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375B1 -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 Google Patents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375B1
KR100461375B1 KR10-2002-0019128A KR20020019128A KR100461375B1 KR 100461375 B1 KR100461375 B1 KR 100461375B1 KR 20020019128 A KR20020019128 A KR 20020019128A KR 100461375 B1 KR100461375 B1 KR 10046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p sensor
vehicle
signal
control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481A (ko
Inventor
신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8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the venting is actuated by specific signals or positions of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에 관한 것으로, 언덕길 주행중 운전자의 클러치 조작 미숙으로 차량이 뒤로 밀려질 때, 휠센서와 맵센서에서 차륜 역회전 신호와 상한치(high threshold) 이상의 과도 출력이 동시에 입력되면 차량 뒤로밀림상태로 판단하고, 맵센서의 과도 출력은 고장이 아니고 일시적인 에러로 판단한다.
따라서, 맵센서 고장 진단 코드가 기억되지 않고,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아 불필요한 정비를 실시하지 않게 된다.
또한, 맵센서의 일시적 에러에 의한 출력은 무시하고, 에러 발생 전의 올바른 출력값을 가지고 연료분사량을 제어하게 되므로 재시동성이 향상되고, 배기가스내의 오염성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a control logic of ECU in case of backward mo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이 언덕길 정차후 출발시 클러치 조작 미숙으로 뒤로밀릴 때 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후속 제어를 실시하도록 된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언덕길에 정차하였다가 재출발할때 운전자가 클러치를 적절히 조작하지 못하면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차량이 뒷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엔진이 역회전되어 배기가스가 서지탱크로 역류됨으로써 맵센서(Manifold air pressure sensor)에 정압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맵센서에서는 상한치(high threshold = 보통 4.8V)를 넘는 시그널(5V 이상의 값)이 발생하며, 이를 전자제어유니트(ECU)는 맵센서 고장으로 판단하고 자기 진단을 통해 트러블 코드를 기억함(Diagnosis Trouble Code)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계기판에 설치된 경고등을 점등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는 배기가스 역류로 인한 일시적 맵센서 시그널 상승현상일뿐 실제로 맵센서가 고장난 것은 아니므로 전자제어유니트는 불필요한 제어를 실시한 것이며, 그 결과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소를 찾아 맵센서를 점검하도록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전자제어유니트가 맵센서에서 과도 출력된 시그널값에 따라 연료분사량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연료가 과도하게 분사되어 혼합기의 상태가 지나치게 농후(rich)해지며, 이에 따라 연소효율이 저하되어 재시동성이 저하되고, 미연소연료가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언덕길 정차후 재출발시 차량 뒤로밀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으며, 과도한 연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된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량에 뒤로밀림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니트(ECU)의 제어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종래 톤휠의 치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톤휠의 치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치형을 가진 톤휠에 의한 휠센서 시그널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톤휠, 11 : 보통 형태의 이(teeth),
12 : 단차진 형태의 이, 20 : 휠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동키이 on상태, 차속, 휠센서 시그널, 맵센서 시그널 등의 정보수집단계와; 수집된 정보로부터 시동 on이고 차속이 0인 상태에서 휠이 역회전되고 맵센서에서 상한치 이상의 시그널이 발생되면 언덕길에서의 뒤로밀림 현상으로 판단하는 뒤로밀림 판단단계와; 뒤로밀림 현상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트러블 진단에 의한 트러블 코드 기억과 맵센서 고장 경고등 점등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출력된 맵센서 시그널을 무시하고 이전의 맵센서 시그널에 따라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수행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전자제어유니트는 항상 차량의 각종 센서로부터 그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측정 대상의 상태를 감지하는데, 그 감지대상에는 본 발명의 로직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사항들도 포함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단계(S1)에서는 시동키이 on여부, 차속, 휠센서 시그널, 맵센서 시그널 등의 출력값을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뒤로밀림 판단단계(S2)에서는 우선 시동키이가 on위치에 있으면서 차속이 0 인지를 판별하고, 조건을 만족하면 휠센서로부터 입력된 시그널이 역회전 시그널인지를 판별하며, 역회전 시그널일 경우 맵센서 시그널이 상한치(high threshold) 이상으로 출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차량이 언덕길에서 뒤로 밀리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상기 제어수행단계(S3)에서는 이전 단계인 상기 뒤로밀림 판단단계(S2)에서 차량상태가 뒤로밀림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한치를 넘는 맵센서 시그널이 배기가스 역류로 인한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맵센서를 정상으로 간주하고 진단된 트러블 코드를 기억하지 않으며, 아울러 맵센서 고장 경고등도 점등시키지 않는다.
또한, 현재 맵센서에서 출력된 시그널은 무시하고, 뒤로밀림상태 판단 전에 입력된 최근 맵센서 시그널을 이용하여 적정 연료분사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연료 분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니트는 트러블 진단 코드를 기억하거나 맵센서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등의 불필요한 제어행위를 수행하지 않으며, 운전자는 맵센서 경고등이 들어오지 않음으로써 정비소에 필요 없는 점검을 의뢰하지 않게 된다.
또한, 과도하지 않은 적정량의 연료가 공급됨으로써 재시동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기가스내 미연소가스 포함량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뒤로밀림 판단단계(S2)에서 휠이 역회전되는 것은 다음과 같이 감지한다.
상기 휠센서는 드라이브샤프트에 장착되어 차륜과 동일 위상으로 회전되는 톤휠을 이용하여 차륜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톤휠(10)은 외주면에 동일간격으로 동일한 형상의 이(teeth ; 11)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센서에서는 차륜의 정회전이나 역회전에 구분없이 동일한 파형의 시그널이 출력되므로 차륜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감지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 언덕길 뒤로밀림 상태임을 판단하기 위한 한 가지 요소로서 이용되는 차륜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 형상의 이(11)들 사이에 단차진 형상의 이(12)를 형성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형상의 이(11)에서는 하나의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으로 이루어진 파형이 나타나고,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형상의 이(12)에서는 하강구간에서 작은 또 하나의 상승구간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상승구간 이후 작은 크기의 재 상승구간이 존재하는 파형이 나타날 경우 차륜은 정회전되는 것이고, 반대로 작은 크기의 상승구간 후 더욱 큰 상승구간이 존재하는 파형이 나타나면 차륜이 역회전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된다.
한편, 차륜이 역회전되는 모든 경우가 운전자의 클러치 조작 미숙에 의한 뒤로밀림 상황은 아니다. 즉, 정상적으로 후진 주행을 하는 경우에도 휠센서(20)에서는 차륜 역회전 시그널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후진상태와 뒤로밀림 상태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휠센서 시그널이 역회전 시그널일 것과 더불어 맵센서 시그널이 상한치 이상일 것을 뒤로밀림 판단조건으로 하고 있다.
즉, 정상적인 후진 주행시에는 차륜은 역회전되나 엔진은 역회전되지 않아 배기가스 역류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맵센서에서 상한치를 넘는 시그널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맵센서에서 상한치 이상의 시그널이 출력되지 않는 상황은 차륜이 역회전하고 있더라도 언덕길 뒤로밀림 현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중 차량에 뒤로밀림현상이 발생하여도 맵센서 고장판단을 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트러블 코드가 저장되지 않고 경고등도 점등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를 오판하지 않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정비를 받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맵센서의 일시적 이상 과도출력을 무시하고 직전의 정상 시그널에 의한 연료 분사량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현 상태에 맞는 보다 적절한 연료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출력증대, 재시동성 향상, 배기가스내 미연소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동키이 on상태, 차속, 휠센서 시그널, 맵센서 시그널 등의 정보수집단계와; 수집된 정보로부터 시동 on이고 차속이 0인 상태에서 휠이 역회전되고 맵센서에서 상한치 이상의 시그널이 발생되면 언덕길에서의 뒤로밀림 현상으로 판단하는 뒤로밀림 판단단계와; 뒤로밀림 현상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트러블 진단에 의한 트러블 코드 기억과 맵센서 고장 경고등 점등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출력된 맵센서 시그널을 무시하고 이전의 맵센서 시그널에 따라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수행단계로 이루어지는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역회전 판단은, 톤휠에 단차진 형상의 이를 형성하여 역회전시 휠센서에서 작은 상승구간후 큰 상승구간이 나타나는 파형의 시그널이 발생토록 하며, 이를 전자제어유니트가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KR10-2002-0019128A 2002-04-09 2002-04-09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KR10046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28A KR100461375B1 (ko) 2002-04-09 2002-04-09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28A KR100461375B1 (ko) 2002-04-09 2002-04-09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81A KR20030080481A (ko) 2003-10-17
KR100461375B1 true KR100461375B1 (ko) 2004-12-13

Family

ID=3237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128A KR100461375B1 (ko) 2002-04-09 2002-04-09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21A (ja) * 1993-10-04 1995-04-18 Hino Motors Ltd 坂道発進補助装置
KR20000020112A (ko) * 1998-09-17 2000-04-15 정몽규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KR20030046585A (ko) * 2001-12-05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리크 발생 판정 및 연료 제어 오작동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21A (ja) * 1993-10-04 1995-04-18 Hino Motors Ltd 坂道発進補助装置
KR20000020112A (ko) * 1998-09-17 2000-04-15 정몽규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KR20030046585A (ko) * 2001-12-05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리크 발생 판정 및 연료 제어 오작동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81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8120B2 (en) O2-sensor fault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9243452A (ja) 車両の故障診断装置
JPS61261145A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4873378B2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2006322332A (ja) スタータ駆動回路の故障検出方法及びエコラン制御装置
CN101629526B (zh) 一种节气门位置传感器故障诊断处理方法
JP3932514B2 (ja) 車両の燃料レベルセンサーのノイズ故障検出方法
JP200815709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制御装置
US20160251013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n engine func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188309A (ja) スロットル系の異常判定装置
KR100461375B1 (ko) 차량 뒤로밀림시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로직
JP4842104B2 (ja) 変速機のシフト指示方法
JP2000282930A (ja) エンジン温度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2006057525A (ja) スタータの故障検出装置
JP2009236003A (ja) クランク角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3702585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0179389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装置
JP3807097B2 (ja) 車両制御装置
CN106089463B (zh) 一种汽油ems系统的失火保护方法
JP409880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025251A (ja) 排出ガス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KR100219207B1 (ko) 흡기관 압력센서의 고장진단방법
JP4072199B2 (ja) 自動変速機の故障診断装置
JP4656607B2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4134669B2 (ja) 車両のウィンカ故障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