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553B1 -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553B1
KR100462553B1 KR10-2002-0013548A KR20020013548A KR100462553B1 KR 100462553 B1 KR100462553 B1 KR 100462553B1 KR 20020013548 A KR20020013548 A KR 20020013548A KR 100462553 B1 KR100462553 B1 KR 10046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facility management
failur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809A (ko
Inventor
김한수
황재모
김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Priority to KR10-2002-001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5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에서 접수된 고장 내용 및 시설관리 업무 전반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을 점검, 보수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Facility management system us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에서 접수된 고장 내용 및 시설관리 업무 전반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을 점검, 보수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포의 유지 및 관리에 있어서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점포에 부속된 각종 시설물을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 수단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시설 관리(Facility Management : FM)가 새로운 경영관리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설관리는 매장 직원 또는 고객등 신고자의 요청에 의해 고장 신고가 접수되면 작업자를 점포에 투입하여 시설물을 점검, 보수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시설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와 신고자 또는 작업자와 접수자 담당자가 직접 전화통화로 신고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시설물에 대한 교체나 보수 이력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없어 현장 작업자가 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기억에 의존한 작업의 계획 실행 관리로 인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고, 현장 작업상황의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 작업시 각 점포의 자재 재고 파악이 어렵고, 사용량의 입출고 관리가 비효율적이고, 점포의 위치, 레이 아웃 및 협력업체, 담당자 연락처 등 점포의 정보관리 체계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RS 서버를 통해 접수된 고장 내용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 전송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현장의 작업자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조회하여 시설물을 점검, 보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장 신고자에게 접수상태 및 작업 상태를 전송하고, 시설물에 대한 점검, 보수가 종료되면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작업 내역 및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수정,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신속한 시스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에 대한 메뉴를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설 관리 서버 20 : 데이터베이스
30 : 매장 40 : ARS 서버
50 : 무선 통신서버 60 : 개인 휴대용 단말기
70 : 관리자 단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설물 및 매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등록, 수정 또는 열람할 수 있고, ARS 서버를 통해 고장 신고를 접수받아 작업자에게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며, 시설물에 대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설물에 대한 보수 예상 시기 또는 계절이나 기후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매장 관리 직원에게 S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시설관리 서버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를 통해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자료를 조회하고, 작업 종료 후 작업 내역을 저장하며, 시설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ARS 서버를 통해 시설물 고장 신고를 접수받으면 음성 안내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장치를 통해 시설물 위치정보와 시설물고장 유형을 고장 신고자로부터 선택받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고장신고 접수를 완료한 후 그 결과를 피드백 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신고 접수 내용에 따라 작업자를 자동 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정된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고장 접수 내용을 전송하고, 고장 신고자에게 이메일 또는 SMS 서비스를 통해 접수상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작업 지시 내역과 시설 관리 서버에 저장된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된 시설물에 대한 고장 보수 내용 및 점검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수정,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및 매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등록, 수정 또는 열람할 수 있고, ARS를 통해 고장 신고를 접수받아 작업자에게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시설관리 서버(10)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를 통해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0)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자료를 조회하고, 작업 종료 후 작업 내역을 저장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60) 및 작업 진행 상태 및 작업자 배정등 작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60)는 시설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미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관리 서버(10)는 매장(30)에서의 고장 신고가 ARS 서버(자동 응답시스템 :40 )를 통해 접수되면, 작업자를 배정하여 고장 접수 내용 및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되어 있는 매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60)로 제공해준다.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60)는 작업자가 각각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컴퓨터로, 개인의 정보 관리나 일정관리 뿐만 아니라 상기 시설관리 서버(1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다.
이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고장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시설물에 대한 보수 이력과, 점포의 레이 아웃, 보수에 필요한 자재 정보 등의 조회하여 시설물의 점검, 보수한 후 작업 결과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60)에 입력하여 그 결과가 시설관리 서버(10)로 전송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S20)와, 상기 고장 신고 접수에 따라 작업자를 배정하는 단계(S30)와, 상기 배정된 작업자에게 고장 접수 내용을 전송하고(S40), 고장 신고자에게 접수 사항을 전송하는 단계(S50)와, 상기 작업자가 시설물을 점검, 보수하는데 필요한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60)와, 상기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시설물 정보를 수정, 등록 단계(S70)를 포함한다.
먼저, 매장에서 시설물에 고장이 발생되어, ARS 서버(30)를 통해 시설물 고장 신고가 접수되면, 시설관리 서버(10)에서는 작업자를 배정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배정된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60) 고장 접수 내용을 전송하고, 매장(30)의 고장 신고자에게 이메일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SMS를 통해 접수 사항을 전송해준다.
이때, 고장 접수가 야간에 이뤄질 경우에는 당직근무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접수 내용을 전송하여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 작업자가 고장 접수된 매장(30)을 방문해서 개인 휴대용 단말기(60)에전송된 작업 지시 내역을 조회하여 시설물에 대한 보수를 하게 되는데, 개인 휴대용 단말기(70)에 시설물 관리 번호를 입력하여 보수 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이력사항과, 보수에 필요한 자재와 점포 정보 및 협력 업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점검, 보수한다.
이때, 작업자가 시설물 관리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시설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70)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인식하도록 하여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어서, 시설물에 대한 점검 및 보수가 종료되면 작업자가 작업 결과 및 자재 정보를 개인 휴대용 단말기(70)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설물에 대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시설물에 대한 보수 예상 시기 또는 계절이나 기후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매장 관리 직원에게 무선통신망(40)을 통한 S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에 대한 메뉴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고장 접수 정보(100), 작업 정보(200), 자재 정보(300), 작업 분석 정보(400) 및 기본 정보(500)로 나뉜다.
우선, 고장 접수 정보(100)에는 고장 접수 내역을 집계한 접수 처리 현황(101)과, 접수 유형별 집계 (102), 월별 접수 집계(103), 점포별 접수 집계(104), 처리 시간 집계(105) 및 작업자를 자동으로 배정할 수 있도록 저장된 월별 당직자 정보(106)로 구성되어 있어, 고장 접수가 되면 당직자 정보등에 따라작업자를 자동으로 배정하여 작업 담당자에게 고장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접수 담당자와의 통화 연결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정보(200)에는 작업자 배정 정보(201), 작업의 진행상태(202), 고장 신고자에게 접수 사항을 전송하는 SMS 전송상태(203), 예방 작업 정보(204) 등이 저장되어 있어, 관리자는 유선 단말기인 관리자 단말기(60)를 통해 작업자 배정 상태, 작업의 진행 상태 및 SMS 전송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방 작업 정보(204)는 시설물 보수 이력사항에 따른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수 예상 시기와 계절과 기후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재 정보(300)에는 자재의 입고 정보(301), 자재의 출고 정보(302), 자재의 사용 실적(303), 자재의 재고 정보(304) 및 미입고 자재 정보(305)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재 정보(300)를 통해 작업자가 자재의 재고 파악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실시간 업무처리가 가능하고, 사용량의 입출고 관리가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재 정보를 활용하여 수리 완료 시점등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분석 정보(400)는 시설물 교체 또는 보수 이력사항등에 대한 데이터로, 설비별 실적 집계(401), 월별 실적 집계(402), 업무별 실적 집계(403), 협력 업체 작업 집계(404), 작업 처리 내역(405)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스템의 체계적인 작업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기본 정보(500)는 점포 정보(501),와 설비 마스터 정보(502), 협력 업체의 분류 코드 및 위치 정보등 협력 업체 정보(503), 및 휴일 정보(50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본 정보(500)를 통해 점포의 위치와 도면 및 설비등 각종 점포 정보와 협력업체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조회 가능하므로, 신속한 관리가 가능하고 협력업체와의 연계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는 일반 매장 뿐만 아니라 편의점, 주유소 및 통신 기지국 등 시설 관리 특성이 유사한 사업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설물에 대한 고장 접수 내용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장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설물을 신속하게 보수, 점검하여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보수 이력사항 및 매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실시간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신속한 고객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으며 협력 업체에 대한 정보가 조회 가능하므로 협력 업체와의 연계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 처리 내역 및 자재의 재고 상태를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 통해 입력하여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등록, 수정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시설물 및 매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등록, 수정 또는 열람할 수 있고, ARS 서버를 통해 고장 신고를 접수받아 작업자에게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며, 시설물에 대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설물에 대한 보수 예상 시기 또는 계절이나 기후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을 매장 관리 직원에게 S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시설관리 서버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를 통해 전송된 자료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자료를 조회하고, 작업 종료 후 작업 내역을 저장하며, 시설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ARS 서버를 통해 시설물 고장 신고를 접수받으면 음성 안내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장치를 통해 시설물 위치정보와 시설물고장 유형을 고장 신고자로부터 선택받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고장신고 접수를 완료한 후 그 결과를 피드백 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신고 접수 내용에 따라 작업자를 자동 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정된 작업자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고장 접수 내용을 전송하고, 고장 신고자에게 이메일 또는 SMS 서비스를 통해 접수상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작업 지시 내역과 시설 관리 서버에 저장된 시설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된 시설물에 대한 고장 보수 내용 및 점검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수정,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방법.
KR10-2002-0013548A 2002-03-13 2002-03-13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48A KR100462553B1 (ko) 2002-03-13 2002-03-13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48A KR100462553B1 (ko) 2002-03-13 2002-03-13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09A KR20030073809A (ko) 2003-09-19
KR100462553B1 true KR100462553B1 (ko) 2004-12-17

Family

ID=3222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548A KR100462553B1 (ko) 2002-03-13 2002-03-13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981B1 (ko) 2008-06-27 2009-05-28 주식회사 와텍 수력 발전소의 프란시스 수차 발전기의 보수를 위한준비공정 지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330A (ko) * 2002-05-23 2003-11-28 (주)한국방재엔지니어링 바코드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장치 및 방법
KR101074195B1 (ko) * 2004-08-27 2011-10-14 주식회사 케이티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0387B1 (ko) * 2006-04-26 2008-09-26 (주)지엠지 지반 및 구조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20080095313A (ko) * 2007-01-10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고장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39594B1 (ko) * 2012-05-07 2013-12-10 (주) 신성비엠씨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443200B1 (ko) * 2012-09-28 2014-09-2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지능화장치 관리 시스템
CN105427040A (zh) * 2015-11-17 2016-03-23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力便捷抢修服务方法及系统
KR102302732B1 (ko) * 2021-03-18 2021-09-16 주식회사 에이투엠 스마트와치 기반 작업자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672A (ko) * 1999-10-11 2001-05-07 이계철 가입자망운용관리시스템에서의 고장 신고 원격 접수 방법
KR20010091399A (ko) * 2000-03-15 2001-10-23 이정배 웹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0074763A (ko) * 2001-03-21 2002-10-04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30038273A (ko) * 2001-11-10 2003-05-16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672A (ko) * 1999-10-11 2001-05-07 이계철 가입자망운용관리시스템에서의 고장 신고 원격 접수 방법
KR20010091399A (ko) * 2000-03-15 2001-10-23 이정배 웹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0074763A (ko) * 2001-03-21 2002-10-04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30038273A (ko) * 2001-11-10 2003-05-16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981B1 (ko) 2008-06-27 2009-05-28 주식회사 와텍 수력 발전소의 프란시스 수차 발전기의 보수를 위한준비공정 지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09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863B2 (ja) 予備部品の在庫管理
US6922687B2 (en) Closed loop asset management process
KR100990981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033197A (zh) 一种设备档案全生命周期管理系统
JP4932188B2 (ja) 保守管理システム、保守管理方法、及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KR100462553B1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50061B2 (en)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2041124A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産管理情報利用システム
CN113392941A (zh) 基于射频识别技术(rfid)智能装配式材料的应用
KR102255695B1 (ko) 확장형 제조 실행 시스템
JP4902335B2 (ja) 伝達通知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用いた品質改善システム
KR2009000136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9078A (ko) 물류 관리 시스템, 물류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JP2000029958A (ja) 設備機器の部品発注装置
US20090164631A1 (en) Centralized Services Management (CSM) System
JP2009075884A (ja) 機器故障修理受付システム及び機器故障修理受付方法
KR20150078830A (ko)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95286A (ja) ガス設備工事管理システム
US7020616B1 (en) Evaluation system for equipment vendors
KR20030049652A (ko) 임대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140735A (ja) ポンプ場点検システム
JP4819212B2 (ja) ファシリティ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CN214376580U (zh) 一种预制构件的信息整合系统
Ala-Risku Installed base information management with industrial service operations
JP2007133855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