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306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306B1
KR100473306B1 KR10-1999-0052993A KR19990052993A KR100473306B1 KR 100473306 B1 KR100473306 B1 KR 100473306B1 KR 19990052993 A KR19990052993 A KR 19990052993A KR 100473306 B1 KR100473306 B1 KR 10047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polyester film
film
organic particle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238A (ko
Inventor
이득영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3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95:5 ~ 50:50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마모성 및 이활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필름에 보이드(void)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기절연재, 콘덴서 및 자기테이프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및 이활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필름에 보이드(void)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내후성, 전기절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재, 사진용 필름, 콘덴서, 전기절연재, 자기테이프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최종 제품의 품질은 필름의 권취성 및 후가공성에 큰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필름 특성은 특히 필름의 이활성에 크게 좌우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필름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제조시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카올린 등의 불활성 무기입자를 반응계에 첨가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합시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화합물을 미세한 입자로 석출시켜 필름의 이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34-5144호에는 알칼리토금속류의 화합물에 인산이나 또는 그 에스테르 화합물을 첨가하여 금속 화합물을 석출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필름의 제조공정중 압출공정에서 불활성 미립자를 첨가하여 필름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켜 필름에 이활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무기입자 등이 첨가된 폴리에스테르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필름으로 제조된다.
상기 입자 등이 첨가된 폴리에스테르를 건조하여 압출기에 공급한 후 판상으로 용융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밀착하여 급랭시켜 폴리에스테르를 고화시킨다. 이어서, 고화된 판상 폴리에스테르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하여 목적하는 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필름에 이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된 상기 무기입자 등은 폴리에스테르와 성질이 크게 다르므로, 필름 연신시 보이드를 다수 형성시킨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보이드가 많으면 빛을 다량 산란시켜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필름이 주행할 때 보이드 부분이 쉽게 파괴되어 내마모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필름을 전기절연재나 콘덴서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보이드 부분에서 전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와 친화력이 우수한 유기입자를 필름에 첨가하므로써 보이드 발생을 억제하면서 필름에 이활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90-11640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시 폴리에스테르와 무기입자 사이의 친화력 부족으로 인한 보이드 발생 및 내마모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교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가교 폴리에스테르 및 테프론 등의 유기입자와 탄산칼슘 등의 무기활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첨가되는 유기입자의 강도가 부족하며 보이드의 감소효과도 크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 해결하여 내마모성 및 이활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필름에 보이드(void)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95:5 ~ 50:50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평균입경은 0.0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함량은 필름 총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95:5 ~ 50:50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는 폴리실록산 블록(block)과 아크릴중합체 블록이 상호 공유결합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복합 유기입자이다.
상기 폴리실록산 블록은 일반식 [RnSiO(4-n)/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실록산으로서, n이 1이하인 반복단위를 적어도 15몰% 이상 함유한다. 여기서,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규소원자에 직접 결합한 탄소원자를 갖는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비치환 탄화수소기로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 알킬아릴기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킬기 또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치환탄화수소기로는 할로겐, 에폭시기, 시안기 등을 갖는 치환탄화수소기가 있으며, 특히 γ-글리시드록시프로필기,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기, γ-클로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중합체 블록은 실란올(silanol)기 및 실란올기 형성성 원자단과 반응성을 갖는 아크릴 단량체를 1종 이상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 중합체이다. 아크릴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특히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및 방향족아크릴 단량체로 치환된 1종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 단량체로부터 중합한 아크릴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는 폴리실록산을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아크릴중합체를 생성하는 제2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제1 단계로서, 아크릴중합체의 원료인 전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 단량체 존재하에서, 폴리실록산의 원료인 전술한 바와 같은 실란올기 형성성 규소 화합물을 수계 매체중에서 가수분해하여 축중합한다. 여기에 이용되는 수계 매체는 물 또는 물을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함유하는 균일 용매계이다. 이 경우, 물 이외에 병용 가능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수용성 용매가 있다.
실란올기 형성성 규소 화합물을 가수분해하여 축중합 할 때 이용되는 촉매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류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염기류 및 테트라메톡시티탄 등의 티탄화합물 등이 있으며, 특히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하여 축중합하는 반응은 촉매를 용해시킨 수계 매체에 실란올기 형성성 규소 화합물 및 아크릴 단량체를 투입하여 교반하며, 이 때 투입방법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반응의 균일성 및 조작성 측면에서 볼 때 양쪽방향에서 혼합하여 반응계로 투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하여 축중합 할 때의 온도와 시간은 원료의 종류나 농도, 용매의 종류, 촉매의 종류나 농도 등에 따라 다르나, 통상적으로 온도는 0-90℃, 시간은 30분-24시간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폴리실록산을 생성시키고, 아크릴단량체가 혼재하는 폴리실록산 입자를 얻는다.
제2 단계로서, 라디칼중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폴리실록산의 미립자가 혼재하는 아크릴단량체를 수계 매체중에서 중합한다. 제1 단계에서 제2단계로 이행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이용한 촉매가 제2 단계의 반응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그대로 제2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반대로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촉매를 제거하거나 불활성화 한 후 제2 단계로 이행한다. 제2 단계의 수계 매체는 전술한 제1 단계의 수계 매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물만의 단독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단량체를 중합할 때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촉매로는 공지의 촉매, 예를 들어 하이드로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는 반응은 아크릴 단량체가 혼재하는 폴리실록산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수계 매체중에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라디칼 중합촉매를 투입시켜 교반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실온 내지 아크릴 단량체의 비점,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이와 같은 제2 단계의 반응을 통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생성하므로써, 실질적으로 폴리실록산 블록과 아크릴중합체 블록이 공유결합한 복합 유기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첨가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는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가 95:5 ~ 50:50의 몰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0몰%를 초과하면 고온에서의 열안정성이 불량하고 5몰% 미만이면 보이드 발생에 대한 억제효과가 크지 않다.
또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평균입경은 0.0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미만이면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이활성 향상효과가 크지 않고, 3.0㎛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이 조면화되어 전자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함량은 필름 총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수가 적어 필름의 이활성이 불량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이 조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활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불용성인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는 본 발명의 목적과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필름에 적절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라도 무방하며 2종류 이상의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필름에 첨가될 수 있는 무기입자의 예로는, 인산칼슘, 마그네시아,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마이카, 탈크, 이산화티탄 및 알루미나 등이 있다.
또한,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를 함께 첨가하는 경우에,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친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면처리제로 입자를 표면처리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는 폴리에스테르 합성공정 또는 필름의 압출성형 공정 등 필름 제조공정중 어느 공정에서도 첨가할 수 있으나 특히, 폴리에스테르 중합반응이 종료되기 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정한 폴리에스테르 종류 및 필름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건조된 폴리에스테르를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한 후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판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고착시키는 방법 등으로 연속된 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한 쉬트는 연속적으로 1단 또는 다단의 연신공정을 거치는데, 종연신과 횡연신 사이에 인-라인 코팅(In-Line Coating)을 실시하여 필름의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횡연신 후 코로나 처리를 할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몰부, 에틸렌글리콜 70몰부 및 초산칼륨을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5중량%를 반응기에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에, 평균입경이 0.6㎛이고, 실리콘과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85:15로 이루어진 (일본 타케모토사) 복합 유기입자를 반응기 내에 최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후,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완결하였다. 그런 다음,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6중량% 및 삼산화안티몬 0.04중량%를 첨가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5시간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극한점도 0.60dl/g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건조한 후 압출기로 290℃에서 쉬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에 밀착시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종방향으로 90℃에서 3.5배, 횡방향으로 110℃에서 4.3배 연신하고 210℃에서 3초간 열처리하여 두께 1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리콘과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85:15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대신 70:30의 몰비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와 함께 평균입경 0.3㎛의 알루미나 0.1중량%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와 함께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6㎛의 탄산칼슘 0.1중량%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와 함께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6㎛의 탄산칼슘 0.1중량% 및 평균입경 0.5㎛의 실리카 입자 0.05중량%를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과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85:15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대신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6㎛의 실리콘 입자 0.3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리콘과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85:15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대신 45:55의 몰비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대신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8㎛의 탄산칼슘 입자 0.3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 대신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평균입경 0.5㎛의 실리카 입자 0.3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1) 첨가한 입자의 평균입경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5만배의 배율로 다른 부위의 입자를 50번 촬영하여 화상해석장치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입자 크기를 산술평균하였다.
(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 함량분석
적외선분광측정기(IR)와 핵자기공명장치(NMR)를 이용하여 각 구성물질의 특성 피크로부터 측정하였다.
(3)이활성
일본국 요코하마 시스템 연구소의 테이프 주행성 시험기인 TBT-300D를 사용하여, 필름을 1/2인치 폭으로 슬리팅한 테이프를 주행속도 3.3cm/초, 인취장력 30g으로 하고 접촉각이 135도가 되도록 고정 가이드핀(재질:SUS303)을 90m 통과시킨 때의 권취장력으로부터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주행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k = [2.303/θ]*log[Ti/T0]
상기 수학식 1에서, k는 주행마찰계수이고, θ는 필름과 가이드핀의 접촉각이고, Ti 및 T0는 각각 인취장력 및 권취장력을 칭함.
(4) 내마모성
상기 (3)의 이활성 측정이 끝난 시점에서 고정 가이드핀에 묻은 백분의 정도를 4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백분이 거의 묻지 않음: ◎
백분이 가이드핀의 1-5% 면적에 묻음:
백분이 가이드핀의 5-10% 면적에 묻음: △
백분이 가이드핀의 10%이상의 면적에 묻음: ×
(5) 반복사용 특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테이프를 20회 반복재생한 후의 출력신호 크기를 제1회 재생시의 출력신호 크기에 대한 백분율로 판정하였다.
(6) 헤이즈
가드너사의 XL-211 헤이즈메터를 사용하여 백색광으로 측정하였다.
(7) 보이드 지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플라즈마식 에칭장치에 넣고 30분간 에칭한 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배율 5만배에서 500시야분의 표면에 대한 입자를 관찰하여 입자의 크기 및 보이드 크기를 측정하였고, 하기 식으로부터 산술평균하여 보이드 지수를 계산하였다.
보이드 지수 = (보이드 전체의 길이 - 입자의 길이)/보이드 전체의 길이
첨가 입자 필름의 특성
종류 평균입경(㎛) 실리콘:아크릴레이트비(몰%) 필름 대비 함유량(중량%) 주행마찰계수(μd) 내마모성 반복특성(%) 헤이즈 보이드 지수
실시예 1 유기입자1) 0.6 85:15 0.30 0.30 95 0.5 0.05
실시예 2 유기입자1) 0.6 70:30 0.50 0.32 95 0.8 0.10
실시예 3 유기입자1) 알루미나 0.6 0.3 85:15 - 0.30 0.10 0.29 94 1.0 0.14
실시예 4 유기입자1) 탄산칼슘 0.6 0.6 85:15 - 0.30 0.10 0.28 94 1.4 0.21
실시예 5 유기입자1) 탄산칼슘 실리카 0.6 0.6 0.5 85:15 - - 0.30 0.10 0.05 0.26 93 1.5 0.17
비교예 1 실리콘 0.6 - 0.30 0.35 85 2.1 0.25
비교예 2 유기입자1) 0.6 45:55 0.30 0.38 60 4.4 0.50
비교예 3 탄산칼슘 0.8 - 0.30 0.40 68 3.0 0.58
비교예 4 실리카 0.5 - 0.30 0.42 × 62 2.8 0.43
상기 표 1에서, 유기입자1)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칭함.
표 1을 참조하면,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95:5 ~ 50:50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실시예 1 및 실시예 2)은 종래의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필름(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비하여 보이드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행마찰특성, 내마모성, 반복특성 및 투명성도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와 함께 알루미나, 탄산칼슘 및/또는 실리카와 같은 무기입자를 더 첨가하면(실시예 3 내지 5) 보이드 발생을 억제하면서 이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활성, 투명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이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보이드에 의한 전기누설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전기 절연재나 콘덴서용으로 유용하다. 또한, 첨가된 입자의 탈락이 적어 자기 테이프로 제조시 여러번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그 외에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실리콘 및 아크릴레이트의 몰비가 95:5 ~ 50:50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는 폴리실록산-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실록산-스티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실록산-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유기입자의 함량은 필름 총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불용성인 무기입자 또는 유기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인산칼슘, 마그네시아, 탄산칼슘, 실리카, 카올린, 마이카, 탈크, 이산화티탄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9-0052993A 1999-11-26 1999-11-26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7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993A KR100473306B1 (ko) 1999-11-26 1999-11-26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993A KR100473306B1 (ko) 1999-11-26 1999-11-26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38A KR20010073238A (ko) 2001-08-01
KR100473306B1 true KR100473306B1 (ko) 2005-03-07

Family

ID=1962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993A KR100473306B1 (ko) 1999-11-26 1999-11-26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55B1 (ko) 2006-03-22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넓은 범위 전원전압 하에서도 안정적인 레벨의 승압전압을발생하는 승압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793A (ja) * 1995-04-25 1996-11-12 Teijin Ltd 低剥離帯電性フイルム
KR970061952A (ko) * 1996-02-26 1997-09-12 폴 앙스가르, 슈바이처 클라우스 축전기에 사용하기 위한 거친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70061950A (ko) * 1995-10-25 1997-09-12 디츠 볼프강, 폴 안스가르 폴리에스테르 원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9980038363A (ko) * 1996-11-26 1998-08-05 구광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793A (ja) * 1995-04-25 1996-11-12 Teijin Ltd 低剥離帯電性フイルム
KR970061950A (ko) * 1995-10-25 1997-09-12 디츠 볼프강, 폴 안스가르 폴리에스테르 원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970061952A (ko) * 1996-02-26 1997-09-12 폴 앙스가르, 슈바이처 클라우스 축전기에 사용하기 위한 거친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9980038363A (ko) * 1996-11-26 1998-08-05 구광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38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383B1 (ko) 폴리에스테르조성물및이것으로부터제조되는필름
KR100473306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EP1810993A2 (en) Method of preparation of polyethylenetherephthalate nanocomposite fiber with enhanced modulus
KR014544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10058676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US575603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axially extended polyester film
KR100234138B1 (ko) 폴리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EP0372423A2 (en) Polyester composition
JP2860331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KR100192081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KR0130609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331382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20019A (ja) 耐熱性フィルム
JPH0458811B2 (ko)
JPH04146955A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10996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682108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KR19980016414A (ko) 자기 테이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KR950012868B1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0175548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52544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9980015248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16414B1 (ko) 이축배향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14547B1 (ko) 고밀도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930002711B1 (ko)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