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024Y1 - 옹벽블럭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옹벽블럭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024Y1
KR200267024Y1 KR2020010038037U KR20010038037U KR200267024Y1 KR 200267024 Y1 KR200267024 Y1 KR 200267024Y1 KR 2020010038037 U KR2020010038037 U KR 2020010038037U KR 20010038037 U KR20010038037 U KR 20010038037U KR 200267024 Y1 KR200267024 Y1 KR 200267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anchor
wall block
r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이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이준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to KR2020010038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24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옹벽블럭을 지지하는데 유용한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시공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옹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옹벽블럭 지지구조는,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110)을 가지고, 후방벽면(130)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앵커구멍(132)이 수평구조 또는 경사구조로 형성된 옹벽블럭(100)을 앵커(200)에 의해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는, 상기 옹벽블럭의 제1앵커구멍을 통하여 중공으로 돌출되는 인장봉(210) 및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도록 중공으로 돌출된 인장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방행커헤드(220)를 가진다. 상기 전방앵커헤드는 외주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링홈(234)이 형성되며 소경부쪽에 인장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3분할링(230), 상기 링홈 둘레로 끼워져 인장봉에 결합되는 3분할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무링(240) 및 상기 3분할링의 소경부 쪽에서 3분할링의 둘레로 삽입되어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고 내주면에 상기 3분할링의 대경부 쪽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252)가 형성된 지지링(25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옹벽블럭 지지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블럭들의 조립에의하여 축조되는 옹벽이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지 않도록 철근이나 FRP봉 등과 같은 인장봉을 이용한 앵커에 의하여 옹벽블럭을 지지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개지의 다양한 경사면이나 법면에 시공되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함으로써 그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로서, 지형적 요인과 옹벽시공후 옹벽에 가해지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시공된다.
옹벽은 그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한 후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 등의 보강토를 채워 축조되는, 소위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성형 및 양생 등으로 인하여 코스트 및 공기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옹벽블럭들에 의하여 축조되는 옹벽이 널리 시공되고 있다.
옹벽블럭들에 의하여 축조되는 옹벽으로는 옹벽블럭들을 조립식으로 횡방향으로 여러 단 겹쳐 쌓은 다음 배면에 토사 및 쇄석 등의 보강토를 채워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옹벽블럭들에 의해 축조되는 옹벽들이 수평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앵커방식이 채용되는데, 그 종류를 살펴보면 지오그리드 앵커방식, 저항체 앵커방식 및 중력식 앵커방식을 들 수 있다.
지오그리드 앵커방식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PVC 코팅하여 일정한 메시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망체의 선단부를 상/하부 옹벽블럭들 사이에, 예컨대 이 상/하부 옹벽블럭들을 서로 조립하기 위한 결합핀 등에 걸어 고정시킨 다음 망체의 후단부를 수평으로 옹벽의 배면에 충전되는 보강토에 매립시킴으로써 망체의 눈들에 의한 보강토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옹벽을 지지하는 방식이다.
저항체 앵커방식은 옹벽블럭에 예컨대 철근, 강봉 또는 FRP봉 등과 같은 인장봉의 선단부를 고정하고 인장봉의 후단부를 보강토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저항체에 고정하여 보강토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체의 저항 및 보강토에 대한 인장봉의 마찰력에 의하여 옹벽을 지지하는 방식이다.
중력식 앵커방식은 주로 철근콘크리트 옹벽 구조 자체에 의하여 옹벽이 지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수평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보다 옹벽 바닥부의 저항모멘트를 크게 설계하여 수평토압에 의하여 옹벽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즉, 철근콘크리트 옹벽의 바닥부를 크게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중력식 앵커방식은 옹벽블럭들에 의하여 축조되는 옹벽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힘든 방식으로 거의 적용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앵커방식들은 그 나름대로의 이점과 단점이 있지만 가장 안전성이 높은 방식은 역시 저항체 앵커방식이다. 이 방식의 대표적인 것으로, 한국 특허공고 제93-629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고 제190277호에 개시된 것들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의 앵커방식들은, 옹벽의 전방에 확대단이 형성된 앵커구멍을 대략 수평구조 또는 경사구조로 옹벽에 천공하고, 이 앵커구멍에 인장봉(볼트포함)을 끼워 앵커구멍의 확대단에 배치되는 인장봉의 선단부에 너트를 체결하고, 옹벽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인장봉의 후단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으로 양생되는 앵커정착부에 매립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앵커방식에 있어서는, 인장봉에 나사부를 형성해야만 하고, 인장봉의 후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정착부를 양생해야만 하기 때문에 옹벽지지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옹벽의 전방으로 너트 체결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구멍의 확대단을 모르타르로 막아 양생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해야만 한다.
본 고안은 특히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옹벽블럭을 지지하는데 유용한 구조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시공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옹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의하여 옹벽블럭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는 옹벽블럭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옹벽블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옹벽블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옹벽블럭 배면도이고, 도 2d는 옹벽블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앵커헤드와 인장봉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의하여 옹벽블럭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의하여 옹벽블럭이 지지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의 다른 예를 구성하는 앵커헤드와 인장봉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의하여 옹벽블럭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이 옹벽블럭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앵커헤드를 인장봉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옹벽블럭, 110 : 옹벽블럭의 중공,
130 : 옹벽블럭의 후방벽면, 132 : 제1앵커구멍,
200 : 앵커, 210 : 인장봉,
212 : 길이방향돌출비드, 214 : 원주방향돌출비드,
220, 220a : 전방앵커헤드, 230 : 3분할링,
234 : 링홈, 240 : 고무링,
250 : 지지링, 254 : 스토퍼부,
260 : 저항체블럭, 262 : 제2앵커구멍,
270, 270a : 후방앵커헤드, 310 : 헤드본체,
312 : 삽입홈, 314, 324 : 암나사부,
320 : 이분할 결합링, 322 : 수나사부,
330 : 고무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고, 후방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앵커구멍이 수평구조 또는 경사구조로 형성된 옹벽블럭을 앵커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옹벽블럭의 제1앵커구멍을 통하여 중공으로 돌출되는 인장봉 및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도록 중공으로 돌출된 인장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방앵커헤드를 가지고; 상기 전방앵커헤드는 외주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링홈이 형성되며 소경부쪽에 인장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3분할링, 상기 링홈 둘레로 끼워져 인장봉에 결합되는 3분할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무링 및 상기 3분할링의 소경부 쪽에서 3분할링의 둘레로 삽입되어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고 내주면에 상기 3분할링의 대경부 쪽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 지지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3분할링의 소경부쪽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향플랜지 또는 상기 3분할링의 테이퍼면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테이퍼진 내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앵커는, 상기 전방앵커헤드에 의하여 옹벽블럭을 지지하게 되는 인장봉의 후단이 관통하도록 제2앵커구멍을 가지는 저항체블럭과, 상기 저항체블럭을 관통한 인장봉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앵커헤드와 동형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앵커헤드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앵커헤드 및 후방앵커헤드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후방앵커헤드는,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압입에 의해, 헤드본체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인장봉의 단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이분할 결합링과, 그리고 상기 이분할 결합링의 외주면과 삽입홈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링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인장봉은 철근, 강봉 또는 FRP봉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길이방향돌출비드 및 원주방향돌출비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는,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110)(여기서는 좌우 한 쌍의 중공(110, 110)이 형성된 것이 예시됨)을 가지고, 후방벽면(130)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앵커구멍(132)(여기서는 2개의 제1앵커구멍(132, 132)이 형성된 것이 예시됨)이 수평구조 또는 경사구조로 형성된 옹벽블럭(10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러한 옹벽블럭(100)의 예로서 식생용 옹벽블럭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 옹벽블럭(100)의 전방벽면(120)에는 상기 제1앵커구멍(132)과 대응하여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면(120)을 관통하는 식생구멍(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식생구멍(122)은 여기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양쪽 제1앵커구멍(132, 132)을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구멍(122) 대신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면(120)의 중앙부 상/하단에 식생노치부(12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식생노치부(122a)는 상하로 인접하는 두 옹벽블럭(100, 100)에 의하여 식생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식생구멍(122) 또는 식생노치부(122a)는 어느 것이나 옹벽의 녹화를 위하여 옹벽블럭(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다공성 식생블럭(140)에 의하여 생장되는 식물이 식생구멍(122) 또는 식생노치부(122a)를 통하여 중공(110)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0)의후방벽면(130)의 상/하단에는 급수용 노치부(13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용 노치부(138) 대신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앵커구멍(132)으로부터 후방벽면(130)의 상단으로 형성되는 앵커슬릿(133)이 형성되어도 좋다.
옹벽블럭(100)에 식생블럭(14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옹벽블럭(100)의 전방벽면(120) 양쪽에는 지지리브(124, 1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식생블럭(140)의 하단부 양쪽에는 상기 지지리브(124)들이 삽입되는 삽입노치(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리브(124)들 상부에서 식생블럭(140)의 삽입노치들을 지지리브(124)들에 끼우면 식생블럭(140)이 옹벽블럭(100)의 전방에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옹벽블럭(100)에 결합되는 식생블럭(140)에 녹화용 식물종자를 그 양분으로 제공되는 인공녹화토 조성물과 함께 물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분사 등의 방법으로 식생블럭(140)에 부착시킴으로써 옹벽의 녹화시공이 수행되고, 상기 식물종자가 발아하여 식생블럭(140)의 다공 및 식생구멍(122)을 통해 옹벽블럭(100)의 중공(110)에 채워지는 토사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식생블럭(140)에 상기 혼합물을 함침시킨 후 식생블럭(140)을 옹벽블럭(100)에 지지시켜도 좋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참조부호 126은 옹벽블럭(100)의 전방벽면(120)의 상단 양쪽에 돌출형성되는 키이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28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옹벽블럭(100)의 키이(126)가 위쪽의 옹벽블럭(100)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옹벽이 축조될 수 있도록 전방벽면(1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키이홈을 나타낸다.
상기한 옹벽블럭(100)은 상부로 축조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2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옹벽블럭(100)의 제1앵커구멍(132)을 통하여 인장봉(210)이 옹벽블럭(100)의 중공(110)으로 돌출되고, 이 중공(110)으로 돌출된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앵커헤드(220)가 옹벽블럭(100)의 후방벽면(130)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앵커헤드(220)는 3분할링(230), 고무링(240) 및 지지링(250)을 가진다. 상기 3분할링(230)은 그 외주면이 테이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3개의 분할편(23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링홈(2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3분할링(230)의 소경부쪽에 인장봉(21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3분할링(230)을 인장봉(210)의 선단 둘레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홈(234)에 끼워지도록 3분할링(230) 둘레로 고무링(240)을 결합하면 3분할링(230)이 인장봉(210)에 이탈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인장봉(210)은 철근, 강봉 또는 FRP봉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 철근이 채용되는 것이 좋으며, 강봉 또는 FRP봉의 경우에도 강도를 보강하면서 3분할링(230)과 인장봉(210)과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철근과 같이 외주면에 길이방향돌출비드(212)들 및 원주방향돌출비드(214)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분할링(230)의 소경부가 원주방향돌출비드(214)들에 걸려 인장봉(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장봉(210)의 선단에 결합된 3분할링(230)의 소경부쪽에서부터 대경부쪽으로 3분할링(230)의 둘레로 지지링(250)이 삽입되며, 이 지지링(250)이 실질직으로 옹벽블럭(100)의 후방벽면(130)에 걸려 옹벽블럭(100)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링(250)이 3분할링(230)의 대경부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링(250)의 내주면에는 스토퍼부(2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부(2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분할링(230)의 소경부쪽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향플랜지(254)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분할링(230)의 테이퍼면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테이퍼진 내주면(25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방앵커헤드(220)를 인장봉(210)에 선단에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인장봉(210)의 선단에 지지링(250)을 먼저 끼워 인장봉(210)의 선단 뒤쪽으로 밀어놓은 다음, 인장봉(210)의 선단에 3분할링(230)을 배치하여 고무링(240)으로 고정하고, 이와 같이 고무링(240)으로 고정된 3분할링(230)에 도 3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지지링(250)을 3분할링(230)쪽으로 당기면,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앵커헤드(220)가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인장봉(210)에 대한 전방앵커헤드(220)의 분해는 상기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앵커(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앵커헤드(220)에 의하여 옹벽블럭(100)을 지지하게 되는 인장봉(210)의 후단을 지지하는 저항체블럭(260) 및 후방앵커헤드(270)를 더 구비한다.
즉, 상기 저항체블럭(260)에는 인장봉(210)의 후단이 관통하는 제2앵커구멍(262)이 형성되고, 이 저항체블럭(260)의 제2앵커구멍(262)을 관통한 인장봉(210)의 후단에 전방앵커헤드(2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후방앵커헤드(270)가 결합된다. 이 후방앵커헤드(270)를 인장봉(210)의 후단에 결합하는 방법은 전방앵커헤드(220)를 인장봉(210)의 선단에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저항체블럭(26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옹벽블럭(100)들을 축조하는 과정중 인장봉(210)의 선단을 옹벽블럭(100)의 후방벽면(130)에 형성된 제1앵커구멍(132)을 통하여 옹벽블럭(100)의 중공(110)으로 돌출시키고, 이 중공(110)으로 돌출된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앵커헤드(220)를 결합함과 아울러 인장봉(210)의 후단에 저항체블럭(260) 및 후방앵커헤드(270)를 결합하는 앵커시공작업을 행하면서 토사 및 쇄석 등의 보강토를 옹벽블럭(100)의 배면쪽에 채우면 보강토에 매립된 저항체블럭(260)의 보강토에 대한 저항에 의하여 인장봉(210)의 후단이 지지됨으로써 옹벽블럭(10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인장봉(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비드들의 보강토에 대한 마찰저항에 의해서도 옹벽블럭(100)이 지지된다.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벽변(130) 상단으로부터 제1앵커구멍(132)으로 통하는 앵커슬릿(133)이 더 형성된 경우에는 인장봉(210)에 전방앵커헤드(220)를 먼저 결합한 다음, 이 전방앵커헤드(220)가 중공(110)에 놓이도록 인장봉(210)을 앵커슬릿(133)을 통하여 제1앵커구멍(132)에 삽입하고,인장봉(2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앵커헤드(220)가 후방벽면(130)에 걸리게 되므로, 앵커시공작업을 더욱 손쉽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전방앵커헤드(220) 및 후방앵커헤드(270)의 대안으로서 다른 구조로 형성된 전/후방헤드앵커가 적용될 수 있는데, 다음에 이것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인장봉(210)에 선단에 결합되는 다른 예의 전방앵커헤드(220a)는, 일측에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14)가 형성되며 제1앵커구멍(13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헤드본체(310)와, 상기 헤드본체(310)의 압입에 의해, 헤드본체(310)의 암나사부(314)와 결합되는 수나사부(322)가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인장봉(210)의 단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324)가 형성된 이분할 결합링(320)과, 그리고 상기 이분할 결합링(320)의 외주면과 삽입홈(312)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링(330)을 구비한다. 즉, 상기 헤드본체(310)가 실질적으로 옹벽블럭(100)의 후방벽면(130)에 걸려 옹벽블럭(10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장봉(210)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방헤드앵커(270a)는 상기 전방헤드앵커(220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방헤드앵커(220a, 270a)를 압입에 의하여 인장봉(210)의 단부에 손쉽고 신속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특수한 구조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장치에 헤드본체(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헤드본체(310)중 삽입홈(312)이 형성된 쪽과는 반대쪽면에 지지돌기(2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기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00)와, 상기 슬리브(400)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유압플런저(440)와, 그리고 상기 유압플런저(440)의 전진시 헤드본체(310)를 압입시킴으로써 전/후방헤드앵커(220a, 270a)가 인장봉(210)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슬리브(400)의 선단에 설치되는 압입링(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리브(400)의 내부는 작동유가 출입하는 실린더실(410) 및 외주면 일측에 입구(422)를 가짐과 아울러 선단이 개방된 재치실(420)로 내부로 구획된다. 즉, 슬리브(400)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 체결되는 구획링(430)에 의하여 슬리브(400) 내부가 실린더실(410) 및 재치실(420)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실(410)의 외주면 양쪽에는 실린더실(410)에 대하여 작동유를 출입시킴으로써 유압플런저(440)를 전후진시키도록 제1포트(412) 및 제2포트(414)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포트(412)를 통하여 작동유가 실린더실(410)로 유입되면 유압플런저(440)가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제2포트(414)를 통해서는 실린더실(410)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된다. 역으로, 제2포트(414)를 통하여 작동유가 실린더실(410)로 유입되면 유압플런저(440)가 후진하고 이에 따라 제1포트(412)를 통해서는 실린더실(410)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된다. 상기 유압플런저(440)는, 실린더실(410)에 대한 작동유의 출입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실린더실(410)에 설치되는 피스톤(450)과, 상기 피스톤(45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구획링(430)을 통하여 재치실(420)로 돌출되는 피스톤로드(460)를 가진다. 상기 피스톤로드(460)의 선단에는 헤드본체(310)의 지지돌기(216)가 삽입됨으로써 헤드본체(3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4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치실(420)의 선단에는 헤드본체(310)를 그 외경이 축소되도록 압입시켜 전방앵커헤드(200)를 인장봉(210)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압입링(470)이 체결된다. 상기 압입링(470)은 전방앵커헤드(200)의 헤드본체(310)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압입링(470)의 중앙에 형성된 압입공(472)은 압입되기 전의 헤드본체(31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압입공(472)의 재치실(420)쪽 단부에는 헤드본체(310)의 외경보다 크게 확대된 확대단(474)이 형성된다.
이 장치에 의하여 인장봉(210)의 단부에 전방헤드앵커(220a)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옹벽블럭(100)의 중공(110)의 크기가 협소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중공(110)에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헤드앵커(220a)를 결합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럭(100)의 전방벽면(120)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앵커구멍(132)와 대응하여 이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식생구멍(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헤드앵커(220a)를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먼저 결합한 다음 인장봉(210)의 후단을 식생구멍(122) 및 제1앵커구멍(132)을 통과하도록 옹벽블럭(100)에 끼우거나, 제1앵커구멍(132)을 통하여 인장봉(210)의 선단을 삽입하여 식생구멍(122)을 통해 인출시키고, 이 식생구멍(122) 밖으로 인출된 인장봉(210)의 선단에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전방헤드앵커(220a)를 결합한 다음 인장봉(21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헤드앵커(220a)가 옹벽블럭(100)의 후방벽면(130)에 걸리게 된다.
이와는 달리, 이 전방헤드앵커(220a)를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벽변(130) 상단으로부터 제1앵커구멍(132)으로 통하는 앵커슬릿(133)이 더 형성된 옹벽블럭(100)에 연결할 경우에는, 이 옹벽블럭(100)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헤드앵커(200)를 연결할 때와 마찬가지로 인장봉(210)에 전방앵커헤드(220a)를 먼저 결합한 다음, 이 전방앵커헤드(220a)가 중공(110)에 놓이도록 인장봉(210)을 앵커슬릿(133)을 통하여 제1앵커구멍(132)에 삽입하고, 인장봉(2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앵커헤드(220a)가 후방벽면(130)에 걸리게 되므로, 앵커시공작업을 더욱 손쉽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인장봉(210)의 선단에 전방헤드앵커(220a)를 결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제2포트(414)를 통하여 실린더실(410)로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하여 유압플런저(440)를 후퇴시키고, 입구(422)를 통하여 재치실(420)에 헤드본체(310)를 넣어 지지홈(462)에 지지돌기(216)를 삽입함으로써 헤드본체(310)를 유압플런저(440)에 지지시킨다. 따라서, 헤드본체(310)의 삽입홈(312)이 압입링(470)쪽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장봉(210)의 단부에 이분할 결합링(320)을 끼우고, 이 이분할 결합링(320)의 외주면에 고무링(330)을 결합함으로써 이분할 결합링(320)이 인장봉(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이분할 결합링(320) 및 고무링(330)이 결합된 인장봉(210)의 단부를 압입링(470)을 통하여 헤드본체(310)의 삽입홈(312)에 삽입한다. 이분할 결합링(320)의 외경은 삽입홈(312)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인장봉(210)의 단부를 삽입홈(312)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포트(412)를 통하여 실린더실(410)로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하여 유압플런저(440)를 전진시키면, 헤드본체(310)의 선단이 압입링(470)의 확대단(474)에 걸린다. 유압플런저(440)가 더 전진하면, 압입링(470)의 강도가 헤드본체(310)의 강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확대단(474)에 의하여 헤드본체(310)의 외주면이 압입되면서 전진함으로써 헤드본체(310)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압입공(472)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본체(310)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압입되면 이분할 결합링(320)도 축소되면서 찌그러져 인장봉(210)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이분할 결합링(320)과 헤드본체(310)와의 결합상태도 견고해진다. 더욱이 이분할 결합링(320)과 헤드본체(310)와의 사이에는 고무링(330)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분할 결합링(320)과 헤드본체(310)와의 결합상태는 더욱 견고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후방앵커헤드(270a)를 인장봉(210)의 후단에 결합할 경우에는 인장봉(210)의 후단을 저항체블럭(260)의 제2앵커구멍(262)에 끼우고 저항체블럭(26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인장봉(210)의 후단에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후방앵커헤드(270a)를 결합하면 되므로, 그 작업이 아주 간단하고 손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고, 또한 인장봉(210)의 후단에 대한 후방앵커헤드(270a)의 결합력도 아주 견고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앵커시공를 손쉽게 행할 수 있음에 따라 옹벽시공의 편의성이 도모되고 옹벽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장봉의 단부에 전방앵커헤드 및 후방앵커헤드가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옹벽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옹벽붕괴방지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옹벽블럭을 지지하는 전방앵커헤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종래 옹벽블럭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방앵커헤드 부분을 모르타르 등으로 막아 양생시키는 과정이 배제되므로 옹벽시공이 더욱 수월해진다.

Claims (8)

  1.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고, 후방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앵커구멍이 상기 중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옹벽블럭을 앵커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옹벽블럭의 제1앵커구멍을 통하여 중공으로 돌출되는 인장봉 및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도록 중공으로 돌출된 인장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방앵커헤드를 가지고;
    상기 전방앵커헤드는 외주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링홈이 형성되며 소경부쪽에 인장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3분할링, 상기 링홈 둘레로 끼워져 인장봉에 결합되는 3분할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무링 및 상기 3분할링의 소경부 쪽에서 3분할링의 둘레로 삽입되어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고 내주면에 상기 3분할링의 대경부 쪽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 지지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전방앵커헤드에 의하여 옹벽블럭을 지지하게 되는 인장봉의 후단이 관통하도록 제2앵커구멍을 가지는 저항체블럭과, 상기 저항체블럭을 관통한 인장봉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앵커헤드와 동형으로 이루어지는 후방앵커헤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전방앵커헤드에 의하여 옹벽블럭을 지지하게 되는 인장봉의 후단이 관통하도록 제2앵커구멍을 가지는 저항체블럭과, 상기 저항체블럭을 관통한 인장봉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방앵커헤드를 더 가지고,
    상기 후방앵커헤드는,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압입에 의해, 헤드본체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인장봉의 단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이분할 결합링과, 그리고 상기 이분할 결합링의 외주면과 삽입홈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3분할링의 소경부쪽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향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3분할링의 테이퍼면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테이퍼진 내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봉은 철근, 강봉 및 FRP봉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길이방향돌출비드 및 원주방향돌출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7.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고, 후방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앵커구멍이 상기 중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옹벽블럭을 앵커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옹벽블럭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옹벽블럭의 제1앵커구멍을 통하여 중공으로 돌출되는 인장봉 및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벽면에 걸리도록 중공으로 돌출된 인장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전방앵커헤드를 가지고;
    상기 전방앵커헤드는,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압입에 의해, 헤드본체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인장봉의 단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이분할 결합링과, 그리고 상기 이분할 결합링의 외주면과 삽입홈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전방앵커헤드에 의하여 옹벽블럭을 지지하게 되는 인장봉의 후단이 관통하도록 제2앵커구멍을 가지는 저항체블럭과, 상기 저항체블럭을 관통한 인장봉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앵커헤드와 동형으로 이루어진 후방앵커헤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 지지구조.
KR2020010038037U 2001-12-10 2001-12-10 옹벽블럭 지지구조 KR200267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37U KR200267024Y1 (ko) 2001-12-10 2001-12-10 옹벽블럭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37U KR200267024Y1 (ko) 2001-12-10 2001-12-10 옹벽블럭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24Y1 true KR200267024Y1 (ko) 2002-03-06

Family

ID=731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037U KR200267024Y1 (ko) 2001-12-10 2001-12-10 옹벽블럭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3B1 (ko) * 2002-01-29 2004-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체결구조
KR100466435B1 (ko) * 2002-09-10 2005-01-1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0744043B1 (ko) * 2005-09-12 2007-08-08 이형훈 수평방향으로 보강토체 자유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식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KR101314103B1 (ko) * 2012-04-06 2013-10-04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앵커블록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2178399B1 (ko)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352069B1 (ko) 2021-07-28 2022-01-18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93B1 (ko) * 2002-01-29 2004-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체결구조
KR100466435B1 (ko) * 2002-09-10 2005-01-1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도로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0744043B1 (ko) * 2005-09-12 2007-08-08 이형훈 수평방향으로 보강토체 자유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식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KR101314103B1 (ko) * 2012-04-06 2013-10-04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앵커블록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2178399B1 (ko)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352069B1 (ko) 2021-07-28 2022-01-18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5331A (en) Earth anchor and method of anchoring
US4060994A (en) Process for providing a foundation pile for alternating compressive and tractive stresses and a pile thus provided
US8209933B2 (en) Connector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KR200267024Y1 (ko) 옹벽블럭 지지구조
KR100966148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EP2108744B1 (de) Verfahren zur Sicherung von Stützmauern
KR100728309B1 (ko) 관 연결구 일체형 맨홀 구조체 및 그 제조장치
KR20120005184A (ko)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72145B1 (ko) 이중주입관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제거식 어스앵커체 및이의 시공방법
KR100908085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CN210686024U (zh) 抗震锚杆
KR101720213B1 (ko) 말뚝 조립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공법
DE2133593B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ugankers
KR20100029437A (ko) 지면 보강을 위한 앵커 및 앵커설치구조
JP3481508B2 (ja) 石積擁壁補強方法
KR102522769B1 (ko) 터널 및 지반보강용 고강도 gfrp 중공바의 정착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장치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JP2885077B2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連結杭工法
KR20020036900A (ko) 환경친화적 사면보강공법
JP2509005B2 (ja) 地盤強化方法
KR200263955Y1 (ko) 나선형 중공파이프를 이용한 네일링장치
KR101244992B1 (ko)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JPH02304119A (ja) 斜面の安定工法
KR20100094139A (ko)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