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842B1 - 기밀 가능한 도어 - Google Patents

기밀 가능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842B1
KR100325842B1 KR1019990045420A KR19990045420A KR100325842B1 KR 100325842 B1 KR100325842 B1 KR 100325842B1 KR 1019990045420 A KR1019990045420 A KR 1019990045420A KR 19990045420 A KR19990045420 A KR 19990045420A KR 100325842 B1 KR100325842 B1 KR 10032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upper frame
airtigh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748A (ko
Inventor
정향임
Original Assignee
정향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향임 filed Critical 정향임
Priority to KR101999004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8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문틀이 없는 도어에 있어서, 실내와 실외와의 도어 하부에 발생하는 틈새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차단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기밀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면 중 형성한 채널형 상부; 하부에 내향 형성하여 상기 상부 삽입되어 가능한 채널형하부 프레임 하부 길이방향 걸어 맞추어지는 형성한 기밀부재와; 전면이 도어의 그 하부가 상기 상부 고정되며, 전면에 노출된 조정에 따라 작동자를 갖는 민고두 꽂; 상기 조정에 따라 작동자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상부 홀에 관통되는 상하에 나사부를 갖는 탭봉과; 상기 탭봉의 하부가 하부 프레임과 동시에 그 개구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탭봉의 하부 나사부에 결합되는 고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밀 가능한 도어{AIRTIGHT DOOR}
본 발명은 건축물에 있어서 각각의 방과 로비 등의 실들에서, 출입과 개폐를 담당하는 출입구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에 문틀이 없는 도어에 있어서, 실내와 실외와의 도어 하부에 발생하는 틈새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차단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기밀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축물에서 다른 예의 의해 차단된 실내와의 유통을 이루고, 필요에 따라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도어는 통상 문지방을 포함한 도어 틀과, 도어의 전 둘레 선단이 그 개폐에 따라 기밀을 이루게 한 것이 있으나, 대부분의 사무용 또는 업무용 건축물다른 예의지방이 없이, 다른 예의 문틀에 경첩 등으로 다른 예의 도어의 상부와 다른 예의 기밀을 유지할 뿐이다.
전자와 같은, 개인 주택의 경우에는 문지방이 있는 도어설치를 하는데, 이는 사생활 다른 예의 측면에서의 방음에 그 이유가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핵가족화 되어 있는 현 추세에서 그 목적에는 합리성이 없고, 오히려 사람이 유출입 할 때 발이 문지방에 걸려 불편한 것으로, 특히 걸음마를 배우는 유아나,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게는 물론 어른들도 발가락을 다치는 안전사고가 비일비재하다.
실제로 아파트 등에서 개축공사를 할 때 문지방을 없애는 추세에서도 이점을 파악할 수가 있다.
한편 사무실 등 업무용 등과 같은 후자의 도어인 경우에, 실내에서 다른 예의 할 때 도어의 하부와 실내의 바닥 사이의 틈새로 열량의 유출이 많아 에너지가 다른 예의 문제점이 있고, 방음 등의 기밀유지에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지방이 없는 다른 예의 설치되는 도어의 하부에 간단히 부착 설치되어 도어 하부와 실의 다른 예의 기밀을 유지하기에 적당하고, 실내의 다른예의 또는 중요한 다른 예의, 필요에 따라 다른 예의 다른 예의 수 있도록 한 도어다른 예의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면 중앙에 홀을 형성한 채널형 상부 다른 예의;
하부에 내향 다른 예의 형성하여 상기 상부 다른 예의 삽입되어 다른 예의 가능한 채널형 하부 다른 예의;
상기 하부 다른 예의 길이방향 다른 예의 걸어 맞추어지는 다른 예의 형성한 기밀부재와;
전면이 도어의 하부에 노출되고, 그 하부가 상기 상부 다른 예의 상면에 고정되며, 전면에 노출된 다른 예의 조정에 따라 다른 예의 다른 예의 갖는 다른 예의 다른 예의;
상기 다른 예의 다른 예의 다른 예의 조정에 따라 다른 예의 작동자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다른 예의 상기 상부 다른 예의 홀에 관통되는 상하에 다른 예의 갖는 다른 예의;
상기 다른 예의 하부가 하부 다른 예의 형성되는 다른 예의 다른 예의 가짐과 동시에 그 다른 예의 상면에 다른 예의 형성하여 상기 다른 예의 하부 다른 예의 결합되는 다른 예의 삽입 안착시키는 다른 예의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상부 다른 예의 다른 예의 상기 하부 다른 예의 올라가고 내려감에 따라 다른 예의 대응되는 문틀에서 해제/다른 예의 안전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a는 하부 상승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2b는 하부 하강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하부상태에 따라 연동되는 작동이고, 도 3a는 하부 상승상태이고, 도 3b는 하부 프레임의 하강 상태이다.
도 4는 하부상태에 따라 연동되는 다른 예의 다른 예의 작동 다른 예의, 도 4a는 하부 다른 예의 상승상태이고, 도 4b는 하부 다른 예의 하강상태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D)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면 중앙에 홀(11)을 형성한 채널형 상부 다른 예(10)와;
하부에 내향 걸림턱(2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0)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한 채널형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길이 방향 걸림턱(21)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림홈 (31)을 형성한 기밀부재(30)와;
전면이 도어(D)의 하부에 노출되고, 그 하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며, 전면에 노출된 작동노브(41)의 조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자(42)를 갖는 민고두 꽂이쇠(40)와;
상기 민고두 꽂이쇠(40) 작동노브(41)의 조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자(42)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홀(11)에 관통되는 상하에 나사부(51,52)를 갖는 탭봉(50)과;
상기 탭봉(50)의 하부가 하부 프레임(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일측으로 개구 (22)를 가짐과 동시에 그 개구(22) 상면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상기 탭봉(50)의 하부 나사부(52)에 결합되는 고정쇠(24)를 삽입 안착시키는 착탈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가적으로 도 1 및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20)이 상부 프레임에 내삽된 상태로 내려가고 올라감에 따라 걸림쇠가 대응되는 문틀에서 잠금/해제되는 안전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그 양측에 원활한 작동을 위한 스프링(S)을 개재하고, 상부 프레임의 양측 마구리는 캡(50) 등으로 막힌 구조가 될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60A)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일측의 하부 프레임(20) 상부 전후로 입설되는 한 쌍의 제 1 래크(61)와, 상부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피니언(P)과, 상기 피니언의 상부로 치합되고, 선단에 형성된 잠금쇠(62R)가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으로 출몰되게 한 제 2 래크(62)의 가이드홈(62a)으로, 설치대(W)에 고정된 가이드봉(62b)이 안내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60S)을 탄설한 구성으로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의 안전장치(60B)는 다른 예의 도면으로써, 일측의 하부 프레임(20) 상부 전후로 입설되는 한 쌍의 래크(61)를 갖는 것은 상기의 예와 같고,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으로 출몰되는 잠금쇠(72R)는 기존의 실린더식 잠금구(70)의 키홀(71)을 갖는 하우징을 피니언(P)으로 구성하여, 상기 래크(61)와 치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L은 상기 실린더식 잠금구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 즉 도어의 하부 기밀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써, 민고두 꽂이쇠(40)의 작동노브(41)는 상부로 재껴져 있는 상태로써 , 작동자(42)와 그 하부에 나사결합된 탭봉(50)은 하강된 상태로써, 하부 프레임 (20)의 개구(22) 안쪽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쇠(24)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20)을 하강시킨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20)의 걸림턱(21)에 결합되어 있는 기밀부재(30)는 바닥에 밀착되어 있어서 도어와 바닥사이를 기밀하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이 기밀부재(30)는 마모에 따라 분리해 내고, 하부 프레임(20)의 걸림턱(21)에 걸림홈(31)을 안내시키며 삽입하여,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원활한 교체를 위해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을 분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 캡(50)을 제거하고 하부 프레임 (20)을 잡아당김에 따라 탭봉(50) 하단에 고정된 고정쇠(24)가 상대적으로 개구 (2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 하부 프레임(20)의 분리가 되어, 쉬운 기밀부재 (30)의 교체를 할 수 있게 된다.(도 1에서 래크(61)가 없는 상태 참조)
물론 이때에는 기밀부재(30)가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을 열게 되면 마찰 소음이 날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기의 안전장치에 의해 해결될 것이며, 상기의 내용은 하나의 필수 구성요소로써 도어와 유사한(자주 개폐하지 않는 도어 등) 다른 개폐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밀상태에서 안전장치(60A,60B)의 잠금쇠(62R,72R)는 돌출되어 문틀과 고정된 상태로써, 이때는 도어(D)를 열 수가 있는 상태라도 잠금되어 열 수가 없는상태로 된다.
이는 기밀상태에서 도어가 열림되면, 바닥과 기밀부재(30)가 마찰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2a는 본 발명의 기밀수단이 해제된 상태로써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밀상태에서 민고두 꽂이쇠(40)의 작동노브(41)를 하부로 재껴지게 작동시키면, 작동자(42)와 그 하부에 나사결합된 탭봉(50)이 상승되면서 하부 프레임 (20)의 개구(22) 안쪽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쇠(24)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2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20)의 걸림턱(21)에 결합되어 있는 바닥에 밀착된 기밀부재(30)는 도어(D)와 바닥사이를 유격시킨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는 아무런 장애가 없이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안전장치(60A,60B)는 그 잠금쇠(62R,72R)가 도 3a 및 도 4a에서와 같이 도어의 문틀로부터 빠져나와 도어의 개폐를 자유롭게 한다.
한편 하부 프레임(20)의 승강에 따른 본 발명의 안전장치(60A)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 프레임(20)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잠금쇠(62R)는 돌출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속하고 있다.
따라서 해제, 즉 하부 프레임(20)이 상승함에 따라 입설된 한 쌍의 제 1 래크(61)가, 상부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피니언(P)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피니언(P)이 제 2 래크(62)를 끌어당김으로써, 선단에 형성된 잠금쇠(62R) 가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서 안으로 삽입되면서,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자유롭게 된다.
이때 제 2 래크(62)와 설치대(W) 사이의 가이드 홈(62a)과 가이드 봉(62b)은 작동안내의 역할을 하고, 스프링(60S)은 기어의 백 래쉬 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등 원활한 동작력을 부여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안전장치(60B)의 다른 예의 도면으로써, 잠금쇠(72R)는 돌출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속하고 있다.
따라서, 해제 즉 하부 프레임(20)이 상승함에 따라 입설된 한 쌍의 래크(61)가, 피니언(P)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기존의 실린더식 잠금구(70)의 링크작용에 의해 잠금쇠(72R)를 당겨서 도어의 개폐를 자유롭게 한다.
한편 상기의 예에서는 래크(61)의 구성이 필요 없이 종래와 같이 잠금구(70)의 키홀(71)에 키를 이용하여 수동식으로 개폐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것이다. 상기 안전장치의 잠금작용은 상기 설명의 역순으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문지방이 없는 도어틀에 설치되는 도어의 하부에 간단히 부착 설치되어 도어 하부와 실의 바닥면과의 기밀을 유지하기에 적당하고, 실내의 냉,난방시 또는 중요한 회의시, 필요에 따라 승강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를 제공하여 주택의 도어를 혁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면 중앙에 홀(11)을 형성한 채널형 상부 프레임(10)과;
    하부에 내향 걸림턱(2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한 채널형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길이방향 걸림턱(21)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림홈 (31)을 형성한 기밀부재(30)와;
    전면이 도어의 하부에 노출되고, 그 하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며, 전면에 노출된 작동노브(41)의 조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자(42)를 갖는 민고두 꽂이쇠(40)와;
    상기 민고두 꽂이쇠(40) 작동노브(41)의 조정에 따라 승강되는 작동자(42)의 하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홀(11)에 관통되는 상하에 나사부(51,52)를 갖는 탭봉(50)과;
    상기 탭봉(50)의 하부가 하부 프레임(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일측으로 개구 (22)를 가짐과 동시에 그 개구(22) 상면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여 상기 탭봉(50)의 하부 나사부(52)에 결합되는 고정쇠(24)를 삽입 안착시키는 착탈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기밀 가능한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그 양측에 원활한 작동을 위한 스프링(S)을 개재하고, 상부 프레임의 양측 마구리는 캡(50) 등으로 막힌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기밀 가능한 도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20)이 상부 프레임에 내삽된 상태로 내려가고 올라감에 따라 걸림쇠가 대응되는 문틀에서 잠금/해제되는 안전장치(60A)를 구비하되, 이 안전장치는 하부 프레임(20)의 일측 상부 전후로 입설되는 한 쌍의 제 1 래크(61)와, 상부 프레임 (10)에 결합되는 피니언(P)과, 상기 피니언의 상부로 치합되고, 선단에 형성된 잠금쇠(62R)가 상부 프레임의 일측단으로 출몰되게 한 제 2 래크(62)의 가이드홈 (62a)으로 설치대(W)에 고정된 가이드 봉(62b)이 안내됨과 동시에, 스프링(60S)을 탄설한 구성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기밀 가능한 도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20)이 상부 프레임에 내삽된 상태로 내려가고 올라감에 따라 걸림쇠가 대응되는 문틀에서 잠금/해제되는 안전장치를 구성하되, 이 안전장치(60B)는 하부 프레임(20)의 일측 상부 전후로 입설되는 한 쌍의 래크(61)와, 상부 프레임(10)의 일측단으로 출몰되는 잠금쇠(72R)는 기존의 실린더식 잠금구(70)의 키홀(71)을 갖는 하우징의 둘레에 전후로 연장된 피니언(P)을 형성하여, 상기 래크와 치합되게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기밀 가능한 도어.
KR1019990045420A 1999-10-19 1999-10-19 기밀 가능한 도어 KR10032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20A KR100325842B1 (ko) 1999-10-19 1999-10-19 기밀 가능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20A KR100325842B1 (ko) 1999-10-19 1999-10-19 기밀 가능한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48A KR20010037748A (ko) 2001-05-15
KR100325842B1 true KR100325842B1 (ko) 2002-03-07

Family

ID=1961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20A KR100325842B1 (ko) 1999-10-19 1999-10-19 기밀 가능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94B1 (ko) 2013-08-02 2013-09-13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WO2017057983A1 (ko) * 2015-10-02 2017-04-06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75193Y (es) * 2011-05-25 2011-11-16 Sepulveda Jaime Mercader Dispositivo para la transmision del movimiento de cierre en ventanas correderas
KR102104643B1 (ko) * 2019-05-07 2020-04-24 최영식 문턱없는 전자기파 차폐 도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94B1 (ko) 2013-08-02 2013-09-13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WO2017057983A1 (ko) * 2015-10-02 2017-04-06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CN106560589A (zh) * 2015-10-02 2017-04-12 车庆翊 窗户用防风部件及具备其的窗户
CN106560589B (zh) * 2015-10-02 2018-04-03 车庆翊 窗户用防风部件及具备其的窗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48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534A (en) Lock mechanism
US6276091B1 (en) Sliding glass door assembly having glass doors which are lockable together to slide as a unit
KR100325842B1 (ko) 기밀 가능한 도어
KR101468950B1 (ko) 무전원 반자동 미닫이의 도어 레버록 장치
KR100919233B1 (ko)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EP0777030A1 (en) Sliding door and handling jamb therefor
US3870353A (en) Latches
KR20000006104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100277199B1 (ko) 방범창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090089227A (ko) 길이가 조절되는 문의 잠금장치
US4606145A (en) Shutter-type window panel
US7246829B1 (en) Sliding door latch for handicapped people
US4872326A (en) Three stage combination replacement lock
KR20180012415A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200182658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0873735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80070982A (ko) 창문용 록킹장치
KR102226822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102442051B1 (ko) 잠김방지 기능을 갖는 창호개폐장치
KR102669388B1 (ko) 미닫이식 창호의 잠금장치
CN218912551U (zh) 一种窗户儿童安全锁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