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775B1 -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 Google Patents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775B1
KR100459775B1 KR10-2002-0003598A KR20020003598A KR100459775B1 KR 100459775 B1 KR100459775 B1 KR 100459775B1 KR 20020003598 A KR20020003598 A KR 20020003598A KR 100459775 B1 KR100459775 B1 KR 10045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red ginseng
people
skin
sapon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045A (ko
Inventor
우기원
Original Assignee
홍삼나라 주식회사
씨앤아이 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삼나라 주식회사, 씨앤아이 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삼나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7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紅蔘)에서 추출한 조사포닌(crude saponin)을 함유하는 부직포 팩에 관한 것으로,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을 완하하고 피부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미용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재에 미용 성분을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흡수시킨 미용팩에 있어서, 기재로써 부직포를 사용하고 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써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The pack containing red ginseng saponins}
본 발명은 홍삼에서 추출한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부직포 팩에 대한 것이다.
아름답고 깨끗한 피부를 갖는 것은 여성들의 지속된 관심사이며, 최근에는 면접 심사 등에서 좋은 이미지를 얻으려고 남성들도 피부 미용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피부 미용에 이용되는 도구 중에 미용팩이 있는데, 미용팩은 모공 깊숙히 쌓여 있는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해 주고, 수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팩 제품은 필름 형성제로써 폴리비닐 알콜을 사용하여 왔으나, 사용 시 필름막이 너무 딱딱하여 피부를 너무 당기게 하거나, 팩을 떼어낼 때 따가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 중에 잔존하는 미량의 모노머에 의하여 피부나 눈이 자극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비닐 알코올에 폴리비닐피리디온을 보조 필름형성제로 사용하거나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과 같은 보습제를사용하여 필름막을 유연하게 하는 방법 등이 강구되고 있으나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을 완화하고 피부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미용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에 미용 성분을 함유하는 팩조성물을 흡수시킨 미용팩에 있어서 기재로써 부직포를 사용하고 팩조성물의 주성분으로써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연구한 결과 우선 필름형성제를 대체하여 부직포에 팩조성물을 흡수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유연성이 향상되고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이 감소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부직포를 사용한 팩 제품으로는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키는 것이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부직포에 침적시키는 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홍삼에서 추출한 조사포닌을 사용할 때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홍삼에서 추출한 조사포닌을 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면서 기재 없이 팩 제품으로 응용하는 경우가 조사포닌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기재로써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에 대한 자극의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을 일으키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조혈작용(造血作用)을 하고,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며,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홍삼은 배당체(glycosides), 산성 다당체 (acidic polysaccharide), 향기 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B군, 미량 금속, 항산화물질,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포닌이 인삼 특이 유효 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포닌(saponin)은 화학적으로 배당체(glycoside)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이다.
이 수용액은 흔들면 비누처럼 지속성의 미세한 거품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saponin이란 어원은 비누처럼 거품을 낸다고 하여 "sapo(비누)"에서 유래되어 붙여진 말이다.
사포닌 성분은 약 750여종의 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해양 동물인 해삼, 불가사리 등에도 함유되어 있다. 사포닌 함유 식물은 예로부터 세정(洗淨), 거담(去痰), 진해(鎭咳)를 목적으로 의약품에 응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소염(消炎), 해열(解熱), 건위(健胃), 배농(排膿), 항종양(抗腫瘍), 이뇨(利尿), 강장(强壯), 강정(强精) 등과 같은 약효도 확인되고 있다.
사포닌의 화학 구조를 간단히 정의하면 당부분(glycone)과 비당부분 (aglycone 또는 genin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어 있는 배당체이다. 특히 사포닌의 비당부분(aglycone)을 sapogenin이라고 부른다.
사포닌은 비당부분의 골격 구조에 따라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系) 사포닌과 스테로이드(steroid)계(系) 사포닌으로 크게 분류된다.
트리테르페노이드계(系) 사포닌은 올레아난(oleanane)계(系) 사포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진해 거담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인 길경(도라지), 원지등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인삼사포닌은 거의 트리테르페노이드계(系)의 담마란(dammarane)계(系) 사포닌으로서 인삼(Panax) 속(屬) 식물에만 존재하는 인삼 특이 사포닌이다.
따라서 인삼 사포닌은 특수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고, 비당부분에 따라 4환성(環性)의 담마란계 사포닌과 5환성(環性)의 올레아난계 사포닌의 2종류로 대별된다.
담마란계(系) 사포닌은 다시 비당부분에 붙어 있는 수산기(-OH)의 수에 따라 2개인 경우 protopanaxidiol계(系) 사포닌(이하 PPD계 사포닌이라고 함), 3개인 경우 protopanaxatriol계(系) 사포닌(이하 PPT계 사포닌이라고 함)으로 나누어진다.
사포닌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이외에도 혈액순환 개선, 조혈, 혈당 강하, 간 기능 보호, 내분비계 항상성 유지, 소염, 진통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은 예로부터 중국 황실에서 피부 미용을 위하여 욕제로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인삼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당질 성분은 피부에 도포 하였을 경우 끈적끈적하여 사용 후 촉감이 좋지 않으며 유리당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세균이 번식하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경우 가능하면 당질성분이 제거된 조사포닌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조사포닌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65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0.06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팩의 피부사용 촉감이 끈적임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알란토인 0.1중량부, 홍삼나라에서 개발한 홍삼 조사포닌 0.045중량부, 글리세린 9.0중량부 및 정제수 90.735중량부를 60??로 승온하여 용해시키면서 육안으로 용해 상태를 확인한 다음, 카보머 0.06중량부를 추가하고, 온도를 40??로 낮추어 트리에탄올아민를 0.06중량부를 추가하면서 용해시켜서 육안으로 용해 상태가 균일한 상태에 이르면 분산을 완료한 다음 건조시킴으로써 홍삼 조사포닌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19 내지 42세의 여성 63명을 대상으로 20일간 무자극성, 유연성, 사용감 및 사용후 효과에 대한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2>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마련하되, 홍삼 조사포닌 0.050중량부, 정제수 90.685중량부를 사용하여 홍삼 조사포닌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실험예1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3>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마련하되, 홍삼 조사포닌 0.055중량부, 정제수 90.725중량부를 사용하여 홍삼 조사포닌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실험예1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4>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마련하되, 홍삼 조사포닌 0.06중량부, 정제수 90.72중량부를 사용하여 홍삼 조사포닌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실험예1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5>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마련하되, 홍삼 조사포닌 0.065중량부, 정제수 90.715중량부를 사용하여 홍삼 조사포닌를 함유하는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실험예1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6>
실험예 1과 동일한 조성과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마련하되, 홍삼 조사포닌 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 90.78중량부를 사용하여 팩 조성물을 얻었으며,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실험예1과 함께 표 1에 나타내었다.
무자극 유연성 사용감 사용후 효과
실험예 1 28명 37명 31명 32명
실험예 2 29명 40명 40명 36명
실험예 3 19명 30명 28명 41명
실험예 4 21명 47명 34명 48명
실험예 5 50명 45명 39명 54명
실험예 6 6명 14명 15명 10명
표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의 팩 조성물은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지 않은 실험예 6의 팩 조성물에 비해 관능평가 결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1>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6의 팩 조성물 14g을 부직포에 흡수시킨 다음 19 내지 42세의 여성 63명을 대상으로 20일간 무자극성, 유연성, 사용감 및 사용후 효과에 대한 관능 평가를 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홍삼조사포닌함량 무자극 유연성 사용감 사용후 효과
실시예 1 0.045 50명 49명 47명 54명
실시예 2 0.05 56명 51명 49명 51명
실시예 3 0.055 53명 55명 50명 55명
실시예 4 0.06 51명 50명 52명 56명
실시예 5 0.065 57명 58명 55명 63명
비교예 1 0 26명 38명 31명 27명
표2에서와 같이 부직포 팩 조성물에 홍삼조사포닌 0.045 내지 0.065중량부를 함유되어 있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경우 자극이 없이 피부를 보호 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홍삼에서 추출한 조사포닌을 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면서 기재 없이 팩 제품으로 응용하는 경우가 조사포닌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기재로써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에 대한 자극의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피부나 눈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고 피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미용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기재에 미용 성분을 함유하는 팩조성물을 흡수시킨 미용팩에 있어서 기재로써 부직포를 사용하고 팩조성물의 주성분으로써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2. 삭제
KR10-2002-0003598A 2002-01-22 2002-01-22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KR10045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98A KR100459775B1 (ko) 2002-01-22 2002-01-22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98A KR100459775B1 (ko) 2002-01-22 2002-01-22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45A KR20030063045A (ko) 2003-07-28
KR100459775B1 true KR100459775B1 (ko) 2004-12-04

Family

ID=3221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98A KR100459775B1 (ko) 2002-01-22 2002-01-22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208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패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069B1 (ko) * 2002-09-13 2005-07-25 홍삼나라 주식회사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부직포 팩
KR100986436B1 (ko) * 2008-08-07 2010-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KR101712023B1 (ko) * 2009-06-22 2017-03-14 (주)아모레퍼시픽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1A (zh) * 1995-03-11 1997-08-13 董庆初 养颜巾及其制作方法
KR19980076051A (ko) * 1997-04-04 1998-11-16 민광율 인삼·생약재 및 백년초를 이용한 미용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6571B1 (ko) * 2010-12-08 2012-06-20 지덕선 멀티히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71A (zh) * 1995-03-11 1997-08-13 董庆初 养颜巾及其制作方法
KR19980076051A (ko) * 1997-04-04 1998-11-16 민광율 인삼·생약재 및 백년초를 이용한 미용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6571B1 (ko) * 2010-12-08 2012-06-20 지덕선 멀티히터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Ginseng Res, 장문석 et al.,1999, Vol.23, No.1, 44-49 참조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208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45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2335B1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localised adiposities and cellulite
AU2002304632A1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localised adiposities and cellulite
JP2007022957A (ja) TGF−β受容体拮抗剤
DE69839040T2 (de) Brunnenkresseextrakt enthaltende zubereit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JPH0710722A (ja) 育毛剤
KR100459775B1 (ko) 홍삼 조사포닌을 함유한 부직포 팩
JP2009108015A (ja) 伸展刺激介在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4033981B2 (ja) テストステロン 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JP2013241367A (ja) 関節リウマチ抑制剤
Sonalk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cosmetic cream
JP3195683B2 (ja) 皮膚化粧料
US20110135772A1 (en) Skin care agent and compositions thereof
JP2001187742A (ja)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CN103877250B (zh) 一种治疗皮肤湿疹瘙痒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7215838A (ja) 皮膚外用剤
JP2000001432A (ja) アンドロゲン受容体結合阻害剤
JP3487619B2 (ja)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H0429934A (ja) いちょう葉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H06157277A (ja) 皮膚化粧料
JP3188021B2 (ja) 皮膚化粧料
JP3796190B2 (ja) メラノサイトのデンドライト伸長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Baydan et al. Contractile effects of Eryngium kotschyi Boiss. on rat isolated ileum and detrussor muscle
KR970009802A (ko) 제조로부터 의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070033133A (ko)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H08301730A (ja) 育毛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