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435B1 -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435B1
KR100466435B1 KR10-2002-0054392A KR20020054392A KR100466435B1 KR 100466435 B1 KR100466435 B1 KR 100466435B1 KR 20020054392 A KR20020054392 A KR 20020054392A KR 100466435 B1 KR100466435 B1 KR 10046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groo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830A (ko
Inventor
서동수
Original Assignee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5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4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돌기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뒤채움체와 보강재를 함께 매설하여 뒤채움체의 강성을 증가시켜 토체 자체가 자립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재, 전면판(도면상 미도시됨), 블록체 및 연결장치로 구성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와 보강재를 사용하여 교차 시공 및 곡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 보강재와 함께 토사를 매립하여 블록체를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블록 몸체의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타측에 원호를 그리는 원호면이 형성되며, 수직면에 전면판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수직홈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원호면은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블록 몸체에는 중앙이 관통되어 D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의 원호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2열로 사각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고 사각 돌기가 형성된 그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블록 몸체의 수직면이 형성된 하부에 돌출되도록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중앙에 D자형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면에 연접하게 안착부가 형성된 블록체; 이형 철근을 주로 사용하여 블록체의 후방으로 수평(일렬)하게 시공되는 한편,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아연도금 처리된 보강재; 원추형 형태로 제작되어 보강재의 길이방향의 후방에 다수개가 결합설치되는 한편, 상부 몸체에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보강재의 외측에 감싸지는 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조립식 돌기; 상기의 보강재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블록체의 홈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편,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장치;로 구성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BREAST WALL SYSTEM FOR FOUNDATION APPLIED TO REINFORCED EARTH}
본 발명은 보강토에 설치되는 조립식 돌기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뒤채움체와 보강재를 함께 매설하여 뒤채움체의 강성을 증가시켜 토체 자체가 자립하도록 할 수 있는 보강재, 조립식 돌기, 블록체 및 연결장치로 구성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절토나 성토시에 발생되는 지반 붕괴를 막기위한 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까지의 옹벽은 콘크리트 옹벽을 주로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의 옹벽은 주로 발생되는 토압을 지지하는 시스템이지만, 보강토 옹벽은 시공시 뒤채움체에 보강재를 매설하여 토체의 강성을 증가시켜 토체 자체가 자립하도록 하는 좀더 발전된 옹벽 시스템이다.
상기의 보강토 옹벽은, 일반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높은 옹벽 시공이 가능하고 단순작업으로 인해 대단위 공사 및 옹벽고가 높을 수록 경제적이며, 공학적으로도 좋은 장점을 가져 지진시에도 안전한 구조임이 입증된바 있다.
상기의 보강토 옹벽에 사용되는 보강재는, 섬유 보강재와 스틸 보강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제품의 대부분이 수입품으로 고가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현재는 흙막이 구조용으로 R.C 옹벽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보강토 옹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블록체의 결합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블록체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다.
블록체(1)(2)는 중심부에 슬릿홈부(3)가 형성되고, 상기의 슬릿홈부(3)의 양측에 관통되는 관통홈부(4)(5)가 마름모 형태로 상,하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의 블록체(1)(2)에는 돌기(6)와 고정홈(7)이 형성된다.
상기의 블록체(1)는 일측면 중앙에 슬릿홈부(3)를 형성한 다른 블록체(2)와 연결시 연성을 가진 조인트 연결바(8)를 이용하여 블록체(1)(2)의 슬릿홈부(3)의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의 블록체(1)(2)는 흙막이 구조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흙막이 구조물에 대한 형성 방법은, 상기의 블록체는 돌기가 다른 블록체의 고정홈에 고정되어 블록체간의 상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횡방향으로 블록체(1)(2)를 연결시키는 경우, 블록체들의 중심부에 형성된 슬릿홈부(3)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조인트 연결바(8)를 이들 슬릿홈부(3)에 삽입하고 힘을 가하여 고정시키면 상기의 조인트 연결바(8)에 의해 블록체(1)(2)들을 연결하게 되어 곡선 형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1)(2)(도면상 다수개가 도시되지만 전체적인 설명을 위해 2개의 블록체에만 부호를 도시한다)들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블록체(1)(2)들을 조인트 연결바(8)에 의하여 측면 결합하거나 블록체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눕혀진 형태로 설치되는 관계로, 장마철과 같이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후방에서 전해지는 토사 표면층의 슬라이딩 현상에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설치 작업에 대한 용이성은 있지만, 상기의 블록체들을 높게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 많은 수의 블록체가사용되는 관계로 시공비가 높게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의 블록체는 기성 제품으로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시공한 후에 블록체의 몸체의 중앙을 2개의 사각홈이 형성되는 관계로 블록체에 대한 강성이 약화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립식 타입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일반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높은 옹벽 시공이 가능하고, 단순 작업으로 인해 대단위 공사 및 옹벽고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며, 공학적으로도 매우 좋아 지진시에도 안전한 자립이 가능하고, 보강재와 연결장치에 대한 구입이 수월하며, 보강 특성이 우수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블록체의 결합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블록체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를 설치한 보강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와 보강재의 분해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의 작용 토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시공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시공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교차 시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곡면 시공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7a는 본 발명의 보강재와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b는 본 발명의 보강재와 다른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블록체와 연결장치,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50 : 보강재 60 : 조립식 돌기
62 : 상부 몸체 64 : 결합 홈부
66 : 하부 몸체 68 : 상부 돌출부
70,80: 블록체 71 : 블록 몸체
72 : 수직면 73 : 원호면
74 : D자형홈 75 : 사각 돌기
76 : 홈부 77 : 안착부
78 : 수직홈 79 : 하부 돌출부
90,90' : 연결 장치 92 : 관통홈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체와 보강재를 사용하여 교차 시공 및 곡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 보강재와 함께 토사를 매립하여 블록체를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블록 몸체의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타측에 원호를 그리는 원호면이 형성되며, 수직면에 전면판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수직홈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원호면은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블록 몸체에는 중앙이 관통되어 D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의 원호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2열로 사각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고 사각 돌기가 형성된 그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블록 몸체의 수직면이 형성된 하부에 돌출되도록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블록 몸체의 중앙에 D자형홈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면에 연접하게 안착부가 형성된 블록체; 이형 철근을 주로 사용하여 블록체의 후방으로 수평(일렬)하게 시공되는 한편,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아연도금 처리된 보강재; 원추형 형태로 제작되어 보강재의 길이방향의 후방에 다수개가 결합설치되는 한편, 상부 몸체에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보강재의 외측에 감싸지는 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조립식 돌기; 상기의 보강재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블록체의 홈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편,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장치;로 구성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를 설치한 보강재의 사시도로서, 원형 철근 또는 이형 철근으로 제작된 보강재(50)에는 그 외측에 원추형태로 제작된 조립식 돌기(60)가 결합되는 한편, 이때 상기의 보강재(50)는 원형 철근보다 이형 철근을 사용하면 보강 효과가 더욱 크고 상기의 보강재(50)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이 처리되며, 상기의 조립식 돌기(60)는 2개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와 보강재의 분해 상태 측면도로서, 상기의 보강재(50)에 결합되는 조립식 돌기(60)는 2개 1조로 이루는 부재로, 상기의 조립식 돌기(60)는 상부 몸체(62)에 결합 홈부(64)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66)에 상부 돌출부(68)가 형성된다.
즉, 상기의 조립식 돌기(60)는, 원추형 형태로 제작되는 한편, 상부몸체(62)의 결합 홈부(64)에 하부 몸체(66)의 상부 돌출부(68)가 결합되어 보강재(50)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보강재(50)에는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조립식 돌기(60)가 결합할 수 있고, 상기의 보강재(50)에 점선으로 연결된 부분은 후방으로 길게 보강재가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돌기의 작용 토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보강재에 조립식 돌기(60)를 구성하는 상부 몸체(62)와 하부 몸체(6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토압이 수직(수직 화살표)하게 작용하는 경우, 그 상부 토압력에 의해 마찰력(수평 화살표)은 수평하게 작용하게 되어 보강재에 조립식 돌기(6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체의 사시도로서, 블록체(70)는, 블록 몸체(71)의 일측에 수직면(72)을 형성하고, 블록 몸체(71)의 타측이 원호를 그리는 원호면(73)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은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블록체(70)의 블록 몸체(71)는 중앙이 관통되어 D자형홈(74)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2열로 사각 돌기(75)가 다수개 형성되고 사각 돌기(75)가 형성된 그 사이에는 홈부(76)가 형성된다.
상기의 블록체(70)의 블록 몸체(71)에는 중앙의 D자형홈(74)이 형성된 면에연접하게 안착부(77)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일측면도이다.
다른 블록체(80)는 블록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지만 전면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블록 몸체(71)에 수직홈(78)이 형성되는데, 상기의 수직홈(78)은 수직면(7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편, 안착부(77)가 형성된 부분까지 연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의 다른 블록체(80)는, 블록 몸체(71)의 일측이 수직면(72)을 형성하고, 블록 몸체(71)의 타측이 원호를 그리는 원호면(73)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수직면(72)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내려오는 수직홈(78)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은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의 블록 몸체(71)는 중앙이 관통되어 D자형홈(74)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2열로 사각 돌기(75)가 다수개 형성되고 사각 돌기(75)가 형성된 사이에는 홈부(76)가 형성된 구조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는 블록체(70)(도면상 미도시됨)와 수직홈(78)이 형성된 형태에서 차이를 가진다.
상기의 다른 블록체(80)에는 블록 몸체(71)의 수직면(72)이 형성된 하부로돌출되도록 하부 돌출부(79)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의 다른 블록체(80)의 블록 몸체(71)에는 중앙의 D자형홈(74)이 형성된 면에 연접하게 안착부(77)가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시공 측면도로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는 하부 돌출부(79)가 연접하는 다른 다른 블록체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일렬로 시공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시공 평면도로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가 일렬로 시공된 상태로 수직면(72)이 연접되어 일렬로 배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교차 시공도로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는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1단을 이루게 되고, 이때 상기의 다른 블록체(80)가 1단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그 직상부에 교차되도록 다른 다른 블록체(80)가 일렬로 설치되어 2단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교차 시공도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의 다른 블록체(80)가 1단으로 시공된 상부에 다른 블록체(80)가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의 다른 블록체(80)의 안착부(77)에는 하부 돌출부가 교차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블록체의 곡면 시공도로서, 상기의 다른 블록체(80)는 수직면(72)이 연접되록 배열되어 다수개가 곡면 시공된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연결장치(90)(90')는 원형과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보강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장치에는 중앙의 관통홈(92)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보강재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의 연결장치(90)(90')와 보강재가 결합시, 보강재의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장치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외부의 응력에 의하여 연결장치(90)(90')와 보강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장치와 보강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보강재와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b는 본 발명의 보강재와 다른 연결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보강재(50)에는 연결장치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의 보강재(50)는 이형 철근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블록체(70)(80)에 연결장치(90)가 삽입된 상태로 보강재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의 상기의 연결 장치(90)(90')는 사용되는 보강재(50)의 지름의 1배에서 3배로 하는 것이 적정한데, 이는 연결 장치(90)가 토사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하고 인발력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블록체와 연결장치,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블록체(70)(80)에는 원호면(73)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76)에 보강재(50)와 함께 연결장치(90)(90')가 안착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의 블록체(70)(80)에 결합된 보강재(50)에는, 보강 섬유 및 보강 철망 등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던 종래의 보강재가 시공시 전혀 필요없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블록체(70)(80)는,원호면(73)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76)에 연결장치(90)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로 보강재(50)와 함께 홈부(76)에 안착되고 상기의 보강재(50)의 후방에는 다수개의 조립식 돌기(60)가 결합되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지오 그리드(상표명)와 같이 철망 구조로 제작된 보강 철망의 구조물에 대한 사용이 필요없게 되며, 그로인하여 블록체(70)(80)는 외부의 응력에 대하여 적절하게 작용하게 되어 블록체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블록체(70)(80)는 다단으로 수직하게 시공하는 경우, 하면에 설치되는 블록체와 하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블록체가 적층구조로 수직하게 다층으로 시공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교차 시공 및 곡면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의 블록체(70)(80)는, 다수개가 열을 맞추어 안착된 상태에서 그 블록체의 홈부(76)를 지나 후방으로 보강재(5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의 보강재(50)에 연결장치(90)를 결합한 상태에서 홈부(76)에 연결장치(90)가 안착되게 하면 외부의 응력에 대응하여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의 블록체(70)(80), 보강재(50), 조립식 돌기(60) 및 연결장치(90)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경우, 장마철과 같이 토사의 표면층이 슬라이딩되는 때에도 보강토 옹벽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첫째, 보강재로 일반 철근을 사용하므로 보강재의 인장 강도는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조립식 돌기가 보강재와 결합되므로 보강재와 뒷채움체의 부착 계수를 크게하여 인발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로, 보강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을 처리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로인하여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로, 보강재로 일반 철근을 사용하여 수급 및 생산 관리가 간편하고,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의 연결장치와 조립식 돌기는 현장 및 공장에서 쉽게 철근에 정착시킬 수 있어 비숙련자도 쉽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넷째로, 블록체는 원호면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에 연결장치가 안착되도록 시공한 뒤 후방으로 나온 보강재에 조립식 돌기를 설치하게 되면 보강 작업이 완료되는 관계로 작업의 효율화 및 보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본 발명의 블록체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설치된 후방에서 우수에 의한 토사의 표면 슬라이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블록체가 시공 위치를 지킨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연후에 발생되는 토사가 도로를 덮는 것과 같은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로, 장마철과 같은 폭우시에도 보강토 옹벽이 전도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 및 승객들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Claims (3)

  1. 블록체와 보강재를 사용하여 교차 시공 및 곡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후방에 보강재와 함께 토사를 매립하여 블록체를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블록 몸체(71)의 일측에 수직면(72)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71)의 타측에 원호를 그리는 원호면(73)이 형성되며, 수직면(72)에 전면판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수직홈(78)이 형성되고,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은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블록 몸체(71)에는 중앙이 관통되어 D자형홈(74)이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 몸체(71)의 원호면(73)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2열로 사각 돌기(75)가 다수개 형성되고 사각 돌기(75)가 형성된 그 사이에는 홈부(76)가 형성되며,
    블록 몸체(71)의 수직면(72)이 형성된 하부에 돌출되도록 하부 돌출부(79)가 형성되고, 블록 몸체(71)의 중앙에 D자형홈(74)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면에 연접하게 안착부(77)가 형성된 블록체(80);
    이형 철근을 주로 사용하여 블록체의 후방으로 수평(일렬)하게 시공되는 한편,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아연도금 처리된 보강재(50);
    원추형 형태로 제작되어 보강재(50)의 길이방향의 후방에 다수개가 결합설치되는 한편, 상부 몸체(62)에 결합 홈부(64)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66)에 상부 돌출부(68)가 형성되어 보강재(50)의 외측에 감싸지는 형태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조립식 돌기(60);
    상기의 보강재(50)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블록체(80)의 홈부(76)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편,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장치(90);로 구성된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블록체(80)는 다층으로 시공되는 경우, 안착부(77)에 다른 블록체의 하부 돌출부(79)가 안착되어 수직하게 다층시공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 장치(90)(9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가능하며, 사용되는 보강재(50)의 지름의 1배에서 3배로 하여 접촉 면적을 향상하고 인발력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2002-0054392A 2002-09-10 2002-09-10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046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392A KR100466435B1 (ko) 2002-09-10 2002-09-10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392A KR100466435B1 (ko) 2002-09-10 2002-09-10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30A KR20040022830A (ko) 2004-03-18
KR100466435B1 true KR100466435B1 (ko) 2005-01-15

Family

ID=3732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392A KR100466435B1 (ko) 2002-09-10 2002-09-10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43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6928A (ja) * 1985-03-19 1986-09-26 Kumagai Gumi Ltd 盛土施工方法および補強材
US5484235A (en) * 1994-06-02 1996-01-16 Hilfiker; William K. Retaining wall system
KR960034594A (ko) * 1995-03-31 1996-10-24 이은수 조립식 옹벽 지지구
JPH09203044A (ja) * 1996-01-26 1997-08-05 K R I Engineers Kk 鉄筋にリブの付いた補強土用補強材
KR200172438Y1 (ko) * 1998-01-09 2000-03-02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축조용 앵커블록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200238747Y1 (ko)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0267024Y1 (ko) * 2001-12-10 2002-03-06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럭 지지구조
KR200273547Y1 (ko) * 2002-01-25 2002-05-03 김옥민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KR200273555Y1 (ko) * 2002-01-29 2002-05-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체결구조
JP2002220834A (ja) * 2001-01-26 2002-08-0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6928A (ja) * 1985-03-19 1986-09-26 Kumagai Gumi Ltd 盛土施工方法および補強材
US5484235A (en) * 1994-06-02 1996-01-16 Hilfiker; William K. Retaining wall system
KR960034594A (ko) * 1995-03-31 1996-10-24 이은수 조립식 옹벽 지지구
JPH09203044A (ja) * 1996-01-26 1997-08-05 K R I Engineers Kk 鉄筋にリブの付いた補強土用補強材
KR200172438Y1 (ko) * 1998-01-09 2000-03-02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축조용 앵커블록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JP2002220834A (ja) * 2001-01-26 2002-08-0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200238747Y1 (ko)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200267024Y1 (ko) * 2001-12-10 2002-03-06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럭 지지구조
KR200273547Y1 (ko) * 2002-01-25 2002-05-03 김옥민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KR200273555Y1 (ko) * 2002-01-29 2002-05-03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830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0770023B1 (ko) 전단머리를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무량판의 접합구조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CN104963275A (zh) 钢复合psc波纹钢板u型梁
KR101358830B1 (ko) 조립식 암거박스의 접합구조
CN105649212A (zh) 一种砌体填充墙与主体框架的柔性连接装置及其砌筑方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CN108999288B (zh) 一种预制装配式梁柱节点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66435B1 (ko)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152872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2054990B1 (ko) 커플링근과 t형 보강 부재를 이용한 단부보강 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연결구조
JP2017214717A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KR200291348Y1 (ko)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KR100448438B1 (ko)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KR102259659B1 (ko) L형 앵커체와 스트립바를 이용한 장식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23205B1 (ko) 보강지지철물과 연결철물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설치구조
KR20100104737A (ko) 합성 콘크리트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32582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구조
CN108468436B (zh) 用于幕墙安装连接点的加固方法、加固结构及幕墙装配系统
KR20220045445A (ko) 목구조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KR101952318B1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