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894B1 -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 Google Patents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894B1
KR101307894B1 KR1020130091989A KR20130091989A KR101307894B1 KR 101307894 B1 KR101307894 B1 KR 101307894B1 KR 1020130091989 A KR1020130091989 A KR 1020130091989A KR 20130091989 A KR20130091989 A KR 20130091989A KR 101307894 B1 KR101307894 B1 KR 10130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rizontal
vertical
ge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익
Original Assignee
차경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익 filed Critical 차경익
Priority to KR102013009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94B1/ko
Priority to CN201410363104.9A priority patent/CN104343367A/zh
Priority to JP2014154510A priority patent/JP201503115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20)에 설치되어 창과 창틀(30)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창문용 방풍 부재(100)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110)와, 케이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창과 창틀의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수직이동부(120)와, 수직이동수단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레일과 창틀의 바닥면 및 레일과 인접한 다른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차폐하는 수평이동부(130) 및 수직이동수단 및 수평이동수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WIND-BREAK SUBSIDIARY MATERIALS FOR WINDOWS AND WINDOW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풍 부재를 창문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신설 창문은 물론 기 설치된 창문에도 추가로 설치 가능한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채광이나 통풍 및 외부 조망의 목적으로 건물 등의 벽이나 지붕에 설치되는 문으로서, 미닫이방식의 단창 또는 이중창이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이하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창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방식 창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미닫이방식 창문은 통상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에 유리가 배치된 한 쌍의 창(20, 40)이 창을 닫은 때에 길이방향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창틀(30)에 배치된다.
창틀(30)은 한 쌍의 창(20, 40)을 내부에 수용하며, 한 쌍의 창(20, 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사각형상을 갖는다. 또, 한 쌍의 창(20, 40)이 창틀(3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레일(33, 34)이 창틀(30)의 상단 및 하단 안쪽의 양면에 설치되고, 한 쌍의 창(20, 40)의 레일(33, 3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개 이상의 롤러(27, 27)가 설치되어서, 롤러(27, 27)가 레일(33, 34) 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창(2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 쌍의 창(20, 40)이 창틀(30)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창(20)과 창(20) 사이, 창(20)과 레일(33) 사이, 창(20)과 롤러(27) 사이, 한 쌍의 레일(33)과 레일(33) 사이에는 최소한의 간격이 있을 수밖에 없고,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이들 간격을 통해서 실내 및 실외 간에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따라서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실외의 열이나 냉기가 실내로 유입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 쌍의 창(20)과 창(20)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창(20)과 창(20)이 중첩되는 부분에 기밀용 모를 설치하고, 창이 폐쇄된 상태에서 걸쇠 등에 의해 한 쌍의 창(20)과 창(20)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실내외에서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차폐방식이다.
또, 창과 롤러 사이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도 2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창문의 방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특허문헌 1의 창문은 창과 롤러(320) 사이의 간격을 메울 수 있도록 다수의 모발로 이루어지는 기밀용 모(214)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비교적 길이가 긴 다수의 모발에 의해 창과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부 메워줄 수 있을 뿐으로,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및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기밀용 모는 창문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기 설치된 창문에 이 기능을 추가로 설치할 수는 없다는 문제도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도 3은 특허문헌 2의 창틀 방풍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특허문헌 2의 방풍 부재는 창틀의 한 쌍의 레일(330a, 330b) 사이의 간격부분에서 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420) 및 지지부에 고정되며 창의 양측과 접촉하는 한 쌍의 모 헤어(424, 428)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방풍 부재는 한 쌍의 창과 창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것이며,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및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방풍 부재는 미닫이방식 창문의 창과 창 사이에 배치므로 창의 개폐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일정한 폭을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오히려 한 쌍의 창과 창 사이의 간격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2012-27745호 공보(2012. 3. 22. 공개)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2012-97627호 공보(2012. 9. 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및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방풍 부재 및 이 방풍 부재를 갖는 창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 설치된 창문에 본 발명의 방풍 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방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 부재는, 창에 설치되어 창과 창틀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창문용 방풍 부재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창과 상기 창틀의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 내에 수용되며,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레일과 상기 창틀의 바닥면 및 상기 레일과 인접한 다른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차폐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 및 상기 수평이동수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수단은 조작용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수직이동용 기어를 가지고,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수평이동용 기어를 가지며, 상기 수직이동용 기어가 상기 기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직이동수단이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수평이동용 기어가 상기 기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이동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하단부의 상기 레일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모 헤어로 이루어지는 제 1 수직 차폐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제 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기 제 1 수평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 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부의 연장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2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수평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평부의 상기 창틀의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면 및 상기 다른 레일과 접하는 면은 모 헤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창문은, 상기 창문용 방풍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창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창문의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및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풍 부재는 신설 창문은 물론 기 설치된 창문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방식 창문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창문 방풍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창틀 방풍 부재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5의 A-A선에서 절단한 절단면도,
도 6은 조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방풍 부재를 창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5의 A-A선에서 절단한 절단면도, 도 6은 조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방풍 부재를 창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방풍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100)는 케이스(110)와 수직 이동부(120)와 수평 이동부(130) 및 조작부(140)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수직」 또는 「수직방향」이라는 용어는 통상의 미닫이방식 창문에서의 세로방향을 의미하고, 또, 「수평」 또는 「수평방향」이라는 용어는 통상의 미닫이방식 창문에서의 가로방향을 의미한다.
케이스(1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에 수직 이동부(120)와 수평 이동부(130) 및 조작부(140)가 각각 수용된다.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는 6면 중 후술하는 창틀(30)의 바닥 면과 인접하는 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5면은 기본적으로는 폐쇄된 구조이며, 박닥면 측의 창틀(30)의 레일(3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레일(3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레일 홈(112)을 갖는다.
수직 이동부(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어서, 후술하는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케이스(110) 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형상은 기본적으로는 케이스(11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직 이동부(120)의 수직방향의 한쪽 면은 상기 케이스(110)의 한쪽 내면과 접하고, 반대쪽 면의 수직 이동부(120)가 하강한 때에 하단부의 일부가 창틀(30)의 레일(33)의 한쪽 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 1 수직 차폐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하강시에 창틀(30)의 바닥면과 접하는 측의 면에는 제 1 수평 차폐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수직 차폐부(123)와 제 1 수평 차폐부(128)는 모 헤어 등 창틀(30)의 바닥면 및 레일(33)과 부드러우면서도 기밀이 최대한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레일과 창 사이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 헤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와 같은 모헤어를 포함하여, 창틀(30)의 바닥면 및 레일(33)과 부드러우면서도 기밀이 최대한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 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수직 이동부(120)의 상기 레일(33)의 한쪽 면과 접하는 방향의 면의 수직방향의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조작부(140)의 기어(142b)와 결합하는 수직이동용 기어(122)가 배치되고, 상부 면은 돌기(124)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 단이 케이스(110)의 상부 측 내면의 미 도시의 돌기에 삽입된 (12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케이스(110)의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수직 면의 안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용 레일이 형성되고(미 도시), 이 레일을 따라서 수직 이동부(120)의 수직 이동이 가이드 된다.
또, 수직 이동부(120)의 하단 면 전체 및 하단부 측이 상기 레일(33)과 접하는 면의 반대쪽 면으로서 후술하는 수평 이동부(130)의 제 2 수직 차폐부(137)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위는 개방되어 있고, 이 부분이 하단 개방부(126)가 된다. 또, 후술하는 수평 이동부(130)의 제 1 수평부(131)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도 개방되어 있고, 이 부분이 상단 개방부(127)가 되며, 하단 개방부(126) 및 상단 개방부(127)에 의해 후술하는 수평 이동부(130)의 수직 이동이 가이드 된다.
수평 이동부(130)는 기본적으로는 수직 이동부(120)의 내부에 수용되며, 수평 이동부(130)는 상단부의 상기 수직 이동부(120)의 상단 개방부(12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부(131)와, 제 1 수평부(131)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제 1 수평부(131)와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132) 및 수직부(132)의 상기 제 1 수평부(131)의 반대쪽에서 수직부(132)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수평부(131)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수평부(133)를 갖는다.
도 5 등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2 수평부(133)는 직육면체 등의 육면체 형상을 하며, 창틀(30)의 바닥면 측의 면으로서 스프링(138)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 2 수평 차폐부(135)와, 수직 이동부(120)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부(130)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한 때에 인접하는 다른 레일(33)과 접하는 면인 제 2 수직 차폐부(137)와, 창틀(30)의 바닥면과 반대쪽 면인 상부 차폐부(136) 이에 의해 제 2 수평부(133)의 3개 면은 표면이 모 헤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수평 이동부(130)의 제 2 수평부(133)의 제 2 수평 차폐부(135)와 상부 차폐부(136) 및 제 2 수직 차폐부(137)의 표면이 각각 모 헤어 등 창틀(30)의 바닥면 및 레일(33) 등과 부드러우면서도 기밀이 최대한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면으로 되어 있고, 제 2 수평 차폐부(135) 및 제 2 수직 차폐부(137)에 의해 창틀(30)의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레일(33, 34)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가 폐쇄되고, 또, 상부 차폐부(136)에 의해 한 쌍의 창(20)과 창(40)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도 폐쇄되며,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수평 이동부(130)의 상기 제 1 수평부(131)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140)와 결합하는 수평이동용 기어(134)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40)는 수직 이동부(120)의 수직이동용 기어(122) 및 수평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수직 이동부(120) 및 수평 이동부(130)를 각각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조작부(140)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일단이 케이스(110)의 안쪽 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스(110) 내로 연장하며 내부가 빈 통 형상의 가이드(145)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145)에 삽입되어 도 6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이동체(142) 및 이동체(142)의 타단에 결합되는 조작손잡이(141)를 갖는다.
이동체(142)의 대략 중앙부에는 수직 이동부(120)의 수직이동용 기어(122) 및 수평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기어(142b)가 배치되고, 이동체(144)의 타단은 숫나사(142a)로 되어 있으며, 이 숫나사(142a)가 조작손잡이(141) 내에 형성된 암나사(141a)와 결합한다.
여기서, 제 2 수평 차폐부(135)의 모 헤어의 모의 길이는 제 1 수평 차폐부(128)의 전체 높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후술한다.
조작손잡이(141)는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둘레부분에 오목홈이 형성되어서, 이 오목홈이 케이스(1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형상으로 결합하며, 조작손잡이(141)의 암나사(141a)는 이동체(142)의 숫나사(142a)와 나사결합을 하고 있고, 암나사(141a)와 숫나사(142a)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조작손잡이(141)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체(14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양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이에 의해 기어(142b)도 화살표 A 방향으로 양방향 직선운동을 한다.
또, 조작손잡이(141)의 암나사(141a)와 이동체(142)의 숫나사(142a)의 나사결합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간격 a를 가지며, 이 간격 a만큼 기어(142b)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양방향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와 같이, 조작손잡이(141)의 암나사(141a)와 이동체(142)의 숫나사(142a)가 간격 a를 갖는 상태에서는 기어(142b)는 수직 이동부(120)의 수직이동용 기어(122)와는 서로 결합하고, 수평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용 기어(134)와는 결합하지 않는 배치관계를 가지며, 기어(142b)와 수직이동용 기어(122)가 결합한 상태에서 조작손잡이(141)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숫나사(142a)와 결합하고 있는 수직이동용 기어(12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수직이동용 기어(122)와 결합하고 있는 수직 이동부(120)도 화살표 B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또, 조작부(140)의 조작손잡이(141)를 계속해서 회전시켜 이동체(142)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조작손잡이(141) 측으로 간격 (a-b)만큼 이동하면, 도 6의 (b)와 같이 기어(142b)와 수직이동용 기어(122)의 결합이 해제되고, 대신 수평 이동부(130)의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결합하며, 조작손잡이(141)를 더 회전시키면 수평이동용 기어(134) 및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결합된 수평 이동부(130)가 수평이동을 한다.
반대로, 조작부(140)의 조작손잡이(141)를 앞에서 설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동작과는 역순으로, 즉, 먼저 수평이동용 기어(134) 및 이와 결합된 수평 이동부(130)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고, 이어서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기어(142b)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수직이동용 기어(122)와 기어(142b)가 결합하여 수직이동용 기어(122) 및 이와 결합하고 있는 수직 이동부(120)가 상기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수직이동을 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100)가 창(20)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방풍 부재(100)는 미딛이방식 창문이 폐쇄된 위치에서 한 쌍의 창(20, 40)의 프레임부분이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어느 한 창(20)의 하단부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다.
도 7은 방풍 부재(100)의 수직 이동부(120)가 완전히 수직방향 하단으로 이동하고, 수평 이동부(130)가 수평방향 우측단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창(20)과 레일(33) 사이, 창(20)과 창틀(30)의 바닥면 사이 및 한 쌍의 레일(33)과 레일(34) 사이의 공기이동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제 1 수직 차폐부(123), 제 1 수평 차폐부(128), 제 2 수평 차폐부(135), 제 2 수직 차폐부(137) 및 상부 차폐부(136)에 의해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 및 한 쌍의 창(20)과 창(40)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완전히 차폐된 상태를 보여준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방풍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수직 이동부(120) 수평 이동부(130)이 모두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b)는 수직 이동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c)는 수직 이동부(12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부(1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동작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도 8의 (a)와 같이, 수직 이동부(120)는 케이스(110) 내의 최상단 측으로 이동하고 있고, 수평 이동부(130)는 케이스(110) 내의 가장 좌측단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140)의 조작손잡이(14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작부(140)의 기어(142b)와 결합하고 있는 수직이동용 기어(12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하며, 이에 따라 수직이동용 기어(122)와 결합하고 있는 수직 이동부(120) 전체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수평 차폐부(128)가 창틀(30)의 바닥면과 접하고, 이 상태에서 이동을 멈춘다.
이에 의해 모 헤어 등으로 구성된 제 1 수평 차폐부(128)는 창틀(30)의 바닥면과 접하고 제 1 수직 차폐부(123)는 한 쌍의 레일(33, 34)의 한쪽 레일(33)과 접하게 된다(도 8 (b) 참조).
계속해서 조작부(140)의 조작손잡이(1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142b)와 수직이동용 기어(122)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어서 기어(142b)가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결합되며(도 6 참조), 조작손잡이(141)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용 기어(134)와 결합하고 있는 수평 이동부(130)가 수평방향인 도 8 (c)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평 이동부(130)의 제 2 수직 차폐부(137)가 레일(34)의 측면과 접하면 이동을 멈춘다(도 8 (c) 참조).
여기서, 제 2 수평 차폐부(135)는 스프링(138)에 의해 창틀(30)의 바닥면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또,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수평 차폐부(135)는 제 1 수평 차폐부(128)에 비해 높이가 높으므로 수평 이동부(130)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면 제 2 수평 차폐부(135)는 창틀(30)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창과 레일 사이 및 창과 롤러 사이의 공기 이동통로가 폐쇄되는 동시에, 한 쌍의 레일(33, 34) 사이의 공기 이동통로가 폐쇄된다. 또, 상부 차폐부(136)에 의해 한 쌍의 창(20)과 창(40) 사이도 폐쇄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방풍 부재(100)를 창(20)의 하단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창(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에 설치하면 창문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을 더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방풍 부재(100)를 창(20)의 상단부에도 설치하는 경우에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풍 부재(100)의 설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수직 이동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수평 이동부(1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순서는 반대가 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기어(142b)와 수직이동용 기어(122) 및 수평이동용 기어(134)의 위치관계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창(20)의 개폐 시에는 수직 이동부(120) 및 수평 이동부(130)는 초기 위치(도 8의 (a)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이동부(120)의 레일(33)과 접하는 면 및 수평 이동부(130)의 창틀(30)의 바닥면 및 인접하는 다른 레일(33)과 접하는 면이 모 헤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8의 (b)의 위치에 있는 상태, 또는 도 8 (c)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창(20)의 개폐가 가능하다.
100 방풍 부재
110 케이스
120 수직 이동부
121 수직이동체
122 수직이동용 기어
123 제 1 수직 차폐부
128 제 1 수평 차폐부
130 수평 이동부
131 제 1 수평부
132 수직부
133 제 2 수평부
134 수평이동용 기어
135 제 2 수평 차폐부
136 상부 차폐부
137 제 2 수직 차폐부
140 조작부
141 조작손잡이
142 이동체
142b 기어
145 가이드

Claims (5)

  1. 창에 설치되어 창과 창틀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창문용 방풍 부재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창과 상기 창틀의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폐쇄하는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 내에 수용되며,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레일과 상기 창틀의 바닥면 및 상기 레일과 인접한 다른 레일 사이의 공기이동통로를 차폐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 및 상기 수평이동수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창문용 방풍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조작용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수직이동용 기어를 가지고,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수평이동용 기어를 가지며,
    상기 수직이동용 기어가 상기 기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직이동수단이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수평이동용 기어가 상기 기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이동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창문용 방풍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하단부의 상기 레일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모 헤어로 이루어지는 제 1 수직 차폐부를 갖는 창문용 방풍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제 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기 제 1 수평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 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부의 연장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2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수평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수평부의 상기 창틀의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면 및 상기 다른 레일과 접하는 면은 모 헤어로 형성되는 창문용 방풍 부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창문용 방풍 부재를 갖는 창문.
KR1020130091989A 2013-08-02 2013-08-02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10130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989A KR101307894B1 (ko) 2013-08-02 2013-08-02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CN201410363104.9A CN104343367A (zh) 2013-08-02 2014-07-28 窗户用防风部件及具有该窗户用防风部件的窗户
JP2014154510A JP2015031150A (ja) 2013-08-02 2014-07-30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989A KR101307894B1 (ko) 2013-08-02 2013-08-02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894B1 true KR101307894B1 (ko) 2013-09-13

Family

ID=4945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989A KR101307894B1 (ko) 2013-08-02 2013-08-02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031150A (ko)
KR (1) KR101307894B1 (ko)
CN (1) CN104343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75B1 (ko) 2013-02-01 2014-06-12 보령제약 주식회사 방풍 슬라이더 및 방풍 슬라이더가 구비된 출입문
KR101523639B1 (ko) * 2015-04-14 2015-05-29 조석민 승강 가능한 모헤어가 구비된 창문 프레임
KR101587186B1 (ko) 2015-10-02 2016-01-20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101609579B1 (ko) * 2015-10-13 2016-04-20 차정윤 방풍 부재를 갖는 창
KR20180001447U (ko) 2016-11-07 2018-05-16 유효상 미서기창의 방풍 및 스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77B1 (ko) * 2015-03-26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842B1 (ko) 1999-10-19 2002-03-07 정향임 기밀 가능한 도어
KR100490338B1 (ko) 2003-04-08 2005-05-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창호 상하부 밀폐장치
KR101023229B1 (ko)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소음차단기능이 있는 건축물 문의 스톱퍼 구조
KR101146289B1 (ko) 2011-04-28 2012-05-17 이금로 창문 이탈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9A (ja) * 1992-06-19 1994-01-11 Fujisaki Denki:Kk 室外の温度並びに雨に反応して既存の窓を開閉することにより、室外と室内の通風を制御する装置
KR100549176B1 (ko) * 2005-10-21 200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CN200971734Y (zh) * 2006-11-24 2007-11-07 赖仕佑 上滑道防脱落阻风块
KR100838595B1 (ko) * 2007-01-22 2008-06-19 손제익 기밀부재 보호기능을 갖는 창문용 방풍부재
CN201155268Y (zh) * 2007-10-05 2008-11-26 彭兴勇 一种自带隐形纱窗的高密封性推拉窗
CN102733714B (zh) * 2012-07-09 2015-07-29 青岛金百诚工贸有限公司 会呼吸的门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842B1 (ko) 1999-10-19 2002-03-07 정향임 기밀 가능한 도어
KR100490338B1 (ko) 2003-04-08 2005-05-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창호 상하부 밀폐장치
KR101023229B1 (ko)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소음차단기능이 있는 건축물 문의 스톱퍼 구조
KR101146289B1 (ko) 2011-04-28 2012-05-17 이금로 창문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75B1 (ko) 2013-02-01 2014-06-12 보령제약 주식회사 방풍 슬라이더 및 방풍 슬라이더가 구비된 출입문
KR101523639B1 (ko) * 2015-04-14 2015-05-29 조석민 승강 가능한 모헤어가 구비된 창문 프레임
KR101587186B1 (ko) 2015-10-02 2016-01-20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WO2017057983A1 (ko) * 2015-10-02 2017-04-06 차경익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101609579B1 (ko) * 2015-10-13 2016-04-20 차정윤 방풍 부재를 갖는 창
WO2017065499A1 (ko) * 2015-10-13 2017-04-20 차정윤 방풍 부재를 갖는 창
KR20180001447U (ko) 2016-11-07 2018-05-16 유효상 미서기창의 방풍 및 스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3367A (zh) 2015-02-11
JP2015031150A (ja)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894B1 (ko)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US8991099B1 (en) Double acting patio door
CN104884726A (zh) 隔热性提高的滑动窗
KR101280118B1 (ko) 수평밀착창호
KR20110090253A (ko) 방화문의 가스켓 오토씰링 장치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202093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KR101945087B1 (ko) 창호 조립체
KR100748220B1 (ko) 수배전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09579B1 (ko) 방풍 부재를 갖는 창
KR101587186B1 (ko) 창문용 방풍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문
KR20130033065A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JP6422719B2 (ja) 換気装置付き建具
KR20140109621A (ko)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JP6999476B2 (ja) 建具
KR102101247B1 (ko) 무레일 창호
JPS634794Y2 (ko)
WO2009014489A1 (en) A device for closing an opening of a storage space
KR20110053529A (ko)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JP6851912B2 (ja) 建具
JP2019127778A (ja) 間仕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