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761B1 -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761B1
KR100471761B1 KR10-2003-0002871A KR20030002871A KR100471761B1 KR 100471761 B1 KR100471761 B1 KR 100471761B1 KR 20030002871 A KR20030002871 A KR 20030002871A KR 100471761 B1 KR100471761 B1 KR 10047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bag
airbag door
support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720A (ko
Inventor
박인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7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Abstract

에어쿠션의 팽창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의 개방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에어쿠션이 팽창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 및 일단이 도어 프레임의 일단과 함께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도어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턱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 돌출된 도어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쿠션의 팽창시 에어백 도어가 일정하게 개방될 수 있으며 에어백 모듈의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Structure for locking up an air-bag door in a passenger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쿠션의 전개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의 개방력을 일정토록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기능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사고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안전장치들 중의 하나인 에어백 시스템은 안전밸트와 함께 사용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객의 머리, 가슴, 무릎 등의 신체 일부가 차실내의 구조물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에어백 시스템은 주로 앞좌석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운전석 에어백(Driver Air-bag)과, 조수석에 착좌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조수석 에어백은 자동차의 조수석 글로브 박스 위에 위치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내부에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수석 에어백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1997-0039662 및 실용공개 실1998-051880에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 에어백의 개략적인 구성은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제공받아 팽창하는 에어쿠션과, 상기 에어쿠션 및 인플레이터를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에어쿠션의 팽창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특히,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는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에어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에어백 도어의 설치구조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2002-0050596호(2002.6.27)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도 1a는 조수석 에어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30)는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의 내측 일단에 형성한 커팅홈(34)과, 상기 커팅홈(34)과의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갭을 두고 어긋나게 형성하면서 지지브라켓트(36)로 거치되는 크러쉬 패드 인너 스킨(38)에 도어 플렌지부(4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커팅홈(34)은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의 내면에 칼자국을 내여 V자홈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플렌지부(40)는 커팅홈(34) 선상에서 소정의 갭을 두고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 측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도어 플렌지부(40)는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으로부터 역시 소정의 갭을 두고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8)측으로 돌출시켜 절곡 형성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도어(30)는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과 크러쉬 패드 인너 스킨(38)사이에 발포제(42)를 충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차량의 충돌 발생시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감지센서를 통해 전자제어장치가 이를 인식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킴은 통상의 기술과 같다. 이후, 팽창되는 에어백은 에어백 도어(30)를 밀게 되는데, 이때, 크러쉬 패드 인너 스킨(38)가 발포제(42)를 가압되면서 일단에 형성한 도어 플렌지부(40)가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의 커팅홈(34) 바로 옆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 도어(30)의 크러쉬 패드 아웃터 스킨(32)에 형성된 커팅홈(34)부분이 분리되어 에어백의 팽창이 차내에서 이루어져 조수석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도어의 록킹구조의 일예로 도 2a는 플레이트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50)의 저면부에는 하우징(52)의 상단이, 상면부에는 도어 프레임(54)이 취부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54)의 상면에는 스틸 플레이트(56)가 안착되어 리벳(59)을 통해 함께 결합된다. 또한, 에어백 도어(58)의 단부는 스틸 플레이트(56)의 끝단을 통해 눌려져 록킹상태가 이루어진다.
이후, 에어쿠션(도시안됨)이 팽창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58)가 개방이 시작될 경우 상기 에어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58)가 스틸 플레이트(56)의 끝단을 밀어 올리면서 에어백 도어(58)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틸 플레이트(56)에 의한 에어백 도어(58)의 록킹구조는 상기 스틸 플레이트(56)의 조립공차와 에어백 도어(58)의 조립공차를 조절하기 어려워서 에어백 도어(58)의 개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도어의 록킹구조의 일예로, 도 3a는 종이 테이프를 통해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60)와 도어 프레임(62)이 맞닿은 부위를 종이 테이프(64)로 실링(Sealing)하여 에어백 도어(60)의 일시적인 록킹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쿠션(도시안됨)이 팽창되면 그 팽창력에 의해 도어 프레임(62) 위에 종이 테이프(64)를 통해 일시적인 록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에어백 도어(60)가 종이 테이프(64)를 찢으며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개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종이 테이프(64)의 부착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부착된 종이 테이프(64)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생되는 테이프의 물성치 변화로 인하여 접착력이 약화되어 에어백 도어(60)가 일정한 개방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다.
또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도어의 록킹구조의 일예로, 도 4는 플라스틱 클립(Clip)을 통해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70)의 단부는 도어 프레임(72)과 인스트루먼트 패널(74) 사이에 체결을 이루고 있는 플라스틱 클립(76)에 일시적으로 끼워져 체결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클립(76)의 상부는 반경방향으로의 탄성적인 벌림이나 오므라드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힘이 에어백 도어(70)에 인가되면 상기 에어백 도어(70)가 도어 프레임(72) 상면으로부터 쉽게 이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쿠션(도시안됨)이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7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플라스틱 클립(76)의 상단 반경이 탄성적으로 축소되면서 에어백 도어(70)가 도어 프레임(72)으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 또한 에어백 도어(70)의 록킹을 위해 별도의 플라스틱 클립(76)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상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정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가능함과 동시에 에어백 도어의 개방력의 조절이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에어쿠션을 수납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면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팽창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단과 함께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 도어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턱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 돌출된 도어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지지부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턱에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경사부와 맞닿아 지지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부의 기울기는 상기 제1경사부의 기울기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 돌출된 도어 모서리 지지부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어 프레임 및 에어백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백 도어와 도어 프레임이 록킹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A-A섹션 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100)은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면 완만한 곡률을 갖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100)은 볼트(320,340) 및 너트(350)를 통해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300)과 인스트루먼트 패널(400)과 함께 체결된다.
에어백 도어(200)는 도어 프레임(100)의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도어부(210)와 상기 도어부(210)에 힌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220)는 도어 프레임(100)의 제1단부(112)의 저면에 취부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400)과 함께 볼트(320)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부(210)는 고정부(220)가 제1단부(112)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00)의 개구부(110) 주위에 마련된 걸림턱(120) 위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10)의 테두리부에는 끝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플랜지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40)는 에어백 도어(200)의 개방시 그 개방력에 의해 후술되는 발포층(420)을 밀고 스킨층(440)을 파열하여 에어쿠션(도시안됨)이 스킨층(440) 외부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240)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도어부(210)의 테두리부 중앙에는 상측 방향으로 일정폭 돌출된 돌출턱(25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250) 전방에는 후술되는 도어 지지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250)은 에어백 도어(200)의 성형시 가압하여 상기 도어부(210)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턱(250)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공(260) 방향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경사진 제1경사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부(210)의 전면부와 측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전술된 돌출턱(250)의 구조와 같이 도어부(210)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일정폭 돌출된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270a,2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270a,270b) 전방에는 전술된 삽입공(26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80a,280b)이 형성된다.
한편, 도어 프레임(100)의 제2단부(114)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200)의 돌출턱(250)과 착탈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부(1140)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100)측으로 돌출된 도어 지지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지지부(130)는 전술된 에어백 도어(200) 및 돌출턱(2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0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돌출턱(250)과 탄성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율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지지부(130)의 끝단에는 상기 돌출턱(250)의 제1경사부(252)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 기울기를 형성하며 상향으로 절곡된 제2경사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100)의 제2단부(114)와 측단부(116)가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전술된 도어 지지부(130)에서와 같이 도어부(210)의 관통공(280a,280b) 내에 삽입되어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270a,270b)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부(114)의 내측 모서리부로부터 에어백 도어(200)측으로 돌출된 도어 모서리 지지부(140a,1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모서리 지지부(140a,140b)는 전술된 도어 지지부(130)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백 도어(200) 및 도어 프레임(100)의 구조에 의하여, 에어백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지지부(130)의 제2경사부(132)가 에어백 도어(200)의 하부로부터 삽입공(260) 내에 삽입되어 제1경사부(252)를 아래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에어백 도어(200)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경사부(132)의 경사각이 상기 제1경사부(252)의 경사각 보다 커지게 되면 제2경사부(252)가 상기 제1경사부(132)를 눌러주지 못하여 에어백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2경사부(132)의 기울기를 상기 제1경사부(252)의 기울기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경사부(252)와 제2경사부(132)의 기울기는 이후의 에어백 도어(200)의 개방시 도어의 개방력(Open force)과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이루는데,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252)(132)의 경사각이 작을 경우에는 돌출턱(250)이 도어 지지부(130)를 밀고 분리되는 데에는 큰 힘이 필요로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252)(132)의 경사각이 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만 가지고도 돌출턱(250)이 도어 지지부(130)를 쉽게 밀고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252)(132)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에어백 도어(200)의 개방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에어백 도어(200) 및 도어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270a,270b) 및 도어 모서리 지지부(140a,140b) 사이의 록킹구조 또한 상술한 돌출턱(250)과 도어 지지부(130)의 록킹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록킹구조를 에어백 도어(200) 및 도어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에 적용함으로써, 최소한의 록킹구조를 적용하여 에어백 도어(200)의 전면부와 측면부의 동시 고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에어백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이 만나는 중앙부 및 양쪽 모서리부에만 위와 같은 록킹구조를 적용해도 충분한 에어백 도어(200)의 록킹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톡킹구조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전술된 본 발명의 첨부도면들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서 도어 프레임(100)으로부터 에어백 도어(200)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이 작동되어 에어쿠션(도시안됨)의 팽창이 시작되면, 에어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200)의 도어부(21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데, 이때, 돌출턱(250)이 도어 지지부(130)의 제2경사부(132)를 탄성적으로 밀어 내면서 상기 제2경사부(132)가 삽입공(260)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부(210)가 도어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도어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된 도어부(210)는 도면상의 발포층(420) 내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진행되고,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40)가 스킨층(44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파열라인을 찢고서 스킨층(440) 외부로의 개방이 이루어져 에어쿠션의 전개가 완료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에어백 도어에 돌출턱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턱을 눌러 지지하는 도어 지지부를 형성하여 에어백 도어를 도어 프레임상에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록킹시킬 수 있다.
둘째, 돌출턱 및 돌출턱을 지지하는 도어 지지부가 각각 에어백 도어와 도어 프레임상에 일체로 성형되어 종래에서와 같이 에어백 도어의 록킹을 위한 별도의 고정물을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축소되고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축소에 따른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도어 지지부를 탄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에어백 도어의 개방시 돌출턱이 도어 지지부를 밀면서 분리되기가 용이해지고, 또한, 돌출턱과의 완전 분리시 도어 지지부의 형상이 복귀되어 원상회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후에도 도어 프레임을 다시 교체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넷째, 돌출턱에 제1경사부를 형성하고 도어 지지부의 끝단에 제2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경사부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가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지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를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록킹시킬 수 있다.
다섯째, 에어백 도어에 형성된 돌출턱의 제1경사부와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도어 지지부의 제2경사부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에 따라 에어백 도어의 개방력의 조절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여섯째, 도어 지지부의 제2경사부 기울기를 돌출턱의 제1경사부 기울기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에어백 도어의 삽입공이 도어 지지부로부터 이탈되어 에어백 도어가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부에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을 눌러 지지하는 도어 모서리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최소한의 록킹구조를 적용하여 에어백 도어의 전면부와 측면부의 동시 고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b은 도 1a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작동과정을 예시한 예시도.
도 3a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작동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도어 프레임 및 에어백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백 도어와 도어 프레임이 록킹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섹션 방향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에어백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프레임 110 : 개구부
112,114 : 제1,2단부 116 : 측단부
120 : 걸림턱 130 : 도어 지지부
132 : 제2경사부 140a,140b : 도어 모서리 지지부
200 : 에어백 도어 210 : 도어부
220 : 고정부 230 : 힌지부
240 : 플랜지부 250 : 돌출턱
252 : 제1경사부 260 : 삽입공
270a,270b :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
280a,280b : 관통공 300 : 하우징
320,340 : 볼트 400 : 인스트루먼트 패널
420 : 발포층 440 : 스킨층

Claims (5)

  1. 인스트루먼트 패널;
    에어쿠션을 수납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면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팽창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단과 함께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 도어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턱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 돌출된 도어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부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에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경사부와 맞닿아 지지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의 기울기는 상기 제1경사부의 기울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모서리부 지지용 돌출턱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도어측으로 돌출된 도어 모서리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KR10-2003-0002871A 2003-01-16 2003-01-16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KR10047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71A KR100471761B1 (ko) 2003-01-16 2003-01-16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871A KR100471761B1 (ko) 2003-01-16 2003-01-16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20A KR20040065720A (ko) 2004-07-23
KR100471761B1 true KR100471761B1 (ko) 2005-03-09

Family

ID=3735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871A KR100471761B1 (ko) 2003-01-16 2003-01-16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17B1 (ko) 2009-04-22 2012-04-13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도어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65B1 (ko) * 2006-11-14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2386992B1 (ko) * 2021-10-06 2022-04-15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슈트 분리형 구조를 갖는 승객 에어벡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17B1 (ko) 2009-04-22 2012-04-13 덕양산업 주식회사 에어백 도어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720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720B1 (ko) 커튼 에어백 장착 차량의 필러트림 설치 구조
US6464255B1 (en) Knee bolster airbag system
US7232151B2 (en) Airbag device
US6695339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616182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deployment
JPH09220994A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を備えたシート構造
JPH07267036A (ja) 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ドア、およびその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ドアを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ユニットへ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JP4337340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0953482B1 (en) Airbag device for driver
KR100471761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도어 록킹구조
JP4715030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JP2007153222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27766B1 (ko)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JP2678208B2 (ja) 自動車の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JP2507387Y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050004B2 (ja) エアバッグドア支持構造
JP2806073B2 (ja) エアバッグリッドの取付構造
JPH0829519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291727A (ja) エアバッグリッド構造
JPH10278721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JP2003182498A (ja) エアバッグドアの開放構造
KR0138827Y1 (ko) 승객용 에어백 파열부의 변형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