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216B1 -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216B1
KR100459216B1 KR10-2001-0077343A KR20010077343A KR100459216B1 KR 100459216 B1 KR100459216 B1 KR 100459216B1 KR 20010077343 A KR20010077343 A KR 20010077343A KR 100459216 B1 KR100459216 B1 KR 10045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ubicle
enclosure
wiring
ou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994A (ko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2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전소 등의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큐비클 내에 계전기를 단시간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계전기를 교체 및 유지 보수하는 데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업간 전력 계통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계전기(1)를 포함한 상태로 큐비클(2)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외함(4)과, 상기 외함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와, 상기 외함(4)의 내부에서 계전기(1)의 배선용 단자(3)와 도선으로 접속된 상태로 외함(4)의 손잡이(5) 반대면으로 돌설된 배선인출부(6)와, 상기 큐비클(2) 내의 배선인출부(6) 대향면에 고정된 상태로 외함(4)이 수평이동됨에 따라 배선인출부(6)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배선연결부(7)와, 상기 배선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기기기를 통전가능하게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선용 단자(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equipment for attaching or detaching Relay on cubicle}
본 발명은 전력 계통의 큐비클 및 계전기 결합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계전기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시 큐비클(cubicle) 내에 상기 계전기를 간단히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전기는 수배전 선로상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의 동작상태 및 계측값을 확인하여 이상이 발생시 선로를 온/오프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전기기기로서, 통상 발전소 등의 전력계통에서는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생산된 전기를 변압기를 통해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다시 승압하여 송전하게 되는데, 이 때 전력계통에 이상 발생시 전력 계통의 시스템 및 부하기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각 전기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할 때 이러한 계전기가 큐비클에 설치된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에는 상기 계전기(1)를 전력 계통에 설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를 수납 및 보호하는 큐비클(2) 내에 상기 계전기(1)를 볼트 등으로 단단히 고정한 뒤, 상기 계전기(1)의 양단에 구비된 배선용 단자(3)를 일일이 드라이버 등으로 풀어 각 전기기기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때에는 상기 큐비클 내에 설치된 계전기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다시 상기한 설치과정의 역순에 따라 계전기를 분리하여야만 했다.
이 때에는 상기 계전기의 배선용 단자에 연결된 배선을 모두 해체하여 다시 큐비클로부터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반복 수행해야만 했으므로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많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또한 작업간에는 전력 계통이 비보호상태에 있게 되므로 전력 계통의 각 부분에서 대형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변전소 등의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큐비클 내에 계전기를 단시간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계전기를 교체 및 유지 보수하는 데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작업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작업간 전력 계통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큐비클에 계전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큐비클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일 실시예로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전기 2 : 큐비클
3, 8 : 배선용 단자 4 : 외함
5 : 손잡이 6 : 배선인출부
7 : 배선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계전기를 포함한 상태로 큐비클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외함과, 상기 외함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외함의 내부에서 계전기의 배선용 단자와 도선으로 접속된 상태로 외함의 손잡이 반대면으로 돌설된 배선인출부와, 상기 큐비클 내의 배선인출부 대향면에 고정된 상태로 외함이 수평이동됨에 따라 배선인출부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배선연결부와, 상기 배선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기기기를 통전가능하게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선용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큐비클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일 실시예로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 장치는 내부에 계전기(1)를 포함한 상태로 큐비클(2)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외함(4)과, 상기 외함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와, 상기 외함(4)의 내부에서 계전기(1)의 배선용 단자(3)와 도선으로 접속된 상태로 외함(4)의 손잡이(5) 반대면으로 돌설된 배선인출부(6)와, 상기 큐비클(2) 내의 배선인출부(6) 대향면에 고정된 상태로 외함(4)이 수평이동됨에 따라 배선인출부(6)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배선연결부(7)와, 상기 배선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기기기를 통전가능하게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선용 단자(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계전기(1)를 교체 또는 유지 보수시 상기 계전기(1)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외함(4)을 큐비클(2) 내에 간단히 밀어 넣기만 하면 계전기(1)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는 상기 계전기(1)가 외함(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계전기의 각 배선용 단자(3)가 상기 외함(4)의 후면에 돌설된 배선인출부(6)로 연결됨과 함께 큐비클(2) 내부에는 상기 배선인출부(6)와 대향된 상태로 배선연결부(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외함(4)의 손잡이(5)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외함(4)을 큐비클(2) 내에 밀어 넣으면 외함의 배선인출부(6)와 큐비클(2) 내에 고정 설치된 배선연결부(7)가 서로 통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배선인출부(6)와 배선연결부(7)는 서로 끼워져 전류가 통전되어질 수 있도록 일종의 커넥터 형태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배선인출부(6)는 계전기(1)의 각 배선용 단자(3)가 각각 배선인출부(6)의 끝단까지 도선으로 연결된 후, 상기 도선이 배선인출부(6)의 접속단자(6a)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접속단자가 큐비클(2) 내에 고정된 배선연결부(7)의 접속단자(7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이 때 상기 배선연결부(7)가 큐비클(2) 내에 고정됨과 함께 배선연결부의 각 배선용 단자(8)가 외부의 전기기기들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통전가능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이 외함(4)의 배선인출부(6)와 큐비클(2)의 배선연결부(7)가 서로 접속되기만 하면 계전기(1)가 간단히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계전기(1)를 다시 큐비클(2)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한 바의 역순에 따라 외부로 돌출된 상태인 외함(4)의 손잡이(5)를 잡아 당기면 상기 외함(4)이 큐비클(2)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인출되므로 이 때에는 상기 외함(4)의 배선인출부(6)와 큐비클(2)의 배선연결부(7)가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는 내부에 계전기를 포함하는 외함을 손잡이를 이용하여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동작만으로도 계전기를 포함하는 외함을 큐비클 내에 간단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계전기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계전기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시 불필요한 작업시간의 낭비없이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간에 전력 계통에 발생될 수 있는 대형사고의 우려가 없으므로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계전기를 포함한 상태로 큐비클(Cubicle)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의 외함과, 상기 외함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외함의 내부에서 계전기의 배선용 단자와 도선으로 접속된 상태로 외함의 손잡이 반대면으로 돌설된 배선인출부와, 상기 큐비클 내의 배선인출부 대향면에 고정된 상태로 외함이 수평이동됨에 따라 배선인출부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배선연결부와, 상기 배선연결부 상에 구비되어 외부의 전기기기를 통전가능하게 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선용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인출부에는 계전기의 배선용 단자와 연결되어진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배선인출부에는 배선인출부의 배선용 단자와 연결되어진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두 접속단자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접속 또는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KR10-2001-0077343A 2001-12-07 2001-12-07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KR10045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343A KR100459216B1 (ko) 2001-12-07 2001-12-07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343A KR100459216B1 (ko) 2001-12-07 2001-12-07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994A KR20030046994A (ko) 2003-06-18
KR100459216B1 true KR100459216B1 (ko) 2004-12-03

Family

ID=2957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343A KR100459216B1 (ko) 2001-12-07 2001-12-07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710A (ja) * 1990-06-07 1992-02-13 Toshiba Corp 多段積閉鎖配電盤
US5357068A (en) * 1991-11-20 1994-10-18 Gec Alsthom Sa Sulfur hexafluoride isolating circuit-breaker and use thereof in prefabricated stations, substations, and bays
JPH0739027A (ja) * 1993-07-21 1995-02-07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H0851706A (ja) * 1994-08-08 1996-02-20 Meidensha Corp 閉鎖配電盤
KR200247069Y1 (ko) * 2001-06-28 2001-10-17 주식회사 효성 가변이 되는 손잡이가 장착된 인출형 계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710A (ja) * 1990-06-07 1992-02-13 Toshiba Corp 多段積閉鎖配電盤
US5357068A (en) * 1991-11-20 1994-10-18 Gec Alsthom Sa Sulfur hexafluoride isolating circuit-breaker and use thereof in prefabricated stations, substations, and bays
JPH0739027A (ja) * 1993-07-21 1995-02-07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H0851706A (ja) * 1994-08-08 1996-02-20 Meidensha Corp 閉鎖配電盤
KR200247069Y1 (ko) * 2001-06-28 2001-10-17 주식회사 효성 가변이 되는 손잡이가 장착된 인출형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994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9390B1 (de) Kommunikationsfähige schaltgeräteeinheit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US20040058586A1 (en) Connection for a distribution network
CA2330097A1 (en) Safe-operating load reducing tap plug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1322209B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和系统
JPS60261444A (ja) 医学用レザー装置のための光導体連結装置
CN213936885U (zh) 一种便于线路维护的控制柜
CN105409064A (zh) 总线连接装置
KR100459216B1 (ko) 큐비클의 계전기 착탈장치
KR20150028966A (ko) 차량 장치용 상호 연결 조립체 및 상호 연결 방법
JP4256876B2 (ja) 制御盤の切り替え工法
JP2013187947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EP1544971B1 (en) Busbar adapter
CN210380167U (zh) 一种用于母线槽插接箱的推拉机构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CN211579898U (zh) 电机控制装置、电机系统及设备
CN212412228U (zh) 用于电气设备的存储件及电气设备
CN218938798U (zh) 一种地线融冰远程控制信号转换装置
CN214125174U (zh) 一种逆变器组件及其安装总成
CN220556625U (zh) 取电线缆和作业机械
KR200317638Y1 (ko) 플러그인 브러쉬장치
CN213484484U (zh) 可快速短接的直流融冰系统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CN216720911U (zh) 一种双pdu联控系统
CN217788975U (zh) 输电线缆断点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