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428B1 -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428B1
KR100472428B1 KR10-2003-0006632A KR20030006632A KR100472428B1 KR 100472428 B1 KR100472428 B1 KR 100472428B1 KR 20030006632 A KR20030006632 A KR 20030006632A KR 100472428 B1 KR100472428 B1 KR 10047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ylindrical body
cap
doubl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353A (ko
Inventor
양영근
Original Assignee
양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근 filed Critical 양영근
Priority to KR10-2003-000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4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운전 중, 정전 또는 기계적인 잦은 고장으로 멈출 때, 이에 따라 사람이 직접 문을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를 장치하고, 원통형체의 상하에 동체를 갖는 래크 캡에 래크를 삽입으로 장치하고, 상기 래크 측면 앞 위치에 키가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상기 원통형체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축대가 외측에 노출됨에 따라서 지렛대가 일체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omitte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문을 쉽게 열릴 수 있도록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를 장치하고, 이에 따라서 상하에 톱니가 서로 맞물림을 갖도록 원통형체의 상하에 동체로 갖는 래크 캡의 내부에 래크가 삽입되며, 삽입된 래크에 뾰족하고 납작한 키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통형체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의 일측에 축대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서 지렛대가 설치되면서 키가 수직상하로 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 끼우는 동시에 지렛대를 잡고서 앞으로 미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동시에 따라 양면베어링 기어에 의해 " " 표기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닫힌 엘리베이터의 문이 양쪽으로 동시에 열리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에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운전 중, 정전 또는 기계적인 고장으로 멈출 때, 안에 갇혀있는 사람이 직접 문을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 " 자형으로 원통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체의 상하에 네모파이프 모양으로서 동체를 갖는 래크 캡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를 장치하고, 이에 따라서 상하에 톱니가 서로 맞물림을 갖도록 " " 표기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래크 캡의 내부에 삽입으로 장치된 래크 측면 앞 위치에 키가 뾰족하고 납작한 것이 부착되면서, 이와 같은 구성이 수동으로 쉽게 문을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예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한쪽에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로써 엘리베이터가 생활에 있어서 아주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안전성이 요구되는 만큼, 기계이기 때문에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그러므로 정전 또는 기계적인 잦은 고장으로 인해 운전 중, 정지(멈춤)되는 일이 발생하여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비상벨도 안될 경우에, 안에 갇혀있는 사람이 스스로 문을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별도의 장비나 도구가 비상용으로서 비치되어 있지않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가 장치되는 것에 따라서 전후면에는 양면베어링 부분이 삽입시켜 회전운동을 갖도록 외측에 돌기 형성된 베어링 캡과; 상기 원통형체의 일부 베어링 캡 중앙에는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의 일측에 길게 형성된 축대를 외측에 노출시켜서 지렛대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된 구멍과; 상기 원통형체의 상하에 래크를 장치하기 위한 네모파이프 모양으로서 동체를 갖는 래크 캡과; 상기 래크 캡의 내부에 삽입으로 장치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 측면 앞 위치에 뾰족하고 납작하게 부착된 키가 일체 결합된 것에 달성된다.본 발명에 따라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를 장치하고, 이에 따라서 원통형체에 상하로 동체를 갖는 래크 캡의 내부에 래크가 삽입으로 장치하고, 또는 원통형체 외측에 노출된 축대 구멍에 지렛대가 설치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의 도면으로서,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1) 내부 전후면에 삽입시켜 회전운동을 갖도록 외측에 베어링 캡(1-1)이 돌기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캡(1-1)의 일부 중앙에 장치되는 양면베어링 기어의 축대를 외측에 노출시켜서 지렛대를 설치하기 위한 미 설명 부호의 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원통형체(1) 내부에 장치되는 양면베어링 기어의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림으로 결합시켜 래크가 "" 표기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네모파이프 모양을 갖는 래크 캡(2)이 동체로서 형성되며, 또한 원통형체(1)의 외측 일부에 돌기 형성된 베어링 캡(1-1) 부분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면에다가 "" 표기와 같은 모양의 손잡이(4)가 부착되고,또한, 원통형체(1)의 상하에 동체로 갖는 래크 캡(2)의 앞측에 래크가 삽입하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일명 출입구(2-1)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 캡(2)의 출입구(2-1) 측면에서부터 원통형체(1)의 중심부 위치에까지 삽입된 래크 키가 수직상하로 갖도록 측면 통로(2-2)를 형성하고, 상기 래크 캡(2)의 출입구(2-1) 상면에는 삽입으로 장치된 래크가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볼트를 결합하기 위해 나선형 구멍(3)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이에 따라서 구비된 일명 걸림볼트(11)가 일단 결합하고, 또한 래크 캡(2)의 뒤측이 미 설명 부호의 네모파이프구멍이 형성됨에 따라서 취급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보호고무커버(12)로 끼워서 부착하고,상기 원통형체(1) 내부에 장치된 기어(5)의 양면이 원판모양을 갖는 베어링 부분이며, 이와 같은 원판이 돌기 형성되면서 일명 양면베어링 기어(5)로 통칭하고, 상기 양면베어링 기어(5)의 일부 베어링 면에 지렛대를 설치하기 위한 축대(6)가 길게 형성되며, 동시에 끝부분의 측면에다가 구멍(6-1)을 천공하여 지렛대(7)를 설치하고,상기 원통형체(1)의 래크 캡(2)에 삽입되는 래크(8)의 표면 가운데에 일명 걸림볼트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 표기와 같이 직선 걸림 홈(9)을 형성하고, 또한 래크(8) 측면 앞 위치에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 끼워서 쉽게 열릴 수 있도록 뾰족하고 납작한 키(10)가 일체형으로 부착되며,상기 원통형체(1)에 따른 비치용 케이스(13)가 수직상자로 형성되고, 상기 비치용 케이스(13)의 앞면 양쪽 라인이 "" 표기와 같이 수직통로(14)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통로(14)의 하단 라인 면을 안쪽으로 구부려서 일명 걸턱(15)로 형성하고, 또한 비치용 케이스(13)의 뒤면 상하에 엘리베이터 안의 벽면에다가 나사못으로 고정 부착하기 위한 타원형 구멍(16)으로 양쪽에 천공하고, 상기 타원형 구멍(16)에 따른 나사못(20)이 구비되며, 상기 비치용 케이스(13)의 앞면에 일치되는 수직개폐(13-1)의 정면부분이 투명비닐(19)이 부착되고, 또한 수직개폐(13-1)의 상단 가운데에는 구멍손잡이(18)가 형성되며,상기와 같이 전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1)가 이루어지면서, 다음은 결합상태에 대해서는 도 1을 (그림)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원통형체(1) 내에 베어링 캡(1-1)에 양면베어링 부분이 삽입하는 동시에 일부 베어링에 형성된 축대(6)가 원통형체(1)의 미 설명 부호의 구멍을 통해 외측에 노출되면서 양면베어링 기어(5)가 내부에 장치하고, 이에 따라서 노출된 축대(6)의 구멍(6-1)에다가 지렛대(7)를 설치하고,상기 원통형체(1)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5)가 장치되면서, 원통형체(1)의 상하에 동체로 갖는 래크 캡(2)의 출입구(2-1)를 통해 래크(8)가 삽입되는 동시에 양면베어링 기어(5)의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림으로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래크 캡(2)의 나선형 구멍(3)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볼트(11)로 약간 조여 나선형 끝부분이 래크(8)의 직선 걸림 홈(9)에 들어가면서 래크(8)가 안전하게 왕복운동의 작용으로서 장치되고, 상기 원통형체(1)에 따른 비치용 케이스(13)가 엘리베이터 안의 벽면에 부착되면서, 이와 같은 결합으로서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에 대한 형체(모형)가 나타낸 것이다.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상(비치)용 래크 탈출기에 의한 작용과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른바 엘리베이터 안의 벽면에다가 비치용 케이스(13)를 부착하고, 그러면서 비치된 원통형체(1)의 손잡이(4)에 양손으로 잡고서 뾰족하고 납작한 키(10)가 수직상하로 된 위치에서 닫힌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다가 끼우는 동시에 한 손으로 지렛대(7)를 잡고서 앞으로 미는 것처럼 돌려서 이때에 원통형체(1)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5)가 양면베어링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어(5)의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린 래크(8)가 "" 표기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면서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 끼워진 키(10)에 의해 닫힌 문이 양쪽으로 동시에 열리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에 의하면,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의 상하에 동체로 갖는 래크 캡이 구비되고,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를 장치하고, 또한 동체를 갖는 래크 캡에 래크를 삽입으로 장치하고, 이와 같이 삽입으로 장치된 래크가 원통형체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의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림으로 결합되고, 원통형체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축대가 외측에 노출되면서 지렛대가 일체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상기와 같이, 통상적인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에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안의 벽면에다가 비치용 케이스를 부착하고, 그러면서 정전 또는 기계적인 잦은 고장으로 인해 운전 중에 멈출(정지) 때, 이러한 돌발사고가 발생하는 동시에 비상벨(호출)이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안에 갇혀있는 사람이 직접 문을 열 수 있도록 원통형체의 손잡이에 양손으로 잡고서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다가 뾰족하고 납작하게 형성된 키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지렛대를 잡고서 앞으로 미는 방향에 따라 양면베어링 기어가 회전운동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림으로 결합된 래크가 "" 표기와 같은 반대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는 동시에 닫힌 문이 양쪽으로 열리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의 비치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원통형체, 1-1…베어링 캡, 2…래크 캡, 2-1…출입구,2-2…측면통로, 3…나선형 구멍, 4…손잡이, 5…양면베어링 기어,6…축대, 7…지렛대, 8…래크, 9…직선 걸림 홈,10…키, 11…걸림볼트, 12…안전보호고무커버, 13…비치용 케이스,

Claims (2)

  1. 원통형체 내부에 양면베어링 기어가 장치되고, 이에 따라서 상하에 동체를 갖는 래크 캡에 래크가 삽입되는 동시에 양면베어링 기어의 톱니 상하에 서로 맞물림으로 결합되면서 정전 또는 기계적인 잦은 고장으로 인해 멈출 때, 이러한 돌발사고로서, 사람이 직접 문을 열고서 탈출하도록 하기 위한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에 있어서, 원통형체의 내부 전후면으로 외측에 돌기 형성된 베어링 캡과;
    상기 베어링 캡의 일측 중앙에 천공된 구멍과;
    상기 원통형체의 상하에 동체를 갖는 래크 캡과;
    상기 래크 캡의 앞측에 형성된 출입구와;
    상기 래크 캡의 출입구 측면에서부터 상기 원통형체의 중심부 위치에까지 형성된 측면 통로와;
    상기 래크 캡의 출입구 상면에 형성된 나선형 구멍과;
    상기 나선형 구멍에 결합된 걸림볼트와;
    상기 래크 캡의 뒤측 네모파이프구멍에 취급상 위험을 방치하기 위해 부착된 안전보호 고무커버와;
    상기 원통형체의 일측에 돌기 형성된 베어링 캡 부분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면에 부착된 손잡이와;
    상기 원통형체 내부에 장치된 양면베어링 기어와;
    상기 양면베어링 기어의 일측 베어링 중앙에 길게 부착된 축대와;
    상기 축대의 끝부분에 천공된 구멍과;
    상기 축대의 구멍에 설치된 지렛대와;
    상기 원통형체의 래크 캡에 삽입으로 장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 표면 가운데에 "" 표기와 같이 형성된 직선 걸림 홈과;
    상기 래크 측면 앞 위치에 엘리베이터의 문 틈새에 끼워서 열릴 수 있도록 키가 뾰족하고 납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탈출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 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체를 엘리베이터 안의 벽면에 비상용으로서 비치하기 위해 수직상자로 형성된 비치용 케이스와;
    상기 비치용 케이스의 앞면 양쪽 라인에 "" 표기와 같이 형성된 수직통로와;
    상기 수직통로의 하단 라인면을 안쪽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일명 걸턱와;
    상기 비치용 케이스의 뒤면 상하에 양쪽으로 천공된 타원형 나사구멍과;
    상기 타원형 나사구멍에 따른 구비된 나사못과;
    상기 비치용 케이스의 앞면에 일치되는 수직개폐와;
    상기 수직개폐의 면에 부착된 투명비닐과;
    상기 수직개폐의 상단 가운데에 천공된 구멍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KR10-2003-0006632A 2003-02-03 2003-02-03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KR10047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632A KR100472428B1 (ko) 2003-02-03 2003-02-03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632A KR100472428B1 (ko) 2003-02-03 2003-02-03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353A KR20030015353A (ko) 2003-02-20
KR100472428B1 true KR100472428B1 (ko) 2005-03-09

Family

ID=2773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632A KR100472428B1 (ko) 2003-02-03 2003-02-03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9314B (zh) * 2016-05-20 2017-11-17 陕西小溪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门机
CN114148867B (zh) * 2021-10-25 2023-08-11 伊萨智能电梯有限公司 一种智能防夹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353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8364A3 (en) Safety gate assembly
US9303434B2 (en) Door latch device
KR100472428B1 (ko) 엘리베이터 고장에 의한 수동으로 문 열리는 비치(비상)용 래크 탈출기
KR200420406Y1 (ko)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DE602004006554D1 (de) Bodenstruktur für eine Baumaschine und deren Zusammenbauverfahren
KR101901404B1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28847Y1 (ko) 미닫이 창문
KR101865412B1 (ko)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JP4285334B2 (ja) サッシ
ATE424495T1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den standflügel einer feuerschutztür
KR200402217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JPH09328942A (ja) 共同溝等の蓋用施錠装置
JPS634795Y2 (ko)
JP2003097119A (ja) スライド扉の非常開放装置
EP1256680A3 (de) Fenster, Tür oder dergleichen mit Treibstangenbeschlag
CN110407069B (zh) 电梯轿厢结构
KR20180012415A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AU2007216762B2 (en) A stop member for an operator chain
KR100753196B1 (ko) 강화도어용 잠금장치
KR20060017560A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 장치
PL1514984T3 (pl) Zespół uchwytu
JPH10169326A (ja) 片引き戸装置
JP2567518Y2 (ja) シャッター枠一体型開口枠の上枠
JP2020125596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