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232B1 - 자동차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4232B1 KR100464232B1 KR10-2002-0029863A KR20020029863A KR100464232B1 KR 100464232 B1 KR100464232 B1 KR 100464232B1 KR 20020029863 A KR20020029863 A KR 20020029863A KR 100464232 B1 KR100464232 B1 KR 100464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pocket
- door
- guide
- rack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도어포켓과; 고정도어포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수용부를 형성하는 회전도어포켓과; 회전도어포켓을 고정도어포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을 가변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을 가변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에는 운전자가 수시로 사용하는 지도책자나 장갑, 걸레 등과 같은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도어포켓이 장착된다. 도어포켓은 물품 등이 보관되는 수용공간, 즉 물품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도어패널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도어포켓은 도어패널과 물품수용부를 형성하며,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어패널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나사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도어포켓을 도어패널에 결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포켓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는,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물품수용부 내에 보관할 수 있는 물품의 양이 제한되며, 또한 물품수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입하는 경우 불편함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을 가변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요부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포켓과 회동결합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어포켓의 일측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도어포켓과 회전도어포켓이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도어포켓의 작동상태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도어패널 15 : 고정도어포켓
21 : 회전도어포켓 25 : 물품수용부
31 : 회동결합부 33 : 제1가이드홈
35 : 제2가이드홈 37 : 가이드
39 : 랙 41 : 지지부
43 : 스프링 45 : 힌지핀
47 : 제1핀수용공 51 : 제2핀수용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도어포켓과; 상기 고정도어포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수용부를 형성하는 회전도어포켓과; 상기 회전도어포켓을 상기 고정도어포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고정도어포켓과 상기 회전도어포켓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도어포켓과 상기 회전도어포켓 사이에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은 캠프로파일의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도어포켓에 대한 상기 회전도어포켓의 상대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를 향하는 일측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랙과; 상기 회전도어포켓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랙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랙과 상기 고정도어포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랙을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랙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랙은 고무로 제작함으로써,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도어포켓의 회전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합부는, 힌지핀과, 상기 고정도어포켓 및 상기 회전도어포켓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핀수용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요부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포켓과 회동결합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어포켓의 일측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도어포켓과 회전도어포켓이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회전도어포켓의 작동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도어패널(11)과, 도어패널(11)에 결합되어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도어포켓(13)을 가진다.
도어포켓(13)은, 도어패널(11)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도어포켓(15)과, 고정도어포켓(15)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수용부(25)를 형성하는 회전도어포켓(21)과, 회전도어포켓(21)을 고정도어포켓(15)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결합부(31)를 가진다.
도어패널(11)의 전면에 결합되는 고정도어포켓(15)은 대략 역 '∪'자 형상을 가지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측벽(17)과, 각 측벽(17)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각 측벽(17)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9)를 가진다.
연결부(19)의 저부영역에는, 회전도어포켓(21)의 회전시 회전도어포켓(21)의 하단부가 연결부(19)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함몰부(19a)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도어포켓(21)은 사각판의 형상을 가지며, 고정도어포켓(15)의 양측벽(17) 사이에 마련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의 둘레는 도어패널(11)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도어포켓(21)의 후면 양측에는 판면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측벽(23)이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측벽(2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도어포켓(15)과 회전도어포켓(21)의 측벽들(17,23)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회동결합부(31)는, 고정도어포켓(15)의 측벽(17)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33)과, 회전도어포켓(21)의 측벽(23)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35)과, 고정도어포켓(15)과 회전도어포켓(21) 사이에 마련되어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37)를 가진다. 또한, 회동결합부(31)는, 가이드(37)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가이드(37)를 향하는 일측면에 기어부(39)가 형성된 랙(39)과, 회전도어포켓(21)의 측벽(23)으로부터 돌출되어 랙(39)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1)와, 랙(39)과 고정도어포켓(15) 사이에 마련되어 랙(39)을 탄성부세하는 스프링(43)을 가진다. 또한, 회동결합부(31)는, 힌지핀(45)과, 고정도어포켓(15) 및 회전도어포켓(21)에 각각 형성되어 힌지핀(45)이 관통 결합되는 제1핀수용공(47) 및 제2핀수용공(51)을 가진다.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은 캠프로파일의 장공형상을 가지며, 고정도어포켓(15) 및 회전도어포켓(21)의 각 측벽(17,23)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은 대략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의 각 양단부에는 가이드(37)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홈(33a,35a)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37)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가이드(37)의 양단부에는 제1가이드홈(33)및 제2가이드홈(35)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돌출단(37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7)의 각 돌출단(37a) 사이의 외주면에는 랙(39)의 기어부(39a)와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피니언부(3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37)는 고무,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조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39)은 띠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37)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가이드(37)의 피니언부(37b)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기어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랙(39)의 일단부는 회전도어포켓(21)의 측벽(23)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41)에 결합되며, 랙(39)의 타단부는 스프링(43)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랙(39)은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회전도어포켓(21)의 회전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프링(43)은 랙(39)과 고정도어포켓(15) 사이에 마련되며, 스프링(43)의 일단부는 랙(39)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스프링(43)의 타단부는 힌지핀(45)에 결합되어 랙(39)을 탄성부세한다.
또한, 고정도어포켓(15)의 양측벽(17)의 하단부에는 힌지핀(45)이 관통하는 제1핀수용공(4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도어포켓(21)의 후면에는 힌지핀(45) 결합되는 힌지핀 수용부(49)가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힌지핀 수용부(49)에는 전술한 고정도어포켓(15)의 제1핀수용공(47)에 대응하여 제2핀수용공(5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도어포켓(15)과 회전도어포켓(21) 사이에 마련되는 회동결합부(3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회전도어포켓(21)에 마련된 제2가이드홈(35)에 가이드(37)의 일측 돌출단(37a)을 수용시키고, 랙(39)의 일단부를 지지부(41)에 결합하고, 랙(39)의 타단부를 스프링(43)에 결합한 후, 가이드(37)의 타측 돌출단(37a)을 고정도어포켓(15)에 마련된 제1가이드홈(33)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제1핀수용공(47)과 제2핀수용공(51)을 정렬시킨 후, 힌지핀(45)을 각 핀수용공(47,51)에 관통 결합시킴과 동시에, 힌지핀(45)에 스프링(43)의 일단부를 결합시켜 고정도어포켓(15)과 회전도어포켓(21) 사이에 마련되는 회동결합부(31)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어포켓(21)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어포켓(21)이 닫혀 있을 때에는 가이드(37)가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의 하단영역의 걸림홈(33a,35a)에 걸림유지되고, 또한 가이드(37)는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랙(39)과 맞물린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어포켓(21)을 전방을 향해 회전시키는 경우, 가이드(37)가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이드(37)는 제1가이드홈(33) 및 제2가이드홈(35)의 상단영역의 걸림홈(33a,35a)에 걸림유지되고, 가이드(37)는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랙(39)과 맞물린다. 이로써, 도어패널(11)과 회전도어포켓(21) 사이의 폭, 즉 물품수용부(25)의 폭이 커지게 되어, 증대된 폭만큼 물품수용부(25) 내에 지도책자나장갑, 걸레 등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품수용부(25) 내에 보관된 물품을 편리하게 인출 및 인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의 일측면에 고정도어포켓을 마련하고, 고정도어포켓에 회전도어포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을 가변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품수용부 내의 물품을 편리하게 인출 및 인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패널의 일측면에 고정도어포켓을 마련하고, 고정도어포켓에 회전도어포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도어패널과 도어포켓이 이루는 물품수용부의 폭을 가변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가 제공된다.
Claims (6)
-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도어패널과;상기 도어패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도어포켓과;상기 고정도어포켓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물품수용부를 형성하는 회전도어포켓과;상기 고정도어포켓과 상기 회전도어포켓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캠프로파일의 장공의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도어포켓과 상기 회전도어포켓 사이에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회전도어포켓을 상기 고정도어포켓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며,상기 가이드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를 향하는 일측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고무의 재질로 이루어진 랙과;상기 회전도어포켓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랙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상기 랙과 상기 고정도어포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랙을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랙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동결합부는,힌지핀과,상기 고정도어포켓 및 상기 회전도어포켓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핀수용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9863A KR100464232B1 (ko) | 2002-05-29 | 2002-05-29 | 자동차용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9863A KR100464232B1 (ko) | 2002-05-29 | 2002-05-29 | 자동차용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2251A KR20030092251A (ko) | 2003-12-06 |
KR100464232B1 true KR100464232B1 (ko) | 2005-01-03 |
Family
ID=3238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9863A KR100464232B1 (ko) | 2002-05-29 | 2002-05-29 | 자동차용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42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969B1 (ko) * | 2014-11-26 | 2016-02-1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도어의 맵포켓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7317A (ja) * | 1996-05-29 | 1997-12-09 | Kanto Auto Works Ltd | グラブボックスのリール式ドア開閉機構 |
JP2000095028A (ja) * | 1998-09-18 | 2000-04-04 | Nifco Inc | 自動車用ドアポケット |
JP2000135951A (ja) * | 1998-08-24 | 2000-05-16 |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 車両用開閉式ポケット |
JP2000289530A (ja) * | 1999-04-05 | 2000-10-17 | Araco Corp | ドアトリム用ポケット |
-
2002
- 2002-05-29 KR KR10-2002-0029863A patent/KR1004642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7317A (ja) * | 1996-05-29 | 1997-12-09 | Kanto Auto Works Ltd | グラブボックスのリール式ドア開閉機構 |
JP2000135951A (ja) * | 1998-08-24 | 2000-05-16 |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 車両用開閉式ポケット |
JP2000095028A (ja) * | 1998-09-18 | 2000-04-04 | Nifco Inc | 自動車用ドアポケット |
JP2000289530A (ja) * | 1999-04-05 | 2000-10-17 | Araco Corp | ドアトリム用ポケ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2251A (ko) | 2003-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87952B (zh) | 用于将物体固持在交通工具内衬上的装置以及交通工具 | |
CN210454674U (zh) | 电子装置保持架 | |
US7980416B2 (en) | Vehicle storage bin | |
KR100464232B1 (ko) | 자동차용 도어 | |
JPH09156424A (ja)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EP3072745B1 (en) | Vehicle storage assembly | |
US20080083857A1 (en) | Cup holder | |
US20080250605A1 (en) |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
US20060038422A1 (en) | Guide structure of a tray | |
JP3869961B2 (ja) | 緩衝材付きストッパーピン | |
JP3884847B2 (ja) | 冷蔵庫 | |
KR102053526B1 (ko) | 차량용 수납장치 | |
KR200401372Y1 (ko) | 자동차용 도어 | |
KR20050046716A (ko) | 와이퍼 구동장치에서 잠금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 |
KR102557711B1 (ko) | 차량 프렁크용 힌지장치 | |
JP3164484B2 (ja) | ドアポケット構造 | |
KR101188844B1 (ko) | 자동차 러기지 룸의 트레이 커버 결합구조 | |
CN218821234U (zh) | 门体组件和冷柜 | |
KR100381472B1 (ko) | 자동차의 재떨이 | |
JPS63116928A (ja) | 車輌のバツテリ収納部のロツク機構 | |
JP4185080B2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 |
JP2005008027A (ja) | リッドの開閉構造 | |
KR100494495B1 (ko) | 자동차 도어용 수납장치 | |
KR20180049406A (ko) | 링크절을 이용한 글로브 박스 락 장치 | |
KR100373118B1 (ko) | 자동차의 핸드폰 수납용 트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