 회로와, 이들 2개의 샘플 홀드회로의 신호를 가산하는 회로를 조합한 것이다.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로서, 광 검출기 A, B에서의 출력신호(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샘플 홀드회로(제 2 샘플 홀드회로)(18a, 18b), 샘플 홀드회로(18a, 18b)에서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8c, 18d), 증폭기(18c, 18d)에서 증폭된 2개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하는 차동기(제 2 차동기)(18e)가 설치된다. 샘플 홀드회로(18a, 18b)에는 제어부(20)로부터 재생파워의 타이밍에 동기한 샘플링 펄스가 공급되어, 이 타이밍으로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한다. 그리고, 차동기(18e)에서 2개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함으로써,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EFM 변조성분을 제거하여, 역상의 워블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증폭기(18c, 18d)에서 증폭된 2개의 신호는 차동기(18e)에 공급됨 과 동시에 가산기(18f)에도 공급된다. 가산기(18f)에서는 양 신호를 가산하여, 차동기(18g)에 출력한다. 이 가산기(18f) 및 차동기(18g)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의 레벨과 후술하는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의 레벨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산기(18f)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의 레벨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차동기(18g)는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와의 레벨차를 해소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차동기(18g)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는 정규화 기준전압이 공급되고, 기준전압과의 차이로 증폭기(18c, 18d)의 증폭율을 조정함으로써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의 레벨을 정규화 레벨로 일치시킨다.
또한,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로서, 광 검출기 A, B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샘플 홀드회로(18h, 18i), 샘플 홀드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8j, 18k), 증폭기(18j, 18k)에서 증폭된 2개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하는 차동기(18m)가 설치된다. 샘플 홀드회로(18h, 18i)에는 제어부(20)로부터 기록파워의 타이밍에 동기한 샘플링 펄스가 공급되어, 이 타이밍에서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한다. 그리고, 차동기(18m)에서 2개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함으로써,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워블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샘플링계에서도, 증폭기(18j, 18k)에서 증폭된 신호는 차동기(18m)에 공급됨과 동시에 가산기(18n)에도 공급된다. 가산기(18n)에서는 양 신호를 가산하여, 차동기(18p)에 출력한다. 가산기(18n) 및 차동기(18p)는 각각 가산기(18f) 및 차동기(18g)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각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을 검출하는 기능 및 레벨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차동기(18p)의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와 동일한 정규화 기준전압이 공급되고,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의 레벨을 정규화 레벨로 일치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레벨조정회로인 가산기(18f, 18n) 및 차동기(18g, 18p)에 의해 증폭기(18c, 18d)와 증폭기(18j, 18k)의 출력레벨, 즉 차동기(18e)와 차동기(18m)의 출력레벨은 서로 일치하도록 조정되고, 양 차동기(18e, 18m)의 출력, 요컨대 재생파워시의 워블신호 및 기록파워시의 워블신호는 함께 가산기(18q)에 공급되고 가산되어 BPF(18r)에 공급된다. BPF(18r)에서는 종래기술과 같이 입력신호로부터 소정의 워블 주파수(예컨대 22kHz) 근방의 성분만을 추출하여 워블신호로서 복조기(18s)에 출력한다. BPF(18r)에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재생파워시에 있어서 샘플링한 워블신호만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기록파워시에 있어서 샘플링한 워블신호도 더불어 입력되기 때문에, 고속기록시에 있어서 3T, 4T 등의 짧은 신호기간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없더라도 복조기(18s)에서 워블신호로부터 저 에러율로 정확히 어드레스 정보를 복조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와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을 함께 정규화 기준전압에 맞춤으로써 양 신호의 레벨을 일치시키고 있지만, 물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을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로 맞추거나, 반대로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을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 레벨로 맞춤으로써 양 신호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에서는 기록 타이밍에 동기한 샘플링 펄스가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고, 이 샘플링 펄스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하고 있지만, 기록시의 반사광 특성을 고려하여 샘플링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기록시에 있어서의 반사광량(귀환 광량)의 시간변화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횡축은 시간, 세로축은 반사광량이다. 기록파워의 광 빔을 광 디스크(10)의 표면에 조사하면, 그 직후는 큰 기록파워의 영향으로 반사광량도 순간적으로 증대한다. 기록파워의 광 빔에 의해 디스크 표면의 색소층이 융해하여 피트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이 피트에 의해 광 빔은 산란되어, 반사광량도 감소하기 시작한다. 도면에서, 부호 104가 피트의 형성에 따르는 반사광량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기록파워에 의해 피트의 형성이 완료되면, 반사광량도 안정화하여 일정한 레벨로 된다. 도면에서, 부호 106이 피트 형성 뒤 안정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기록이 종료하면, LD의 파워는 재생파워로 되돌아가, 반사광량도 재생파워에 따른 레벨로 감소한다. 도면에서, 부호 108이 재생파워의 반사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기록 직후에는 순간적인 반사레벨의 증대 및 과도적인 감소가 생기기 때문에, 이 기간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그래서,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할 때에, 피트가 형성되어 반사광량이 안정화된 시점에서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함에 의해, 확실히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는 도 4에 있어서의 부호 106으로 도시되는 안정화 기간에 동기한 샘플링 펄스를 샘플 홀드회로(18h, 18i)에 공급하면 좋고, 이러한 샘플링 펄스는, 기록파워의 개시로부터 반사광량 안정화까지의 시간이 일정값 t로서 하여, 기록신호를 t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기록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지연시키는 것은 아니고, 반사광량을 모니터 하여, 일정 레벨로 안정화한 것을 검출한 타이밍에서 샘플링 펄스를 생성하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서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와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를 조합하여(양 신호를 혼합하여), 재생파워시 및 기록파워시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고 있지만,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만을 사용하여 기록시에만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이러한 경우의 워블신호 재생부(18)의 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 검출기 A, B에서의 출력신호는 샘플 홀드회로(18h, 18i)에 공급된다. 샘플 홀드회로(18h, 18i)에서는 제어부(20)로부터의 샘플링 펄스에 의해 기록파워시에 있어서 출력신호를 샘플 홀드한다. 제어부(20)로부터의 샘플링 펄스는 기록신호에 동기한 것이어도 좋지만, 도 4에서 설명한 것처럼 반사광량이 안정화되는 타이밍에 동기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샘플링 펄스는, 기록신호의 지연처리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샘플 홀드된 신호는, 증폭기(18j, 18k)에서 증폭된 뒤, 차동기(18m)에 공급된다. 차동기(18m)에서는, 2개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하고 EFM 변조성분을 제거하여 워블성분을 추출한다. 차동기(18m)에서의 신호는 BPF(18r)을 거쳐 복조기(18s)에 공급되어, 워블신호로부터 어드레스 정보가 복조된다. 이 예에서는, 기록파워시에만 워블신호를 재생하기 때문에, 재생파워시에만 재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속기록시는 3T나 4T 등의 짧은 신호기간에서는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은 곤란하여 누락하게 된다. 그러나, 그 이외의 신호기간, 예컨대 5T 이상의 기간에서는, 재생파워시보다도 큰 반사광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신호레벨(S 레벨)도 커져, 종래 이상으로 높은 S/N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회로구성에서는, 재생파워시의 샘플링계 및 기록파워시의 샘플링계에서 각각 샘플 홀드하고 있지만, 도 3에서는 기록시에 있어서 재생파워시와 기록파워시 함께 워블신호를 재생하기 때문에, 출력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은 아니고, 출력신호를 직통으로(through)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이 경우의 워블신호 재생부(18)의 일부 회로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광 검출기 A, B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자동 이득 제어기(AGC)(18t, 18u)에 각각 공급된다. AGC(18t, 18u)에는, 제어부(20)로부터의 이득제어신호가 공급되어, 이 이득제어신호에 의해 출력신호를 증폭한다. 제어부(20)는, 재생파워시와 기록파워시에 레벨이 일치하도록 각각의 파워에 따른 이득제어신호를 교대로 공급한다. 일례로서, 재생파워시에는, 기록파워/재생파워로 규정되는 비율을 증폭율로서 AGC에 공급하는 등이다. AGC(18t, 18u)에서 증폭된 신호는, 각각 보상회로(18v, 18w)에 공급된다. 보상회로(18v, 18w)는 광 디스크(10)의 편심에 근거하는 주파수 성분 외의 저주파 성분(노이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9-73636호 공보에 기재된 보상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상회로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보상회로는 콘덴서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역통과필터 및 가변 이득 증폭회로를 갖고, 저역통과필터에 의해 편심에 근거하는 저주파 성분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저주파 성분을 위상 반전한 후에 가변 이득 증폭회로에 공급하여, 편심에 의한 레벨변화를 보상함으로써 편심 성분을 제거한다. 편심 성분이 제거된 신호는 차동기(18x)에 공급되어 EFM 변조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차동기(18x)의 출력은 BPF(18r) 및 복조기(18s)에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재생파워시와 기록파워시에 함께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기록시에도 충분한 S/N에서 워블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기록시에 있어서도 워블신호를 확실히 재생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의 워블신호 재생의 타이밍 챠트,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워블신호 재생부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기록시의 반사광량(귀환 광량)의 시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블신호 재생부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블신호 재생부의 회로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워블신호 재생부의 회로 구성도,
도 8은 종래의 워블신호 재생의 타이밍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 디스크 12 : 스핀들 모터
14 : 회전 구동부 16 : 광 픽업부
18 : 워블신호 재생부 20 : 제어부

Claims (8)

  1.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각 트랙에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수단과,
    상기 광 디스크의 각 트랙으로부터의 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빔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서 출력하는 수광수단과,
    상기 수광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트랙의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워블신호 재생수단을 갖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조사수단이 기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조사수단이 기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중 상기 반사광이 소정 레벨로 안정되는 피트 형성 후의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신호 재생수단은, 상기 조사수단이 재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내에서 상기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4.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각 트랙에 기록 신호에 따라 기록 파워 레벨 및 재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수광면을 가지며, 상기 광 디스크의 각 트랙으로부터의 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빔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와,
    상기 광원이 기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샘플 홀드회로와,
    상기 샘플 홀드회로에서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차동기를 가지며,
    상기 차동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트랙의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워블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홀드회로는, 상기 광원이 상기 기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내에서, 기록 개시 후 소정시간만큼 지연시킨 샘플링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재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 홀드하는 제 2 샘플 홀드회로와,
    상기 제 2 샘플 홀드회로로부터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제 2 차동기와,
    상기 차동기와 상기 제 2 차동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가지며,
    상기 가산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워블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홀드회로 및 상기 제 2 샘플 홀드회로에서의 출력 레벨을 일치시키는 레벨조정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8.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트랙을 갖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각 트랙에 기록 신호에 따라 기록 파워 레벨 및 재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수광면을 가지며, 상기 광 디스크의 각 트랙으로부터의 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빔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 1 및 제 2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광 검출기와,
    상기 제 1 출력신호 및 제 2 출력신호를, 상기 광원이 기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과 재생 파워 레벨의 광 빔을 조사하는 기간에서 각각의 파워 레벨에 따른 증폭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를 차동연산하는 차동기를 가지며,
    상기 차동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트랙의 지그재그에 대응하는 워블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KR10-2002-0001638A 2001-02-19 2002-01-11 광 디스크장치 KR10047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2351 2001-02-19
JP2001042351A JP3690289B2 (ja) 2001-02-19 2001-02-19 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894A KR20020067894A (ko) 2002-08-24
KR100473459B1 true KR100473459B1 (ko) 2005-03-08

Family

ID=1890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638A KR100473459B1 (ko) 2001-02-19 2002-01-11 광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90056B2 (ko)
JP (1) JP3690289B2 (ko)
KR (1) KR100473459B1 (ko)
CN (1) CN1249677C (ko)
TW (1) TW5185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66B1 (ko)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47B1 (ko) * 2001-10-29 2004-05-2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워블신호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TW200403635A (en) * 2002-07-24 2004-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write operation performed by optical disc drive
CN100419867C (zh) * 2003-05-12 2008-09-17 旭化成电子材料元件株式会社 光盘设备,用于光盘设备的电路,摆动信号再现方法,以及岸台预制凹坑信号再现方法
US7394747B2 (en) * 2004-11-02 2008-07-01 Mediatek Incorporation Optical storage system having integrated laser driver signal processor
US20120221126A1 (en) * 2011-02-24 2012-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Extraction of a foundation fieldbus device information for enhanced device selection and data valid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976A (ja) * 1996-05-15 1997-11-28 Sharp Corp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196570A (ja) * 1997-09-25 1999-04-09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0242940A (ja) * 1999-02-22 2000-09-08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2001266486A (ja) * 2000-03-16 2001-09-28 Hitachi Ltd ウォブル信号再生回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462A (ja) * 1993-04-05 1994-10-18 Sony Corp 信号検出方法及び信号検出装置
EP1710792B1 (en) * 1998-02-13 2013-04-10 Yamaha Corporation Servo-balance adjusting technique for optical disk recording
JP3159157B2 (ja) 1998-02-13 2001-04-23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288782B2 (ja) * 1999-09-21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3292184B2 (ja) 1999-10-06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2001134943A (ja) 1999-11-05 2001-05-18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プッシュプル信号処理回路およびウォブル抽出回路ならびにプリピット検出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976A (ja) * 1996-05-15 1997-11-28 Sharp Corp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196570A (ja) * 1997-09-25 1999-04-09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0242940A (ja) * 1999-02-22 2000-09-08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
JP2001266486A (ja) * 2000-03-16 2001-09-28 Hitachi Ltd ウォブル信号再生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66B1 (ko)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9677C (zh) 2006-04-05
JP3690289B2 (ja) 2005-08-31
TW518586B (en) 2003-01-21
US20040160880A1 (en) 2004-08-19
US6990056B2 (en) 2006-01-24
JP2002245633A (ja) 2002-08-30
CN1379395A (zh) 2002-11-13
KR20020067894A (ko) 200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210B2 (en) Disc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obble information
US6859425B2 (en) Wobble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KR100473459B1 (ko) 광 디스크장치
US6992962B1 (en) Wobble signal detection circuit having a lowpass filter for detecting a wobble signal with reduced sampling noise
JP363609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473460B1 (ko) 광 디스크장치
JP3736398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07560B1 (ko) 광 디스크장치
JP337477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617439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219929B2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装置用の回路、ウォブル信号再生方法及びランドプリピット信号再生方法
JP2768611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ディフェクト検出回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4433636B2 (ja) ウォブル信号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60114766A1 (en) Wobbling signal reproduction device
JP2002251742A (ja) 光ディスク装置
US7317667B2 (en) Wobble signal extraction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JP3756917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6048841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ウォブル信号検出方法
JP2003203352A (ja) 光ディスク装置
WO2005101389A1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3257034A (ja) ウォブル信号抽出回路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3173532A (ja) 光学ヘッドの発光出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