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827B1 - 복수의동심원통형식품재료층으로구성된원통형식품및그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동심원통형식품재료층으로구성된원통형식품및그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827B1
KR100460827B1 KR1019970000403A KR19970000403A KR100460827B1 KR 100460827 B1 KR100460827 B1 KR 100460827B1 KR 1019970000403 A KR1019970000403 A KR 1019970000403A KR 19970000403 A KR19970000403 A KR 19970000403A KR 100460827 B1 KR100460827 B1 KR 10046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ectangular
dough
shee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604A (ko
Inventor
마사루 하라다
고지 마스다
마사유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분쇼꾸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분쇼꾸힝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분쇼꾸힝
Publication of KR97005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2Fish-roll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Abstract

중심을 공유하면서 감긴 복수의 직사각형 시트로 구성된 중공 원통형 식품은 감긴 시트의 앞과 끝 모서리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식품은 각 직사각형 페이스트 식품 시트의 앞 모서리와 끝 모서리가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혹은 경로에 대해 폭 방향으로 걸치는 그러한 방식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이송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한 세트 이상의 복수의 직사각형 페이스트 식품 시트를 이송하고, 그리고 경로와 인접하며 평행한 상태로 바가 횡 방향으로 걸쳐있고,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그런 방식으로 바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바에 이송된 세트의 직사각형 페이스트 식품층은 바에 순차적으로 맞물려 감긴다.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식품 시트의 길이는 이송 방향에서 선행 시트로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각 시트의 앞과 끝 모서리가 서로에 대해 맞물려 감긴다. 이 직사각형 시트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선행 시트가 완전히 감긴후 나머지 시트가 감긴다. 상기 직사각형 시트는 경사진 끝 말단 표면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끝 말단 표면과 앞 말단 표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CYLINDRICAL FOOD CONSISTING OF PLURALITY OF CONCENTRIC CYLINDRICAL LAYERS OF FOOD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동심(同心)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 "지꾸와"로 부르는 어육 재료(fish paste material)로 만들어진 중공 원통형 식품이 잘 알려져 있는 데, 이 식품은 먼저 어육 재료를 바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이 원통형 식품을 가열한 후 가열된 재료를 바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제조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7-23747 호는 원통형 어육 재료에 원통형 치즈가 끼워져있는 새로운 종류의 "지꾸와"를 개시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이러한 새로운 종류의 "지꾸와"는 직사각형의 어육 시트 (F) 위에 직사각형의 치즈 반죽 시트 (C) 를 놓은 다음 (도 1b), 이들 시트를 원통형 바 (B) 에 감고 (도 1c), 시트로 구성되는 원통형 재료를 가열한 후 바로부터 상기 재료를 제거 (도 1d) 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를 통해 제조된 중공 원통형 식품에서는, 치즈 시트 (C) 가 정확한 원통 형상을 거의 갖지 못한다. 즉, 감긴 치즈 시트의 마주보는 단부를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상기에 표시된 종래기술에 따라 어육과 치즈 반죽 시트를 감는 작업은 수동식이어서, 능률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식품 반죽 시트가 동심이며, 그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맞닿게 되는 중공 원통형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중공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격배치된 일 세트 이상의 복수의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를, 각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거나 또는 소정 경로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경로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소정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그 설치위치에 이송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반죽 시트를 그 둘레에 감도록 되어 있는 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길이를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선행하는 반죽 시트 또는 첫 번째 반죽 시트로부터 연이어 증가시켜, 원통형으로 감겨지는 상기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을 서로 맞닿게 하고, 상기 선행하는 반죽 시트가 완전히 감긴 후에 나머지 반죽 시트중 하나가 감기도록,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서로 이격시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중 적어도 하나에, 감긴 반죽 시트의 방사상 내면이 되는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으로부터 감긴 반죽 시트의 방사상 외면이 되는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 경사면이 형성된다. 한 세트의 반죽 시트가 감길 때 방사상으로 최외층 및 최내층이 되는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는 나머지 반죽 시트보다 더욱 넓어지게 되고, 그 결과, 이들 반죽 시트의 감김시에 최외층 및 최내층 반죽 시트가 마주보는 단부를 따라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나머지 재료는 외부로부터 볼 수 없게 된다. 상기에 서술된 것과 같이 설치된 바 설치위치의 하류측인 상기 경로의 반대편에는 수직 말단면 형성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트의 모든 직사각형 반죽 시트가 감겨져 원통형 식품을 형성하고 있는 바를 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말단면 형성면 사이에 통과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마주보는 단부면을 바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식품을 가지는 바가 수직 말단면 형성면 사이에서 아래로 이송될 때에, 상기 바를 이송 경로면 위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시킨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식품을 상기 이송 경로면 상에서 회전시키되, 상기 바의 축과 상기 이송 경로면 사이의 거리를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상기 바상의 원통형 식품에 상기 이송 경로면으로부터 약간의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르면, 식품의 형상이 진정한 원통형으로 교정되고, 원통형 식품을 구성하는 모든 감긴 반죽 시트는 서로 확실하게 부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식품 반죽을 복수의 직사각형 시트로 성형하는 성형수단,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격배치된 일 세트 이상의 상기 복수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각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거나 또는 소정 경로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소정 경로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소정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그 설치위치에 이송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반죽 시트를 둘레에 감도록 되어 있는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성형수단이,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종방향의 길이가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선행하는 재료 또는 첫 번째 재료로부터 연이어 증가하여, 감겨진 각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수단이, 선행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가 완전히 감긴 후에 나머지 직사각형 반죽 시트중 하나가 감기도록,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수단은, 식품 재료를 안에 수용하여 그 식품 재료를 직사각형 반죽 시트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직사각형의 포위벽, 직사각형의 하부벽, 및 상기 하부벽의 맞은 편에 있는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벽은, 전체적으로는 편평하지만, 상기 개구부가 하부벽의 후단에 접근함에 따라 그 개구부에 후단부 부분이 접근하도록 상기 이송 방향에 있어서 그의 후단부 부분이 경사져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세트의 모든 직사각형 반죽 시트가 둘레에 감겨진 상기 바를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하는 바 제거수단, 상기 바 지지수단의 하류측인 상기 경로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말단면 성형면, 및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된 바를 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말단면 성형면 사이에 통과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바상에 감긴 모든 반죽 시트로 구성되는 원통형 식품의 마주보는 단부면을 바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바의 축과 경로면 사이의 거리가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반경과 거의 동일해 지도록, 상기 말단면 성형면 사이에 이송된 바를 상기 경로면 위의 소정의 높이에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식품이 경로면으로부터 약간의 압력을 받아 식품의 형상이 정확한 원통형으로 교정되고, 원통형 식품을 구성하는 감긴 모든 반죽 시트가 서로 확실하게 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를 바에 동심으로 감고, 이 바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 식품이 제공된다. 이 식품은, 감김 방향으로 감겨진 각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의 적어도 하나는, 감긴 상태에서 방사상 내면이 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으로부터 감긴 상태에서 방사상 외면이 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후단부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사상으로 최외부 및 최내부에 감겨진 반죽 시트는 나머지 반죽 시트보다 더욱 넓어지게 되고, 그 결과, 최외부 및 최내부의 반죽 시트가 마주보는 단부를 따라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나머지 재료는 외부로부터 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은 하기 부속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
도 2 내지 4 에는, 세 개의 동심 원통형 층, 즉 어육의 최내 및 최외층, 그리고 최내와 최외의 어육층 사이에 끼워져 있는 치즈 반죽 층으로 구성되는, 상기에서 언급한 새로운 종류의 원통형 식품 또는 "지꾸와"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나타나 있다.
상기 장치는, 식품 반죽을 복수의 시트로 성형하는 반죽 성형 수단 (10)(도 3), 소정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의 세트 (S) 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직사각형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거나 또는 이송기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하여 반죽 시트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 또는 무단 이송기 (12)(도 2), 그리고 이송 경로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이송기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된 일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이들 반죽 시트를 둘레에 감도록 되어 있는 바 (16)를, 벨트 표면 위에 지지하기 위한 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난 성형 수단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직사각형 프레임 (20, 21) 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프레임 각각은 한 쌍의 동일한 길이의 평행한 연결부 (22) 에 의해 대향면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각각의 대향 단부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직사각형 프레임 (20, 21) 의 측면에 그리고 이송기의 대향면을 따라 연장한 이송기의 측면부재 (23) 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평행 연결 메카니즘을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첫 번째와 두 번째 직사각형 프레임이 이송기 벨트 표면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레임이 이송기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하위 위치에서, 조작자는, 본 실시예에서, 이송기의 움직임이 중단된 동안에 직사각형 구멍 (24, 25) 안에 어육을 충전시킨 다음, 프레임을 올려 이송기의 움직임을 재개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첫 번째와 두 번째 직사각형 프레임 (20, 21) 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어육 시트 (F1, F2) 가 이송되어 이송기 위에 놓여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프레임의 개구부 (24) 는, 이송 방향에 있어서 두 번째 프레임의 개구부 (25) 보다 작다. 이 첫 번째와 두 번째 프레임 (20, 21) 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직사각형의 치즈 반죽 시트 (C) 는, 이송기 상에 있어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어육 시트 (F1, F2) 사이에 적절하게 놓인다. 이 치즈 반죽 시트 (C) 는 다른 반죽 성형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공급되는데, 이 수단은 예컨대, 치즈 반죽을 함유하고, 첫 번째 어육시트 (F1) 와 두 번째 어육 시트 (F2) 보다도 폭이 작은 기다란 치즈 시트를 운반할 수 있는 평판형 노즐을 갖는 호퍼, 기다란 치즈 시트를 상기 언급한 복수의 치즈 시트 (C) 로 절단하는 절단수단, 그리고 치즈 시트를 이송하고, 이들 치즈 시트가 상기에 언급한 것과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어육 시트 사이에 위치되도록 각 치즈 시트를 간헐적으로 이송기 상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어육 시트의 길이와, 첫 번째 및 두 번째 어육 시트와 치즈 시트 사이의 거리에 대한 세부 사항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바 지지수단은, 이송기의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정렬상태로 배열된 기다란 수직 홈 (30) 을 갖고 있으며, 이송기의 대향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 (28) 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은 바 (16) 의 양쪽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바는 이송기 벨트 표면 위에서 상기 홈의 하부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바와 이송기 벨트 표면 사이의 공간 높이는 첫 번째 어육 시트 (F1) 의 두께 보다 작지만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바 (16) 는, 첫 번째 어육 시트 (F1)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시트 (F1) 를 그 주위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을 정도의 중량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2 에서, 도면부호 32 는 피아노 선을 나타내는데, 이 피아노 선은, 이송기 벨트의 상부 표면과 거의 접촉하도록 바 아래에서 바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반죽 시트를 벨트 표면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반죽 시트가 바 주위에 감기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내지 6 은 반죽 시트가 바 주위에 감기는 과정을 보여준다. 첫 번째 어육 시트 (F1) 가 바 지지수단에 이송될 때, 시트 (F1) 의 상부 표면은 바 (16) 와 맞물리고, 동시에 시트의 하부 표면은 피아노선 (32) 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피아노 선은 시트를 이송기 (12) 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박리하고, 동시에 바는, 시트에 의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트를 둘레에 감기 시작한다. 첫 번째 어육 시트 (F1) 가 바 둘레에 감긴 후에는, 후술하는 치즈 시트 (C) 가 바에 도달되고, 이후에 바에 감긴 첫 번째 어육 시트 (F1) 와 피아노 선에 맞물리며, 그럼으로써 치즈 시트는 마찬가지로 첫 번째 어육 시트의 둘레에 감기게 된다. 도 6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번째 어육 시트도 또한 마찬가지로 감기게 된다.
도 6c 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겨진 원통형 시트로부터 바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지꾸와"의 중공 원통형 식품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어육 시트와 치즈 시트는 동심이며, 그의 양쪽 단부는 서로 맞닿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 번째 어육 시트 (F1), 치즈 반죽 시트 (C), 그리고 두 번째 어육 시트 (F2) 의 길이가 그 순서대로 계속하여 증가하도록 고안되어 있어, 상기에 서술한 것과 같이 각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감긴 상태에서 서로 맞닿게 된다. 또한, 이들 시트는 상기 순서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송기에 위치되므로, 선행 시트의 감김이 끝난 후에 치즈 반죽 시트 (C) 와 두 번째 어육 시트 (F2)를 감는 조작이 시작된다.
도 7 과 8 은 치즈 시트가 세 조각 (C1, C2, C3) 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들이 이송기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 는 첫 번째 어육시트 (F1) 와 두 번째 어육 시트 (F2) 가 첫 번째와 두 번째 성형 리세스 (33, 34) 를 포함하고 있는 드럼에 의해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각 성형 리세스는, 직사각형의 포위벽 (36), 직사각형의 하부벽 (38), 그리고 하부벽 맞은편의 직사각형의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벽은 도 9에서 보여주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성형 리세스는, 어육 공급 수단(도시안됨)으로부터 어육 재료를 수용하여 이 어육 재료를 각각 첫 번째 어육시트 (F1) 와 두 번째 어육 시트 (F2) 로 성형한다. 이러한 성형된 직사각형의 시트는, 하부벽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리세스로부터 밀려 나오게 된다.
도 10 과 11 은 두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드럼을 포함하는 어육 반죽 성형 수단의 세 번째 실시예이다. 성형 리세스의 구성은 두 번째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첫 번째 어육 시트를 형성하는 첫 번째 리세스 (40) 는 상기 서술한 두 번째 실시예의 그것과 같다. 그러나, 두 번째 성형 리세스(42) 는 두 번째 실시예의 그것과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어육 반죽 시트 (F2) 는 후단부 경사면 (S) 을 가지고 있는데, 이 후단부 경사면은, 시트가 감길 때 방사상으로 내면이 되는 시트의 상부 표면의 후단으로부터 시트가 감길 때 방사상으로 외면이 되는 시트의 하부 표면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면 (S) 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11 에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부벽 (38) 의 표면은, 개구부가 하부벽의 후단에 접근할 때, 도 1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드럼의 회전방향에서의 그의 후단부 부분이 리세스 (42) 의 개구부에 접근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 11에 표시한 것과 같이, 하부벽은, 드럼의 중심에 설치된 정지 캠 (48, 50) 그리고 하부벽에 연결되어 상기 캠 (48, 50) 에 각각 맞물리는 종동부 (52, 54) 를 포함하고 있는 캠 장치 (46) 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리세스가 반죽 공급 수단 또는 호퍼 (56) 의 하부에 위치될 때, 하부벽은 방사상의 가장 안쪽 위치로 이동하고, 리세스가 상부 이송기 표면에 면할 때, 하부벽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직사각형 반죽 시트 (F1, F2) 를 리세스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도 12 는 후단부 경사면 (S) 을 갖는 두 번째 어육 시트 (F2) 가 감기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 어육 시트가 다른 시트에 대해 방사상의 가장 바깥쪽에 감기기 때문에, 두 번째 어육 시트 (F2) 의 방사상의 내외면 간의 원형 길이의 차이는 다른 내부 시트 (F1, C) 의 것보다 길며, 따라서 두 번째 어육 시트의 선단면은 내부의 것보다 더 크게 경사지게 된다. 후단부 경사면 (S) 은 도 12b 와 12c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단면의 경사를 보상한다.
도 13 은, 세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드럼을 포함하고 있는 어육 성형 수단의 네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세 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구조상의 차이는, 첫 번째 어육 시트 (F1) 가 두 번째 어육 시트 (F2) 와 유사하게 후단부 경사면 (S) 을 가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어육 시트가 치즈 시트 (C) 보다 폭이 더 넓다는 점이다. 또한, 두 번째 어육 시트 (F2) 는 리세스 (R) 를 가지고 있는데, 이 리세스는 상기 시트들의 감김시에 그 안에 치즈 시트 (C) 를 수용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어육 시트는 양쪽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부착되며, 따라서 치즈 시트는 외부로부터 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즈 시트는 두 번째 어육 시트의 리세스 (R)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트들을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원통형 식품은 어떠한 축방향 위치에서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된다.
도 14 내지 18 은, 식품의 형상을 진정한 원통형에 근접하게 만들고, 이 시트들을 서로 확실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바 (16) 상에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식품 (F) 의 전체 형상을 교정하는 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교정 수단은, 일 세트의 시트 (F1, C, F2)를 둘레에 감아 식품 (F) 을 형성하고 있는 바를 바 지지수단 (28) 으로부터 취출하는 수단과, 교정 드럼 수단 (61) 을 포함하고 있다. 바 취출 수단은, 이송기의 측면 프레임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벨 크랭크 (62) 를 포함하고 있다. 벨 크랭크의 짧은 아암 (64) 은 이송기 (12) 의 측면 프레임상에 피봇가능하게 제공된 회전 캠 (66) 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캠 (66) 이 한 번 회전할 때 벨 크랭크 (62) 가 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식품 (F)을 구비한 바 (16) 를 바 지지판 (28) 으로부터 취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 지지판 (28) 은, 당해 바 지지판 (28) 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교정 드럼 수단 (61) 까지 후방으로 연장하는 바 가이드 레일 (68)을 구비하고 있다. 교정 드럼 수단은, 회전 축 (70), 회전축 (70) 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드럼 (72), 드럼 (72) 의 양쪽 단부의 축방향 외측에서 회전축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스프로켓 (74), 스프로켓의 축방향 외측에서 회전축상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디스크 (76), 스프로켓 (74) 및 일방이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의 작은 스프로켓 (80) 과 맞물린 한 쌍의 무단 체인 (78), 그리고 구동 롤러 (84) 및 아이들 롤러 (86) 와 맞물린 무단 벨트 (82)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무단 체인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후크 (88)를 구비하는데, 이들 후크는 바 지지판 (28) 으로부터 방출되는 바 (16) 의 양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바 가이드 레일 (68) 의 좌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크 (88) 에 의해 지지된 바가 스프로켓 (74) 의 상부에 오게 되면, 바의 양단부는 디스크 (76) 의 원형 외주면 (76') 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도 16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드럼은 드럼의 양단부에 한 쌍의 플랜지 (90) 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90) 의 축방향 내면은 실질적으로 드럼의 축선에 대해 수직이며, 드럼의 외주면 (72') 과 함께 협력하여 바 (16) 상의 원통형 식품 (F) 의 일부를 수용한다. 플랜지 (90) 의 직경은 디스크 (76) 의 것보다 작으며, 따라서 바는 플랜지 (90) 와 맞물리지 않는다. 바가 스프로켓 (74) 의 거의 최상부에 오게 되면, 이들은 무단 벨트 (82) 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 무단 벨트 (82) 는 화살표 X 로 표시된 방향으로 구동되며, 그에 의해 바는 디스크 (76)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바상의 원통형 식품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 (72') 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에 의해 원통형 식품 (F) 은 드럼의 외주면 (72') 과 플랜지 (90) 의 수직한 축방향 내면에 의해 형성된 한정된 공간내에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형상 교정을 거쳐 진정한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도 14, 15 및 18 에서, 도면부호 94는 브러쉬 수단을 나타내는데, 이 브러쉬 수단은, 형상 교정을 거친 바상의 식품 (F) 의 바로 축방향 외측에서 체인 (78) 에 의해 이송되는 바와 맞물려, 그곳에 붙은 반죽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반죽을 여기서 제거하는 이유는, 그러한 반죽이 남아서 조리 공정을 거치게 될 경우, 그 조리된 식품을 바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96은 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내는데, 이 바 가이드 레일은, 교정 드럼 수단으로부터 방출된 형상 교정된 식품을 가지는 바의 양단부를 수용하여, 바를 조리와 같은 후속 공정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식품 반죽 시트가 동심이며, 그 마주보는 단부가 서로 맞닿게 되는 중공 원통형 식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중공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1d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공 원통형 식품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원통형 식품을 제조하는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장치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반죽 성형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6c 는 도 2의 장치에 의한 중공 원통형 식품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 원통형 식품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중공 원통형 식품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반죽 성형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반죽 성형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반죽 성형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2 a 내지 12c 는 도 11의 반죽 성형 수단에 의해 형성된 두 번째 반죽 시트가 감기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반죽 성형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식품을 제조하는 장치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형상 교정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형상 교정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형상 교정 수단의 형상 교정 드럼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7 은 가공 재료의 흐름에서 그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 14의 형상 교정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그의 하부로부터 보았을 때 형상 교정 수단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1: 첫 번째 어육 시트, F2: 두 번째 어육 시트
C: 치즈 반죽 시트, 10: 반죽 성형 수단
12: 이송기, 16: 바
20,21: 직사각형 프레임, 30: 수직 홈
32: 피아노선, 33,34: 성형 리세스
48,50: 정지 캠, 52,54: 종동부
56: 호퍼, 61: 교정 드럼 수단

Claims (10)

  1.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격배치된 일 세트 이상의 복수의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를, 각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이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거나 또는 소정 경로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경로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소정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그 설치위치에 이송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반죽 시트를 그 둘레에 감도록 되어 있는 바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길이를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선행하는 반죽 시트 또는 첫 번째 반죽 시트로부터 연이어 증가시켜, 원통형으로 감겨지는 상기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을 서로 맞닿게 하고,
    상기 선행하는 반죽 시트가 완전히 감긴 후에 나머지 반죽 시트중 하나가 감기도록,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서로 이격시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중 적어도 하나에, 감긴 반죽 시트의 방사상 내면이 되는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으로부터 감긴 반죽 시트의 방사상 외면이 되는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 설치위치의 하류측인 상기 경로의 반대편에 수직 말단면 형성면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세트의 모든 반죽 시트가 감겨져 원통형 식품을 형성하고 있는 바를, 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설치위치로부터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말단면 형성면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마주보는 단부면을 바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모든 반죽 시트가 둘레에 감겨진 상기 바가 수직 말단면 형성면 사이에서 아래로 이송될 때에, 상기 바를 이송 경로면 위에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시킨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모든 감긴 반죽 시트로 구성되는 원통형 식품을 상기 이송 경로면 상에서 회전시키되, 상기 바의 축과 상기 이송 경로면 사이의 거리를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상기 원통형 식품에 상기 이송 경로면으로부터 약간의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방법.
  5. 식품 반죽을 복수의 직사각형 시트로 성형하는 성형수단,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격배치된 일 세트 이상의 상기 복수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각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거나 또는 소정 경로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소정 경로에 평행하게 인접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소정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그 설치위치에 이송된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반죽 시트를 둘레에 감도록 되어 있는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단은,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의 종방향의 길이가 이송 방향에 있어서 선행하는 재료 또는 첫 번째 재료로부터 연이어 증가하여, 감겨진 각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선행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가 완전히 감긴 후에 나머지 직사각형 반죽 시트중 하나가 감기도록, 상기 세트의 직사각형 반죽 시트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단은, 식품 재료를 안에 수용하여 그 식품 재료를 직사각형 반죽 시트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직사각형의 포위벽, 직사각형의 하부벽, 및 상기 하부벽의 맞은 편에 있는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벽은, 전체적으로는 편평하지만, 상기 개구부가 하부벽의 후단에 접근함에 따라 그 개구부에 후단부 부분이 접근하도록 상기 이송 방향에 있어서 그의 후단부 부분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모든 직사각형 반죽 시트가 둘레에 감겨진 상기 바를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하는 바 제거수단, 상기 바 지지수단의 하류측인 상기 경로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말단면 성형면, 및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된 바를, 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바 지지수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말단면 성형면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바상에 감긴 모든 반죽 시트로 구성되는 원통형 식품의 마주보는 단부면을 바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축과 경로면 사이의 거리가 바상의 원통형 식품의 반경과 거의 동일해 지도록, 상기 말단면 성형면 사이에 이송된 바를 상기 경로면 위의 소정의 높이에 유지시키는 수단과, 바상의 원통형 식품이 상기 경로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바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심 원통형 식품 재료층으로 구성된 원통형 식품의 제조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의 장치에 의해 복수의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를 바에 동심으로 감고, 이 바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중공 원통형 식품에 있어서,
    감김 방향으로 감겨진 각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원통형 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식품 반죽 시트의 적어도 하나는, 감긴 상태에서 방사상 내면이 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으로부터 감긴 상태에서 방사상 외면이 되는 직사각형 반죽 시트 표면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후단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원통형 식품.
KR1019970000403A 1996-01-10 1997-01-10 복수의동심원통형식품재료층으로구성된원통형식품및그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KR100460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9418 1996-01-10
JP9619418 1996-01-10
JP9619418 1996-01-10
JP9619419 1996-01-10
JP96-19419 1996-01-10
JP9619419 1996-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04A KR970058604A (ko) 1997-08-12
KR100460827B1 true KR100460827B1 (ko) 2005-05-27

Family

ID=6595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403A KR100460827B1 (ko) 1996-01-10 1997-01-10 복수의동심원통형식품재료층으로구성된원통형식품및그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8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7A (ja) * 1993-07-08 1995-01-27 Kibun Foods Inc チーズ入りちくわ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7A (ja) * 1993-07-08 1995-01-27 Kibun Foods Inc チーズ入りちくわ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04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174A (en) Apparatus for making a cylindrical foo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centric cylinder layers
MXPA97002535A (en) Vertical extrusion assembly machine for hello soldering manufacturing
JP2004000110A (ja) シート状海苔の焼加工装置
KR100460827B1 (ko) 복수의동심원통형식품재료층으로구성된원통형식품및그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WO2019196556A1 (zh) 紫菜片张自动接合装置及采用该装置的夹心海苔烤制机组
JP4150475B2 (ja) 食品材料の供給装置
JPH08308466A (ja) スティック状パンの巻き上げ成形装置
JP3524251B2 (ja) 同心状巻き物食品、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3580385A (en) Dough feeding apparatus
JP2745199B2 (ja) 棒状飯の製造装置
JP3499062B2 (ja) 同心状巻き物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3608870B2 (ja) 食品材料の成形装置
JPS6050688B2 (ja) 包装シ−トの搬送装置
JP3560715B2 (ja) 食品の製造装置
EP0885808A1 (en) Machine for packing groups of cigarettes
JP3249922B2 (ja) 煎餅圧延型抜機
JP3650213B2 (ja) 食品材料の整形装置
JP3722575B2 (ja) 同心状巻き物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3560716B2 (ja) 食品の製造装置
JP3626812B2 (ja) 串送り機構を備えた食品製造装置
JP3836983B2 (ja) 食品材料の成形装置
JP4141062B2 (ja) 菓子材料の供給装置
JP3587412B2 (ja) 多層食品材料の製造装置
JP5710987B2 (ja) 三層筒状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58959A (ja) 餃子など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