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318B1 -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318B1
KR101952318B1 KR1020170048516A KR20170048516A KR101952318B1 KR 101952318 B1 KR101952318 B1 KR 101952318B1 KR 1020170048516 A KR1020170048516 A KR 1020170048516A KR 20170048516 A KR20170048516 A KR 20170048516A KR 101952318 B1 KR101952318 B1 KR 10195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
wall
placing
longitudina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960A (ko
Inventor
오희부
Original Assignee
오희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부 filed Critical 오희부
Priority to KR102017004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3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압축강도가 7배 정도 낮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 :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로 주택을 짓더라도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ALC 벽체용 종근(주근)과 테두리 보강용 형강 및 ALC 슬래브용 형강을 통해 ALC 벽체 및 슬래브가 일체로 연결된 것처럼 뼈대를 이루어 내진을 충족시킨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proof ALC house}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압축강도가 7배 정도 낮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 :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로 주택을 짓더라도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ALC 벽체용 종근(주근)과 테두리 보강용 형강 및 ALC 슬래브용 형강을 통해 ALC 벽체 및 슬래브가 일체로 연결된 것처럼 뼈대를 이루어 내진을 충족시킨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벽체용 ALC 블록과 슬래브용 ALC 패널이 특허문헌 1,2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벽체용 ALC 블록은 그 블록들의 수평 조절과 벽체에 횡방향 철근과 종방향 철근이 배치되는 있다.
특허문헌 2의 슬래브용 ALC 패널은 하부 철판을 통해 굽힘 하중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벽체용 ALC 블록과 슬래브용 ALC 패널은 내진을 고려치 않고 일반 주택처럼 벽체 또는 슬래브 용도로 짓은 것으로, 특히 약한 내진에도 쉽게 붕괴 될 우려가 크다.
내진에 약한 것은, 콘크리트 기초, ALC 벽체 및 슬래브, 종방향 및 횡방향 철근 등이 서로 하나로 연결되는 뼈대(마치 철근콘크리트)처럼 시공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235244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74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벽체 및 슬래브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뼈대처럼 연결하여 압축강도 매우 낮은 ALC가 내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은, 지반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테두리를 따라 기단용 ALC블록을 놓아 ALC기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에 대해 상기 ALC기단층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수평이 조절된 후 상기 ALC기단층의 각 기단용 ALC블록의 중심에 형성된 수직 관통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스트롱 앙카를 박는 단계; 상기 스트롱 앙카에 수나사 봉인 종근을 체결 고정하는 단계; 상기 종근이 체결 고정된 후 상기 관통공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ALC기단층을 접합시키는 단계; 조적용 ALC블록 간의 측면에 형성된 반홈들이 접해 형성된 홈 내부에 상기 종근이 배치되게 상기 ALC기단층에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을 반복하여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 중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 상측 또는 하측에 개구부용 린텔(lintel)의 좌우측에 고정된 강관이 상기 종근에 끼워진 채 걸쳐 놓이는 단계; 상기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이 완성되면 상기 홈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홈에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벽체용 다수의 ALC블록 조적층의 최상단의 상면 및 내면에 접촉되게 테두리 보강용 T형강이 상기 종근에 끼워진 채 놓이는 단계; 상기 종근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두리 보강용 T형강의 전후 또는 좌우에 걸쳐 슬래브용 십자 형강이 놓이는 단계; 상기 종근에 끼워지면서 상기 슬래브용 십자 형강 사이마다 ALC패널이 놓이는 단계; 상기 ALC패널이 놓인 후 상기 슬래브용 십자 형강들의 하측에 수나사봉인 횡근으로 체결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은, 상기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적층에는 테두리를 따라 수나사봉인 횡근들이 이음되어 배근되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에서 끊어지는 상기 횡근의 끝단에 암나사 와셔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기초에 박힌 앙카에 수나사 봉인 종근이 체결 이음되기 때문에, 하나의 철근처럼 일체로 거동하여 내진에 강하다.
또한, 종근을 기준으로 해서 벽체와 슬래브가 하나의 뼈대처럼 연결되어, 주택 전체가 하나의 프레임과 같이 형성되어 지진형태에 따른 내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놓인 테두리 보강용 T형강과, 이 테두리 보용 T형강 사이를 걸친 슬래브용 십자 형강이 종근과 연결용 횡근을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내진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개구부에서 끊어지는 부분의 횡근에 암나사 와셔와 너트가 체결되어 최종 마무리를 하기 때문에, 일반 와셔를 사용할 때 너트로 체결될 때 계속 일반 와셔가 ALC블록으로 밀고 들어가 파손 또는 함몰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 와셔는 단단한 콘크리트나 탄성이 있는 목재 등에서 밀착되어 면압력을 작용하여도 함몰되지 않아 적용이 용이하나, 탄성도 없고 단단하지 않은 ALC블록인 경우엔 암나사 와셔가 횡근에 체결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너트로 계속 죄어도 밀고 들어가지 않아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4면을 모두 도시하지 않고 전면과 일측면만 도시하는 것으로 전체 주택의 벽체와 슬래브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G)을 파고 그곳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F)를 완성한다.
기초(F)가 완성되면, 도 2와 같이 기초(F)의 상면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4변에 기단용 ALC블록(1a)들이 놓인다.
ALC블록(1a)들이 놓여 ALC기단층(a)이 형성되면, 도 3과 같이 수평조절부(10)를 이용해서 기초(F)에 대해 ALC기단층(a)의 상면 높이를 맞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용 ALC블록(1a)에는 가운데 관통공(3a)과, 그 주변에 3개의 홀(5a)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홀(5a)에는 수평조절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조절부(10)는 홀(5a)에 고정된 너트(11)와, 이 너트(11)에 체결되는 승강볼트(13)를 포함한다.
승강볼트(13)의 상면에는 소켓(13a)이 형성되어, 도구(T)를 이용하여 승강볼트(13)의 회전에 따른 승강으로 수평을 맞춘다.
ALC기단층(a)의 상면 높이의 수평을 맞춘 후, 도 4와 같이 관통공(3a)을 통해 스트롱 앙카(15)를 기초(F)에 박고, 수나사 봉인 종근(20)이 스트롱 앙카(15)에 체결 고정된다.
스트롱 앙카(15)는 먼저 기초(F)에 뚫은 홈인 구멍에 삽입한 후 타격 등으로 날개의 확개로 파고들어가 고정시킨다.
스트롱 앙카(15)에 종근(20)이 체결된 후, 관통공(3a)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전한다.
몰탈이 경화된 후, 도 5 및 도 5a와 같이 ALC기단층(a) 위에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b)이 놓인다.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b)의 제1ALC블록(1b)은 좌우 양측에 반홈(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ALC블록(1b) 간에 옆으로 놓으면, 반홈(3b)이 합쳐져 홈(3)이 되고, 이 홈(3)에 종근(20)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ALC블록(1b)의 상면에는 전후에 좌우방향을 따라 횡근(25)이 놓이는 횡근 장착홈(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근(25)은 수나사 봉으로서, 턴버클 타입의 너트로 테두리를 따라 이음을 해서 연결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출입구 개구부(EP)나 창용 개구부(WP)에서 끊어진 횡근(25)이 보이는 경우 도 5b,도 5d와 같이 암나사 와셔(26)와 너트(27)로 체결해서 마무리하고, 몰탈을 횡근 장착홈(5)에 타설한다.
암나사 와셔(26)는 중심에 일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6a)와, 이 플랜지(26a)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26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암나사 와셔(26)는 횡근(25)에 체결된 채 있기 때문에 너트(27)가 조이고 들어와도 더 이상 밀리지 않아 와셔로 인한 ALC블록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의 창용 개구부(WP)의 하면에 있는 종근(20)도 같은 방법으로 암나사 와셔와 너트로 체결해서 마무리를 하면 된다.
횡근 장착홈(5)에 몰탈이 타설된 후, 제2ALC블록(2b)이 놓여 도 6과 같이 벽체용 제2ALC블록 조적층(c)이 형성된다.
제2ALC블록(2b)은 양측면에 반홈(3a)이 형성된 블록이고, 제1ALC블록(1b)과 같은 기능을 한다.
벽체용 제2ALC블록 조적층(c)이 형성되면, 반복해서 제1ALC블록 조적층(b)과 제2ALC블록 조적층(c)이 교대로 쌓여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d~f)이 형성된다.
이때, 도 7과 같이 출입구용 개구부(EP)와 창용 개구부(WP)가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d~k)을 다 쌓기 전에, 개구부(EP)(WP) 높이까지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d~i)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개구부용 린텔(30)이 개구부(WP)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걸쳐지면, 윗쪽의 무게를 린텔(30)이 지탱시키게 한다.
개구부용 린텔(30)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판(31)과, 철판(31)의 전후에 배치되는 분할 ALC블록(33)과, 전후 ALC블록(33)과 철판(31)을 관통하게 삽입되는 수나사봉(34)과, 수나사봉(34)의 전후에 체결되는 체결요소(35), 철판(31)의 좌우단에 고정되어 종근(20)이 끼워지는 강관(37)을 포함한다.
철판(31)의 전후면에는 아스팔트(AP) 접착제가 접착되어 있어, 체결요소(35)의 당김과 동시에 탄성과 방수도 동시에 만족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체결요소(35)도 암나사 와셔(35a)와 너트(35b)로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측에 놓이는 린텔(30)을 상인방, 하측에 놓이는 린텔을 하인방이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용 린텔(30)이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에 놓일 수 있다.
개구부용 린텔(30)이 걸쳐진 후 ALC블록 조적층(h)을 완성하고, 다시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i,h)들이 형성된다(도 8 참조).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b~h)이 모두 형성되면, 수직으로 서로 통하는 홈(3)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전한다.
홈(3)에 몰탈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최상단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h)의 둘레를 따라 몰탈을 바르고, 그 위에 테두리 보강용 T형강(40)이 놓이되, 종근(20)이 끼워진 채 놓인다.
테두리 보강용 T형강(40)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41)과, 상판(41)의 전후 중심의 밑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하수직판(43)과, 전방 상판(41)에 형성되는 종근 인출공(4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수직판(43)이 최상단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h)의 내면에 접하고, 상판(41)의 일부가 최상단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h)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놓인 테두리 보강용 T형강(40)은 종근(20)에 너트로 조인 후, 도 8a 및 도 8b와 같이 테두리 보강용 T형강(40)의 전후 또는 좌우에 걸쳐 슬래브용 십자 형강(50)이 종근(20)에 끼워진 채 걸쳐진다.
슬래브용 십자 형강(50)은 크로스 수평판(51)과, 크로스 수평판(51)의 상면 중심에서 크로스 방향을 따라 위로 돌출되는 크로스 상 수직판(53)과, 크로스 수평판(51)의 하면 중심에서 크로스 방향을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크로스 하 수직판(55)과, 크로스 수평판(51)에 종근(30)이 인출되는 수직 인출공(57)과, 하 수직판(35)에 연결용 횡근(70)이 인출되는 수평 인출공(5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 수직판(35)의 양 단면은 하수직판(43)에 닿을 정도의 길이로서, 상 수직판(53)의 길이방향보다 길이가 짧다.
하 수지판(35)은 크로스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판을 용접해서 고정시킬 수 있고, 한편으로 그 크로tm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용 횡근(70)이 끼워질 자리에만 판을 듬성듬성 불연속 고정시킬 수도 있다.
테두리 보강용 T형강(40)과 슬래브용 십자 형강(50)이 놓이면, 너트 등으로 종근(20)의 상단에 체결하여 마무리한다. 물론, 2층을 올리기 위해서는 종근(20) 간의 이음을 턴버클 타입의 너트로 행하면 된다.
다음에, 도 9와 같이 ALC패널(60)이 슬래브용 십자 형강(50) 사이마다 놓이되, ALC패널(60)도 종근(20)에 끼워진 채 놓인다. (도 9의 종근은 2층을 올리기 위한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 돌출한 종근에 체결된 너트에 이음용 종근이 체결된 것을 보여준다)
ALC패널(60)은 그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패널로서, 그 무게가 200~500kg 정도 나가는 중량이다.
이러한 중량의 ALC패널(60)은 기중기 등을 이용해서 들어올려 내려놓는데, 슬래브용 십자 형강(50) 사이에 틈새 없이 끼워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제1슬래브용 십자 형강을 놓고, 그 일측에 ALC패널(60)을 놓지만, 서포트 등으로 타측을 약간 받쳐 아래쪽에 틈새가 생기게 한 후, 제2슬래브용 십자 형강을 끼운 후 서포트를 제거하면서 ALC패널을 반복해서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ALC패널(60)과 슬래브용 십자 형강(50)은 서로 AP접착제로 접착되게 하는 게 방수나 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ALC패널(60)이 다 놓이면, 도 10과 같이 하 수직판(55)들을 수나사봉인 연결 횡근(70)과 너트로 체결해서 텐션을 주어 슬래브용 십자 형강(50)들을 일체화한다.
연결 횡근(70) 끼리 조인 후, 그 부분에 폼 등을 분사하여 연결 횡근(70)이 파묻히게 하면 슬래브의 하면이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a : 기단용 ALC블록 1b : 제1ALC블록
10 : 수평조절부 20 : 종근(주근)
25 : 횡근(보조근) 26 : 암나사 와셔
27 : 너트 30 : 개구부용 린텔
40 : 테두리 보강용 T형강 50 : 슬래브용 십자 형강
60 : ALC패널 70 : 연결용 횡근
a : ALC기단층 b~k : ALC블록 조적층
EP,WP : 출입문, 창 개구부

Claims (2)

  1. 지반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테두리를 따라 기단용 ALC블록을 놓아 ALC기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에 대해 상기 ALC기단층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수평이 조절된 후 상기 ALC기단층의 각 기단용 ALC블록의 중심에 형성된 수직 관통공을 통해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스트롱 앙카를 박는 단계;
    상기 스트롱 앙카에 수나사 봉인 종근을 체결 고정하는 단계;
    상기 종근이 체결 고정된 후 상기 관통공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ALC기단층을 접합시키는 단계;
    조적용 ALC블록 간의 측면에 형성된 반홈들이 접해 형성된 홈 내부에 상기 종근이 배치되게 상기 ALC기단층에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용 제1ALC블록 조적층을 반복하여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 중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 상측 또는 하측에 개구부용 린텔(lintel)의 좌우측에 고정된 강관이 상기 종근에 끼워진 채 걸쳐 놓이는 단계;
    상기 다수의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이 완성되면 상기 홈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단계;
    상기 홈에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벽체용 다수의 ALC블록 조적층의 최상단의 상면 및 내면에 접촉되게 테두리 보강용 T형강이 상기 종근에 끼워진 채 놓이는 단계;
    상기 종근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두리 보강용 T형강의 전후 또는 좌우에 걸쳐 슬래브용 십자 형강이 놓이는 단계;
    상기 종근에 끼워지면서 상기 슬래브용 십자 형강 사이마다 ALC패널이 놓이는 단계;
    상기 ALC패널이 놓인 후 상기 슬래브용 십자 형강들의 하측에 수나사봉인 횡근으로 체결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용 ALC블록 조적층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적층에는 테두리를 따라 수나사봉인 횡근들이 이음되어 배근되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에서 끊어지는 상기 횡근의 끝단에 암나사 와셔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2. 삭제
KR1020170048516A 2017-04-14 2017-04-14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10195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16A KR101952318B1 (ko) 2017-04-14 2017-04-14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16A KR101952318B1 (ko) 2017-04-14 2017-04-14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309A Division KR102181416B1 (ko) 2019-02-19 2019-02-19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60A KR20180115960A (ko) 2018-10-24
KR101952318B1 true KR101952318B1 (ko) 2019-02-26

Family

ID=6413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16A KR101952318B1 (ko) 2017-04-14 2017-04-14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728A (zh) * 2021-06-11 2021-08-06 唐山市易新建筑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提高抗震性能以及防水性能的alc板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40B1 (ko) * 2013-08-12 2014-05-09 김웅회 선 미장시공을 위한 조적식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152B1 (ko) * 2000-02-21 2003-05-09 김동현 철골조 및 스틸하우스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235244B1 (ko) 2012-05-30 2013-02-20 최우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블록
KR20130134136A (ko) * 2012-05-30 2013-12-10 김용배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60147413A (ko) 2015-06-15 2016-12-23 (주)성은 바닥용 alc패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40B1 (ko) * 2013-08-12 2014-05-09 김웅회 선 미장시공을 위한 조적식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60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WO2019056717A1 (zh) 一种后张预应力装配砼框架抗震耗能构件体系及施工方法
CA2696474C (en) Reinforcing shape member for a wall and system for construction using same
KR101397800B1 (ko) 단면증설 및 지중보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2240257B1 (ko)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KR101478611B1 (ko) 기둥 주체 조립식 풀 피씨 계단실의 시공방법
KR101277751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보-기둥 건물의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1277752B1 (ko) 건물 보-기둥 골조 내부구간에 외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끼움형으로 설치하는 리모델링 시공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US11542719B2 (en)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mponent and building main body
KR101429430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CN108060789B (zh) 一种既有砌体结构隔震加固的墙体托换方法
CN110805144B (zh) 全装配式高层/超高层混凝土框支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101952318B1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20190019119A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10105445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100006805U (ko) 토류판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241400B1 (ko) 아치형구조물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