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176B1 -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176B1
KR100549176B1 KR1020050099452A KR20050099452A KR100549176B1 KR 100549176 B1 KR100549176 B1 KR 100549176B1 KR 1020050099452 A KR1020050099452 A KR 1020050099452A KR 20050099452 A KR20050099452 A KR 20050099452A KR 100549176 B1 KR100549176 B1 KR 10054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heet
insect screen
upper rail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9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틀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빗물막이를 펼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빗물막이시트(30)가 권취된 권취롤러(32)를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 내부에 설치하고, 상부레일(22)의 상면에 형성한 출입구(24)를 통해 빗물막이시트(30)를 인출하고, 빗물막이시트(30)의 끝에 보강살(34)을 부착하여 상부레일(22)에 상면에 걸리도록 하며, 빗물막이시트(30)를 감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가해주는 태엽스프링(36)을 권취롤러(32)에 설치하고, 보강살(34)의 일측에 결합콘(38)을 설치하며, 내외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벨트(40)를 방충망틀(52)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풀리(42)와 아이들풀리(44)에 감아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방충망틀(52)의 후면에 수직장공(54)을 형성하여 타이밍벨트(40)를 이 수직장공(54)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방충망(50)의 좌우이동에 따라 결합콘(38)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며, 베벨기어(46)(47)를 통해 구동풀리(42)와 연동하는 핸들(60)을 방충망틀(52)의 정면에 설치하고, 빗물막이시트(30)를 리와인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하는 원웨이클러치(70)를 핸들(60)과 베벨기어(46)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방충망,빗물,발코니난간,상부레일,타이밍벨트,원웨이클러치,결합콘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Rainwater Intercep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Balcon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를 보인 전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콘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콘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벨트와 권취롤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웨이클러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발코니난간 22 : 상부레일
24 : 출입구 30 : 빗물막이시트
32 : 권취롤러 34 : 보강살
36 : 태엽스프링 38 : 결합콘
40 : 타이밍벨트 42 : 구동풀리
44 : 아이들풀리 46,47 : 베벨기어
50 : 방충망 52 : 방충망틀
54 : 수직장공 60 : 핸들
70 : 원웨이클러치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충망과 난간에 적용하여 빗물이 실내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틀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빗물막이를 펼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방충망을 개방하면 빗물막이가 자동으로 권취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발코니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난간 바로 뒤에는 창호가 설치되고, 창호에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여름철 해충이나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통풍이 가능하도록 배려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충망은 우천시 난간의 상부레일에 부딪쳐 발코니 또는 실내로 튀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발코니에 놓여 있는 물건이 비에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닫아야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코니난간에 부딪쳐 실내로 튀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빗물막이시트가 권취된 권취롤러를 발코니난간의 상부레일 내부에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상부레일의 상면에 슬릿형태의 출입구를 좌우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 출입구를 통해 상기 빗물막이시트를 인출하고, 이 빗물막이시트의 끝에 보강살을 부착하여 상부레일에 상면에 걸리도록 하며, 빗물막이시트를 감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가해주는 태엽스프링을 권취롤러의 일측단에 설치하고, 상기 보강살의 일측에 결합콘을 설치하며, 내외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벨트를 방충망틀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풀리와 아이들풀리에 감아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방충망틀의 후면에 수직장공을 형성하여 타이밍벨트를 이 수직장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방충망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콘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며, 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풀리와 연동하는 핸들을 방충망틀의 정면에 설치하고, 빗물막이시트를 리와인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하는 원웨이클러치를 핸들과 베벨기어 사이에 설치하여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막이시트(30)가 권취된 권취롤러(32)를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 내부에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상부레일(22)의 상면에 슬릿형태의 출입구(24)를 좌우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 출 입구(24)를 통해 상기 빗물막이시트(30)를 인출하고, 이 빗물막이시트(30)의 끝에 보강살(34)을 부착하여 상부레일(22)에 상면에 걸리도록 하며, 빗물막이시트(30)를 감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가해주는 태엽스프링(36)을 권취롤러(32)의 일측단에 설치하고, 상기 보강살(34)의 일측에 결합콘(38)을 설치하며, 내외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벨트(40)를 방충망틀(52)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풀리(42)와 아이들풀리(44)에 감아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방충망틀(52)의 후면에 수직장공(54)을 형성하여 타이밍벨트(40)를 이 수직장공(54)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방충망(50)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콘(38)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며, 베벨기어(46)(47)를 통해 상기 구동풀리(42)와 연동하는 핸들(60)을 방충망틀(52)의 정면에 설치하고, 빗물막이시트(30)를 리와인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하는 원웨이클러치(70)를 핸들(60)과 베벨기어(46)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핸들(60)은 손잡이가 구비되며, 방충망틀(52)의 수직장공(54)에 삽입되는 상자(55) 정면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콘(38)은 양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보강살(34)의 양단에 고정한다.
빗물막이시트(30)는 얇은 필름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반투명한 재질 또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하여 채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은 상부커버(22a)와 하부채널(22b)로 구성하여 내부에 권취롤러(32)와 태엽스프링(36)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70)는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60)에 연결 되어 있는 원통형 클러치하우징(72)의 내주면에 일방향 경사면(74)(76)을 형성하고, 베벨기어(46)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79)과 클러치하우징(72) 사이에 롤러(78a)(78b)를 개재하여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을 개방한 상태에서 방충망(50)을 닫게 되면,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에 걸려 있는 보강살(34)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콘(38)이 방충망틀(52)의 수직장공(54)을 통해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타이밍벨트(40)의 치부에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이때 방충망틀(52)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양측의 핸들(60)을 손으로 잡고 동시에 돌리게 되면, 핸들(60)의 회전력이 베벨기어(46)(47)를 통해 구동풀리(42)로 전달되면서 타이밍벨트(40)가 회전된다.
이때 타이밍벨트(40)에 결합되어 있던 결합콘(38)이 타이밍벨트(40)를 따라 상승하면서 동시에 보강살(34)이 올라가게 되고, 보강살(34)에 연결되어 있던 빗물막이시트(30)가 보강살(34)과 함께 상승되면서 권취롤러(32)로부터 풀려 상부레일(22)에 형성된 출입구(24)를 통해 인출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태엽스프링(36)에 의해 빗물막이시트(30)가 감기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만 핸들(60)과 구동풀리(4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원웨이클러치(70)에 의해 역전하지 못하므로 빗물막이시트(30)가 펼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빗물이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에 부딪치면서 방충망(50)을 향해 튀게 되면, 상부레일(22)과 방충망(5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빗물막이시트(30) 에 의해 차단되어 실내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 다음 방충망(50)을 옆으로 밀게 되면, 방충망(50)과 타이밍벨트(40)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타이밍벨트(40)가 결합콘(38)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빗물막이시트(30)가 태엽스프링(36)에 의해 권취롤러(32)에 권취된다.
이때 빗물막이시트(30)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살(34)이 상부레일(22)의 상면에 걸리게 되면, 빗물막이시트(30)는 더 이상 감기기 못하고 정지된다.
이후 방충망(50)을 다시 닫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0)가 결합콘(38)에 다시 결합되고 핸들(60)을 돌리면 빗물막이시트(30)이 권취롤러(32)로부터 풀리면서 펼쳐지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코니난간의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막이시트에 의해 발코니난간의 상부레일에 부딪치면서 방충망을 통해 발코니 또는 실내로 튀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 방충망이 닫힌 상태에서 유리창을 개방하여도 빗물이 실내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방충망을 닫게 되면 타이밍벨트와 빗물막이시트가 결합콘에 의해 결합되고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빗물막이시트가 풀리는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방충망을 개방하면 펼쳐져 있던 빗물막이시트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빗물막이시트(30)가 권취된 권취롤러(32)를 발코니난간(20)의 상부레일(22) 내부에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상부레일(22)의 상면에 슬릿형태의 출입구(24)를 좌우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 출입구(24)를 통해 상기 빗물막이시트(30)를 인출하고, 이 빗물막이시트(30)의 끝에 보강살(34)을 부착하여 상부레일(22)에 상면에 걸리도록 하며, 빗물막이시트(30)를 감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가해주는 태엽스프링(36)을 권취롤러(32)의 일측단에 설치하고, 상기 보강살(34)의 일측에 결합콘(38)을 설치하며, 내외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밍벨트(40)를 방충망틀(52)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풀리(42)와 아이들풀리(44)에 감아서 수직으로 설치하고, 방충망틀(52)의 후면에 수직장공(54)을 형성하여 타이밍벨트(40)를 이 수직장공(54)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방충망(50)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콘(38)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며, 베벨기어(46)(47)를 통해 상기 구동풀리(42)와 연동하는 핸들(60)을 방충망틀(52)의 정면에 설치하고, 빗물막이시트(30)를 리와인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하는 원웨이클러치(70)를 핸들(60)과 베벨기어(46)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KR1020050099452A 2005-10-21 2005-10-21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KR10054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52A KR100549176B1 (ko) 2005-10-21 2005-10-21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52A KR100549176B1 (ko) 2005-10-21 2005-10-21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176B1 true KR100549176B1 (ko) 2006-02-03

Family

ID=3717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452A KR100549176B1 (ko) 2005-10-21 2005-10-21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073B1 (ko) 2006-02-17 2006-06-14 김규용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CN104343367A (zh) * 2013-08-02 2015-02-11 车庆翊 窗户用防风部件及具有该窗户用防风部件的窗户
CN111997504A (zh) * 2020-08-14 2020-11-27 湖北蒙毅门窗工程有限公司 一种疏水型铝合金门窗及其疏导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073B1 (ko) 2006-02-17 2006-06-14 김규용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CN104343367A (zh) * 2013-08-02 2015-02-11 车庆翊 窗户用防风部件及具有该窗户用防风部件的窗户
CN111997504A (zh) * 2020-08-14 2020-11-27 湖北蒙毅门窗工程有限公司 一种疏水型铝合金门窗及其疏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76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KR20210068975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US20070012409A1 (en) Rolling shutters
KR101008203B1 (ko) 갤러리 창호
KR20200129542A (ko) 다기능 블라인드 장치
CN207048658U (zh) 一种用于调节入室光照强度的窗
CN106677443A (zh) 一种带有电动隐形纱窗的智能天窗
CN110905355A (zh) 双层遮阳玻璃门窗
SI25159A (sl)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200493379Y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JP3603247B2 (ja) 手動式シャッター雨戸の開閉装置
CN217760661U (zh) 一种组合式防蚊塑钢窗
JPH0131750Y2 (ko)
JP3131430U (ja) 窓遮蔽装置
KR200392808Y1 (ko) 공기차단용 버티칼 블라인드
JPS644035B2 (ko)
JPH0131749Y2 (ko)
US20170089132A1 (en) Protective Screen Apparatus
JPH04155088A (ja) 建物用開閉窓
KR200329020Y1 (ko) 로울러 방충망
JPH0616095Y2 (ja) シャッタ装置
JP2000186472A (ja) 排出路を備えた建具
JP2592866Y2 (ja) 採光窓の掃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