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790B1 -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790B1
KR100467790B1 KR10-2003-0007721A KR20030007721A KR100467790B1 KR 100467790 B1 KR100467790 B1 KR 100467790B1 KR 20030007721 A KR20030007721 A KR 20030007721A KR 100467790 B1 KR100467790 B1 KR 10046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demolition
cement
frame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827A (ko
Inventor
지동환
Original Assignee
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동환 filed Critical 지동환
Priority to KR10-2003-000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7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6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서 시멘트 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되는 철재로 제작된 철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철거푸집의 측면에 묻어있는 시멘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한편 철거푸집의 측면을 바르게 펴 줄 수 있도록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철거푸집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철거푸집의 내측에서 받침판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펼침장치와, 이동되는 철거푸집의 짧은 쪽 받침판에 묻은 시멘트를 제거하는 단(短)시멘트 제거장치와, 이동되는 철거푸집의 상판에 프리마를 도포하는 프리마 장치와, 이동된 철거푸집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철거푸집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상기 배출장치에 설치되고 철거푸집의 길은 쪽 받침판에 묻은 시멘트를 제거하는 장(長)시멘트 제거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거푸집의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받침판의 바로 잡음과 시멘트 제거 및 프리마 도포가 이루어져 간편하게 철거푸집을 재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Adhesion cement removing device of steel mold}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서 시멘트 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되는 철재로 제작된 철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철거푸집의 측면에 묻어있는 시멘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한편 철거푸집의 측면을 바르게 펴 줄 수 있도록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거푸집(1)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과 상기 상판(2)을 받치는받침판(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판(3)은 측면으로 홈을 형성하고 있어 한번 사용된 후에는 상기 받침판(3)의 상기 홈에 건축현장에서 사용된 시멘트가 묻어 있게 되는 한편 받침판(3)이 현장에서 사용될 때 충격을 받아 휘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같이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이 휘거나 시멘트가 묻어있을 경우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받침판(3)에 묻은 시멘트를 털어내거나 받침판(3)을 바로 잡아 주어야 하나, 기존에는 망치 등을 이용하여 충격으로 시멘트를 털어 내거나 받침판(3)이 휜 것을 바로 잡아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망치 등으로 바로 잡거나 시멘트를 털어 낼 경우 많은 량을 작업하기가 어렵고 작업인부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철거푸집(1)을 대여하는 업자는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철거푸집(1)은 상판(2)에 프리마라는 이형제를 도포하여 주어야만 건축현장에서 시멘트 작업시 시멘트가 상판(2)에 붙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철거푸집(1)의 상판(2)에 프리마를 도포하는 작업도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 한 것으로, 철거푸집의 받침판을 안쪽에서 밀어주어 받침판을 자동으로 펴주는 한편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받침판의 측면에 붙어있는 시멘트를 털어주는 한편 철거푸집의 상판에 프리마를 도포하여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일련의 작업으로 철거푸집을 재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철거푸집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철거푸집의 내측에서 받침판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펼침장치와, 이동되는 철거푸집의 짧은 쪽 받침판에 묻은 시멘트를 제거하는 단(短)시멘트 제거장치와, 이동되는 철거푸집의 상판에 프리마를 도포하는 프리마 장치와, 이동된 철거푸집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철거푸집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상기 배출장치에 설치되고 철거푸집의 길은 쪽 받침판에 묻은 시멘트를 제거하는 장(長)시멘트 제거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거푸집의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받침판의 바로 잡음과 시멘트 제거 및 프리마 도포가 이루어져 간편하게 철거푸집을 재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도 1 은 철거푸집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후 이동프레임의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후 이동프레임 이동 수단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프레임의 상부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 상하 이동프레임의 상부 이동시 회전봉을 단면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 상하 이동프레임의 상부 이동시 구동봉 회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상하 이동프레임을 저면에서 본 상태 요부 저면도
도 9 는 본 발명 펼침장치의 밀음구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 펼침장치의 밀음구를 전후 상태로 밀어주기 위한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 도 10 에 도시된 회전원판의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 펼침장치의 밀음구를 측면으로 밀어주기 위한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 펼침장치의 측면 밀음구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 펼침장치의 밀음구가 끼워진 상태의 철거푸집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 공급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16 은 본 발명 공급장치의 감지판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7 은 본 발명 공급장치의 받침편 복귀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단시멘트 제거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19 는 본 발명 단시멘트 제거장치의 칼날 작동 전 상태 요부 평면도
도 20 은 본 발명 단시멘트 제거장치의 칼날 작동 후 상태 요부 평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칼날이 철거푸집의 받침판 홈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프리마 장치 요부 측면도
도 23 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 이동수단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24 는 본 발명 배출장치의 요부 평면도
도 25 는 본 발명 배출장치의 장시멘트 제거장치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26 은 본 발명 장시멘트 제거장치의 레일 이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27 은 본 발명 배출장치의 간격 조절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28 은 본 발명 배출장치의 간격 조절 전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29 는 본 발명 배출장치의 간격 조절 후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30 은 본 발명의 칼날에 의해 시멘트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프레임 20 : 전후 이동프레임 21 : 래크
22 : 피니언 30 : 상하 이동프레임 34 : 회전봉
39 : 이동링크 40 : 프리마장치 42 : 프리마 롤러
50 : 공급장치 51 : 감지판 54 : 받침편
60 : 단시멘트 제거장치 62 : 캠 64 : 칼날
70 : 배출장치 73,74 : 레일 80 : 장시멘트 제거장치
81 : 받침롤러 82 : 칼날 85 : 스크류축
90 : 펼침장치 91,98 : 밀음구 92 : 밀음봉
93 : 캠축 94 : 캠 95 : 스프링
본 발명은 사용된 철거푸집(1)을 재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거푸집(1)의 투입에서 시멘트 제거와 휘어진 곳의 바로잡음 및 프리마의 도포와 배출이 일련의 연속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사각체 형상을 갖고 내부가 비워진 형태의 고정프레임(10)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프레임(2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프레임(30)이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중간 위치 상측으로 프리마장치(40)의 프리마통(41)을 설치하는 한편 그 후측으로 프리마롤러(42)를 설치하며, 그 전방으로 철거푸집(1)을 연속 공급하는 공급장치(50)를 설치하고, 프리마롤러(42)의 후방으로 단시멘트 제거장치(60)를 설치하는 한편 고정프레임(10)을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출장치(70)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장치(70)에 장시멘트 제거장치(80)를 설치한다.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으로 래크(21)를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래크(21)에 치합되는 피니언(22)을 설치하되 상기 피니언(22)은 구동축(23)에 의해 회전되게 하며, 상기 구동축(23)은 모터(25)의 회전동력을 감속시킨 감속기(24)에서 회전력을 전달받게 하되 상기 감속기(24)와 모터(25)는 전후 이동프레임(20)에 고정시켜 모터(25)의 작동으로 전후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이동에 따른 전후 이동한계점과 철거푸집(1)의 작업을 위한 작업점은 도시되지 아니한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하므로서 전후 이동프레임(20)이 원하는 길이와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는 상하 이동프레임(30)이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도 5 에 도시된 지지봉(31)이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지지구(26)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지봉(31)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프레임(30)의 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하 이동프레임(30)은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지지구(26)에 지지봉(31)이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프레임(30)에는 도 5 와 같이 모터(32)가 고정되고, 모터(32)의 회전력은 회동링크(33)를 거쳐 수평방향의 회전력으로 회전봉(34)에 전달되며, 회전봉(34)은 상하 이동프레임(30)의 하부에 끼워진 채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봉(34)은 모터(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반회전 할 정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봉(34)의 회전력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회전링크(35)로 전달되어 반회전 링크(35)가 수평상태로 반회전 하게되고, 상기 반회전링크(35)에 결합된 이동봉(36)은 수평상태로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되며, 상기 이동봉(36)의 수평이동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봉(38)에 전달되어 구동봉(38)이 반회전 하게 되고, 상기 구동봉(38)은 도 5 와 같이 이동링크(39)를 통하여 상하 이동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어 구동봉(38)의 반회전시 이동링크(39)를 상하로 당기거나 밀게 되며, 이동링크(39)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프레임(30)은 지지봉(31)이 지지구(26)에 끼워진 채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32)를 정,역회전 시킴에 따라 상하 이동프레임(30)은 전후 이동프레임(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 이동프레임(30)에는 폭과 길이 방향으로 펼침장치(90)의 밀음구(91)(98)가 설치되어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펼침장치(90)의 밀음구(91)는 도 9 와 같이 폭 방향으로 수 개가 하나의 밀음봉(92)에 설치되고 상기 밀음봉(92)은 캠축(93)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캠축(93)의 회전시 캠축(93)에 설치된 캠(94)이 밀음봉(92)을 외측으로 밀게되어 결국 밀음구(91)가 밀리게 하고, 상기 밀음구(91)는 철거푸집(1)의 받침판(3) 내측에 위치시켜 밀음구(91)가 외측으로 밀릴 때 받침판(3)의 구부러짐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밀음구(98)는 받침판(3)의 짧은 쪽 측면을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음구(91)(98)를 밀어주는 과정을 도 10 내지 13 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밀음구(91)(98)를 전후와 측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펼침장치(90)는 상하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며, 상기 밀음구(91)(98)는 모터(96a)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밀어주거나 원위치 되게 된다.
상하 이동프레임(30)에 고정된 모터(96a)에는 회전원판(96b)이 결합되어 모터(96a)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원판(96b)이 수평상태에서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반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원판(96b)에는 전후 방향으로 밀음구(91)를 밀어주기 위한 링크대(96c)와 측면방향으로 밀음구(98)를 밀어주기 위한 링크대(97a)가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원판(96b)의 회전방향에 따라 링크대(96c)(97a)가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된다.
상기 링크대(96c)에는 연결대(96d)와 회동대(96e)를 연결하고 상기회동대(96e)의 선단은 캠축(93)에 결합시켜 링크대(96c)가 당겨지거나 밀림에 따라 캠축(93)이 반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캠축(93)의 회전이 회전하면 캠(94)이 밀음봉(92)을 양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밀음봉(92)에 설치된 밀음구(91)가 밀리게되고, 캠축(93)이 원위치 되면 스프링(95)의 탄력에 의하여 밀음봉(92)도 원위치 되게 된다.
회전원판(96b)에 결합된 또 다른 링크대(97a)는 도 12 와 같이 연결대(97b)로 회동대(97c)에 연결되어 회전원판(96b)의 회전시 회동대(97c)가 좌우 회전하게 되고, 회동대(97c)의 회동에 따라 회동축(97d)이 좌우로 반회전 하게 되며, 상기 회동축(97d)이 반회전 하게 되면 회동바(97e)가 회동하게 되고, 회동바(97e)가 반회전하면 연결바(97f)와 회동바(97g)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회동바(97g)가 이동하게 되면 밀음구(98)가 측면으로 밀리게 되고 밀음구(98)는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의 측면으로 밀어주어 휘어짐을 펴주게 된다.
즉 모터(96a)가 좌 또는 우측으로 반회전 하면 모터(96a)의 회전력은 밀음구(91)(98)로 전달되어 밀음구(91)(98)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밀음구(91)(98)가 도 14 와 같이 철거푸집(1)의 받침판(3) 내측을 받쳐주도록 하면 밀음구(91)(98)의 밀림시 받침판(3)이 밀리면서 휘어졌던 것이 펴지게 되는 것으로, 통상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은 사용시 내측으로 밀리면서 휘게 되므로 본 발명과 같이 밀음구(91)(98)를 받침판(3)의 내측에서 받친 상태로 밀음구(91)(98)를 외측으로 밀어 받침판(3)이 휘어진 것을 바로잡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철거푸집(1)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50)는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측면에서 프리마통(41)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 이동프레임(20)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는 감지판(51)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판(51)의 밀림을 받침편(54)에 전달하는 감지대(52)를 설치하되 상기 감지대(52)는 힌지(53)를 중심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편(54)은 철거푸집(1)의 상판(2) 하부를 받쳐주도록 하되 상기 감지대(52)는 스프링(55)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 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편(54)은 전후 이동프레임(20)이 전방에 놓이지 않을 경우 감지판(51)이 밀리지 않게 되나, 전후 이동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감지판(51)이 밀리게 되면 받침편(54)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철거푸집(1)의 측면을 잡아주게 되어 철거푸집(1)이 하부로 밀리지 않고 최하측의 철거푸집(1)만 상하 이동프레임(30)의 이동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철거푸집(1)을 여러 장 쌓아두게 되면 자동적으로 최하측의 철거푸집(1)만 투입되게 되어 철거푸집(1)투입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즉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된 받침편(54)에서 철거푸집(1)을 잡아주면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상하 이동프레임(30)이 모터(32)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약간 이동하게 되나 이때 밀음구(91)(98)는 도 14 와 같이 철거푸집(1)의 하부에서 받침판(3)의 내측으로 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모터(96a)를 작동시켜 밀음구(91)(98)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면 밀음구(91)(98)가 밀리는 힘에 의하여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이 펼쳐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모터(25)를 작동시켜래크(21)를 타고 전후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철거푸집(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단시멘트 제거장치(60)에서 철거푸집(1)의 짧은 쪽 받침판(3)에 묻은 시멘트 나 이물질을 제거해 주도록 한다.
단시멘트 제거장치(60)는 도 18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되고 모터(61)의 작동에 의해 칼날(64)이 철거푸집(1)의 받침판(3)쪽으로 돌출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모터(61)의 축에 캠(62)을 설치하여 캠(62)이 회전되면 지지구(63)사이에 끼워진 칼날(64)이 돌출되게 하고, 칼날(64)이 돌출되면 칼날(64)이 도 21 과 같이 받침판(3)의 홈으로 끼워지면서 시멘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 주게 된다.
여기서 모터(61)가 작동하여 칼날(64)을 밀어주는 위치는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위치를 감지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칼날(64)은 모터(61)에 의해 돌출 된 후 시멘트를 털어 내면, 다시 원위치 되어져야 하는 것으로, 칼날(64)은 캠(62)이 원위치 된 후 도시되지 아니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원위치 되도록 한다.
단시멘트 제거장치(60)를 통과한 철거푸집(1)은 프리마 장치(40)를 통과하면서 상판(2)에 프리마를 도포하게 되는 것으로, 도 22 와 같이 철거푸집(1)의 상판(2)은 전후 이동프레임(2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프리마롤러(42)를 스치면서 이동되게 하고, 상기 프리마롤러(42)에는 노즐(43)을 통하여 프리마통(41)에 채워진 프리마가 분무되게 하므로서, 철거푸집(1)은 이동하면서 상판(2)이 프리마롤러(42)에 스치게 되어 상판(2)에는 프리마롤러(42)에 분사된 프리마가 도포되게 되어 별도의 인원이 프리마를 도포하여야 하는 불편을 없애준다.
상기된 프리마장치(4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철거푸집(1)은 배출장치(70)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배출장치(70)에 의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기 전에 철거푸집(1)의 길은 쪽으로 장시멘트 제거장치(80)를 이용하여 시멘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장치(70)는 도 23 내지 도 26 과 같이 양쪽으로 이격된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장치(70)는 도시되지 아니한 모터로 스프라켓(71)을 회전시켜 체인(72)을 타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폭 방향으로 양측에 레일(73)(74)을 설치하되 상기 레일(73)(74)의 모양을 안쪽으로 갈수록 상호 길이가 짧아지게 한 후 서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배출장치(70)는 측 이송봉(75)을 타고 스프라켓(71)의 회전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측 이송봉(75)에는 전후 이송봉(76)을 결합시키되 상기 전후 이송봉(76)에는 장시멘트 제거장치(80)를 설치한다.
배출장치(7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스프라켓(71)이 체인(72)을 타고 이동하면서 고정프레임(10)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아니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이동이 종료된 후 다시 원위치 되게 된다.
배출장치(80)는 최초 시작에서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잡은 채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원위치 될 때도 철거푸집(1)을 잡고 원위치 되어 철거푸집(1)의 자체 무게로 고정프레임(10)의 후측방으로 배출되게 한다.
장시멘트 제거장치(80)는 측이송봉(75)에 결합된 전후이송봉(76)에 결합되는 것으로, 안쪽으로 받침롤러(81)가 설치되는 한편 칼날(82)이 설치되고, 굽어진 레일(73)(74)을 타고 이동하면서 레일(73)(74)이 굽어지거나 돌출 된 곳에서 가압롤러(83)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면서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잡아주는 동시에 칼날(82)이 받침판(3)에 닿게 되어 받침판(3)의 홈에 붙은 시멘트 등의 이물을 제거해 주게 된다.
즉 전후 이송프레임(20)의 상부에서 밀음구(91)(98)에 의해 내부가 외측으로 받쳐진 철거푸집(1)이 배출장치(7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장치(70)가 고정프레임(10)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장시멘트 제거장치(80)도 같이 이동하게 되며,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이동하면서 레일(73)(74)이 돌출 되거나 휘어진 곳에서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받침롤러(81)가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어주면서 잡아주게 된다.
이때 칼날(82)도 함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철거푸집(1)의 받침판(3)에 형성된 홈으로 파고 들어가 홈에 붙어있는 시멘트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레일(73)(74)이 휘거나 돌출되는 곳에서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안쪽으로 이동되어 받침롤러(81)가 받침판(3)을 측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칼날(82)이 홈에 끼워진 채로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다른 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철거푸집(1)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철거푸집(1)의 하부 내측에서 밀음구(91)(98)가 받침판(3)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는 형태로 잡아주게 되어 유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같이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한쪽으로 완전히 이동한 후에는 밀음구(91)(98)를 원위치 시켜 받침판(3)을 받치지 않게 한 후 상하 이동프레임(30)을 하부로 이동시켜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전후 이동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구비된 배출장치(70)가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전후 이동프레임(20)은 상부에 상하 이동프레임(30)이 하강되어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없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장치(70)도 원위치 되게 되나, 장시멘트 제거장치(80)에서 받침롤러(81)로 철거푸집(1)을 압착시키고 있어 철거푸집(1)은 장시멘트 제거장치(80)에 의해 잡혀있는 상태로 원위치 되게 되며, 이때 받침롤러(81)는 철거푸집(1)의 한쪽 끝 부위를 잡아주게 되어 무게 중심이 잡지 않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로 배출장치(70)가 원위치 되면서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레일(73)(74)의 휘어진 곳이나 돌출된 곳을 벗어나게 되는 순간 장시멘트 제거장치(8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받침롤러(81)가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약해서 철거푸집(1)은 한쪽으로 쏠린 무게중심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10)의 측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철거푸집(1)의 크기에 따라(길이는 일정하나 폭이 서로 다름)에 따라 배출장치(70)의 간격을 조절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도 27 내지 도 2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후측면에 설치된 스크류축(85)을 체인(86)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축(85)는 각각 고정나사(87)와 이동나사(88)를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나사(87)는 고정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이동나사(88)는 배출장치(70)에 고정시킴으로서 스크류축(85)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나사(88)가 스크류축(85)을 타고 이동하도록 하여 배출장치(7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같이 본 발명은 도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거푸집(1)의 받침판(3) 홈에 붙어있는 시멘트를 칼날(64)(82)로 제거해 주는 것으로, 칼날(64)(82)을 적절히 받침판(3) 홈에 밀착시켜 제거해 주게 되어 철거푸집(1)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하는 한편 밀음구(91)(98)를 이용하여 철거푸집(1)의 받침편(3)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어 휘어진 곳을 바로잡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서 사용된 철거푸집의 받침편이 휘어진 곳을 바로잡고, 받침편의 측면에 붙어있는 시멘트 찌꺼기를 제거해주는 한편 상판에 프리마를 도포해 주는 것으로, 일관된 작업에 의해 철거푸집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거푸집의 휘어진 부분을 기계에서 자동으로 잡아주게 되어 별도로 휘어진 곳을 망치로 잡아주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한편 별도의 인력이 불필요하게 되고, 측면판에 붙은 시멘트를 칼날로 제거해 주어 재사용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철거푸집의 상판에 프리마를 도포하여 재사용시 프리마를 도포하는 불편을 없애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거푸집을 투입장치에 투입하는 인력과 배출장치에서 배출된 철거푸집을 운반 적재하는 인원만 필요하게 되어 사용된 철거푸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푸집의 투입과 배출이 일직선상의 고정프레임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성이 좋고 한번의 투입으로 휘어짐을 바로잡는 작업과 프리마를 도포하는 작업 및 시멘트 찌꺼기를 떼어주는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져 작업이 뛰어나고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고 피니언(22)을 회전시켜 고정프레임(10)의 내측으로 설치된 래크(21)를 타고 고정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후 이동프레임(20)에 지지봉(31)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상하 이동프레임(30)에 설치되고 철거푸집(1)의 받침판(3) 내측에 위치되어 밀음구(91)(98)로 받침판(3)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펼침장치(90)와,
    철거푸집(1)을 쌓아 놓고 한번의 작동이 완료된 후 하나씩 상하 이동프레임(30)에 투입하여 펼침수단(90)의 밀음구(91)(98)가 받침판(3)을 내측에서 받쳐주게 하는 공급장치(50)와,
    철거푸집(1)이 상하 이동프레임(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프레임(10)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철거푸집(1)의 짧은 쪽 받침판(3)에 묻은 시멘트를 칼날(64)을 돌출시켜 제거하는 단시멘트 제거장치(60)와,
    단시멘트 제거장치(60)를 거쳐 철거푸집(1)이 이동될 때 프리마통(41)에 채워진 프리마를 노즐(43)로 프리마롤러(42)에 분사시켜 철거푸집(1)의 상판(2)이 프리마롤러(42)에 접촉되면서 프리마를 도포하는 프리마 장치(40)와,
    후방으로 이동이 완료된 철거푸집(1)을 측면에서 압착시켜 가며 철거푸집(1)을 따라 측면으로 이동된 후 원위치 되면서 철거푸집(1)을 잡아 고정프레임(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70)와,
    상기 배출장치(70)에 설치되고 철거푸집(1)을 받침롤러(81)로 잡아주는 한편 칼날(82)을 돌출시켜 배출장치(70)가 이동될 때 철거푸집(1)의 길은 쪽 받침판(3)에 묻은 시멘트를 제거하는 장시멘트 제거장치(8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 이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래크(21)에 피니언(22)을 치합시키되 상기 피니언(22)은 전후 이동프레임(20)에 고정된 모터(25)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감속기(24)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전후 이동프레임(20)의 모서리에는 지지구(26)를 형성시켜 상하 이동프레임(30)의 지지봉(31)이 삽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프레임(30)은 상하 이동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된 모터(32)의 회전동력을 회동링크(33)와 회전봉(34)으로 전달하여 반회전링크(35)를 반회전 시키고, 상기 반회전링크(35)의 회전력은 이동봉(36)에 전달되어 이동봉(36)에서 구동봉(38)을 반회전 시키며, 상기 구동봉(38)의 반회전력은 이동링크(39)를 통하여 상하 이동프레임(30)에 결합되게 구성하여 모터(32) 회전시 상하 이동프레임(30)이 지지봉(31)에 지지되어 전후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펼침장치(90)는 상하 이동프레임(30)에 횡방향으로 밀음구(91)가 구비된 밀음봉(92)을 양쪽으로 설치하고, 상기 밀음봉(92)의 사이에 회전시 밀음봉(92)을 밀어주는 캠(94)이 구비된 캠축(93)을 설치하며, 상하 이동프레임(30)의 측면에도 밀음구(98)를 설치하되 상기 밀음구(91)(98)는 모터(96a)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밀리는 캠축(93)과 회동바(97g)에 의해 외측으로 밀어 철거푸집(1)의 받침판(3)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단시멘트 제거장치(60)는 고정프레임(10)의 측면 상부에 지지구(63)로 지지된 칼날(64)을 설치하고, 상기 칼날(64)의 후방에 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캠(62)을 설치하여 모터(61) 구동시 캠(62)이 회전하여 칼날(64)이 철거푸집(1)의 받침판(3) 홈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장시멘트 제거장치(80)는 배출장치(70)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받침롤러(81)가 설치되는 한편 칼날(82)이 설치되고, 상기 장시멘트 제거장치(80)는 전후 이송봉(76)에 결합되고 스프링에 탄지되게 설치되며, 레일(73)(74)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레일(73)(74)은 철거푸집(1)의 받침판(3)에 형성된 홈에 장시멘트 제거장치(80)의 칼날(82)이 삽입되게 돌출되거나 휘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KR10-2003-0007721A 2003-02-07 2003-02-07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KR10046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21A KR100467790B1 (ko) 2003-02-07 2003-02-07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721A KR100467790B1 (ko) 2003-02-07 2003-02-07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636U Division KR200314939Y1 (ko) 2003-02-07 2003-02-07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27A KR20040071827A (ko) 2004-08-16
KR100467790B1 true KR100467790B1 (ko) 2005-01-26

Family

ID=3735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21A KR100467790B1 (ko) 2003-02-07 2003-02-07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050B (zh) * 2021-12-13 2023-05-02 中铁二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表面水泥清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27A (ko)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5002B1 (de) Rütt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des Kernsandes aus hohlen Gußstücken
ATE237465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elativ weichen produktes, sowie das produkt selbst
CN110785358B (zh) 用于将散料灌装至敞口袋的设备和方法
JPS61103659A (ja) トリムプレス
KR100467790B1 (ko)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KR200314939Y1 (ko) 철거푸집의 이물제거 장치
CN109396383B (zh) 一种转子压铸机器人自动线
CN113826752A (zh) 一种冰淇淋巧克力的涂层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392055A (zh) 锌合金锭浇铸高效刮皮去渣方法
AU2843001A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working elongated elements, in particular metallic profiled elements
RU2140851C1 (ru)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оительной панели
DE60018489D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estelektrolytkondensators
CN216499628U (zh) 一种建筑工程残渣处理装置
CN210538552U (zh) 一种具有上料装置的真空滚揉机
CN205588441U (zh) 重竹方料的自动生产系统
CN205075165U (zh) 一种能使砖表面平整的砖成型机
CN208034083U (zh) 一种具有钢板表面处理装置的激光切割机
JP5297239B2 (ja) 給材箱装置
CN113356003A (zh) 一种公路美缝用灌缝机及美缝方法
WO2008123005A2 (en) Improved apparatus and process for die filling supply, in forming of tiles or like products
CN205588443U (zh) 脱模机
CN220884399U (zh) 一种手推式料斗车
JP2000168753A (ja) 自動開袋装置
CN117548655B (zh) 一种铸造件表面处理装置及表面处理方法
CN218402114U (zh) 一种小型垃圾车垃圾桶输送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