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167B1 -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167B1
KR100461167B1 KR10-2002-0021336A KR20020021336A KR100461167B1 KR 100461167 B1 KR100461167 B1 KR 100461167B1 KR 20020021336 A KR20020021336 A KR 20020021336A KR 100461167 B1 KR100461167 B1 KR 10046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etent
detent spring
roll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839A (ko
Inventor
김수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와 디텐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상 구조로 된 디텐트 스프링과, 이의 일측에 롤링가능하게 연결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 사이에 상기 디텐트 스프링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한 이음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이음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이음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디텐트 스프링에 용접 또는 나합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음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롤러에 롤링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는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 사이에 이음스프링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이음스프링은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작은 힘으로 변속레버의 조작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기어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는 이음스프링이 휘어지면서 이의 끝단에 연결된 롤러가 디텐트 플레이트의 골을 더욱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어 기어 변속시 과다한 힘의 제공으로 인한 충격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DUAL DETENT SPR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와 디텐트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텐트 스프링의 일단에 두께가얇고 가요성의 탄성체로 된 이음스프링을 부착하고 이 이음스프링의 타단에 롤러를 연결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어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그로부터 변속단의 오동작 문제를 해결하도록 된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속도 및 부하상태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컴퓨터의 전자제어신호 및 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각종 밸브 등에 의해 유성기어 조립체가 적절하게 제어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을 실시토록 하는 것으로, 수동변속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출력효율이 떨어지며 고가라는 단점은 있으나, 주행중 변속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이 간편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자동변속기에는 엔진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계적인 클러치장치가 없으며 유체커플링을 이용한 토오크컨버터를 이용하고 있어 운전석에는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만이 제공된다. 따라서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의 조작만으로 차량의 주행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변속레버(select lever)를 이용하여 주차, 후진, 중립, 주행 등 차량의 동력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변속레버와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연결하는 오토체인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와 트랜스미션을 연결하는 오토체인징 시스템의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케이블을 이용한 연결방식과 로드(rod)를 이용한 연결방식이 있으며, 케이블을 이용한 연결방식의 경우, 변속레버와 트랜스미션 간에 거리가 멀고, 또한 이들 구성부재 사이에 다수의 부품이 위치되어 있어 연결부재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케이블을 이용한 연결방식의 오토체인징 시스템은 주로 전륜구동(FF) 차량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데, 이는 오토체인지 레버와 트랜스미션 간에 케이블로 연결되므로 연결부분의 레이 아웃(lay out) 설정은 유리하지만, 케이블 자체의 유격과 연결부위에서의 유격 등으로 인해 정확한 위치설정이 곤란한 단점이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변속레버와 트랜스미션 사이에 디텐트(detent) 장치를 두어 더욱 안정되고 절도감 있는 기어변속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 1은 오토체인징 시스템용 디텐트 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디텐트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디텐트 장치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변속레버(10)의 소정 위치에 고정판(20)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판(20) 부재의 하측에는 디텐트 플레이트(3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20)의 상면에는 디텐트 플레이트(30)의 상단에 형성된 굴곡부(3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된 디텐트 스프링(40)이 나합,고정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 스프링(40)은 단판 또는 다판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서는 일 예로 단판 구조로 된 디텐트 스프링(40)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텐트 스프링(40)은 이의 하부에 위치되는 디텐트 플레이트(30)와 만나도록 일정 각도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는 변속레버(10) 조작시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30)의 상단에 형성된 굴곡부(31)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롤링(rolling)가능한 구조의 롤러(4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디텐트 장치에서는 변속레버(10)의 조작시 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디텐트 스프링(40)이 롤러(41)에 힘이 가하여 롤러(41)가 디텐트 플레이트(30)의 굴곡부(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롤러(41)는 각 변속단(P,R,N,D, …) 는 골(31a)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텐트 스프링(40)는 전면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바, 변속레버(10)의 조작으로부터 디텐트 스프링(40)에 가해지는 힘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롤러(41)의 이동시 적지 않은 충격이 발생되고, 그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승차감을 떨어뜨려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속레버(10)의 조작시 롤러(41)에 대해 가해지는 힘이 디텐트 플레이트(30)의 굴곡부(31)에 형성된 골(31a) 간 이격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롤러(41)의 이동이 정밀하지 않는 바, 결국 변속레버(10)의 조작시 롤러(41)가 최초 주차(P)단의 위치에서 후진(R)단이나 중립(N)단, 또는 주행(D)단 등 각각의 목표하는 변속단을 지나쳐 다른 변속단으로 이동하게 되는 오동작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디텐트 스프링의 일단에 두께가 얇고 가요성의 탄성체로 된 이음스프링을 부착하고 이 이음스프링의 타단에 롤러를 연결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어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그로부터 변속단의 오동작이 방지되도록 된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변속 시스템용 디텐트 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텐트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110 : 디텐트 스프링
120 : 롤러
130 : 이음스프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판상 구조로 된 디텐트 스프링과, 이의 일측에 롤링가능하게 연결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 사이에 상기 디텐트 스프링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한 이음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이음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이음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디텐트 스프링에 용접 또는 나합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음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롤러에 롤링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인 예로, 상기 이음스프링은 상기 디텐트 스프링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음스프링은 강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체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각도로 절곡된 판상의 디텐트 스프링(110)과, 이의 일측에 롤링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텐트 스프링(110)과 롤러(120) 사이에는 별도의 이음스프링(130)이 구비되어 이들 간에 상호 연결시킨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이음스프링(130)은 디텐트 스프링(110)의 일단에 용접이나 나사 또는 볼트결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스프링(130)은 도 1에 도시된 디텐트 플레이트(30)의 굴곡부(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롤러(120)의 정밀한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고 변속레버(10)의 조작시 보다 작은 힘으로도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요성을 가지는 유연한 탄성체로 구성한다. 상기 이음스프링(130)은 바람직하게는 강판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텐트 스프링(110)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일정크기 이상의 힘을 받을 경우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100)는 디텐트 스프링(110)과 롤러(120)를 잇는 이음스프링(130)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작은 힘으로 변속레버(1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100)는 이음스프링(130)이 휘어지면서 이의 끝단에 연결된 롤러(120)가 도 1의 디텐트 플레이트(30)의 골(31a)을 더욱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어 기어 변속시 과다한 힘의 제공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는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 사이에 이음스프링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이음스프링은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작은 힘으로 변속레버의 조작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기어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는 이음스프링이 휘어지면서 이의 끝단에 연결된 롤러가 디텐트 플레이트의 골을 더욱 매끄럽게 통과할 수 있어 기어 변속시 과다한 힘의 제공으로 인한 충격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판상 구조로 된 디텐트 스프링과, 이의 일측에 롤링가능하게 연결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텐트 스프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 사이에 상기 디텐트 스프링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한 이음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이음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디텐트 스프링과 롤러가 상호 연결되되, 상기 이음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디텐트 스프링에 용접 또는 나합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음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롤러에 롤링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스프링은 강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KR10-2002-0021336A 2002-04-18 2002-04-18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KR10046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36A KR100461167B1 (ko) 2002-04-18 2002-04-18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336A KR100461167B1 (ko) 2002-04-18 2002-04-18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39A KR20030082839A (ko) 2003-10-23
KR100461167B1 true KR100461167B1 (ko) 2004-12-09

Family

ID=3237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336A KR100461167B1 (ko) 2002-04-18 2002-04-18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85U (ja) * 1993-12-30 1995-08-11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における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の位置決め構造
JPH09286253A (ja) * 1996-04-18 1997-11-04 Delta Kogyo Co Ltd 自動車用のオートチェンジレバー構造
JP2000343976A (ja) * 1999-06-07 2000-12-12 Piolax Inc 自動変速機の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ローラ
KR20020055007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오토 레버의 디텐트 스프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85U (ja) * 1993-12-30 1995-08-11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における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の位置決め構造
JPH09286253A (ja) * 1996-04-18 1997-11-04 Delta Kogyo Co Ltd 自動車用のオートチェンジレバー構造
JP2000343976A (ja) * 1999-06-07 2000-12-12 Piolax Inc 自動変速機のディテントスプリングローラ
KR20020055007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오토 레버의 디텐트 스프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39A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7722B2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ためのシフト装置
US6978691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twin clutch transmission
US8196491B2 (en) Shift selector apparatus
JPH11141663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US6382046B1 (en) Transmission shifter with cable disengagement mechanism
JP2003254356A (ja)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US20020056601A1 (en) Vehicle clutch driving device and gear shifting device of vehicle transmission
US20050056109A1 (en) Shifting device for a shift-by-wire system
US6471619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JPH0365297B2 (ko)
JP2005172148A (ja) 自動車、及びその制御装置、並びにその駆動力伝達装置
KR20060079685A (ko) 전자 제어식 클러치
KR100461167B1 (ko) 이중 디텐트 스프링장치
CN105388019B (zh) 用于检测变速器的驻车状态的系统
US6588290B2 (en) Transmission shift control
JPS6331030B2 (ko)
JP2006519958A (ja) 手動変速機装着用自動変速装置
JP3216414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装置
US7874416B2 (en) Self-aligning detent spring assembly
US7476173B2 (en) Park inhibit solenoid assembly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H0534418Y2 (ko)
KR10189208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자동중립전환 장치
JP7352859B2 (ja) 車両の変速操作装置
JP4066996B2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KR100188862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중립 위치 규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