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415A -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415A
KR20180012415A KR1020160095175A KR20160095175A KR20180012415A KR 20180012415 A KR20180012415 A KR 20180012415A KR 1020160095175 A KR1020160095175 A KR 1020160095175A KR 20160095175 A KR20160095175 A KR 20160095175A KR 20180012415 A KR20180012415 A KR 2018001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bar
door lo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이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수 filed Critical 이재수
Priority to KR102016009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415A/ko
Publication of KR2018001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88Lock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전원 자동 미닫이의 도어에 매설되는 도
어록 뭉치와, 상기 도어록 뭉치를 관통하는 레버축의 양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의 내,외측으로 돌출하
도록 설치되는 도어핸들이 구성되어 있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의 레버축이 관통하며, 상기 레버축과 함께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록 뭉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상방에 위치한 채 도어록 뭉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원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및 연동기어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승강안내홀과;
상기 승강안내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안내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승강축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안내공에
끼워져 승강축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동기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봉과;
하단의 수나사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나사조립되며, 상단의 잠금바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서 출몰하도
록 미닫이 도어에 매설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잠금바를 상,하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 매설되어 있
는 안내원통과;
상기 안내원통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잠금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와는 이완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닫힘 작동시에는 상기 잠금바를 구속
하는 도어잠금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Semiautomatic sliding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0001] 상세하게는 출입자가 미닫이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을 도어의 열림방향으로 밀어줄 때에는 잠금바가 도어잠금부재에서 빠져나와 미닫이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며, 미닫이 도어가 닫힐 때에는 잠금바가 자동으로 도어잠금부재에 잠금되도록 하는 무전원 반
자동 미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아파트, 빌라 등 공동주택은 현관문을 비롯하여 침실, 거실, 화장실 등 실,내외에 설
치되는 모든 출입문은 물론이고 각종 건물의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도 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0003] 그리고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실내 출입문은 주로 여닫이 도어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는 미닫이 도
어의 경우에는 도어를 안내하는 상,하부 레일 중 상부 레일은 문틀 상부에 형성되므로 사람의 출입에 지장을 초
래하지 않지만 하부 레일의 경우는 실내의 바닥에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내의 출입문 입구 바닥에 하부 레
일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출입시 발이 하부 레일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특히 거
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휠체어의 출입에는 출입구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하부 레일이 장애물이 되어 출입에 많
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일반 주택에서는 실내의 모든 출입문을 여닫이 도어로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0004] 그런데, 여닫이 도어의 경우는 문틀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된 경첩을 축으로 하여 회전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출입구 바닥에 돌출되는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여닫이 도어
는 도어가 열리는 회전반경 내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또한 침실이나 서재 및 화장실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
는 여닫이 도어는 안쪽으로 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닫이 도어가 회전하는 반경 범위
내에는 가구 등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이로 인해 침실, 서재, 화장실 등의 내부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0005]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와 같은 여닫이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전원 자동 미닫이를 개발하여
특허 제10-0547982호를 제안한 바 있다.
[0006] 상기한 선행기술은 미닫이 도어의 열림작동이 자연스럽고 열렸던 도어가 당김력 인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
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내,외측에 가구 등을 설치하게 되더라도 도어를 열고 닫는데 아무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또한 실내 바닥에 레일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출입구에 턱이 형성되지 않게 되
어 거동을 불편한 노약자 및 장애인들도 안전하게 미닫이 도어를 열고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장점을 제공
하고 있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화장실 등을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이 화장실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미닫이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때문에 상기한 선
행기술과 같은 미닫이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 및 선행기술에서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을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
전시키면 잠금장치의 잠금바가 도어잠금부재에서 빠져나와 미닫이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며, 미닫이 도어가
닫힐 때에는 잠금장치의 잠금바가 도어잠금부재에 자동으로 잠긴 상태로 구속되도록 하여 미닫이 도어의 닫
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미닫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실내측에서 도어핸들을 잠금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이 닫혀 있는 미닫이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없도록 하므로써 최소한의 개인 사생
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0008]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0009]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 도어에 매설되는 도어록 뭉치와, 상기 도어록 뭉치를 관통하는 레버축의 양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의 내,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도어핸들이 구성되어 있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0010] 상기 도어핸들의 레버축이 관통하며, 상기 레버축과 함께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록 뭉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0011] 상기 구동기어의 상방에 위치한 채 도어록 뭉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원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연동기어와;
[0012] 상기 구동기어 및 연동기어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승강안내홀과;
[0013] 상기 승강안내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승강축과;
[0014] 상기 승강안내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승강축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안내공에
끼워져 승강축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동기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봉과;
[0015] 하단의 수나사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나사조립되며, 상단의 잠금바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서 출몰하
도록 미닫이 도어에 매설되는 작동바와;
[0016] 상기 작동바의 잠금바를 상,하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 매설되어 있
는 안내원통과;
[0017] 상기 안내원통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잠금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메인스프링과;
[0018]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와는 이완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닫힘 작동시에는 상기 잠금바를 구
속하는 도어잠금부재;
[0019]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또한, 상기 승강축의 작동안내공은 진입안내장공을 통해 연동기어의 돌출봉이 끼워지는 입구는 좁고 진출안내공
과 연통하는 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또한, 상기 승강축은 작동바의 잠금바를 탄력지지하는 메인스프링에 비하여 탄성력이 약한 보조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2] 또한, 상기 도어잠금부재는 미닫이 도어의 상방에 부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도어열림방향으로는
개구되고 닫힘방향으로는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기준하여 고정몸체의 저부 양
측에 회전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단은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작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개폐작동간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을 도어 열림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어핸들이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도어의 상방에 고정 설치된 도어잠금부재에서 잠금바를 하향으로 이완작동시키게 되므로 미닫이 도
어를 열 수 있도록 하며, 미닫이 도어를 연 후에 도어핸들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미닫이 도어가 자동으
로 닫힘 작동될 때 잠금바가 상기 도어잠금부재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개폐작동간을 개방작동시
키면서 절개부의 폐구단쪽으로 진입하여 자동으로 구속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미닫이 도어를 열고 들어
간 사용자가 출입구의 안쪽에 보조잠금봉을 눌러주게 되면 도어핸들이 잠금상태가 되어 출입구의 바깥쪽에서 타
인이 미닫이 도어를 일시적으로 열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0024] 또한 본 발명은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과 같은 일반 주택의 실내,외 출입구 뿐 아니라 병원 등의 진찰실 출입문
에 적용할 경우 진찰받는 환자의 개인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0025] 위한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잠금바와 도어잠금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잠금부재의 작동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
세히 서명하면 다음과 같다.
[0027] 도면부호 1은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잠금장치(1)는 미닫이 도어(100)에 매설되는 도어록 뭉
치(2)와, 상기 도어록 뭉치에 연결되어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로 잠금바(31)를 출몰작동시키는 작동바(3)와,
상기 미닫이 도어(100)와는 별도로 상기 잠금바(3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
되는 도어잠금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0028] 상기 도어록 뭉치(2)는 부착부(21)와 이의 상,하부 각각에 형성된 부착날개(22)만 미닫이 도어(100)의 개폐단에
노출되도록 몸체(23)가 미닫이 도어(100)에 매립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록 뭉치(2)의 좌,우 또
는 전,후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양측 도어핸들(5a)(5b) 및 핸들커버(51)(52)는 미닫이 도어(100)의 실
내,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0029] 또한 상기 도어록 뭉치(2)의 양측 도어핸들(5a)(5b) 각각을 연결하는 레버축(53)은 몸체(23)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0030] 상기 레버축(53)은 도어록 뭉치의 몸체(23) 내부에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기어(6)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도어핸들(5a)(5b)들 중 어느 하나의 도어핸들을 도어열림방향으로 회전
시키게 되면 레버축(53)이 구동기어(6)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1] 상기 도어록 뭉치(2)의 몸체(22) 내부에는 구동기어(6)의 상방에 연동기어(6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기어(63)는 구동기어(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61)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0032] 상기 구동기어(6) 및 연동기어(63) 각각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상방이 개구되고 하부는 폐구된 승강안내홀
(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안내홀(7)에는 승강축(71)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다.
[0033] 또한 상기 승강안내홀(7)의 일측(도면상좌측)에는 연동기어(63)의 일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봉(64)이 승강안내홀
(7) 속으로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진입안내장공(7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봉(64)의 끝단이 승강안내홀(7)
의 내벽에 걸리지 않고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진입안내장공(72)의 반대측에는 진
출안내장공(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축(71)의 하부에는 진입안내장공(72)을 통해 진입되는 연동기어
(63)의 돌출봉(64)이 끼워지는 작동안내홈(74)이 형성되어 있다.
[0034] 상기한 작동안내홈(74)은 진입안내장공(72)과 연통하는 입구는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출안내장공(73)과
연통하는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작동안내홈(74)의 상면은 진
입안내장공(72)에서 진출안내장공(73)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75)으로 형성되어 있다.
[0035] 상기 작동바(3)은 그 하단에 형성된 수나사부(32)가 승강축(71)의 상부에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단에 형성된
잠금바(31)는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에 매설되어 있는 안내원통(8)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0036] 상기 안내원통(8)의 내부에는 작동바(3)의 잠금바(31)를 탄력지지하는 메인스프링(81)이 내장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승강안내홀(7)에는 승강축(71)을 탄력지지하는 보조스프링(76)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스프링(81)은
강한 탄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조스프링(81)은 메인스프링(81)보다 훨씬 약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메인스프링(81)은 미닫이 도어(100)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5a)(5b)을 회전작동시키므로 연동기어(6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출봉(64)으로 승강축(71)을 하강시킬 때에는 탄력적으로 압축되며, 이와 동시에 보조스프링(76)도 압축되는 것이며, 미닫이 도어(100)를 연 후에 도어핸들(5a)(5b)을 미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압
축되었던 상기 메인스프링(8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바(3)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승강축(71)도
상승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스프링(76)의 탄성반발력이 승강축(71)에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축(71)은
메인스프링(81)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상승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안내원통(8)은 그 상단에 형성된 양측 부착판(82) 각각에 형성된 부착공([0038] 83)을 통해 미닫이 도어(100)의
상면에 나사조립되는 볼트 또는 나사못에 의하여 고정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잠금바(3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절취면(31a)이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방지판(84)의 양측에도 상기한 부착공(83)과 일치
하는 부착공(8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원통(8)은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에 매립 설치되는 상태
에서 부착판(82)이 미닫이 도어(100)의 상면에 밀착되고, 이어서 상기 안내원통(8)의 부착판(82) 위에 회전방지
판(84)이 포개어 놓고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안내원통(8)과 회전방지판(84)을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에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
[0039] 또한 상기 회전방지판(84)에는 잠금바(31)의 양측 절취면(31a)이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
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드 장공(86)이 형성되어 있다.
[0040] 그리고, 상기 미닫이 도어(100)의 일측 핸들커버(51)에는 보조 잠금봉(9)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잠금봉
(9)은 기존의 도어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핸들커버(51)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눌러주게
되면 보조 잠금봉(9)의 돌기가 구동기어(6)에 형성된 키홈(62)에 끼이게 되어 도어핸들(5a)(5b)의 회전작동을
억제하게 되어 잠기게 되어 미닫이 도어(100)를 열 수 없도록 하며, 사용자가 보조 잠금봉(9)을 잡아당겨 핸들
커버(51)에서 돌출되도록 하면 보조 잠금봉(9)의 돌기가 구동기어(6)의 키홈(62)에서 빠져나오기 되어 도어핸들
(5a)(5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데, 상기 보조 잠금봉(9)은 기존의 도어핸들에 형성된 구조와 대동
소이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0041] 상기 도어잠금부재(4)는 미닫이 도어(100)와는 이완된 상태로 미닫이 도어(4)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
미닫이 도어(4)의 개폐단 작상방에 위치하도록 상부 문틀부분에 고정 설치된다,(도 1 참조)
[0042] 또한 상기 도어잠금부재(4)는 상부 문틀부분에 볼트 또는 나사못 등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부착공(4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몸체(41)와, 상기 고정몸체(41)에 도어열림방향으로는 개구되고 도어닫힘방향으로는 폐구되
도록 형성된 절개부(43)와, 상기 절개부(43)의 개구측 양측에는 회전단(44a)이 리벳 등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
되고 개폐단(44b)은 폐구측 가까운 위치에서 절개부(43)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작동을 하는 한 쌍의 개폐작동간
(44)과, 상기 개폐작동간(44)이 탄력적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은 한 쌍의 개폐작동간(44)에 각각 지
지되고 타단은 고정몸체(41)에 각각 지지되는 토션스프링(45)이 형성되어 있다.
[0043]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0044] 도 4의 도시와 같이 미닫이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작동바(3) 상단의 잠금바(31)가 메인스프링(81)의 탄
성력에 의하여 안내원통(8)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도어잠금부재(4)에 형성된 절개부(42)의 폐구측에 삽입된 상
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잠금부재(4)에 형성된 한 쌍의 개폐작동간(43) 각각은 토션스프링(45)에 의하여 양
측 개폐단(44b)이 탄력적으로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절개부(43)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며(도 6의 실선부분 참
조), 또한 도어핸들(5a)(5b)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구동기어(6)의 상단에 형성된
기어(61)에 맞물려 있는 연동기어(63)의 돌출봉(64)은 도면상으로 볼 때 승강축(71)을 상향으로 상승작동시킨
상태(대략 10시 방향)로 정지되어 있다.
[0045] 따라서 상기와 같이 미닫이 도어(10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핸들(5a)또는(5b)를 도어열림방향으
로 회전시키지 않고서는 미닫이 도어(100)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닫혀있는 미닫이 도어(100)를 열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미닫이 도어(1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
는 양측 도어핸들(5a)(5b) 중 일측의 도어핸들을 손으로 잡고 도어열림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도어핸들
(5a)(5b)을 잇는 레버축(53)이 구동기어(6)를 도 5의 도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기어(6)는 일정각도(20∼30°정도) 범위내에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6)가 시
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기어(61)에 치합되어 있는 연동기어(63)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동기어(63)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봉(64)이 승강안내홀(7)에 장착되어 있
는 승강축(71)을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미닫이 도어(100)를 열기 위해 도어핸들(5a)(5b)을 일정각도 회
전시켜주는 힘은 메인스프링(81)과 보조스프링(76)의 탄성보다 강하므로 결국 도어핸들(5a)(5b)의 회전작동에
의해 하강작동을 하는 승강축(71)는 보조스프링(76) 및 메인스프링(81)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승강안내홀(7) 속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안내홀(7) 속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축(71)이 하강하게 되며, [0047] 이에 따라 작동바(3)가 하강함과
동시 잠금바(31)는 메인스프링(81)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안내원통(8) 속으로 몰입되면서 도어잠금부재
(4)의 절개부(43) 하측으로 빠져나오게 되며(도 5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잠금바(31)가 안내원통(8) 속으로 몰
입되면서 도어잠금부재(4)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미닫이 도어(100)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며, 이때에도 사
용자가 도어핸들(5a)또는(5b)를 계속해서 도어열림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미닫이 도어(100)는 열리게 되는 것
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미닫이 도어(100)를 연 다음 도어핸들(5a)또는(5b)를 밀어주던 손을 놓아주거나 또는 도
어핸들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력으로 압축되어 있던 메인스프링(81) 및 보조스프링(76)의 탄성복원력
에 의하여 잠금바(31)는 안내원통(8)에서 상향으로 출현하게 됨과 동시에 승강축(71)은 승강안내홀(7) 속에서
상승이동하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0049] 상기와 같이 미닫이 도어(100)를 연 상태에서 도어핸들(5a)(5b)에 가하면 힘을 제거하였을 때 메인스프링(8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안내원통(8) 속에서 돌출하는 잠금바(31)는 도어잠금부재(4)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미닫이 도
어(100)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100)는 자동으로 닫히게 될 때에는 미닫이 도
어(100)의 상부로 돌출된 잠금바(31)는 도어잠금부재(4) 쪽으로 이동하여 절개부(43)의 개구측으로 진입하게 되
는데, 이때 미닫이 도어(100)가 자동으로 닫히는 힘은 상기 도어잠금부재(4)에 형성된 한 쌍의 개폐작동간(44)
각각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토션스프링(45)의 탄력보다 강하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
는 잠금바(31)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절개부(43)의 개구측으로 진입하면서 한 쌍의 개폐작동간(44)을 가상선표
시와 같이 양측으로 벌려주면서 폐구측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잠금바(31)가 절개부(43)의 폐구측으로
완전히 진입하는 상태가 되면 한 쌍의 개폐작동간(44)은 토션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절개부(43)를 향
해 회전작동하여 도 6의 실선표시와 같이 절개부(43)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0050] 그리고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100)의 내측에 있는 사용자가 미닫이 도어(100)를 일시적으로 열지 못하게 할 때
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일측 도어핸들(5a)의 핸들커버(51)에 돌출되어 있는 보조잠금봉(9)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보조잠금봉(9)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구동기어(6)의 키홈(62)에 끼이게 되면서 미닫이 도어(100)를 잠긴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미닫이 도어(100)의 양측 도어핸들(5a)(5b)은 회전시킬 수 없게 되는데, 이 경
우 미닫이 도어(100)의 내측에 있는 사용자가 보조잠금봉(9)을 잡아당겨서 돌기를 키홈(62)에서 이완시키기 전
까지는 상태가 미닫이 도어(100)를 열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미닫이 도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최소한의
개인 사생활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잠금장치 2 : 도어록 뭉치
21 : 부착부 22 : 부착날개
23 : 몸체 3 : 작동바
31 : 잠금바 32 : 수나사부
4 : 도어잠금부재 41 : 고정몸체
42 : 부착공 43 : 절개부
44 : 개폐작동간 45 : 토션스프링
5a,5b : 도어핸들 51,52 : 핸들커버
53 : 레버축 6 : 구동기어
61 : 기어 63 : 연동기어
64 : 돌출봉 7 : 승강안내홀
71 : 승강축 72 : 진입안내장공
73 : 진출안내장공 74 : 작동안내공
75 : 경사면 76 : 보조스프링
8 : 안내원통 81 : 메인스프링
82 : 부착판 83,85 : 부착공
84 : 회전방지판 86 : 슬라이드 장공
9 : 보조잠금봉

Claims (4)

  1.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 도어에 매설되는 도어록 뭉치와, 상기 도어록 뭉치를 관통하는 레버축의 양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닫이 도어의 내,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도어핸들이 구성되어 있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의 레버축이 관통하며, 상기 레버축과 함께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록 뭉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상방에 위치한 채 도어록 뭉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상단에 원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및 연동기어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승강안내홀과;
    상기 승강안내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안내홀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승강축의 하부에 형성된 작동안내공에
    끼워져 승강축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동기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봉과;
    하단의 수나사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나사조립되며, 상단의 잠금바는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서 출몰하
    도록 미닫이 도어에 매설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잠금바를 상,하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 매설되어 있
    는 안내원통과;
    상기 안내원통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잠금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미닫이 도어의 상부와는 이완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미닫이 도어의 닫힘 작동시에는 상기 잠금바를 구
    속하는 도어잠금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의 작동안내공은 진입안내장공을 통해 연동기어의 돌출봉이 끼워지는 입구는 좁고 진출안내공과 연
    통하는 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반자
    동 미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은 작동바의 잠금바를 탄력지지하는 메인스프링에 비하여 탄성력이 약한 보조스프링으로 탄력 설치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부재는 미닫이 도어의 상방에 부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도어열림방향으로는 개구되
    고 닫힘방향으로는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기준하여 고정몸체의 저부 양측에 회
    전단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단은 토션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작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개폐작동간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1020160095175A 2016-07-27 2016-07-27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180012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75A KR20180012415A (ko) 2016-07-27 2016-07-27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75A KR20180012415A (ko) 2016-07-27 2016-07-27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415A true KR20180012415A (ko) 2018-02-06

Family

ID=6122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175A KR20180012415A (ko) 2016-07-27 2016-07-27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815A (ko) 2018-09-28 2021-06-0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815A (ko) 2018-09-28 2021-06-0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087B1 (en) Lock mechanism
US10876324B2 (en) Multipoint lock
EP1657383B1 (en) Self-latching device for fastening a hinged closure member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468950B1 (ko)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의 도어 레버록 장치
CA3026762C (en) Sash and frame latching assembly and methods for same
KR20180012415A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110030258A (ko) 안전문
EP2937496A1 (en) Operating handle for a folding/sliding door
US20170081887A1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KR20060017478A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KR10177906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핸들 레버록 장치
AU2016261123A1 (en) Anti-barricade door system
KR20130110322A (ko)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 도어의 레버록 장치
KR100325842B1 (ko) 기밀 가능한 도어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EP0777030A1 (en) Sliding door and handling jamb therefor
US7246829B1 (en) Sliding door latch for handicapped people
CN110984800B (zh) 一种逃生门
CN215979149U (zh) 一种具有指示作用的安全门栏
JP4570079B2 (ja) 仮設置用襖
RU2724608C1 (ru) Замок
KR101982099B1 (ko) 건축용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20080070982A (ko) 창문용 록킹장치
JP2004218191A (ja) プッシュプル錠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