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318B1 -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318B1
KR100473318B1 KR10-1999-0056565A KR19990056565A KR100473318B1 KR 100473318 B1 KR100473318 B1 KR 100473318B1 KR 19990056565 A KR19990056565 A KR 19990056565A KR 100473318 B1 KR100473318 B1 KR 10047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weight
resin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365A (ko
Inventor
김도경
원종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3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인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비가 2.5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내부에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하여 경량성과 질감 및 유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상 및 은폐력이 양호하여 합판 라미네이션 등의 화장판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Two-axially drawn porous polyester film for smoothly planed boards}
본 발명은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성과 질감 및 유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상 및 은폐력이 양호하여 합판 라미네이션 등의 화장판용으로 유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 여러가지 소재로 제조되며, 특히 합판 라미네이션 등의 화장판용으로 사용되는 필름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화장판용으로 사용되는 필름은 굴곡 부분에서 화장판 기재, 즉 합판, 파티클 보드, 철판 등과의 밀착성이 양호해야 하므로 유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는 열안정성이 불량하여 공정중 열에 의한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일본의 PL법과 같은 각종 환경규제로 인하여 그 시장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필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고 인쇄성이 불량하며, 특히 유연성이 부족하여 굴곡 라미네이션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및 인쇄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연성이 부족하여 굴곡 라미네이션용으로는 역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기본적인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vl필름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5,101,009호에는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하고, 디올성분으로서 부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탄소수 22 내지 34의 알리파틱 디올을 0.5 내지 20몰%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5,770,317호에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공중합하여 유연성과 자착성(self adherence property)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들은 열안정성이 저하되고 접촉시 촉감이 매끄러워 질감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질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유연성이 우수하고 색상 및 은폐력이 양호하여 합판 라미네이션 등의 화장판용으로 유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인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비가 2.5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35℃의 오르토클로로페놀에서 측정한 극한점도가 0.5 내지 2.0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올리핀 수지로는 에틸렌, 메틸펜틴, 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첨가되는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철, 금속착화합물, 크로메이트 피그먼트, 아조 피그먼트, 퀴나크리돈 및 염색 레이크 중의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의 함량은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은폐력과 색상을 더 부여하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염료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인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비가 2.5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한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60몰% 미만이면 이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다른 하나 이상의 성분을 40몰% 내에서 공중합하여도 좋다. 이러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부탄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5-술포이소프탈산, 5-술포프로폭시이소프탈산, 디페틸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알칸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식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류 및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35℃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 25ml에 0.05%, 0.1%, 0.15%의 농도로 용해시켜 3점법으로 측정한 극한점도가 0.4 내지 0.9dl/g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0.8dl/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극한점도가 0.4dl/g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필름에 사용하면 연신중 파단이 일어날 우려가 있고 최종 제품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극한점도가 0.9dl/g를 초과하면 용융점도가 높아져서 압출 공정이 불안정해 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 미만이면 기공 형성이 전반적으로 불균일해질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기공이 적어서 필름이 뻣뻣해질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공 형성은 충분하나 폴리올레핀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필름의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고 공정성도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가 1 내지 25인 것이 필름의 기공 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올리핀 수지로는 에틸렌, 메틸펜틴, 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수지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의 성분을 보조성분으로 하여 공중합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필름 내부의 미세기공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 혼합시, 상용화제로서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를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 첨가한다. 이러한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계면에 존재하여 계면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를 투입함에 따라 폴리올레핀 입자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게 되며, 전체 기공율도 높아지고 기공 분포가 균일해진다. 따라서, 필름의 밀도가 낮아지므로 필름이 경량화되고 유연성도 증가한다.
이러한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의 첨가량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첨가량이 0.3중량% 미만이면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충분한 계면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가 커져서 기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표면으로 노출되어 필름 표면이 불량해진다. 반면, 첨가량이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두 수지간의 상용성이 지나치게 커져서 기공을 다량으로 형성하지 못하게 되므로 필름의 밀도가 증가하며 은폐력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에 은폐력 또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며, 1종 이상의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에 투입되는 안료 및/또는 염료들은 260 내지 300℃의 용융압출 공정을 견딜 수 있는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 안료 또는 염료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에 원하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서 2종 이상의 안료 및/또는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안료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철, 금속착화합물, 크로메이트 피그먼트, 아조 피그먼트, 퀴나크리돈 및 염색 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산화티탄이 필름 조색에 용이하다. 염료로는 예를 들어, 모노아조, 디스아조, 안트라퀴논, 배트 염료, 모단트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투입되는 안료의 함량은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화장판 쉬트의 경우 바람직한 수준의 은폐력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3중량% 이상의 안료를 투입해야 하나, 본 말명의 화장판용 필름은 내부에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은폐력 향상 효과가 탁월하므로 안료의 투입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안료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은폐력을 얻기 어려우며, 15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등 필름의 물성이 불량해지고 생산 공정중 필름의 파단이 자주 발생하여 생산정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은폐력은 첨가되는 안료 및/또는 염료의 농도가 동일할 경우에도 필름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나, 화장판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광밀도(optical density, 이하 OD라 칭함)가 0.3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화장판 기재, 즉 합판 또는 파티클 보드, 철판 등의 표면 불량이 외면으로 노출됨이 없이 필름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필름 제조시, 필름의 주행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종 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수지에 무기 및/또는 유기 미립자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무기 미립자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등이 있으며, 유기 미립자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립자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0.01 내지 0.1㎛이 바람직하며, 투입량은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받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알려진 티-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티-다이법을 예로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용융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회전하는 캐스팅 드럼상에서 냉각고화시켜 무정형 쉬트를 얻는다. 얻어진 무정형 쉬트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상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필름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산상태는 컴파운딩 칩 또는 재용융 후 만들어진 쉬트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입경과 입자수를 측정하므로써 평가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직경이 20㎛ 이하일 때 균일한 분산성과 필름의 물성의 개선효과가 뚜렷하며, 25,000㎛2 내에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수가 80개 이상인 경우 밀도 감소와 유연성 향샹 효과가 뚜렷이 나타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 투입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연신공정에서 기공 형성력이 저하된다.
얻어진 무정형 쉬트를 연속적으로 이축 연신하므로써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쉬트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2.5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8배 연신한다.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비가 각각 2.5배 이하인 경우 기공 형성력이 저하되고, 5배 이상 연신할 경우 필름의 밀도가 증가하여 필름의 물성이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필름을 열처리하여 치수안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의 당량비로 혼합한 후, 여기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진행시켰다. 이어서, 축중합 촉매를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을 완결시켜서 극한점도가 0.64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85중량%와 용융지수가 3.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5중량%를 혼합한 다음, 여기에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구입회사:쉘, 상품명:크래톤)를 1중량%, 이산화티탄 2중량% 및 징크-훼라이트 3중량%를 첨가하여 컴파운딩 방식에 의해 혼합수지를 만들었다.
이렇게 얻은 혼합수지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식에 따라 건조, 용융, 압출하여 쉬트 형태로 형성한 후, 종방향으로 3.2배 및 횡방향으로 3.7배 연신하여 두께 50㎛의 2축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를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함량을 각각 75중량% 및 25중량%으로 하고,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함량을 각각 97중량% 및 3중량%으로 하고,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함량을 각각 60중량% 및 40중량%으로 하고,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엘라스토머의 첨가량을 0.1중량%로 하고,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키고,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2.0배씩 연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무기안료 및 염료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무기안료 염료
이산화티탄 징크-훼라이트(중량%) CI Solvent Red111(중량%) CI Solvent Yellow 179(중량%)
실시예 3 0.2 0.8 - -
실시예 4 1.0 2.0 0.5 -
실시예 5 2.0 3.0 - -
비교예 1 2.0 3.0 - -
비교예 2 2.0 3.0 - -
비교예 3 2.0 3.0 - -
비교예 4 2.0 3.0 - -
비교에 5 - - 8.0 7.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1) 기공의 평균 수 및 평균분포
일본 제올(JEOL)사의 전자주사현미경을 사용하여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후 영상분석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2) 밀도
사염화탄소와 노르말헵탄으로 이루어진 밀도구배관을 25℃로 유지하고 부침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필름 유연성
50㎛ 두께의 통상적인 복사용지와 비교하여 복사용지보다 유연할 때를 양호, 동일한 수준일 때를 보통, 복사용지종이보다 유연하지 못할 때를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4) 은폐력
맥베쓰(Mcbeth)사의 덴시토메터(Densitometer, 모델명:TR927)를 사용하여 광밀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5) 파단강도
인스트론사의 UTM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색상
자연광 하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여 유니버설 칼라 랭귀지 레벨 1(Universal Language Level 1)에 따라 나타냈다.
상기 표 2에서, PET 및 PP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을 칭하고, 상용화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를 칭하고, Br 및 Or은 각각 브라운 및 오렌지 색상을 칭함.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함량, 상용화제 함량 및 연신비를 갖는 실시예 1 내지 6의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공이 일정한 크기로 다량 형성되므로 밀도가 비교적 작고 유연성 및 파단강도가 우수하고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여 은폐력이 양호하다.
반면, 올레핀 함량이 본 발명의 함량에 미달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비교예 1)은 기공 형성력이 저하되고 밀도가 증가하여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올레핀 함량이 본 발명의 함량을 초과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비교예 2)은 경량이고 유연성도 양호하나, 파단강도가 불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용화제가 본 발명의 범위에 미달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비교예 3)은 기공 형성력이 저하되고 기공의 평균입경이 커서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파단강도 또한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신비가 본 발명의 범위보다 작은 필름(비교예 4)의 경우 필름의 밀도가 매우 높아지고, 안료를 첨가하지 않고 염료만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비교예 5)은 염료 첨가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은폐력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 내부에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하여 경량성과 질감 및 유연성이 우수하며 안료 첨가시 은폐력이 양호하여 합판 라미네이션 등의 화장판용으로 유용하다.

Claims (9)

  1.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5 내지 35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 수지성분을 기준으로 0.3 내지 2.0중량%인 무수숙신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며,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연신비가 2.5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35℃의 오르토클로로페놀에서 측정한 극한점도가 0.5 내지 2.0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리핀 수지는 에틸렌, 메틸펜틴, 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카본블랙, 산화철, 금속착화합물, 크로메이트 피그먼트, 아조 피그먼트, 퀴나크리돈 및 염색 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의 함량은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모노아조, 디스아조, 안트라퀴논, 배트 염료, 모단트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광밀도(optical density)가 0.3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9-0056565A 1999-12-10 1999-12-10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7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565A KR100473318B1 (ko) 1999-12-10 1999-12-10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565A KR100473318B1 (ko) 1999-12-10 1999-12-10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365A KR20010055365A (ko) 2001-07-04
KR100473318B1 true KR100473318B1 (ko) 2005-03-07

Family

ID=1962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565A KR100473318B1 (ko) 1999-12-10 1999-12-10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3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437A (ja) * 1988-11-08 1990-05-16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よりなるシート及びその熱成形体
JPH05247239A (ja) * 1992-03-04 1993-09-24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よりなる難燃シート及びその熱成形体
KR950026901A (ko) * 1994-03-22 1995-10-16 안시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960022805A (ko) * 1994-12-01 1996-07-18 안시환 고분자 필름
KR19990080661A (ko) * 1998-04-20 1999-11-15 장용균 적층형 미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437A (ja) * 1988-11-08 1990-05-16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よりなるシート及びその熱成形体
JPH05247239A (ja) * 1992-03-04 1993-09-24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よりなる難燃シート及びその熱成形体
KR950026901A (ko) * 1994-03-22 1995-10-16 안시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960022805A (ko) * 1994-12-01 1996-07-18 안시환 고분자 필름
KR19990080661A (ko) * 1998-04-20 1999-11-15 장용균 적층형 미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365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4477C (en) Shaped articles from polyester and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EP1833886B1 (en) Void-containing polyester shrink film with improved density retention
JP7392770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JPH1135717A (ja) 微多孔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JPH05230253A (ja) 軽量化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3318B1 (ko) 화장판용 다공성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047555A1 (en) Low pigment content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0167152B1 (ko) 백색 다공성 고분자 필름
KR100193691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369440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63870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다층 필름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47581A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JP3296022B2 (ja) 白色フィルム
JP2003154619A (ja)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625274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369439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제조방법
JPH04153233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0151808B1 (ko) 고분자 필름
JP2003127310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ロール
KR0159982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69438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58572B1 (ko)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경량화 고분자 필름
JP3006755B2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560157B1 (ko) 종이 대용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80069108A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