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043B1 -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 Google Patents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043B1
KR100465043B1 KR10-2002-0045630A KR20020045630A KR100465043B1 KR 100465043 B1 KR100465043 B1 KR 100465043B1 KR 20020045630 A KR20020045630 A KR 20020045630A KR 100465043 B1 KR100465043 B1 KR 10046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hell
support
win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188A (ko
Inventor
전영도
Original Assignee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043B1/ko
Priority to JP2002259529A priority patent/JP3674611B2/ja
Priority to TW091123229A priority patent/TW552234B/zh
Priority to CNB031031250A priority patent/CN1281470C/zh
Publication of KR2004001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43Securing cores or holders to supporting or driving members,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9Elastic thread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에 관한 것으로, 탄성사 등을 권취하는 보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척킹력을 증가시키며, 회전수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몸체 및 스파이더 러버가 상호 직렬 형태로 연결되고, 일측의 몸체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커플링(12), 상기 커플링(12)중 타측의 몸체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결합되고, 외경면의 양단 근처에는 다수의 베어링(14)이 결합된 샤프트(16), 상기 베어링(14)에 내경면이 결합되고, 외경면의 일정 영역은 권취기에 고정되는 서포트(18), 상기 샤프트(16)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18) 및 샤프트(16)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공간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20)의 내경면과 상기 서포트(18)의 외경면 사이에는 베어링(26)이 결합되며, 상기 제1공간부(20)의 반대 방향에는 제2공간부(22)가 형성된 쉘(24), 상기 쉘(24)의 전체 외경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드럼(26), 상기 다수의 드럼(26) 사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러버(32), 및 상기 쉘(24)의 제2공간부(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6)을 커플링(12) 방향으로 밀거나 원위치시키는 캡(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

Description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bobbin holder of winder for wind at high speed an elastic wire}
본 발명은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사, 필름, 종이 등을 권취하는 보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척킹력을 증가시키며, 회전수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100')에 대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10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커플링(2')과, 상기 커플링(2')에 결합된 샤프트(4')와, 상기 샤프트(4')의 단부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실린더(6')와,상기 실린더(6')의 단부에 결합된 캡(8')과, 상기 실린더(6')의 외주연에 결합된 다수의 돌기링(10')과, 상기 돌기링(10')의 외측에 결합된 다수의 쉘(12')과, 상기 쉘(12') 사이에 결합된 다수의 척 피스(14')와, 상기 척 피스(14')의 표면에 결합된 다수의 오링(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캡(8')의 내측에는 볼트(18'), 디스크 스프링(20') 및 피스톤(2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돌기링(10') 사이에는 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6')를 관통하는 웨이브 스프링(24')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커플링(2') 및 샤프트(4')에는 압축 공기 통로(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빈 홀더는 보빈(도시되지 않음)을 척킹하는 경우, 디스크 스프링(20')의 압압력에 의해 피스톤(22') 및 돌기링(10')이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고, 이에 따라 상기 돌기링(10')이 척 피스(14')를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결국 오링(16')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오링(16')이 보빈의 내경면에 압착되고, 결국, 상기 보빈은 쉘(12')의 표면에 척킹된다.
한편, 보빈을 디척킹하는 경우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 통로(26')로 공급하여, 피스톤(22')이 디스크 스프링(20')의 탄성력을 이기고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하면, 돌기링(10')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고, 이에 따라 척 피스(14') 및 오링(16')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보빈의 내경면에 밀착되어 있던 오링(16')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보빈이 디척킹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실린더 및 샤프트의 지지점이 한 영역에만 형성됨으로써, 샤프트 및 이것에 연결된 실린더의 지지 구조가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둘째, 척 피스에 의해 표면적이 매우 작은 오링을 바깥 방향으로 밀거나 또는 원위치시켜 보빈을 척킹 및 디척킹함으로써, 보빈의 척킹 및 디척킹 상태가 불안정하고, 오링의 수명도 짧으며, 또한 척킹력도 약한 단점이 있다.
셋째, 직선 라인 형태로 샤프트 및 실린더가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인 스티프니스(stiffeness)가 작고, 이에 따라 보빈 홀더의 고유 진동수 즉, 공진 주파수가 작으며, 결국 보빈 홀더의 임계 회전수 및 사속(탄성사를 감는 속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넷째, 보빈 홀더가 2 링키지(3 linkage) 형태로 커플링을 통하여 모터에 결합됨으로써,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충격 감소량이 작고, 이에 따라 보빈 홀더의 회전 특성이 약화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사, 필름, 종이 등을 권취하는 보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척킹(chucking)력을 증가시키며, 회전수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a는 도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디척킹(dechucking) 상태를, 도3b는 척킹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보빈 홀더에서 커플링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2; 제1몸체 4; 스파이더 러버(spider rubber)
6; 제2몸체 8; 공급 통로
10; 가요성 파이프 12; 커플링(coupling)
14; 베어링(bearing) 16; 샤프트(shaft)
18; 서포트(support) 20; 제1공간부
22; 제2공간부 24; 쉘(shell)
25; 잡사 유입 방지용 커버 26; 드럼(drum)
28; 받침판 30; 절개 공간
32; 러버(rubber) 34; 피스톤(piston) 몸체
36; 볼트(bolt) 38; 코일 스프링(coil spring)
40; 피스톤 42; 캡(cap)
44; 보빈(bobbin) 46; 방진용 오링(O-ring)
48; 스페이서(spac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는 다수의 몸체 및 러버가 상호 직렬 형태로 연결되고, 일측의 몸체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중 타측의 몸체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결합되고, 외경면의 양단 근처에는 다수의 베어링이 결합된 샤프트, 상기 베어링에 내경면이 결합되고, 외경면의 일정 영역은 권취기에 고정되는 서포트,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및 샤프트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의 내경면과 상기 서포트의 외경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1공간부의 반대 방향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쉘, 상기 쉘의 전체 외경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드럼, 상기 다수의 드럼 사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러버, 및 상기 쉘의 제2공간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커플링 방향으로 밀거나 원위치시켜, 상기 러버의 돌출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사가 권취되는 보빈이 상기 드럼의 외경면에 척킹 또는 디척킹되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은 러버가 쉘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러버 하면으로 연장된 받침판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다른 드럼에는 상기 받침판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와 서포트, 상기 쉘과 서포트 사이에 결합된 베어링에는 상기 서포트의 접촉면에 진동 억제를 위한 오링(O-Ring)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중앙에 위치되며, 양단의 외경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연장된 제1몸체와, 상기 각 돌기의 길이 방향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스파이더 러버와, 상기 제1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에 상기 러버가 개재된 채 끼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연장된 제2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 스파이더 러버 및 제2몸체에는 연통된 압축공기 공급 통로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 영역에는 가요성의 파이프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에 의하면, 샤프트의 일단은 커플링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또한 그 외측의 쉘은 중앙 영역이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쉘의 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서포트에 다시 지지됨으로써, 전체적인 보빈 홀더의 지지 형태가 더욱 안정된다.
또한, 드럼에 의해 러버의 돌출 체적이 변화되어 보빈이 척킹 및 디척킹됨으로써, 척킹 및 디척킹이 확실할 뿐만 아니라, 러버의 수명이 증가하고 또한 척킹력도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보빈 홀더의 고유 진동수 즉, 공진 주파수는을 고려시, 본 발명의 전체 스티프니스(stiffeness) Kl이 샤프트, 서포트 및 쉘의 각 스티프니스를 합한 값이 되어 더욱 커지고, 이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보빈에 의한 탄성사의 감는 속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Wn은 고유 진동수(즉, 공진 주파수), Kl은 스티프니스(샤프트, 서포트 및 쉘의 각 스티프니스를 합한값), M은 보빈 홀더의 질량이다.
또한, 보빈 홀더가 3 링키지(3 linkage) 형태로 모터에 결합됨으로써,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진동 충격이 이중으로 감소되고, 이에 따라 보빈 홀더의 회전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빈 홀더(100)는 먼저 제1몸체(2), 스파이더 러버(4) 및 제2몸체(6)가 상호 직렬 형태로 연결되고, 일측의 제2몸체(6)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커플링(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12)중 타측의 제2몸체(6)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결합되고, 외경면의 양단 근처에는 다수의 베어링(14)이 결합된 샤프트(1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12) 및 샤프트(16)에는 연통된 압축 공기 공급 통로(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6)의 외경면에는 권취기에 완전 고정되는 서포트(18)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서포트(18)의 내경면과 상기 샤프트(16)의 외경면 사이에는 상술한 베어링(14)이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16)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6)의 단부에는 제1공간부(20)와 제2공간부(22)를 갖는 쉘(2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쉘(24)의 제1공간부(20) 내경면에는 상기 서포트(18)가 위치되며, 상기 쉘(24)의 제1공간부(20)와 상기 서포트(18) 사이에는 또다른 베어링(27)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상기 쉘(24)의 원할한 회전은 물론, 보빈의 외측으로 이탈된 잡사(雜絲)가 상기 쉘(24)의 제1공간부(20)와 서포트(18)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쉘(24)은 제1공간부(20)의 끝단에 서포트(18)와 근접하도록 잡사 유입 방지용 커버(25)가 더 결합됨으로써, 상기 쉘(24)과 서포트(18) 사이로의 잡사 유입이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공간부(22)는 상기 제1공간부(20)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간부(22) 내측에는 샤프트(16)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비어 있는 공간이다.
상기 쉘(24)의 전체 외경면에는 링 형태로 다수의 드럼(26)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드럼(26) 사이에도 링 형태로 다수의 러버(3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쉘(24)의 제2공간부(22) 내경면에는 피스톤 몸체(3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몸체(34)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볼트(36)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36)에는 코일 스프링(38)이 결합된 동시에, 단부에 피스톤(4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40)의 반대 방향인 볼트(36)의 타단에는 상기 쉘(24)의 제2공간부(22)의 외경면을 소정 길이만큼 감싸는 캡(4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42)은 상기 링 형태의 러버(32)와 접촉된다. 물론, 보빈(44)은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러버(32) 및 드럼(26)의 표면에 위치된다. 도면에서는 12개의 보빈(44)이 나란히 위치되어 있다.
도3a를 참조하면, 보빈(44)의 디척킹(dechucking)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3b를 참조하면, 보빈(44)의 척킹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6)은 러버(32)가 쉘(24)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러버(32) 하면으로 연장된 받침판(28)이 더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다른 드럼(26)에는 상기 받침판(28)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 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3a에서와 같이 디척킹 상태(캡(42) 및 피스톤(40)이 압축 공기에 의해 좌측으로 후퇴한 상태, 도2 참조)에서는 상기 러버(32)의 상면은 상기 드럼(26)의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드럼(26)의 받침판(28)과 절개 공간(30) 사이의 이격 공간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3b에서와 같이 척킹 상태(압축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고, 캡(42) 및 피스톤(40)이 도면상 우측으로 움직인 상태, 도2 참조)에서는 드럼(26)이 러버(32)를 압축시킴으로써, 러버(32)의 돌출 체적이 커지고 이에 따라 보빈(44)을 척킹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드럼(26)의 받침판(28)과 절개 공간(30) 사이의 이격 공간도 작아진다.
도4를 참조하면, 도2의 B 영역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링(14)이 결합되는 서포트(18)의 내경면에 다수의 방진용 오링(46)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링(46)은 보빈 홀더의 진동을 더욱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다른 베어링(27)에도 방진용 오링(46)이 더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8은 베어링(14) 사이에 장착되는 스페이서이다.
도5를 참조하면, 커플링(12)이 보빈 홀더(100)에서 분리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샤프트(16)와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상호 연결해주는 커플링(12)은 중앙에 위치되며, 양단의 외경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3)가 연장된 제1몸체(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2)의 각 돌기(3)의 길이 방향면에 접촉되는 2개의 스파이더 러버(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몸체(2)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3)에 상기 스파이더 러버(4)가 개재된 채 끼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7)가 연장된 제2몸체(6)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어느 한쪽의 제2몸체(6)는 모터에 결합되고, 다른쪽의 제2몸체(6)는 샤프트(16)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12)을 이루는 제1몸체(2), 스파이더 러버(4) 및 제2몸체(6)에는 연통된 압축공기 공급 통로(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12)이 소정 각도 휘어지더라도 압축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고 용이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제1몸체(2)와 제2몸체(6)의 결합 영역에 가요성(flexible)의 파이프(10)가 결합되어 있다.(도2 참조)
이러한 구성을 하는 본 발명에 의한 권취기의 작동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빈 홀더(100)가 다수의 보빈(44)을 척킹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38)의 압압력(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캡(42)이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드럼(26) 사이에 설치된 러버(32)가 측방으로부터 압축된다. 이때, 러버(32)의 전체 체적은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상기 드럼(2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러버(32)의 부분적인 돌출 체적은 증가됨으로써, 결국 상기 드럼(26) 외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보빈(44)이 강하게 척킹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보빈(44)의 척킹후에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력이 커플링(12)을 통하여 샤프트(16)에 전달되고, 그러면 상기 샤프트(16)에 결합된 쉘(24), 러버(32) 및 드럼(26) 등이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러버(32) 및 드럼(26)의 표면에 강하게 척킹된 다수의 보빈(44)에 탄성사가 고속으로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6)에는 모터에 의한 회전력뿐만 아니라 진동력도 전달되는데, 이 진동력은 상기 커플링(12)의 제1몸체(2), 2개의 제2몸체(6) 및 2개의 스파이더 러버(4)의 결합 구조에 의해 흡수 및 제거됨으로써, 상기 샤프트(16)에는 진동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다수의 보빈(44)에 탄성사가 권취되는 도중 탄성사(잡사)가 쉘(24)과 서포트(1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쉘(24)에 결합된 커버(25)에 의해 확실히 차단됨으로써, 귄취기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빈(44)을 디척킹하는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가 공급 통로(8)를 통해서 공급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40)이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을 이기고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캡(42)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러버(32)의 돌출 체적이 원래의 위치, 즉, 러버(32)의 상부면이 드럼(26)의 상부면 아래로 위치되고, 결국 드럼(26)의 외측에서 다수의 보빈(44)이 디척킹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샤프트의 일단은 커플링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또한 쉘은 중앙 영역이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동시에, 쉘의 단부가 다시 서포트에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됨으로써, 전체적인 보빈 홀더의 지지 구조가 더욱 안정된다.
둘째, 드럼에 의해 러버의 돌출 체적이 변화되어 보빈이 척킹 및 디척킹됨으로써, 척킹 및 디척킹이 확실할 뿐만 아니라, 러버의 수명이 증가하고 또한 척킹력도 증가한다.
셋째, 전체적인 스티프니스(stiffeness)가 증가함으로써, 보빈 홀더의 고유 진동수 즉, 공진 주파수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빈 홀더의 임계 회전수 및 사속(탄성사를 감는 속도)이 증가한다.
넷째, 보빈 홀더가 3 링키지(3 linkage) 형태로 커플링을 통하여 모터에 결합됨으로써,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충격이 이중 감소되고, 이에 따라 보빈 홀더의 회전 특성이 향상된다.

Claims (6)

  1. 삭제
  2. (정정) 다수의 몸체 및 러버가 상호 직렬 형태로 연결되고, 일측의 몸체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중 타측의 몸체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결합되고, 외경면의 양단 근처에는 다수의 베어링이 결합된 샤프트,
    상기 양단 근처의 베어링에 내경면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을 향하는 외경면의 일정 영역은 권취기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서포트,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및 샤프트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의 내경면과 상기 서포트의 외경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제1공간부의 반대 방향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쉘,
    상기 쉘의 전체 외경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드럼,
    상기 다수의 드럼 사이에 링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러버,
    상기 쉘의 제2공간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커플링 방향으로 밀거나 원위치시켜, 상기 러버의 돌출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사가 권취되는 보빈이 상기 드럼의 외경면에 척킹 또는 디척킹되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러버가 쉘에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러버 하면으로 연장된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다른 드럼에는 상기 받침판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서포트, 상기 쉘과 서포트 사이에 결합된 베어링에는 상기 서포트의 접촉면에 진동 억제를 위한 오링(O-Ring)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4.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제1공간부의 끝단에 서포트와 근접하도록 잡사 유입 방지용 커버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5.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중앙에 위치되며, 양단의 외경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각 돌기의 길이 방향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스파이더 러버와, 상기 제1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에 상기 러버가 개재된 채 끼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6.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더 러버가 개재되어 결합된 제1몸체 및 제2몸체에는 압축공기통로가 되며 상기 커플링이 휘어지더라도 압축공기가 새지않도록 일정 길이의 가요성 파이프가 더 관통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KR10-2002-0045630A 2002-08-01 2002-08-01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KR10046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30A KR100465043B1 (ko) 2002-08-01 2002-08-01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JP2002259529A JP3674611B2 (ja) 2002-08-01 2002-09-05 弾性糸を高速に巻取するためのワインダのボビンホルダ(bobbinholderofwinderforwindingelasticthreadathighspeed)
TW091123229A TW552234B (en) 2002-08-01 2002-10-09 Bobbin holder of winder for winding elastic thread at high speed
CNB031031250A CN1281470C (zh) 2002-08-01 2003-01-30 高速卷取弹性丝用卷取机的线轴挟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30A KR100465043B1 (ko) 2002-08-01 2002-08-01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88A KR20040012188A (ko) 2004-02-11
KR100465043B1 true KR100465043B1 (ko) 2005-01-13

Family

ID=3043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630A KR100465043B1 (ko) 2002-08-01 2002-08-01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74611B2 (ko)
KR (1) KR100465043B1 (ko)
CN (1) CN1281470C (ko)
TW (1) TW55223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3526A (zh) * 2016-05-03 2019-01-04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络筒机及其运行方法
KR20230023334A (ko) 2021-08-10 2023-02-17 권영욱 고속회전용 멀티-엔드형 샤프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7738A (ja) * 2015-02-12 2016-08-18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機
JP6761731B2 (ja) * 2016-11-01 2020-09-30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バランス修正方法及び回転部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829A (ja) * 1991-08-02 1993-08-03 Barmag Ag ワインダーの巻成スピンドル
JPH07228421A (ja) * 1994-02-18 1995-08-29 Toray Ind Inc ボビンホルダ及び該ボビンホルダを備えた糸条巻取機
KR960001654U (ko) * 1994-06-11 1996-01-19 최재숙 연사기의 스핀들
KR19990006481A (ko) * 1998-05-22 1999-01-25 김재윤 중공심재 척킹장치
KR19990022239A (ko) * 1995-06-02 1999-03-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터릿 권선기 맨드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829A (ja) * 1991-08-02 1993-08-03 Barmag Ag ワインダーの巻成スピンドル
JPH07228421A (ja) * 1994-02-18 1995-08-29 Toray Ind Inc ボビンホルダ及び該ボビンホルダを備えた糸条巻取機
KR960001654U (ko) * 1994-06-11 1996-01-19 최재숙 연사기의 스핀들
KR19990022239A (ko) * 1995-06-02 1999-03-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터릿 권선기 맨드렐
KR19990006481A (ko) * 1998-05-22 1999-01-25 김재윤 중공심재 척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3526A (zh) * 2016-05-03 2019-01-04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络筒机及其运行方法
CN109153526B (zh) * 2016-05-03 2020-06-23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络筒机及其运行方法
KR20230023334A (ko) 2021-08-10 2023-02-17 권영욱 고속회전용 멀티-엔드형 샤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2234B (en) 2003-09-11
JP3674611B2 (ja) 2005-07-20
JP2004067380A (ja) 2004-03-04
KR20040012188A (ko) 2004-02-11
CN1281470C (zh) 2006-10-25
CN1472130A (zh)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043B1 (ko) 탄성사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의 보빈 홀더
US4033642A (en) Shaft mounting apparatus
GB2291142A (en) Ring seal
CN111852934B (zh) 静压气体轴承、压缩机
US20010003900A1 (en) Fly wheel for storing rotational energy
JPS6338572B2 (ko)
CN108512345A (zh) 轴承组件及具有其的电机
JPH0215889Y2 (ko)
JP2591078Y2 (ja) 紡糸巻取機
JP7487062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5042888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0236730A (ja) ボビンチャック
JP2019032006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980009916A (ko) 밀폐형 압축기
JP2903212B1 (ja) 巻芯シャフト
KR100488047B1 (ko) 탑 로딩 세탁기의 서스펜션 장치
KR20240037543A (ko) 모터
JPH0627662Y2 (ja) 紡績用リング
JP2021158912A (ja) モータ及びモータを備えた掃除機
TW202401953A (zh) 高頻旋轉機構之改良構造
JP2024030369A (ja) 回転電機
JPH08285010A (ja) 振動減衰器
JPH06307434A (ja) 動圧気体軸受
CN110185729A (zh) 减震垫、电机及吸尘器
JPS6231666A (ja) 糸条巻取機の振動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