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191B1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191B1
KR100461191B1 KR10-2002-0059746A KR20020059746A KR100461191B1 KR 100461191 B1 KR100461191 B1 KR 100461191B1 KR 20020059746 A KR20020059746 A KR 20020059746A KR 100461191 B1 KR100461191 B1 KR 10046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outside handle
door outside
mol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186A (ko
Inventor
이봉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Injection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공성형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며, 그 단부측 저부면에 도어잠금장치 연결부가 결착되어 전방으로 인출시 자동차 도어를 개방시키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있어서, 중공성형법에 의한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 성형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전체적인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되는 핸들 금형 코아부를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의 배면부측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종래 핸들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된 핸들 금형코어부 내에 삽착된 캡의 이탈과 분실 등으로 차량도어 외관의 불량과 도어의 개폐기능이 불량해지는 등의 현상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Door outside handle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배면부측에 핸들 금형코어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핸들 금형코어부가 종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에 따른 도어 핸들구조에서 발생하는 제반 불량요인을 제거하여 핸들의 구조적인 품질 향상과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작동방법에 따라 리프트업 방식과 그립방식, 그리고 기타 푸쉬 방식 등의 핸들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승용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90년대의 리프트업 방식에서 그립방식으로 바뀌고 있으며, 최근 중대형 자동차와 스포츠 카 등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일반적인 그립방식의 핸들은 핸들 표면에서의 싱크(sink) 발생 방지를 위해 중공성형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중공성형법은 고압의 가스를 이용한 사출성형법이다. 도 5 는 상기 중공성형법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을 성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을 성형하기 위해 사출 금형(미도시) 내부로 핸들 하우징 형성용 소재인 수지를 주입시킨 후 고압가스를 그 내부에 다시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마치 풍선을 불 듯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을 성형하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핸들 하우징(51)의 성형공정에서, 특히 핸들 하우징(51)의 단부측, 즉 핸들 하우징(51)의 로드 작동부측은 타 부위에 비해 그 형상이 복잡하여 사출 성형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그 전면 노출부에 요홈과 같은 싱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금형의 소정 위치에 금형코어부(57)를 형성시키며, 이 금형코어부(57)의 설치로 최종 형성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상에는 요홈 형상의 핸들 금형코어부(55)가 형성된다.
이러한 코어는 복잡한 형상이나 속이 빈 것을 만들 때, 외형뿐 아니라 내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박아 넣는 부재의 일종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 및 상기 핸들 금형코어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자동차 도어의 외측에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를 정면에서 바라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그 내측 부위를 중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있어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핸들 금형코어부에 캡이 삽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 3b 는 상기 캡이 이탈되어 분실된 상태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는 상기 도 2 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b 는 상기 도 2 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핸들 하우징(51) 단부의 측면에 요홈 형태의 핸들 금형코아부(55)가 형성되며, 이 핸들 금형코아부(55)의 홈 내부로 플라스틱재와 같은 재료로 제조된 패드 형의 캡(59)을 삽착시켜 핸들 금형 코아부(55)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메운다. 상기 캡(59)은 핸들 금형코아부(55)의 빈 공간을 메움으로써 차량도어의 외관불량을 막고, 주행중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캡(59)은 자동차의 일정기간 이상의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삽착된 캡(59)이 홈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되거나 아예 분리되어 빠져나가게 되는 일이 생긴다. 이 경우 자동차 도어의 개폐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특히 주행중에는 차량도어의 외측에 조그마한 틈이 형성되더라도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바람이 그 부분에서 와류됨으로 인해 매우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캡이 이탈되어진 핸들 금형코어부에서 이와 같은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캡의 분리를 막기 위한 별도의 조처를 취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51)의 저부에 결착되는 도어 잠금장치 연결부(53)는 핸들 하우징(51)의 이동시 내부로 연결되어 있는 레버(미도시)가 함께 작동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재이며,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50)의 바로 인접부(상측)에는 자동차 키를 삽입하여 자동차 도어를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키 삽입부(20)가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상에 형성되는 핸들 금형코어부가 종래의 핸들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되던 것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도어 핸들하우징의 배면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핸들 금형코어부 형성으로 인한 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종래 캡 사용에 따른 도어의 외관불량이나 소음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자동차 도어 외측부에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와 도 3b 는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있어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핸들 금형코어부에 삽착된 캡이 이탈되고, 탈락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4a 는 상기 도 2 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b 는 상기 도 2 에서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는 중공성형법에 의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 형성시, 고압가스가 주입되는 방향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의 사시도,
도 7a 와 도 7b 는 상기 도 6a 와 도 6b 에서의 c-c 선과 d-d 선에 따른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키 삽입부 30 : 핸들 하우징의 설치부
50,100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51,101 : 핸들 하우징
53,103 : 도어잠금장치 연결부 55,105 : 핸들 금형코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는 중공성형법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 성형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전체적인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되는 금형 코아부를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의 배면부측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종래 핸들 금형코어부를 메우기 위한 캡이 필요치 않아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캡의 이탈 및 분실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작동불량 및 외관상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금형코어부는 도어 잠금장치 연결부의 하부 인접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7a 는 상기 도 6a 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b 는 상기 도 6a 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100)은 중공 성형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데, 이 공정에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101)상에 형성되는 핸들 금형코아부(105)가 핸들 하우징(101)의 배면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1)의 단부 저부면에 결착되어 있는 도어잠금장치 연결부(103)의 하부 인접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상기 핸들 금형코아부(105)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구조적으로 가능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도 6a 에 있어서, 핸들 금형코아부(105)부가 위치해 있지 않은 c-c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상태를 도시한 상기 도 7a 에서는 핸들 금형코아부(105)가 나타나지 않게 되며, 핸들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에 따른 d-d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인 상기 도 7b 에서는 핸들 금형코아부(105)가 도시되어진다.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1)의 단부측은 중공성형법에 의한 제조 공정 진행시, 그 반대측에서 고압이 인가되어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데(도 5 참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1)의 구조상, 핸들 하우징(101)의 전면과 측면부의 형상이 비교적 평탄한 단순 구조로 되어 있어 이 부위에 금형코아부(105)를 형성할 경우 상대적으로 형상이 복잡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1)의 배면부에 비해 핸들 금형코아부(105)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와같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101)의 배면부측에 핸들 금형코아부(105)를 형성하게 될 경우 핸들 금형코아부(105)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며 공정 진행중에 코아부(105)가 거의 매몰되는 형태로 진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101)을 성형함에 있어서, 핸들 하우징(101)의 전체적인 두께 균일을 위해 핸들 금형코아부를 구비하되, 그 형성위치를 핸들 하우징(101)의 배면부측에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핸들 금형코아부(105)가 구조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뿐만 아니라, 핸들 하우징(101)의 단면구조상 중공성형법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일정두께를 유지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의 배면부에 핸들 금형코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종래 핸들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된 핸들 금형코어부를 메우기 위한 캡이 필요치 않아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캡의 이탈 및 분실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작동불량 및 외관상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를 그립방식의 전 승용차 및 향후 적용되어질 신차종에 적용시 공정의 단순화와 부품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공성형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은 핸들 하우징의 배면부측에 중공성형법의 공정 특성상 하우징의 전체적인 두께 균일을 위해 형성되는 핸들 금형코어부를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배면부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에 따른 불량요인을 제거하고, 공정 단순화로 인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종래의 캡의 이탈과 분실로 인해 도어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는 것과 차량의 주행 중 바람소리의 발생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구조적인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중공성형법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며, 그 단부측 저부면에 도어잠금장치 연결부가 결착되어 전방으로 인출 시 자동차 도어를 개방시키는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에 있어서,
    중공성형법으로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 성형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전체적인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되는 핸들 금형 코아부를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하우징의 배면부측에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코어부는 도어 잠금장치 연결부의 하부 인접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KR10-2002-0059746A 2002-10-01 2002-10-0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KR10046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46A KR100461191B1 (ko) 2002-10-01 2002-10-0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46A KR100461191B1 (ko) 2002-10-01 2002-10-0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186A KR20040032186A (ko) 2004-04-17
KR100461191B1 true KR100461191B1 (ko) 2004-12-14

Family

ID=3733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46A KR100461191B1 (ko) 2002-10-01 2002-10-0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10B1 (ko) 2007-09-17 2009-10-1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184A (ja) * 1994-03-22 1995-10-09 Asahi Chem Ind Co Ltd 塗装された樹脂製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JP2002206358A (ja) * 2001-01-12 2002-07-2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184A (ja) * 1994-03-22 1995-10-09 Asahi Chem Ind Co Ltd 塗装された樹脂製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JP2002206358A (ja) * 2001-01-12 2002-07-2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10B1 (ko) 2007-09-17 2009-10-1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186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953B2 (en) Process for producing exterior member/seal member assembly
KR100461191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JP4391267B2 (ja) リフトゲートの構造
JPH06300124A (ja) シフトノブ
EP064858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key, in particular a vehicle ignition key, and key produced thereby
US594231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article having a high clarity icon and the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JPH07164472A (ja) 樹脂製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8241730B2 (en) Automobile resi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168817B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용 가니쉬와 테일 게이트의 외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인서트 볼트
WO2001062486A1 (en) Low-density injection-molded body components
JPH09142226A (ja) 車両用ルーフレール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10319968A (ja) 合成樹脂製防音カバー
JPH01233132A (ja) グローブボックス及びその製法
KR102410880B1 (ko) 도어 트림, 도어 트림 제조 방법 및 차량용 도어
KR102343026B1 (ko)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KR100933863B1 (ko) 복합 성형품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2000101952A (ja) キャビネット
KR100435358B1 (ko) 자동차용 도어 암레스트
KR100356844B1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 제작 장치 및 이에 적합한 도어트림과 그 제작 방법
JP3526543B2 (ja) クリップ付モール及びクリップ付モール製造金型
KR20020050620A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3249262B2 (ja) 合成樹脂製部品の製造方法
JP2002225666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FR2847196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39;un panneau insonorisant pourvu d&#39;au moins une cavite remplie de mousse
JPH08142230A (ja) キャビネッ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