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477B1 -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 Google Patents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477B1
KR100461477B1 KR10-2001-7000703A KR20017000703A KR100461477B1 KR 100461477 B1 KR100461477 B1 KR 100461477B1 KR 20017000703 A KR20017000703 A KR 20017000703A KR 100461477 B1 KR100461477 B1 KR 10046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screw member
housing
open end
mechanical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551A (ko
Inventor
세이어조나단
Original Assignee
칼라 액세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라 액세스, 인크. filed Critical 칼라 액세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5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Adornment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Golf Club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1)는 하우징 내의 복수의 제품 격실(6)과,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회전 나사 부재(9)와,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13)을 구비한다. 피스톤(13)은 결합 나사 부재의 상대 회전으로 피스톤을 그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나사 부재와 결합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를 구비한다. 마스터 기어(15)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12)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어와 접촉하여, 마스터 기어의 회전으로 인해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고 제품을 각각의 격실 내에서 분배하도록 피스톤을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MECHANICAL TWIST-DISPENSER}
소정의 화장용, 의학용, 가정용, 산업용 및 식품 관련 제품들은 사용되기 전까지 개별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다중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소비자가 장치 이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 전까지 다중 상태를 개별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패키지의 기능이 지금까지 중요한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러한 다중 상태의 제품을 패키지하기 위한 이전의 시도는 별도로 개방될 필요가 있고 소비자에 의한 사용 전에 제3 용기 내에서 혼합될 필요가 있는 별도의 용기 내에 각 상태의 제품을 패키징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패키지 사용에 따른 문제점은 혼합 용기 뿐만 아니라 각각의 상태를 위한 용기가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하나의 수송 용기 내에 패키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판매를 위해 제품을 패키징하는데 요구되는 요소들 수의 증가는 그 의도된 장소로의 제품의 수송 비용 뿐만 아니라 제품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각 상태의 제품을 위해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는 다른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고, 이들 펌프의 각각은 공통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한된다. 펌프 구조물의 복잡성 및 이러한 형태의 복잡한 분배 시스템의 이용과 관련된 비용 증가와는 별개로, 여전히 이러한 시스템에 중요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우선, 다중 상태의 제품과 공통적으로, 각 상태의 제품은 대개 다른 상태와 동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지 않게 된다. 이들 상태들이 다중 펌프 시스템 내에 배치될 때, 각각의 상태와 관련된 상이한 물리적 특성들은 각각의 개별적인 펌프의 프라이밍(priming) 및 이들 펌프에 의해 배출된 도우즈(dose)의 부정확도, 및 제품의 각 상태의 불균일한 사용을 야기할 수 있어, 다른 상태가 소비되는 동안 하나의 상태를 떠나 그 각각의 용기 내에 잔류하게 된다. 이들 문제점들은 최적의 제품 특성을 얻기 위해 다중 상태의 제품이 서로 혼합될 각 상태의 정확히 계측된 도우즈를 필요로 할 때 특히 널리 퍼지게 된다.
프랑스 특허 제2,721,907호는 2 개의 제품을 동시에 분배하기 위한 도우징 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물은 2 개의 상이한 용기를 구비한 박스와 2 개의 용기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2중 피스톤을 포함한다. 2중 피스톤은 이에 부착된 제어 기구를 구비한다. 제어 기구는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나사식 축과, 축 상에서 움직이는 너트로 구성된다. 너트는 2중 피스톤에 부착되어 축의 회전이 너트를 전진시키고 피스톤을 그 각각의 용기 내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분배기의 결함은 용기의 전체 높이가 내부에 함유된 제품 모두를 실제 분배하기 위해 각각의 용기 높이의 적어도 2배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내부에 함유된 2 개의 제품을 별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각각의 용기가 연속 벽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속벽으로 인해, 2중 피스톤은 각각의 용기 내의 피스톤을 축에 연결하는 전도된 U자형 부재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U자형 부재는 적어도 각각의 용기 만큼 길어야 한다. U자형 부재가 적어도 각각의 용기 만큼 길지 않게 되면, 그후 용기의 전체 용량이 분배되지 않거나, 각각의 용기벽은 피스톤이 용기의 기부단에 도달할 수 있도록 피스톤이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슬롯을 갖추어야 한다. 이들 형태의 각각은 비교적 긴 패키지 또는 각각의 용기 내의 모든 제품을 분배하는 패키지를 설계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프랑스 특허 제2,651,485호는 유사한 농도의 2 개의 상이한 제품용 용기/분배기를 개시한다. 용기는 2 개의 제품용 2 개의 별도의 챔버를 갖춘 하우징과, 그 상부에서 용기의 외부로부터의 진입로를 갖춘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2 개의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기구로 구성된다.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기구는 2 개의 챔버 내부의 피스톤의 형태이고, 신축 나사 기구와, 피스톤을 2 개의 챔버 내에서 구동하도록 피스톤 나사의 단부 상의 이(cog)와 결합하는 깔쭉깔쭉한 휘일에 의해 조작된다.
프랑스 특허 제2,721,907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분배기는 신축 나사 부재가 분배기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높이가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것과 같이 대부분은 아니지만 많은 다중 상태의 분배 시스템은 분배 후에 소비자가 각 상태의 제품을 서로 혼합할 것을 요구한다. 대개, 국부적으로 사용된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경우에, 소비자는 본체의 의도된 구역 상에 각 상태의 제품을 분배해야 한다. 그후, 소비자는 제품이 그 계획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중 상태들을 서로 혼합해야 한다. 그 상태들이 서로 혼합되기 전에 소비자가 다중 상태의 제품을 엷은 막 상에서 직접 혼합하도록 하는 데 따른 문제점은 그 혼합되지 않은 형태에서 임의의 상태로의 뜻에 맞지 않은 반작용을 갖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 개 이상의 제품을 별도로 수용하여 그 분리된 제품들을 동시에 분배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비틀림 분배기의 일실시예의 전방 평면도.
도2는 도3의 선A-A를 따른 비틀림 분배기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비틀림 분배기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선B-B를 따른 비틀림 분배기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나사 부재 및 피스톤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2의 단면 C의 분해도.
도7은 도10의 선D-D를 따른 본 발명의 단부 캡의 단면도.
도8은 도9의 선E-E를 따른 본 발명의 단부 캡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단부 캡의 정면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단부 캡의 정면 측면도.
도11은 도12의 선F-F를 따른 본 발명의 비틀림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12는 도11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 및 마스터 기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13은 도14의 선G-G를 따른 본 발명의 비틀림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14는 도13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 및 마스터 기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15는 일체 성형 단부 캡을 구비한 본 발명의 분배기의 단면도.
본 발명은 상부단과 기부단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의 기부단으로부터 상부단으로 종방향 연장하는 복수의 제1벽을 포함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이고, 각각의 제1벽은 제품의 각 성분용 별도의 제품 격실을 형성한다. 각각의 제품 격실은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구비한다.
회전 나사 부재는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나사 부재는 선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한다.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기어는 각각의 제품 격실의 제2 개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스톤은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스톤은 결합 나사 부재의 상대 회전으로 피스톤을 그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나사 부재와 결합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를 구비한다.
마스터 기어는 하우징의 기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기어와 접촉하여, 마스터 기어의 회전으로 인해 각각의 기어를 회전시키고, 차례로 피스톤의 나사식 개구와 나사 부재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피스톤을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시킨다.
그 결과로서 생기는 피스톤의 운동으로 인해 제품 격실 내의 제품은 하우징의 상부단 위에 끼워맞춰지는 단부 캡을 통해 분배되게 된다. 단부 캡은 복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을 갖추고 있다. 제2 벽은 제1 개방단으로부터 단부 캡을 거쳐 제2 개방단으로 연장하고, 단부 캡이 하우징의 상부단 상에 배치될 때 분배 통로를 형성하도록 제품 격실의 제1 개방단에 정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 캡은 혼합면을 갖추고 있다. 혼합면은 각각의 제2 벽의 제2 개방단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을 단부 캡에 제공함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혼합면은 사용 전에 소비자에게 각각의 제품 격실 내의 제품을 서로 혼합하기 위한 패키지 상의 구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들은 도면의 도움과 함께 이하에 논의된 실시예의 예에 의해 잘 알 수 있게 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1은 대개 도면부호 1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비틀림 분배기는 상부단(3)과 기부단(4)을 구비한 하우징(2)을 포함한다. 도2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하우징(2)의 기부단(4)으로부터 상부단(3)으로 종방향 연장하는 복수의 제1 벽(5)을 갖추고 있다. 도1 및 도2는 단지 2 개의 벽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임의 개수의 벽들이 본 발명의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제1 벽(5)은 그 각각이 제1 개방단(7)과 제2 개방단(8)을 구비한 개별적인 제품 격실(6)을 형성한다.
회전 나사 부재(9)는 각각의 제품 격실(6)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5에 더 상세히 도시된 대로, 각각의 나사 부재(9)는 선단부(10)와 말단부(11)를 구비하고 그 축을 따라 나사식으로 되어 있다. 기어(12)는 각각의 나사 부재(9)의 말단부(11)에 부착된다. 각각의 기어(12)는 각각의 제품 격실(6)의 제2 개방단(8)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나사 부재(9)는 나사 부재(9)의 말단부(11)에서 리세스(41)에 끼워맞춰지는 내향 돌출 림(40)을 제2 개방단(8)에 제공하여 각 제품 격실(6)의 제2 개방단(8)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3)은 각각의 제품 격실(6)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피스톤(13)은 기어(12)의 상대 회전으로 제품 격실(6) 내에서 피스톤(1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나사 부재(9)와 결합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14)를 구비한다. 피스톤(13)의 주연부(42)는 피스톤(13)을 제품 격실(6)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품 격실(6)의 제1 벽(5)에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숙련된 기능공이라면 피스톤의 주연부와 제품 격실의 벽 간에 요구되는 접촉 정도는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내장된 제품의 특성에 좌우됨을 알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제품이 비교적 비점성을 갖게 된다면, 그후 접촉 정도는 제품 통과를 어렵게 하는 장애물을 형성하도록 더 커져야 한다.
마스터 기어(15)는 하우징(2)의 기단부(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4 및 도11 내지 도14에 더 상세히 도시된 대로, 마스터 기어(15)는 각각의 기어(12)와 접촉한다. 마스터 기어(15)의 회전으로 인해 각각의 기어(12)를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피스톤의 나사식 개구(14)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피스톤(13)을 제품 격실(6)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시키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기어(15)는 각각의 기어(12)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어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15)는 하우징(2)의 기부단(4)에 매달려 있는 보스(20) 주위에 끼워맞춰지는 종방향 관통 보어(21)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마스터 기어(15)는 마스터 기어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보스를 갖추게 될 수 있는 한편, 하우징의 기부단은 마스터 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보스가 그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개구를 갖추고 있다. 소비자가 마스터 기어(15)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부(22)는 마스터 기어(15)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22)는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파지되는 구역을 제공하게 되어, 마스터 기어(15)의 더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기어(15)는 각각의 기어(12) 주위를 감싸 그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15)는 도12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의 기부단 내의 리세스(61)와 결합하는 포스트(60)에 의해 하우징의 기부단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15)와 기부(22)는 바람직하게 일체형 유닛으로서 형성되어, 포스트(60)가 기부(22)와 마스터 기어(15) 사이에 배치된 분할 벽(62)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대로, 마스터 기어(15)는 각각의 기어(12) 주위를 감싸 그와 접촉하는 가요성 벨트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벨트를 기어(12)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유지만하도록 기부(22)는 비회전 형태로 하우징의 기부단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예로 하우징의 기부단 내의 상보적 형태의 리세스(66)와 결합하는 상향 돌출 부재(65)를 기부(22)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부재(65) 및 리세스(66)의 형태는 기부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형태로서 일예로 사각형, 직사각형등을 포함하게 된다.
대개 도면부호 16으로서 나타낸 단부 캡은 하우징의 상부단(3)에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 캡(16)은 하우징(2)의 상부단(3) 위로 끼워맞춰지는 별도의 부품이다. 도7 내지 도10에 더 상세히 도시된 대로, 단부 캡(16)은 외부 쉘(70)과 복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17)을 구비한다. 제2 벽(17)은 제1 개방단(18)으로부터 단부 캡을 거쳐 제2 개방단(19)으로 연장하고, 제2 개방단(19)은 단부 캡(16)의 외부 쉘(70)과 교차한다. 제2 벽(17)은 단부 캡 내에 배치되어 단부 캡이 도1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2)의 상부단(3) 상에 배치될 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17)의 각각의 제1 개방단(18)는 각각의 제품 격실(6)의 각각의 제1 개방단(7)에 정렬되어 제품이 그를 통해 각각의 제품 격실(6)을 빠져나갈 수 있는 분배 통로(45)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1 및 도6에 도시된 대로, 제2 벽(17)의 제1 개방단(18)은 약간 더 큰 직경을 갖고 분배 통로(45)를 형성하도록 제1 벽(5)의 제1 개방단(7) 위로 끼워맞춰진다. 그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단부 캡 내의 제2 벽의 수는 하우징 내의 제품 격실의 수와 동일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단부 캡(16)의 기부단(31)은 하우징(2)의 상부단(3)에서 홈(33) 내에 끼워맞춰지는 유지 링(32)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더 상세히 도시된 대로, 유지 링(32)과 홈(33)의 상호 작용은 단부 캡(16)을 하우징(2)의 상부단(3) 상에 유지하는 것을 지원하게 된다. 달리, 유지 링은 하우징의 상부단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홈은 단부 캡의 기부단(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대로, 제2 벽(17)은 단부 캡(16)이 하우징의 상부단(3) 상에 배치될 때 제1 벽(5)과 접촉하여 밀봉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링(51)을 갖추게 될 수 있다. 밀봉 링(51)을 추가함으로써 비점성 제품이 그를 통해 통과할 수 없는 누설 방지 시일의 형성을 지원하게 된다. 도6은 단부 캡의 제2 벽(17) 상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벽을 밀봉하는 밀봉 링(51)을 도시한다. 그러나, 밀봉 링은 또한 하우징의 벽 상에 배치되어 제2 벽을 밀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부 캡(16)은 혼합면(30)을 갖추고 있다. 혼합면(30)은 각각의 제2 벽(17)의 제2 개방단(19)과 단부 캡(16)의 외부 쉘(70)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을 단부 캡(16)에 제공함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혼합면(30)은 사용 전에 소비자에게 각각의 제품 격실 내의 제품을 서로 혼합하기 위한 패키지 상의 구역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계획된 사용 구역 상에서 직접 다성분의 제품을 서로 혼합할 필요성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특징은 엷은 막 상에서 발생하는 반응을 기다리기 보다는 실제 완전한 제품을 엷은 막에 직접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달리, 도15에 도시된 대로, 단부 캡은 단일 본체(80)를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의 각각의 제1벽과 단부 캡의 각각의 제2 벽은 단일 벽 구조물(81)로서 일체로 성형되고, 각각의 단일 벽(81)은 별도의 제품 격실(82)을 형성한다. 각각의 제품 격실(82)은 제1 개방단(84)과, 제2 개방단(83)을 구비한다. 제2 개방단(83)은 전술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도시되지 않은) 회전 가능한 나사 부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유사 방식으로, 각각의 제품 격실(82)의 제1 개방단(84)은 각각의 격실 내의 제품용 분배 통로를 형성한다.
단부 캡이 별개의 부품이거나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는지 간에, 각각의 제품 격실의 충전 및 전체 패키지의 후속 조립은 비교적 용이한 일이다.
단부 캡이 별개의 부품이라면, 하우징(2)은 전술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나사 부재(9)와 마스터 기어(15)에 우선 조립된다. 그후, 각각의 제품 격실(6)은 그 의도된 제품 성분으로 채워지게 된다. 단부 캡(16)은 그후 하우징(2)의 상부단(3) 상에 끼워맞춰지게 되어, 각각의 제품 성분을 그 각각의 제품 격실(6) 내에 넣게 되어 분배를 위해 패키지를 준비하게 된다. 각각의 나사 부재(9) 상의 피스톤(13)은 초기에 제품 격실(6)의 제2 개방단(8)에 실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나사 부재(9)가 회전하게 될 때, 피스톤(13)은 제품 격실(6)의 제2 개방단(8)으로부터 제품 격실(6)의 제1 개방단(7)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각각의 단부 캡(16)의 제2 벽(17)에 의해 형성된 분배 통로(45)를 통해 각각의 제품 성분을 배출시키게 된다.
단부 캡이 단일 본체를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게 되면, 그후 본체는 전도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은 그 의도된 제품 성분으로 채워진다. 다음에, 나사 부재는 전술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후,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와 접하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패키지는 분배할 준비가 되어 있게 된다.
전술된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양의 각각의 제품 성분을 마스터 기어의 한 번의 회전으로 분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위해, 본 발명은 거의 임의의 소정의 분배율을 수용하도록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최종 제품이 2:1 비율의 2 개의 별도의 성분 제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면, 그후 요구되는 것은 하나의 격실을 다른 격실 용적의 2배가 되도록 2 개의 제품 격실을 변경하는 것이고,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끼워맞춰지는 피스톤을 변경하는 것이다. 나사 부재 상의 나사부의 피치, 피스톤 상의 나사부의 피치, 및 마스터 기어와 각각의 기어 간의 관계는 변함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단순한 변화는 각각의 피스톤이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서 동일 비율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피스톤이 그 결합 나사 부재의 선단부에 실제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각각의 분배된 제품 성분 간에 2:1의 비율을 제공하면서 실제 각각의 제품 격실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게 된다.
또한, 적절하거나 권고된 양의 제품이 분배될 때 소비자의 결정을 지원하는 적량(dosage) 인디케이터를 갖춘 본 발명의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예로, 도12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2)의 기부단(4)은 하나 이상의 만입부(90)를 갖추게 될 수 있고, 마스터 기어(15)는 만입부(90) 내에 끼워맞춰지는 하나 이상의 멈춤쇠(91)를 갖추게 될 수 있다. 소비자가 제품을 분배하도록 마스터 기어를 회전시킬 때, 멈춤쇠(91)는 만입부(90)로부터 다음의 연속되는 만입부로 선회하여 권고된 적량을 얻게 됨을 소비자에게 알리게 된다.
또한, 단부 캡(16)의 제2 개방단(19)은 도9에 도시된 대로 자가 폐쇄 부재(92)를 갖추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자가 폐쇄 부재(92)는 단부 캡과 동시에 성형되는 두 번 주입되는(bi-injected) 가요성 막으로 될 수 있거나, 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부품 고정 수단과 같은 접착제,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단부 캡의 제2 개방단 내에 견고히 유지되는 별도의 부품인 일방향 밸브로 될 수 있다. 각각의 구조물에 있어서, 자가 폐쇄 부재는 제품이 제2 개방단으로부터 분배될 때 개방에 의해, 그후 소정량의 제품이 분배된 후에는 밀봉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 모든 구성 부품들이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부품을 위해 선택된 특정 재료는 재료의 성형 특성 뿐만 아니라 패키지 내에 포함된 제품의 양립 특성에 좌우되고, 그 모두는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잘 알 수 있게 된다. 적절한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비닐 염화물,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아세탈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더 복잡한 다중 제품 분배 패키지의 단점을 극복하고 단일 기어의 회전으로 다중 제품의 동시 분배와, 각각의 마스터 기어의 회전으로 일관된 적량을 제공하도록 제품의 제어된 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동일한 한 번의 마스터 기어의 회전으로 상이한 양의 각각의 제품의 분배 가능성을 제거한다.

Claims (37)

  1. 상부단과 기부단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의 기부단으로부터 상부단으로 종방향 연장하고, 그 각각이 별도의 제품 격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이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구비한 복수의 제1 벽과,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이 선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한 회전 나사 부재와,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의 제2 개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기어와,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나사 부재와 결합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를 구비하고, 결합된 나사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과,
    하우징의 기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와 접촉하는 마스터 기어를 포함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종방향 보어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기부단에는 보스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종방향 보어는 상기 보스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감싸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둘러싸고 그 기어와 접촉하는 가요성 벨트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적량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량 인디케이터는 하우징의 기부단 상에 하나 이상의 연속 만입부와, 만입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마스터 기어 상에 하나 이상의 멈춤쇠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멈춤쇠는 마스터 기어의 회전시에 만입부로부터 다음의 후속 만입부로 선회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하우징의 상부단에 마련되고, 단부 캡은 외부 쉘과 복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은 제1 개방단으로부터 단부 캡을 거쳐 제2 개방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외부 쉘과 교차하고, 상기 제2 벽은 단부 캡 내에 배치되어 제2 벽의 각각의 제1 개방단은 각각의 제품 격실의 각각의 제1 개방단과 정렬되어 분배 통로를 형성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하우징의 상부단 상에 배치된 별도의 부품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벽의 제1 개방단은 약간 더 큰 직경을 갖고 하우징의 제1 벽의 제1 개방단 위로 끼워맞춰지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0. 제8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혼합면을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혼합면은 각각의 제2 벽의 제2 개방단 및 외부 쉘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2. 제7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단일 본체를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혼합면을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혼합면은 각각의 제2 벽의 제2 개방단 및 외부 쉘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5. 제7항에 있어서, 단부 캡의 제2 개방단들은 자가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자가 폐쇄 부재는 단부 캡과 동시에 성형되는 두 번 주입되는 가요성 막이거나, 단부 캡의 제2 개방단 내에 견고히 유지되는 별도의 부품인 일방향 밸브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7. 상부단과 기부단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의 기부단으로부터 상부단으로 종방향 연장하고, 그 각각이 별도의 제품 격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이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구비한 복수의 제1 벽과,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이 선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한 회전 나사 부재와,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의 제2 개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기어와,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나사 부재와 결합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를 구비하고, 결합된 나사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과,
    하우징의 기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와 접촉하는 마스터 기어와,
    하우징의 상부단 상에 배치되고, 외부 쉘과 복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은 제1 개방단으로부터 단부 캡을 거쳐 제2 개방단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외부 쉘과 교차하고, 상기 제2 벽은 단부 캡 내에 배치되어, 제2 벽의 각각의 제1 개방단은 각각의 제품 격실의 각각의 제1 개방단과 정렬되어 분배 통로를 형성하는 단부 캡을 포함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종방향 보어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기부단은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보어는 상기 보스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둘러싸고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둘러싸고 그 기어와 접촉하는 가요성 벨트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적량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량 인디케이터는 하우징의 기부단 상에 하나 이상의 연속 만입부와, 만입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마스터 기어 상에 하나 이상의 멈춤쇠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멈춤쇠는 마스터 기어의 회전시에 만입부로부터 다음의 후속 만입부로 선회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제2 벽의 제1 개방단은 약간 더 큰 직경을 갖고 하우징의 제1 벽의 제1 개방단 위로 끼워맞춰지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4. 제17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혼합면을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혼합면은 각각의 제2 벽의 제2 개방단 및 외부 쉘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6. 제17항에 있어서, 단부 캡의 제2 개방단들은 자가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자가 폐쇄 부재는 단부 캡에 동시에 성형되는 두 번 주입되는 가요성 막이거나, 단부 캡의 제2 개방단 내에 견고히 유지되는 별도의 부품인 일방향 밸브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8. 외부 쉘을 구비한 일체로 성형된 단부 캡을 구비한 상부단과, 기부단을 구비한 본체와,
    본체의 기부단으로부터 상부단으로 종방향 연장하고, 그 각각이 별도의 제품 격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이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구비한 복수의 벽과,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이 선단부와 말단부를 구비한 회전 나사 부재와,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되고, 각각의 제품 격실의 제2 개방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기어와,
    각각의 제품 격실 내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나사 부재와 결합되는 중앙의 나사산 개구를 구비하고, 결합된 나사 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품 격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과,
    하우징의 기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와 접촉하는 마스터 기어를 포함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종방향 보어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기부단은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보어는 상기 보스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1. 제28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둘러싸고 그 기어와 접촉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마스터 기어는 각각의 나사 부재의 말단부에 부착된 기어 주위를 둘러싸고 그 기어와 접촉하는 가요성 벨트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적량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량 인디케이터는 하우징의 기부단 상에 하나 이상의 연속 만입부와, 만입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마스터 기어 상에 하나 이상의 멈춤쇠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멈춤쇠는 마스터 기어의 회전시에 만입부로부터 다음의 후속 만입부로 선회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4. 제28항에 있어서, 단부 캡은 혼합면을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혼합면은 각각의 제2 벽의 제2 개방단 및 외부 쉘과 교차하는 편평면 또는 오목면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6. 제28항에 있어서, 단부 캡의 제1 개방단들은 자가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자가 폐쇄 부재는 단부 캡과 동시에 성형되는 두 번 주입되는 가요성 막이거나, 단부 캡의 제2 개방단 내에 견고히 유지되는 별도의 부품인 일방향 밸브인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KR10-2001-7000703A 1999-05-18 2000-05-09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KR100461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14,726 US6129472A (en) 1999-05-18 1999-05-18 Mechanical twist-dispenser
US09/314,726 1999-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551A KR20010053551A (ko) 2001-06-25
KR100461477B1 true KR100461477B1 (ko) 2004-12-14

Family

ID=2322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03A KR100461477B1 (ko) 1999-05-18 2000-05-09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29472A (ko)
EP (1) EP1098824B1 (ko)
JP (1) JP3650583B2 (ko)
KR (1) KR100461477B1 (ko)
AT (1) ATE247047T1 (ko)
AU (1) AU766835B2 (ko)
CA (1) CA2337676C (ko)
DE (1) DE60004461T2 (ko)
DK (1) DK1098824T3 (ko)
ES (1) ES2204592T3 (ko)
HK (1) HK1036609A1 (ko)
WO (1) WO2000069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9900B1 (en) * 2001-10-16 2002-12-31 Owens-Illinois Closure Inc. Dual liquid dispensing packages
FR2845874B1 (fr) * 2002-10-21 2004-12-17 Techpack Int Emballage distributeur de produit en forme de stick a double paroi
US20050072801A1 (en) * 2003-09-17 2005-04-07 Federal Package Network, Inc. Multi-compartmented propel container
JP4943731B2 (ja) * 2005-09-30 2012-05-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DE202006011103U1 (de) * 2006-07-18 2007-12-0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pender
DE102006033256B4 (de) * 2006-07-18 2012-05-10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pender
KR101037361B1 (ko) * 2009-03-10 2011-05-26 (주)연우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US8814002B2 (en) * 2011-09-07 2014-08-26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Delivery system
DE102011116054A1 (de) * 2011-09-30 2013-04-04 Avenida Gmbh & Co. Kg Dosierspender
US9433275B2 (en) 2012-11-16 2016-09-06 Colgate-Palmolive Company Stick product dispensing system
US9815597B2 (en) 2013-05-20 2017-11-14 Jezekiel Ben-Arie Twist based dispenser
KR101509555B1 (ko) * 2013-10-17 2015-04-10 장가흔 이종 약제 배출형 용기
US10421596B2 (en) * 2014-02-10 2019-09-24 Kurt Koptis Container and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 and method
CN105584732A (zh) * 2014-10-23 2016-05-18 王宇 同步双连体包装瓶
CN108524280B (zh) * 2018-04-24 2020-07-14 卢东杰 心内科喂药器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CN111761968B (zh) * 2020-06-18 2021-03-12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学习用品组合笔
WO2024055183A1 (en) * 2022-09-14 2024-03-21 Nivea (Shanghai) Company Limited A dual-chamber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288A (en) * 1976-02-06 1977-09-06 Carl Bergman Plural chamber dispenser
US4240566A (en) * 1979-09-17 1980-12-23 Whirlco, Inc. Captive mixing cap arrangement for multiple chamber container
DE3316922A1 (de) * 1983-05-09 1984-11-15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abgeben von in vorgegebenem verhaeltnis zu mischenden stoffen
US4595124A (en) * 1985-03-29 1986-06-17 The Gillette Company Semi-solid cylindrical container and dispenser
US5104005A (en) * 1988-11-10 1992-04-14 Albion Engineering Company Dual component mechanically operated caulking gun
FR2651485A1 (fr) * 1989-09-05 1991-03-08 Lir France Sa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deux produits pateux ou de consistance analogue.
JP2516350Y2 (ja) * 1990-07-11 1996-11-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複数の内容物を同時に押出すことのできる容器
WO1993017936A1 (en) * 1992-03-04 1993-09-16 Renata Luigia Galletti Container, especially toothbrush-container, with metered piston discharge
FR2703333B1 (fr) * 1993-03-29 1995-06-09 Lir France Sa Emballage distributeur pour produit pateux en forme de batonnet avec une douille externe fixe de decoration du corps .
FR2707144B1 (fr) * 1993-07-09 1995-09-01 Lir France Sa Emballage distributeur, notamment pour produit pâteux en forme de bâtonnet.
FR2721907B1 (fr) * 1994-06-30 1996-08-30 Lir France Sa Dispositif de dosage mecanique pour distributeur double
US5566860A (en) * 1994-09-08 1996-10-22 Liquid Control Corporation Dual component cartridge
US5873494A (en) * 1997-09-05 1999-02-23 Aptargroup, Inc. Dual stream liquid dispens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9472A (en) 2000-10-10
AU766835B2 (en) 2003-10-23
JP2002544084A (ja) 2002-12-24
DK1098824T3 (da) 2003-11-24
AU4708300A (en) 2000-12-05
DE60004461D1 (de) 2003-09-18
JP3650583B2 (ja) 2005-05-18
ATE247047T1 (de) 2003-08-15
DE60004461T2 (de) 2004-07-01
CA2337676A1 (en) 2000-11-23
EP1098824B1 (en) 2003-08-13
CA2337676C (en) 2005-09-06
ES2204592T3 (es) 2004-05-01
WO2000069751A1 (en) 2000-11-23
EP1098824A1 (en) 2001-05-16
HK1036609A1 (en) 2002-01-11
KR20010053551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477B1 (ko) 기계적 비틀림 분배기
US8814002B2 (en) Delivery system
RU2201121C2 (ru) Дозирующая упаковка
US9132950B1 (en) Extended twist blast
US5143261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proportional dispensing of a plurality of liquids
US10858170B2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US5593065A (en) Metered dual dispenser cap for squeeze containers
KR20030007576A (ko) 다중 격실 컨테이너
EP1302409A2 (en) Dual chamber dispenser
US20180022526A1 (en) Multi Chamber Delivery System
US20090052971A1 (en) Delivery system
US20050184090A1 (en) Dual chamber dispenser with dual position dispensing cap
CN111699048B (zh) 双泵分配系统
US20070059090A1 (en) Metered dispensing device
AU7170991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proportional dispensing of a plurality of liquids
EP1995181A1 (en) A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product
US7469804B2 (en) Dynamic dispensing device for a product
JPH07309379A (ja) 定量取出し容器
US5829639A (en) Flowable material dispenser with chambers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US5238151A (en) Push up codispensing container
ZA200405384B (en) Valve unit
KR20220158514A (ko) 내용물 용기
KR20220077672A (ko) 화장품의 효과적인 포장과 분배를 위한 장치
MXPA00001483A (en) Dual stream liquid dispens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