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193B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193B1
KR100470193B1 KR10-1998-0024002A KR19980024002A KR100470193B1 KR 100470193 B1 KR100470193 B1 KR 100470193B1 KR 19980024002 A KR19980024002 A KR 19980024002A KR 100470193 B1 KR100470193 B1 KR 10047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n gear
gears
small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49A (ko
Inventor
가쯔오 이도
Original Assignee
이도오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250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657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도오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도오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1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8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2)이나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그 동력원에 의해 상·하 날판(3·4)에 돌출 형성된 절삭날(3a, 4a)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위와 같이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 사이에 배치한 소기어(9)를 구동기어로 하여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서 초목을 절단하는 작업이 보다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예초기는 통상의 평치차인 태양 기어(7)와 소기어(9) 그리고 환상내치차인 링 기어(8)라고 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제작이 용이하며, 감속 기구를 판상의 본체 케이스(5)에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간(6)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워져 작업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예초기{Mowing machine}
본 발명은 고속 회전을 하는 엔진이나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그 회전을 큰 감속비로 감속시켜서 상하 날판이 서로 역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을 하는 상 날판과 하 날판을 갖고, 2매의 날판 외주부에 돌출 형성한 절삭 날로 가위와 같이 초목을 절단하는 방식의 예초기에 관한 발명이다.
상 날판과 하 날판을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예초기의 회전 구동 기구로서 일본실공평 7-28818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태양 기어, 링 기어와 유성 기어로 구성되는 감속 기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예에서는 엔진의 회전을 웜과 웜휠에 의하여 감속하고, 더구나 태양 기어, 링 기어, 유성 기어 등으로서 구성되는 유성 치차 감속 기구에 의하여 그 목적으로 하는 회전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종래의 감속 기구에서는 웜, 윔휠을 포함한 감속 기구에 다수의 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 본체가 무거워져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할 경우 불편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감속 기구로 원하는 회전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어서 전체의 중량이 가벼워 작업성이 뛰어난 예초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5)를 판상(板狀)으로 하고, 그 판상의 본체 케이스(5)에서 동력 전달 기구인 기어류를 매다는(현수하는) 구조로 한다.
즉, 판상의 본체 케이스(5)에는 중심에서 일정 거리의 원형 궤적 상에 복수의 지지간(6, 6)을 입설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5)의 하방에 상기 원형 궤적과 동심(同芯)상에 하 날판(4)을 갖는 태양 기어(7)와 상 날판(3)을 갖는 링 기어(8)를 배치한다.
본체 케이스(5)에 입설한 복수의 지지간(6, 6)중의 적어도 복수의 지지간에는 태양 기어(7)에 외접되고 링 기어(8)의 내접되는 전동체, 구체적으로는 롤러나 소기어(9)를 축설한다. 전동체는 모두가 소기어이어도 좋으나, 그중 적어도 하나는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에 치합하는 소기어(9)로 함과 동시에 지지간(6)에는 소기어(9), 태양 기어(7) 및 링 기어(8)의 레이디얼 방향 즉, 축방향의 유동을 저지하는 보지 수단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소기어(9)를 통하여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소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엔진이나 모터 등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서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소기어(9)의 회전을 태양 기어(7)와 소기어(9)의 치수비(齒數比) 및 링 기어(8)와 소기어(9)의 치수비에 의하여 결정되는 큰 감속비로 상 날판(3) 및 하 날판(4)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체 케이스(5)는 예를 들면, 원판상이어도 좋으나 중심부에 관통공(5a)을 형성한 환상(環狀)으로 하고, 그리고 태양 기어(7)도 중심공을 갖는 환상, 즉 환상 외치치차(環狀外齒齒車)로 하면 전체적으로 보다 경량화된다. 또한 소기어(9), 태양 기어(7) 및 링 기어(8)의 레디얼(radial)방향의 유동을 저지하는 구체적 구조로 하고, 지지간(6)에 환상의 상 지지판(14)과 하 지지판(15)을 대향시키며 스페이서(16)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서 본체 케이스(5)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 지지판(14)과 소기어 상면 사이에 스페이서가 되는 상롤러(18)를, 그리고 하 지지판(15)과 소기어(9) 하면의 사이에 스페이서로 되는 하 롤러(19)를 각기 장착하여 소기어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소기어(9)의 상하면에 소기어의 직경보다 큰 안내판을 고정하여 두어 소기어(9)와 태양 기어(7)의 치합이 해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초기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예초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간(1)의 기단부에 장착한 엔진(2) 등의 동력원의 회전을 감속하여 접속간(1)의 선단에 장착된 상 날판(3)과 하 날판(4)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전달하고, 접속간(1)을 작업자가 손에 잡고 상 날판(3)에 형성된 절삭날(3a)과 하 날판(4)에 형성된 절삭날(4a)로 가위와 같은 절단 작용에 의하여 예초 작업을 한다.
도 1은 접속간(1)의 선단에 장착하는 예초기 본체 부분만의 종단면도로서, 예초기 본체 부분에 대하여 접속간(1)은 경사 방향에서 장착된다.
중심부에 관통공(5a)이 뚫려진 원환상(円環狀)으로 된 본체 케이스(5)에는 그 중심(0)에서 일정 거리의 원형 궤적 상의 복수 위치(도면에서는 12등분의 등간격)에 지지간(6, 6)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본체 케이스(5)의 하방에는 상기 원형 궤적과 동심 상에 외경이 원형 궤적보다도 작은 직경의 태양 기어(7; 환상의 외치 치차)와, 원형 궤적보다 큰 내경을 갖는 링 기어(8; 환상의 내치 치차)를 배치하여 적어도 복수의 지지간(6)에는 태양 기어에 외접하고 링 기어에 내접하는 전동체, 구체적으로는 롤러나 소기어(9)를 축설하여,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가 평면 방향으로 유동함이 없이 중심(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역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본체 케이스(5) 및 태양 기어(7)는 어느 것이나 모두 원판상이어도 되나 원환상(円環狀)으로 함으로서 기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기체를 보다 가볍게 만들 수 있음과 동시에, 관통공에서 예초 작업시에 발생하는 풀 찌꺼기를 하방으로 배제할 수 있는 실익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기어 기구의 평면도이다. 중심(0)에서 일정 거리의 원형 궤적 상에 12등분의 등간격으로 지지간(6, 6)을 배치하고, 지지간(6)의 하나 건너에 소기어(9, 9)를 장착하며, 그 중 하나(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기어)를 구동 기어로 한다. 물론, 복수의 소기어를 구동 기어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구동 기어가 되는 소기어 이외의 소기어는 아이들(idle) 기어로서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구동 기어와 아이들 기어를 포함하여 소기어(9, 9)는 복수이며,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설치함으로서 원활한 구동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구동 기어가 되는 소기어는 그 중심축(6A)을 상방으로 연장하여 여기에 베벨 기어(10)를 장착하고 예초기 접속간(1)의 동력 전달 수단(샤프트나 플렉시블 샤프트 등)에 의하여 전달되는 엔진의 회전을 베벨 기어(10)에 전달한다. 도시된 예에서, 엔진등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되는 작은 베벨 기어가 중심축(6A)에 장착된 큰 베벨 기어에 치합되어 입력 단계에서 제 1 단의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구동 기어가 되는 하나의 소기어가 회전 구동되면 하 날판(4)이 장착된 태양 기어(7)와 상 날판(3)이 장착된 링 기어(8)는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 날판(3)의 절삭날(3a)과 하 날판(4)의 절삭날(4a)에 의하여 풀이 베어지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링 기어(8)에 상 날판(3)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링 기어(8)의 외주부에 취부 핀(11)등으로 착탈을 자유롭게 한다. 이에 반하여, 태양 기어(7)에 하 날판(4)을 장착할 때에는 태양 기어(7)의 하면에 볼트 등으로 소기어(6)의 하방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연결판(12)을 고정하고, 그 연결판(12)의 외주부에 취부 핀(13)등으로 태양 기어(7)를 착탈 자재케 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간(6, 6)으로서 볼트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 지지간(6)에 의하여 전체의 기구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구조의 구체예를 설명키로 한다. 본체 케이스(5)의 하방에 단면 형상을 아래로 향한 거의 자 형상을 한 환상의 상 지지판(14)과 단면 형상을 위로 향한 거의 자 형상을 한 환상의 하 지지판(15)을 배치한다. 이들 본체 케이스(5) 및 상 지지판(14) 그리고 하 지지판(15)에는 각각 볼트공(5b, 14a, 15a)을 천설하여 두며 본체 케이스(5)의 상방에서 지지간(6; 볼트)을 관통시키며 상 지지판(14)과 하 지지판(15) 사이에 스페이서(16)를 끼워서 너트(17)로 체결함으로서 본체 케이스에서 수직 설치되는 지지간(6)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 지지판(14)과 하 지지판(15)을 고정한다. 지지간은 12등분의 위치에 배치하는데, 그 중 하나는 구동 기어가 되는 소기어를 배치하기 때문에 11개가 된다.
스페이서(16)에 의하여 상 지지판(14)과 하 지지판(15)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는 지지간(6)에는 하나 건너씩(도면상에는 5개의 지지간) 아이들 기어로서의 소기어(9)를 축설한다. 소기어(9)를 축설하지 아니하는 지지간은 상 지지판(14)과 하 지지판(15)을 일정 간격으로 튼튼하게 유지하여 주는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지지간(6)에 장착하는 소기어(9)의 상면과 상 지지판(14) 사이에는 상 롤러(18)를, 그리고 소기어(9)와 하 지지판(15)의 사이에는 하 롤러(19)를 배치하고, 소기어(9)의 상하에 간극이 없게 하여 소기어(9)가 레디얼 방향으로 유동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소기어(9)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소기어(9)의 상면에 소기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상의 상 안내판(20)을, 하면에 하 안내판(21)을 당접시켜 중심의 메탈축(22)으로 일체화한다. 따라서 소기어(9)에 치합된 태양기어(7)나 링 기어(8)는 상 안내판(20)과 하 안내판(21)에 의하여 동일 평면 상에서 지지되며 소기어와의 치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 소기어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소기어의 유동을 저지하는 상 롤러(18)는 아래를 향하는 컵 상(狀)으로, 하 롤러(19)는 위를 향하는 컵 상으로 형성하여 소기어와 일체적인 상 안내판(20)과 하 안내판(21)에 당접시킴으로서 소기어, 나아가서는 태양 기어나 링 기어의 상하 방향의 유동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단면 형상이 아래를 향한 거의 자상인 상 지지판(14) 및 위를 향한 거의 자상인 하 지지판(15)의 선단부에는 각각 원환상의 씰팩킹(23)을 장착하여 내주측의 씰팩킹은 태양 기어(7)의 상하 표면에, 외주측의 씰팩킹은 링 기어(8)의 상하 표면에 각각 밀접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밀폐된 소기어(9), 태양 기어(7) 및 링 기어(8)의 치합 공간이 형성되며, 이 치합 공간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충진하여 둠으로서 보다 원활한 구동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상 지지판(14) 및 하 지지판(15)의 단면이 거의 자상으로 하고 있으나, 상 지지판(14) 및 하 지지판(15)은 모두 평면적인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치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씰팩킹은 상 지지판에서는 하향으로, 하 지지판에서는 상향으로 하여 통 형태의 돌출물이 된다.
상 지지판(14) 및 하 지지판(15)은 상기 씰 구조에 의하여 밀폐된 치합 공간을 형성할 뿐 아니라 태양 기어(7) 및 링 기어(8)를 협지하여 소기어의 상하의 안내판과 상승적으로 기능하며,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를 소기어와의 치합 위치에 확고하게 지지(支受)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기어,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축방향 유동을 저지하는 지지 수단은 예를 들면, 지지간의 선단부에 폭이 넓은 지지판을 설치하여 이 지지판에 소기어,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전체를 지지시키는 등의 구조를 생각할 수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을 간략화한 실시 형태로서, 도 5는 종단면도, 도 6은 감속 기구만의 평면도이다. 감속 기구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태양 기어(7)와, 태양 기어(7)의 외주를 형성하는 링 기어(8),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의 사이에서 태양 기어와 링 기어에 치합하는 복수의 소기어(9)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원판상의 본체 케이스(5)의 중심 위치에 설치한 중심축(24)에 의하여 태양 기어(7)가 축설되고 그 태양 기어(7)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5)에서 수직 설치되는 지지간(6)에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에 치합하는 소기어(9)를 장착한다. 그리고 링 기어(8)의 하측에 보조 링(25)을 배치하여 링 기어(8)의 일부를 아래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 보조 링(25)은 지지간(6)에 의하여 소기어(9)의 하면에 장착되고, 링 기어(8)와 태양 기어(7)의 상대적인 축방향(레이얼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복수의 소기어 중의 하나는 구동 기어가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소기어(9)의 중심축(6A)에 장착한 베벨 기어(10)와 접속간(1) 내를 관통하고 있는 동력축(26)의 선단에 고정된 베벨 기어(27)를 치합시키고 있다. 즉, 소기어(9)에 엔진이나 모터 등의 회전을 전달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서 태양 기어(7)와 링 기어(8)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태양 기어(7)의 하면에 하 날판의 연결판(12)을 고정하고, 그 외주부를 링 기어(8)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면에 하 날판(4)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링 기어(8)의 상면에는 상 날판의 연결판(28)을 고정하고 그 외주부 하면에 상 날판(3)을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 날판(3)과 하 날판(4)은 역회전을 하여 가위 작용으로 예초 작업을 실행한다. 또, 상 날판(3)과 하 날판(4)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조합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또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소기어(9)를 경사 방향으로 장착하는 점과 환상(環狀)의 태양 기어(7)를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체 케이스(5)의 중심부에 관통공(5a)을 지지통으로 수직 설치하고, 지지통에 둥근 환상의 태양 기어(7)를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함과 동시에 지지통의 하단에 고정너트와 같은 고정 부재(29)를 나착하여 태양 기어(7)의 탈락을 방지한다.
태양 기어(7)의 외주부를 하측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링 기어(8)의 내주부를 태양 기어 외주부의 경사 각도와 일치하도록 상방으로 경사시켜 이 경사면에 소기어(9)를 배치한다. 물론, 소기어(9)를 지지하는 본체 케이스(5)의 외주부도 하방으로 경사시켜 그 경사면에서 지지간(6)에 의하여 소기어(9)를 지지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어인 소기어를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5)의 경사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한 접속간(1) 내부를 관통시킨 동력축(26)의 선단에 고정하고 있으며, 동력축(26)은 접속간(1)의 기단부에 장착한 엔진(2)에 의하여 회전 구동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날판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배치한 접속간(1)에 연하여 입력하는 동력축(26)으로 직접 소기어(9)에 입력할 수가 있기 때문에 베벨 기어나 플렉시블 샤프트와 같은 입력축의 방향 변경을 위한 기구가 필요 없고 직접 소기어(9)를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의한 예초기 전체의 실시예 사시도이다. 이 예초기는 상 날판(3)과 하 날판(4)으로 구성하는 예초기 날의 중심부, 즉 기체(機)의 중심부에 관통공을 형성한 도넛 형태의 기체에서 경사 방향으로 접속간(1)이 돌출되며, 그 접속간을 잡고 예초 작업을 행한다. 접속간(1)의 기단부에는 엔진(2) 또는 모터 등의 동력원을 장착하고, 접속간(1)의 중간부에는 조작 핸들(30)을 장착한다.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예초기에 의하면, 상 날판과 하 날판을 서로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 구동시킴으로서 상 날판의 외주부에 돌출 시킨 복수의 절삭날과 하 날판의 외주부에 돌출시킨 복수의 절삭날로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기의 동력 절단 기구를 태양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 배치한 소기어를 입력 기어로 하는 기어수가 적은 간단한 구조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감속 기구를 판상의 본체 케이스에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간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워서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항 기재의 예초기를 통상의 평치차인 태양 기어와 소기어 및 환상내치차인 링 기어라고 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제작이 용이하다.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와 태양 기어를 경량으로 하고, 예초기 전체를 보다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예초 작업시에 발생하여 기체의 표면에 타고 올라오는 풀 찌꺼기를 하방으로 내보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고속 회전식의 예초기에서는 회전 날의 중심축에 베어진 풀이 감겨 붙는 문제점이 흔히 발생하나 청구항 3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중심축이 존재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깎인 풀이 감겨 붙는 사고는 현저하게 개선된다.
청구항 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태양 기어를 보다 안정되게 장착할 수가 있다.
청구항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소기어, 태양 기어, 링 기어의 치합 상태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유지하여 안정적인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조를 이용하여 밀폐된 치합 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윤활제를 충진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원활한 운전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 기구를 완전 방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고속 회전 예초기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수중에서의 예초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동 기어가 되는 소기어의 취부 방향이 경사면이 되어 그 회전축의 방향을 예초기 지지간의 방향과 일치시킬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 등의 동력원에 직접 연결한 동력축의 선단에 소기어를 장착하여 동력 전달 기구를 보다 간략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보이는 예초기 본체 부분 전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예초기 본체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예초기 본체의 동력전달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예초기 전체의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이는 예초기 본체 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실시 형태의 감속 기구의 기어 기구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7은 또다른 실시 형태를 보이는 예초기 본체 부분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예초기 전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접속간 2. 엔진 3. 상 날판 3a. 절삭날 4a. 절삭날
4. 하 날판 5. 본체 케이스 5a. 관통공 5b. 볼트공 6. 지지간
6A. 중심축 7. 태양기어 8. 링 기어 9. 소기어 10. 베벨 기어
11. 취부핀 12. 연결판 13. 취부핀 14. 상 지지판 14a. 볼트공
15. 하 지지판 15a. 볼트공 16. 스페이서 17. 너트 18. 상 롤러
19. 하 롤러 20. 상 안내판 21. 하 안내판 22. 메탈축 23. 씰팩킹
24. 중심축 25. 보조링 26. 동력축 27. 베벨 기어 28. 연결판
29. 고정 부재 30. 조작 핸들

Claims (7)

  1. 동일 축심 상에 배치한 상 날판과 하 날판을 서로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 구동함으로서 상 날판의 외주부에 돌출시킨 복수의 절삭날과 하 날판의 외주부에 돌출시킨 복수의 절삭날로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중심에서 일정 거리의 원형 궤적 상의 복수 위치에 지지간을 수직으로 설치한 판상의 본체 케이스의 하방에 상기 원형 궤적과 동심 상에 하 날판을 갖는 태양 기어와 상 날판을 갖는 링 기어를 배치하고 전기 복수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한 지지간 중에 적어도 복수의 지지간에 태양 기어에 외접하고 링 기어에 내접하는 전동체를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하며, 그 전동체의 적어도 하나를 태양 기어와 링 기어에 치합하는 소기어로 하고, 소기어의 적어도 하나를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어로 함과 동시에 전기 지지간에는 소기어,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레디얼 방향 유동을 저지하는 보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판상의 본체 케이스 중심부에 중심축을 설치하고, 그 중심축에 대하여 태양 기어를 축지(軸支)하여서 된 예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는 중심부에 관통공을 천공하여 형성한 환상(環狀)으로 함과 동시에 태양 기어의 중심부도 중심부에 관통공을 천설한 환상의 외치치차로 하고, 기체 전체의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된 예초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의 중심공에 통형상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그 중심축에 대하여 태양 기어를 축지하여서 된 예초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간에는 환상의 상 지지판과 환상의 하 지지판을 대향시키고, 그 상 지지판과 하 지지판을 스페이서를 통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소기어는 그 상면에 상 안내판과 하면에 하 안내판을 구비하여 치합하는 태양 기어와 링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며, 상 지지판과 소기어 상면 사이에 스페이서가 되는 상 롤러를, 하 지지판과 소기어 하면 사이에 스페이서가 되는 하 롤러를 각기 장착하여 소기어,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레디얼 방향의 유동을 저지하는 예초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 지지판의 내외 양단 가장자리 및 하 지지판의 내외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태양 기어 또는 링 기어의 표면에 당접하는 씰팩킹을 장착하여 밀폐시킨 소기어,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치합 공간을 형성하며, 그 치합 공간에 윤활제를 충진시킨 예초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및 태양 기어의 외주부를 하측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링 기어의 내주부를 상측으로 경사시켜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의 축에 장착된 소기어를 태양 기어 및 링 기어에 치합시킨 예초기.
KR10-1998-0024002A 1997-07-14 1998-06-25 예초기 KR100470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848 1997-07-14
JP9-203848 1997-07-14
JP10-82500 1998-03-13
JP08250098A JP3176579B2 (ja) 1998-03-13 1998-03-13 刈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49A KR19990013449A (ko) 1999-02-25
KR100470193B1 true KR100470193B1 (ko) 2005-07-12

Family

ID=6590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002A KR100470193B1 (ko) 1997-07-14 1998-06-25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1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19B1 (ko) * 2011-12-07 2014-05-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초기
KR101414880B1 (ko) 2011-10-21 2014-07-03 허태구 양날회전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구조
KR101438318B1 (ko) * 2013-04-25 2014-09-04 허태구 양날회전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구동장치 및 칼날 구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80B1 (ko) 2011-10-21 2014-07-03 허태구 양날회전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구조
KR101393519B1 (ko) * 2011-12-07 2014-05-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초기
KR101438318B1 (ko) * 2013-04-25 2014-09-04 허태구 양날회전이 가능한 예초기 칼날 구동장치 및 칼날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49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099A (en) Mowing machine using a power-transmission mechanism incorporated with an annular gear
US6105351A (en) Mowing machine having disk blade cutters
JP6651291B2 (ja) 草刈り機
EP2796750A1 (en) Epicyclic gear train
KR100470193B1 (ko) 예초기
WO1981000373A1 (en) Power coupling for a chain saw
JP3176579B2 (ja) 刈払機
US5010717A (en) Oscillating-type mowing apparatus
FI76667C (fi) Skaeranordning i slaottermaskin.
JPH0728818Y2 (ja) 草刈り装置
KR100210228B1 (ko) 차량복합 변환기어 전동장치
JP6940872B2 (ja) 刈払機
CN112166798B (zh) 割草机
JP3176569B2 (ja) 刈払機の減速機構
JP3235061U (ja) 草刈り機
JP2003136464A (ja) スカラ型ロボット
JP2019054753A (ja) 草刈り機
JPH11332347A (ja) 草刈機
CN112715063B (zh) 一种双曲柄旋耕除草机构和具有该机构的微耕机
RU2050096C1 (ru) Мотокосилка
SU1634165A1 (ru) Ротационный режущий аппарат
JPH0315003Y2 (ko)
JP2002084829A (ja) 作業機のローリング操作装置
JPH0511404Y2 (ko)
JPH0713464Y2 (ja) 軸駆動式モアのギヤ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