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195B1 -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195B1
KR101074195B1 KR1020040067718A KR20040067718A KR101074195B1 KR 101074195 B1 KR101074195 B1 KR 101074195B1 KR 1020040067718 A KR1020040067718 A KR 1020040067718A KR 20040067718 A KR20040067718 A KR 20040067718A KR 101074195 B1 KR101074195 B1 KR 10107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ork
worker
mobile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193A (ko
Inventor
조동권
이인수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6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장위치에서 최단거리의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의 파라미터를 작업명령 신호 발생시에만 판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명령 데이터를 송신하며, 작업출동 가능한 이동단말기로부터 출동 확인신호를 접수함으로써 최단시간에 고장시설에 대한 통보와 출동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축된 이동통신 중계국과, 이동통신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로 구성된 무선통신망에 있어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신받아 화면 출력시키고, 출동 신호를 발생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작업명령서버에서 전송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과; 고장시설 신호 발생시, 해당 고장시설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인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을 선정하고, 그 기지국의 셀내에 위치한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판단하여 작업명령서를 작성하여 해당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서를 송출케 하는 작업명령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고장시설에 대한 신호발생시 신속하게 해당 고장시설로 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을 선정하고, 해당 기지국의 셀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파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작업명령서를 1회로 송신케 함으로써 트래픽 채널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신속한 고장 출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WORKING ORDER DATA TRANSMISSION SYSTEM OVER BROADCASTING CHANNEL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셀내 작업자 파라미터 판독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에 구비된 작업명령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에서 통용되는 작업명령 전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P1∼HPn: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
10A,10B: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
12A,12B:이동통신중계국, 14:이동통신제어국,
16:이동통신교환기, 18:웹서버,
WOS:작업명령서버.
본 발명은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고장위치에서 최단거리의 특정 기지국 셀 에 위치한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의 파라미터를 작업명령 신호 발생 시에만 판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명령 데이터를 송신하며, 작업출동 가능한 이동단말기로부터 출동 확인신호를 접수함으로써 최단시간에 고장시설에 대한 통보와 출동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편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리적인 영역은 다수의 "셀"로 분리되며, 이들 셀 각각은 제한된 무선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기지국(BS)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이동 서비스 교환국(MSC)에 접속되며, 상기 이동 서비스 교환국은 육상 공중 교환 전화망(PSTN)에 접속된다. 무선 시스템 또는 망내의 각 사용자(이동 가입자)에게는, 이동국(MS)이 놓이는 셀을 정하는 인근의 기지국과 음성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휴대용, 포켓용, 핸드헬드용 또는 차량 장착용 이동국(예컨대, 셀 전화기)이 제공된다. 기지국과 통신하는 MSC은 호를 스위칭하고, 이동국(MS)과 시스템 내의 다른 이동국 또는 PSTN 내의 유성 전화기(landline telephone) 간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제어한다.
이동국과 상응하는 기지국 간의 무선 통신 링크(예컨대, 무선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넓은 종류: 즉 트래픽 채널과 제어 채널로 분리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트래픽 채널은 서비스제공(serving)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정해진 셀 내에서 이동중인 소정의 MS와 호 데이터(예컨대,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채널은 서비스제공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MS와의 호 데이터 접속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제어 데이터(예컨대,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인 제어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BCH), 공통 제어채널(Common Control Channel:CCCH) 및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DCCH)을 포함한다. 상기 세 가지 종류의 제어 채널 각각은 또한 서비스제공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 상이한 유형의 정보를 전달하는 다수의 논리 채널로 세부 분할된다.
하지만, 무선 데이터망을 이용한 통상의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는 유니캐스팅 방식을 이용하는 바, 이러한 유니캐스팅 방식은 송수신 노드(단말기 포함)에 각각의 고유번호(서비스 ID, 전화번호 등)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니캐스팅 방식에는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수가 다수일 경우에는 서버와 이동단말기간의 트래픽에 의해 통신망 자체의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장시설 발생시에는 촌각을 다투는 시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할 경우 다수의 작업자에게 이를 효과적으로 통보할 수 없으며, 이러한 이동단말기의 파라미터 판독 및 고장데이터의 통보를 위한 트래픽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트래픽 채널(음성데이터 채널)을 통해 일반 문자데이터는 물론이고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이 역시 기존의 트래픽 채널의 부하를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장위치에서 최단거리의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의 파라미터를 작업명령 신호 발생시에만 판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명령 데이터를 송신하며, 작업출동 가능한 이동단말기로부터 출동 확인신호를 접수함으로써 최단시간에 고장시설에 대한 통보와 출동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축된 이동통신 중계국과, 이동통신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로 구성된 무선통신망에 있어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신받아 화면 출력시키고, 출동 신호를 발생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작업명령서버에서 전송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과; 고장시설 신호 발생시, 해당 고장시설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인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을 선정하고, 그 기지국의 셀내에 위치한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판단하여 작업명령서를 작성하여 해당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서를 송출케 하는 작업명령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는 상기 작업명령서버에 대해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웹서버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서버는 이동통신 중계국과, 이동통신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중 어느 한 수단에 부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 데이터는 그 내부에 기지국 번호, 고장시설 식별번호, 고장시설의 위치정보 및 고장내용을 포함한 패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서버는 인터넷망이나 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통신설비에 대한 고장발생 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 부가된 웹서버를 매개로 해당 통신설비의 위치파악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통신설비 인근의 기지국 식별번호 데이터 송수신, 작업명령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행하는 통신모듈과; 작업명령서 작성 알고리즘의 갱신,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위한 키설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조작부와; 전체 작업자의 정보 및 식별부호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자 정보 관리부와; 각 기지국의 위치에 따른 셀 반경정보를 관리하는 셀 정보 관리부와; 고장설비에 대한 고장설비 위치, 기지국 위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작업명령 데이터를 작업 데이터 작성부와;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다수의 작업자 중 출동 가능한 작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작업자 선정부와;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위치관리부와; 각 작업자 정보와 해당 작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작업자 식별번호 저장 DB와; 기지국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지국 위치 DB와; 작업출동 데이터를 작업명령서와 함께 연동시켜 저장하는 작업 실행 DB와;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기 위해, 기지국 위치, 고장시설 위치, 고장내용이 자동으로 패킷 내용에 포함되게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는 작업데이터 작성 알고리즘과; 셀 내부의 작업자 식별부호 판독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 판독 DB와; 최종 작업자 선정데이터와, 전송한 고장출동 데이터를 각각 연동시켜 저장하는 전송 고장데이터 DB와; 고장시설 신호 접수시, 해당 고장시설 위치에 따른 최적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해당 기지국 셀내에 작업중인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파악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 데이터를 발송하며, 이의 확인신호에 따라 최종 작업자를 선정하고, 이를 최종 작업자에게 통보하도록 고장시설 발생신호로부터 작업명령 데이터의 작성, 통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명령서버가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인터넷망이나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고장시설에 대한 신호를 접수받는 과정과; 고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내부의 기지국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고장 시설위치와 최단거리인 기지국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을 매개로 해당 기지국의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단말기의 식별부호를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작업명령서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작업명령서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동 신호를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가 1명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셀내의 작업자가 1명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기지국을 제외한 최단거리 기지국을 차순위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수신한 출동 신호가 2명 이상의 출동 신호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는 우선 접수한 작업자에게 최종 출동 명령서를 작성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출동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 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서가 송출되는 특정 기지국의 셀내에 판독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중 해당 작업명령 데이터는 등록된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만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고장위치에서 최단거리의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의 파라미터를 작업명령 신호 발생시에만 판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명령 데이터를 송신하며, 작업출동 가능한 이동단말기로부터 출동 확인신호를 접수함으로써 최단시간에 고장시설에 대한 통보와 출동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브로드캐스팅 기지국과 작업자의 이동단말기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하여 특정 셀내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작업 명령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바,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브로드캐스팅 기지국에 의해 정해진 셀에 대한 일반적인 시스템 정보를 셀 내부 또는 셀 근처에 놓인 작업자의 이동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각 기지국의 위치 DB를 이용하여 고장시설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을 자동으로 선정하고, 그 기지국의 셀내 작업자를 판독하게 된 시스템이며, 해당 셀 내의 다수 작업자중 어느 작업자가 고장시설을 복구하기 위해 출동할 것인지를 상호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제 1 및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와, 다수의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 이동통신 중계국(12A,12B), 이동통신 제어국(14)및, 이동통신 교환기(16), 웹서버(18), 작업명령서버(WOS)로 구성된다. 이때, 웹서버(18)는 생략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 또는 이동통신 제어국(14)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부설되어 충분히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 작업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 이동통신 중계국(12A,12B), 이동통신 제어국(14) 및, 이동통신 교환기(16)를 매개하여 다른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유니케스트 방식으로 음성통화를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작업명령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의 셀내에 존재하면서 각 단말기의 파라미터 판독이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여야 한다.
이때, "셀"이라 함은 상기 각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 10B)의 무 선 채널이 커버되는 지리적인 영역을 일컫는 바, 어느 한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예컨대, 10A)의 셀 내에 위치된 상기 제 1 내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예컨대, 10A)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데이터를 무선 인터페이스 받게 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브로드케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Broadcating Base Station Transceiver; BBTS)은 상기 제 1 작업자 내지 제 N 작업자가 각각 휴대하고 있는 제 1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n)의 이동위치 부근에 다수개가 분포적으로 설치되고서, 해당 제 1 내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가 이동하면서 음성통화 및 무선데이터의 전달/등록이 가능하도록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음성 및 문자정보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고, 해당 제 1 내지 제 N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의 셀내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해당 작업자 모바일 단말기(HP1∼HPn)로 작업 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일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이동통신 중계국(12A,12B)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0A,10B)과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 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은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중계국(12A,12B)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의 정합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는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HP1) 내지 제 N 모바일 단말기(HPn)가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상태에서, 그 제 1 모바 일 단말기(HP1) 내지 제 N 모바일 단말기(HPn)간 상호 호접속을 진행하여 음성통화 및 문자정보의 전달을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고, 웹서버(18)가 내설되어져 데이터통신망(예컨대,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된 작업명령 서버(WOS)로부터 작업명령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으로 전송처리한다.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HP1∼HPn)의 식별번호 (예컨대, 전화번호, ID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브로드케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고장발생 신호 접수시 해당 고정시설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인 상기 브로드케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을 선정하고, 해당 셀내에 작업중인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를 파악하여 해당 셀내의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작업명령 데이터를 전송처리하고, 이에 대한 확인신호를 접수하여 작업명령을 완료시키는 수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명령서버(WOS)는 웹서버(18)의 부가설비 없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에 직접 부설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제어국(14)에 직접 부설되어 시스템이 구성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셀내 작업자 파라미터 판독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일정반경 커버할 수 있는 지리영역인 각각 의 셀(100,200,3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셀(100,200,300)의 내부에는 작업자(20: 굵은 원으로 도시함)를 포함한 일반인(30: 얇은 원으로 도시함)들도 다수명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인 셀의 구조인 바, 상기 브로드케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을 매개로 상기 작업명령서버(WOS)는 특정 셀(예컨대, 300)을 선정한 후에는 해당 셀내에 작업자(20)가 존재하는 지, 어떤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의 작업자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고장 시설(400)이 특정 셀(300)의 특정위치라고 가정하면, 상기 작업명령서버(WOS)는 다수의 셀(100, 200, 300)중 해당 고장시설(400)이 위치한 셀(300)의 기지국 식별번호(예컨대, 기지국 고유번호)나, 해당 고장시설(400)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기지국 식별번호를 파악하고, 해당 기지국의 셀(300)내에 위치한 작업자의 존재여부 및 작업자 수를 파악한다. 이에 대한 파악을 완료되면 해당 작업자(30)에게 브로드캐스팅으로 송출할 작업명령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작업명령 데이터를 해당 작업자(30)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출한다. 이때, 작업명령 데이터는 특정 주파수가 할당된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송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에 구비된 작업명령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에 구비된 작업명령서버(WOS)는 그 내부에 통신 모듈, 키조작부, 작업자 정보 관리부, 셀 정보 관리부, 작업 데이터 작성부, 작업자 선정부, 기지국 위치관리부, 작업자 식별번호 저장 DB, 기지국 위치 DB, 작업 실행 DB, 작업데이터 작성 알고리즘, 셀 판독 DB, 전송 고장데이터 DB,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50은 인터넷망이나 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통신설비에 대한 고장발생 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6)에 부가된 웹서버(18)를 매개로 해당 통신설비의 위치파악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통신설비 인근의 기지국 식별번호 데이터 송수신, 작업명령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행하는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52는 작업명령서 작성을 위한 알고리즘 갱신,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위한 키설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조작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4는 전체 작업자의 정보 및 식별부호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자 정보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6은 각 기지국의 위치에 따른 셀 반경정보를 관리하는 셀 정보 관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8은 고장설비에 대한 고장설비 위치, 기지국 위치, 작업내용 등의 작업명령 데이터를 작업 데이터 작성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0은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다수의 작업자중 출동 가능한 작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작업자 선정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2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위치관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4a는 각 작업자 정보와 해당 작업자의 전화번호 등의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작업자 식별번호 저장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4b는 기지국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지국 위치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4c는 작업출동 데이터를 작업명령서와 함께 연동시켜 저장하는 작업 실행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4d는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기 위해, 기지국 위치, 고장시설 위치, 고장내용 등의 요소가 자동으로 패킷 내용에 포함되게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는 작업데이터 작성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64e는 셀내부의 작업자 식별부호 판독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 판독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4f는 최종 작업자 선정데이터와, 전송한 고장출동 데이터를 각각 연동시켜 저장하는 전송 고장데이터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6은 고장시설 신호 접수시, 해당 고장시설 위치에 따른 최적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해당 기지국 셀내에 작업중인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파악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 데이터를 발송하며, 이의 확인신호에 따라 최종 작업자를 선정하고, 이를 최종 작업자에게 통보하도록 고장시설 발생신호로부터 작업명령 데이터의 작성, 통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에서 통용되는 작업명령 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그 내부에 구비된 작업명령서버(WOS)를 이용하여 작업명령 데이터 즉, 작업명령 전표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하는 바,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통신 설비에 대한 고장신호를 접수하면, 해당 고정설비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해당 고정설비 위치 및 고정내용, 고정설비 식별번호, 기지국 위치로 이루어진 작업명령 전표(42)를 작성하게 된다. 상기 작업명령 전표(42)의 패킷은 통상의 패킷과 마찬가지로 그 전단부에 해당 패킷의 내용이 게재된 헤더(H)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후단부에 패킷의 종료를 나타내는 테일(T)이 위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작업전표 내용을 포함하는 컨텐츠(42a)가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컨텐츠(42a)는 기지국 번호(44a), 고장시설 식별번호(44b), 고장시설의 위치정보(44c) 및 작업 내용정보(44d)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작업전표 내용이 테이블 데이터(32)로 저장되어 DB로 구축되는 바, 그 DB에 구축된 데이터는 도 4b와 마찬가지로, "123"과 같은 기지국 식별번호(34), "문화동-WDC8-0001"과 같은 고장시설의 식별번호(36), "대전-중구 문화동 141번지"와 같은 고장시설의 위치(38) 및, "DCS 시설 접촉 불량"등과 같은 작업내용정보(4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은 상기 작업명령서버(WOS)가 작업자의 식별번호(예컨대, 전화번호)를 DB(64a)에 등록한다.
그 상태에서, 인터넷망이나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고장시설에 대한 신호를 접수받게 되는 지를 판단하여, 고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내부의 기지국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고장 시설위치와 최단거리인 기지국을 판단한다.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의 최단거리의 기지국 선정이 완료된 상태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10A,10B)을 매개로 해당 기지국(10A,10B)의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단말기(HP1∼HPn)의 식별부호를 판독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가 1명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셀내의 작업자가 1명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해당 기지국을 제외한 최단거리 기지국을 차순위 기지국으로 선정한다. 그런 다음, 다시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를 판단하고, 해당 셀내의 작업자가 1명 이상 존재하는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작업명령서를 작성한다.
이때,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에서 작성하는 작업명령서는 고장시설의 식별부호, 고장시설의 위치, 기지국 식별부호, 고장내용 등에 대한 정보가 내부에 게재되어져 있다.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에서 작업 명령서가 작성된 경우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HP1∼ HPn)로 해당 작업명령서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HP1∼HPn)로부터 출동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수신하게 된다.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수신한 출동 신호가 2명 이상의 출동 신호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우선 접수한 작업자에게 최종 출동 명령서를 작성하여 송출한다. 이때에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다수의 작업자에게 이를 통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종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HP1)측으로 유니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는 해당 출동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킨다. 그러면, 매우 단시간에 고장시설에 대한 파악 및 작업명령서 송출, 출동까지를 원스톱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장시설에 대한 출동이 팀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 9단계의 출동 신호접수까지의 과정만으로 작업명령 과정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고장시설에 대한 신호발생시 신속하게 해당 고장시설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을 선정하고, 해당 기지국의 셀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파악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작업명령서를 1회로 송신 케 함으로써 트래픽 채널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신속한 고장 출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9)

  1.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축된 이동통신 중계국과, 이동통신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로 구성된 무선통신망에 있어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수신받아 화면 출력시키고, 출동 신호를 발생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작업명령서버에서 전송된 작업명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과;
    고장시설 신호 발생시, 해당 고장시설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인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을 선정하고, 그 기지국의 셀내에 위치한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판단하여 작업명령서를 작성하여 해당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서를 송출케 하는 작업명령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는 상기 작업명령서버에 대해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웹서버가 더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서버는 이동통신 중계국과, 이동통신 제어 국, 이동통신 교환기중 어느 한 수단에 부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 데이터는 그 내부에 기지국 번호, 고장시설 식별번호, 고장시설의 위치정보 및 작업 내용정보를 포함한 패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서버는 인터넷망이나 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통신설비에 대한 고장발생 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 부가된 웹서버를 매개로 해당 통신설비의 위치파악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통신설비 인근의 기지국 식별번호 데이터 송수신, 작업명령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행하는 통신모듈과; 작업명령서 작성 알고리즘의 갱신, 각종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위한 키설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조작부와; 전체 작업자의 정보 및 식별부호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자 정보 관리부와; 각 기지국의 위치에 따른 셀 반경정보를 관리하는 셀 정보 관리부와; 고장설비에 대한 고장설비 위치, 기지국 위치,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작업명령 데이터를 작성하는 작업 데이터 작성부와; 특정 기지국 셀내에 위치한 다수의 작업자중 출동 가능한 작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작업자 선정부와;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위치관리부와; 각 작업자 정보와 해당 작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작업자 식별번호 저장 DB와; 기지국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지국 위치 DB와; 작업출동 데이터를 작업명령서와 함께 연동시켜 저장하는 작업 실행 DB와;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기 위해, 기지국 위치, 고장시설 위치, 고장내용을 자동으로 패킷 내용에 포함되게 작업명령전표를 작성하는 작업데이터 작성 알고리즘과; 셀내부의 작업자 식별부호 판독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 판독 DB와; 최종 작업자 선정데이터와, 전송한 고장출동 데이터를 각각 연동시켜 저장하는 전송 고장데이터 DB와; 고장시설 신호 접수시, 해당 고장시설 위치에 따른 최적의 기지국을 선정하고, 해당 기지국 셀내에 작업중인 작업자의 식별번호를 파악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작업명령 데이터를 발송하며, 이의 확인신호에 따라 최종 작업자를 선정하고, 이를 최종 작업자에게 통보하도록 고장시설 발생신호로부터 작업명령 데이터의 작성, 통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스템.
  6. 작업명령 서버가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인터넷망이나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고장시설에 대한 신호를 접수받는 과정과;
    고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내부의 기지국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고장 시설위치와 최단거리인 기지국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브로드캐스팅 이동통신 기지국을 매개로 해당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작업자 이동단말기의 식별부호를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작업명령서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작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작업명령서를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동 신호를 상기 작업명령 서버(WOS)가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셀내에 존재하는 작업자가 1명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셀내의 작업자가 1명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기지국을 제외한 최단거리 기지국을 차순위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수신한 출동 신호가 2명 이상의 출동 신호인 경우라면, 상기 작업명령 서버는 우선 접수한 작업자에게 최종 출동 명령서를 작성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명령 서버가 해당 출동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 이터의 전송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명령서가 송출되는 특정 기지국의 셀 내에 판독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해당 작업명령서는 등록된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만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 전송방법.
KR1020040067718A 2004-08-27 2004-08-27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18A KR101074195B1 (ko) 2004-08-27 2004-08-27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18A KR101074195B1 (ko) 2004-08-27 2004-08-27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93A KR20060019193A (ko) 2006-03-03
KR101074195B1 true KR101074195B1 (ko) 2011-10-14

Family

ID=3712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718A KR101074195B1 (ko) 2004-08-27 2004-08-27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261A (ja) * 2001-03-08 2002-09-20 Toyoda Mach Works Ltd 設備に対するサービス作業遂行システム
KR20020074763A (ko) * 2001-03-21 2002-10-04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2297812A (ja) * 2001-03-30 2002-10-11 Anritsu Corp 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JP2003108222A (ja) * 2001-10-02 2003-04-11 Kurita Water Ind Ltd 設備管理システム
KR20030073809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261A (ja) * 2001-03-08 2002-09-20 Toyoda Mach Works Ltd 設備に対するサービス作業遂行システム
KR20020074763A (ko) * 2001-03-21 2002-10-04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중계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2297812A (ja) * 2001-03-30 2002-10-11 Anritsu Corp 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JP2003108222A (ja) * 2001-10-02 2003-04-11 Kurita Water Ind Ltd 設備管理システム
KR20030073809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엘지 엠알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설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93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7986B1 (en) Telephone system
US8620371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automatic creation of talk group
US6163691A (en) Caller identifi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NO301959B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dynamisk allokering av forflytningsrutenumre
US6353730B1 (en) Automatic call to page conver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238739A (zh) 向位于无线通信网络小区中的一组移动终端传送紧急告警消息的方法及相关无线网络控制器
KR20100003732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규제 방법
CN101815352A (zh) 一种寻呼终端的方法及基站控制器、上报位置信息的终端
CN101529967B (zh) 移动通信系统、无线控制装置以及内线收发服务器装置选择方法
CN103974206A (zh) 呼叫控制系统、移动台及呼叫限制方法
KR10062090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람 방법 및 시스템
EP2436197B1 (en) Alert system with controlled load of network
KR101074195B1 (ko) 선택적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작업명령 데이터의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031155B (zh) 移动体无线通信系统
JP2006279782A (ja) 移動端末呼び出し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呼び出し方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0384292C (zh) 一种孤站点对点呼叫的实现方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JP200315286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呼通知方式
JP2792479B2 (ja) 無線加入者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通報サービス接続方法
JP331351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310585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チャネル切替方法
JP3056145B2 (ja) 紛失携帯電話端末探知システム
KR1010488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자동응답 방법
KR20010064870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예약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