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300B1 -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300B1
KR100458300B1 KR10-2001-0088014A KR20010088014A KR100458300B1 KR 100458300 B1 KR100458300 B1 KR 100458300B1 KR 20010088014 A KR20010088014 A KR 20010088014A KR 100458300 B1 KR100458300 B1 KR 10045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eonma
weight
added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911A (ko
Inventor
공영준
권혜정
최병곤
홍정기
Original Assignee
박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길 filed Critical 박용길
Priority to KR10-2001-008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3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마가 지니는 각종 기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기능성을 지닌 천마를 국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료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천마추출물 5∼25 중량%를 함유하거나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마추출물을 함유한 음료조성물에 의하면 품질특성 실험결과 기능성과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가공식품으로서 매우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Drink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Gastrodia elata Blum}
본 발명은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마가 지니는 각종 기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기능성을 지닌 천마를 국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마(天麻,Gastrodia elataBlum)는 뽕나무 버섯과 공생하는 난과 식물이며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60∼100m 이며 잎이 없고 감자와 같은 괴경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다. 천마의 괴경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는 보통 10∼18cm인데 쪄서 말린 것을 천마라고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질환, 당뇨병 등의 심각한 성인병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피로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천마가 지니는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를 가공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자는 천마의 일반성분과 무기질의 분석 및 항암, 항돌연변이, 간해독, 혈당강하, 고혈압조절,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음용가능한 형태로의 가공화가 가능한 음료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은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을 포함한다.
천마추출물은 공지의 추출방법을 이용해 추출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공지의 열수추출 또는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알콜류 등을 이용한 추출 등이 모두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천마추출물은 바람직하기로는 5∼25 중량%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1.0 중량% 정도로 첨가한다. 만일 5 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천마가 지니는 기능성을 발휘하기에 충분하지 아니하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천마 특유의 맛이 강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상기 범위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이들 범위의 균등영역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천마추출물은 농축액(대략 40Brix 정도)의 형태로 제공되어진다. 이러한 농축액은 천마 중량에 대해 물을 대략 10배정도 사입하고 70℃∼90℃정도로 5∼12시간 동안 수회 반복 추출하고, 추출된 천마를 압착하여 잔사는 제거한 상태의 추출물을 대략 40 Brix 정도로 농축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축액이 40 Brix 정도인 것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태양에 불과할 뿐 이를 다소 벗어나는 수준의 농축액의 실시가 불가능함을 의미하지는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음료의 제조시 대략 40 Brix 정도의 농축액의 형태로 제공되어지는 경우 첨가량은 바람직하기로는 5∼25 중량%로 함이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천마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은 상기 천마추출물 이외에 부재료로 예를 들면, 액상과당, 솔비톨, 대추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의 첨가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의 선택가능한 사항으로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적어도 액상과당 1∼10중량%, 솔비톨 0.5∼5중량%, 대추추출물 0.1∼1중량%가 첨가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첨마추출물과 농축액의 제조
건조 천마 100g을 세절하고 0.5c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천마중량에 대해 물을 10배 사입하고 80℃에서 9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된 천마를 압착하여 추출물을 얻고 잔사는 제거하였다. 위 추출물을 40Brix가 되도록 농축하고, 농축액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하기 표 1(추출물) 및 표 2(농축액)과 같았다.
또한 천마의 추출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수율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가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1> 일반 성분 분석 및 미네랄 함량 (단위:%)
구 분 수 분 조회분 조단백 조섬유 조지방 미 네 랄
Ca K Mg P
천 마 8.11 2.61 5.41 3.34 3.56 0.09 1.15 0.02 0.30
천마추출물의 일반성분 함량은 조단백질이 5.41%로 높았으며, 미네랄은 칼륨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농축액 일반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단위:%)
구 분 일반성분 품질특성
수 분 조회분 조단백 Brix pH
천 마 61.53 2.53 2,1 40 4.57
<표 3>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수율 (단위:%)
구 분 60℃ 80℃ 100℃
3시간 6시간 9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수 율(brix) 14.60(2.10) 15.30(3.27) 14.22(2.50) 17.90(2.53) 16.01(2.67) 17.09(2.60) 17.26(3.03) 19.42(3.80) 17.30(3.40)
천마의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추출수율은 100℃ 6시간, 고형분 함량에 대한 수율은 100℃ 6시간, 9시간 추출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2>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항암활성)
실험과정
(1) 세포주 및 배지조성
본 실험에 이용된 세포주는 암세포로 인간 간암세포인 Hep3B (hepatocellular carcinoma, human), 인간 폐암세포인 A549(Lung carcinoma, human), 인간 유방암세포인 MCF7(brest adenocarcinoma, pleural effusion, human)을 사용하였고 시료 자체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정상세포로는 인간 정상 간세포인 WRL68(Human embryo liver)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들 중 Hep3B, MCF7, WRL68은 DMEM배지를 A549는 RPMI 1640배지에서 10% heating-inactivated FBS로 적응시켜 배양하였다.
(2) SRB 에세이
SRB(sulforhodamine B)에세이는 세포 단백질을 염색하여 세포의 증식이나 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 대상 세포인 WRL68, Hep3B, MCF7(10% FBS, DMEM배지)과 A549(10% FBS, RPMI 1640 배지)의 농도를 4∼5×104cell/㎖으로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37℃, 5% CO2)한 후, 각각의 시료를 최종농도 0.2, 0.4, 0.6, 0.8, 1.0㎎/㎖로 100㎕씩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w/v) TCA(트리클로로아세트산) 100㎕를 가하여 4℃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4∼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플레이트를 건조한 뒤 각 웰에 1%(v/v) 아세트산에 녹인 0.4%(w/v) SRB용액을 100㎕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아세트산으로 4∼5회 정도 세척, 건조시킨 후에 10mM Tris 버퍼 100㎕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5,6,7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표 4> 간암세포 (%/mg/ml)
시 료 용 매 Hep3B(간 암)
0.2 0.6 1.0
천 마 증류수 36 57 76
효 과 기 준 50% 이하
검 정 방 법 SRB assay
<표 5> 유방암세포
시 료 용 매 MCF-7(인간유방암세포)
0.2 0.6 1.0
천 마 증류수 35 51 79
효 과 기 준 50% 이하
검 정 방 법 SRB assay
<표 6> 폐암세포
시 료 용 매 A549(인간폐암세포)
0.2 0.6 1.0
천 마 증류수 25 43 72
효과기준 50% 이하
검정 방법 SRB assay
<표 7> 위암세포
시 료 용 매 AGS(인간위암세포)
0.2 0.6 1.0
천 마 증류수 35 57 83
효과기준 50% 이하
검정 방법 SRB assay
천마의 암세포 생육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인간 간암세포(Hep3B), 유방암세포(MCF-7) 및 폐암세포(A549)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에서 1.0 중량%의 농도에서 76, 79, 72%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위암세포(AGS)의 억제활성도는 83%로 다른 암세포에 대한 억제활성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항돌연변이원성)
실험과정
(1) Rec-에세이
a) 균주 및 전처리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PB 1652 rec+와 PB 1791 rec-이며 동결건조된 이 균주를 크린벤치에서 메스를 이용하여 영양배지를 고화시킨 페트리디쉬에 접종시킨 후 24∼48시간 배양을 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멸균된 TSB 액체배지에 1백금이 취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b) 포자 한천 플레이트 조제 및 실험 방법
배양이 완료된 0.1㎖ 포자액이 첨가된 소프트 브로스 한천 10㎖를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여 고화시킨 후 페이퍼 디스크(p.disc)를 올려놓고 각 추출물은 20㎕씩, 대조구인 MNNG는 10㎕ 접종하고 37℃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저해영역을 측정하였다.
c) 돌연변이원성 측정
무균 상태인 크린벤치하에서 여러 돌연변이원성 물질 중 강한 돌연변이원 물질인 MNNG(2㎍/㎕)를 돌연변이원성 대조구로 하여 20㎍/페이퍼디스크의 양으로 멸균 처리된 페이퍼 디스크에 첨가하였고 각 추출물을 4∼100㎍/페이퍼디스크가 되도록 첨가하고 rec(+)균과 rec(-)균에 의해 형성된 저해영역(㎝)의 차이로 돌연 변이원성을 측정하였다.
d) 항돌연변이원성 측정
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한 후에 MNNG(10㎍/p.disc)와 추출물(50, 100㎍/p.disc)을 1 : 1 (10㎕:10㎕)로 혼합하여 돌연변이원성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한 후 각기 형성된 Inhibition zone을 비교하여 각 추출물이 돌연변이원 물질인 MNNG의 돌연변이원성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가를 rec(+)균과 rec(-)균의 차이영역(difference zone)(㎝)과 차이비율(difference ratio)(sample+MNNG / MNNG)로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MNNG만 처리한 것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표 8> 항돌연변이원성
시 료 용 매 amounttest(㎍/disc) Inhibition halodiameter(cm) differnce zone(cm) differnce ratio(sample/MNNG)
rec+ rec-
천 마 증류수 50 1.2 2.4 1.2 0.71
100 1.0 2.2 1.2 0.71
안정성 및 효과 기준 50% 이상
검 정 방법 Rec assay
천마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 실험 수행 결과, 투명영역(clear zone)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천마추출물의 자체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천마추출물(50, 100㎍/p.disc)과 MNNG(10㎍/p.disc)를 1:1로 혼합하여 추출물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대조구인 MNNG(20㎍/p.disc)에 비해 MNNG와 추출물이 1:1로 혼합된 것이 비교적 높은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다. 대조구로 쓰인 강력한 돌연변이원성 물질인 MNNG를 기준으로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측정한 결과 천마 추출물이 MNNG에 대해서 50, 100㎍/p.disc의 농도에서 29%의 돌연변이 억제율을 나타내어 천마 추출물들이 MNNG와 균주의 DNA나 RNA와의 결합을 어느 정도 억제함으로서 항돌연변이원성을 지닌다고 추론할 수 있다.
<실시예 4>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혈당강하)
실험과정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α-글루코시다제를 이용하여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효소를 10mM PIPES buffer에 용해시켜 효소액을 제조하고 20mM 말토즈와 각 추출물을 각각 10㎕, 40㎕, 10㎕를 혼합하여 최종 부피를 60㎕로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혼합한 후 37℃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반응액 60㎕에 1㎖ DNS 시약을 첨가하고 100℃ 물에서 열탕 처리(10분)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에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반응으로 생성된 환원당을 정량하여 각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효소활성 저해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표 9> 혈당강하 (%/mg/ml)
시 료 용 매 농 도
0.2 0.6 1.0
천 마 증류수 42 58 64
효과기준 50% 이상
검정 방법 α-glucosidase
α-글루코시다제는 생체내 혈당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사이상과 당뇨병, 바이러스접착, 세균감염, 발암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는 기질(말토즈)에 천마 추출물을 첨가해서 추출물에 의한 효소활성 억제율을 검색한 것으로 그 결과, 추출물 0.6 중량%의 농도에서 58%, 1.0 중량%의 농도에서 64%의 높은 효소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혈압강하)
실험과정
ACE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이므로 이 효소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ACE 시약을 사용했다. 실험 전에 모든 반응물을 37℃로 유지시켜 놓은 후 37℃ 증류수 10㎖에 ACE 시약 1 비랄을 용해시키고 1㎖씩 취하여 에펜도프 튜브에 넣었다. 각 에펜도프 튜브에 농도별 추출물과 ACE 캘리브레이터를 100㎕씩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반응시켜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것을 초기 A값으로 정하고 다시 5분이 지난 후 측정한 흡광도를 최종 A라 정하였다. 대조구로는 추출물 대신 증류수 100㎕를 첨가한 것으로 하였다. 대조구의 ACE(U/L) 값은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하였으며 ACE의 활성 계산은 다음 공식에 준하여 산출하였다.
ACE (U/L) = (초기 A - 최종 A)테스트/ (초기 A - 최종 A)대조구×active of ACE reagent (50U/L)
실험결과
<표 10> 혈압강하 (%/mg/ml)
시 료 용 매 농 도
0.2 0.6 1.0
천 마 증류수 63 82 89
효과기준 50% 이상
검정 방법 ACE system
생체 내에서 혈압 상승의 주요 기작은 레닌 안지오텐신 시스템이 주요역할을 하는데 ACE는 레닌에 의해 안지오텐신Ⅰ의 히스티딜류신 디펩티드를 분해하여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일으키는 혈관수축자인 안지오텐신Ⅱ로 전환을 유도하는 효소이고 안지오텐신Ⅱ는 신체 내에서 알도스테린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물과 나트륨의배설을 억제하며 혈관 이완 작용을 가진 브래디키닌을 불활성화 시킴으로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ACE를 억제하면 고혈압의 치료가능성이 제시될 수 있다고 볼 수 있고 실제로 정상인에게도 현저한 혈압 강하 작용이 밝혀졌다.
본 실험에서는 ACE가 FAPGG(퓨릴아크릴로일페닐알라닐글리실글리신)를 FAP(퓨릴아크릴로일페닐알라닌)와 GG(글리실글리신)로 분해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모든 농도 50% 이상의 높은 효소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1.0 중량%의 농도에서 89%의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간기능개선효과)
실험과정
천마의 해독작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제된 반응시약에 대조구로 추출물이 제외된 반응액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기질로서 1-클로로- 2,4디니트로벤젠을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20% TCA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과 같이 GST의 비활성과 활성율을 계산하였다.
총활성(units)=(A340/9.6)×희석배수 ×(3ml/0.1) ×조추출액(㎖)
비활성( units/㎖ 단백)=총활성/총단백
활성율 (%) = 비활성test/비활성대조구×100
실험결과
<표 11> 간기능개선효과 (%/mg/ml)
시 료 용 매 농 도
0.2 0.6 1.0
천 마 증류수 175 202 221
안정성 및 효과 기준 100%이상
검정 방법 GST
GST는 환원 글루타치온에 다양한 친전자체를 결합시키는 반응을 촉매 하는 주요 해독기전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또한 다양한 발암원들이 대부분 친전자체이므로 이들 발암물질을 해독하는 경로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GST의 활성 측정은 화학적 발암원을 해독하거나 불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약재나 천연 물질 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천마 추출물이 모든 농도에서 175% 이상의 활성을 증가 시켰고, 특히 1.0 중량%의 농도에서 221%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면역활성)
실험과정
면역이란 우리 몸의 내, 외부로부터의 자극 및 손상에 대항하는 방어기작을 총칭한다. 면역활성의 측정은 면역물질의 측정, 면역세포의 생육도 측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면역 세포의 증가 및 감소는 우리 몸 면역계의 이상을 실질적으로나타내주는 지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 면역 세포주 Raji(RPM1-1640 배지)을 분주하여 세포 정상 생육기에 도달(7일정도 소요)시킨 후 96-웰플레이트(5×104Cell/㎖로 농도 조절한 배지 100㎕/웰)를 37℃에서 5% CO2상태로 24시간 인큐베이션하고 각 농도로 100㎕의 샘플을 투여한 후 37℃에서 5% CO2상태로 48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w/v) TCA 100㎕를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4∼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플레이트를 건조한 뒤 각 웰에 1%(v/v) 아세트산에 녹인 0.4%(w/v) SRB용액을 100㎕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아세트산으로 4∼5회 정도 세척, 건조시킨 후에 10mM Tris 버퍼 100㎕를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54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암세포 생육도(%) = 테스트/대조구 ×100
면역세포인 Raji의 생육을 증가시키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세포생육이 증가함에 해당식품이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인간 면역 세포인 B 세포(Raji)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SRB 에세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2> 면역활성 (%/mg/ml)
시 료 용 매 농 도
0.2 0.6 1.0
천 마 증류수 105 125 149
효과기준 100% 이상
검정 방법 SRB assay
인간 면역 체계에서 항체 생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B 세포(Raji)로 SRB 에세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Raji의 활성은 천마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마 추출물이 1.0 중량%의 농도에서 1.49배 이상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의 검정(항산화활성)
실험과정
산화는 우리체내에서 세포막 내 손상을 일으키고 노화를 촉진하며 발암이나 성인병 등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노화 및 성인병 예방의 측면에서 항산화 활성물질이 요구되어지며 산화억제물질에 대한 검색으로 4.5×10-3리놀레인산 수용액 5㎖에 샘플 0.5㎖를 넣어서 50℃에서 인큐베이션 시키면서 마개 달린 시험관에 1.1㎖씩 4일마다 채취하여 TCA 1㎖, TBA 2㎖, BHT 0.1㎖, SDS 1㎖를 각각 혼합한 후 N2개스를 취입하고 밀봉한 후 비등 수욕조에서 15분간 인큐베이션하고 방냉시킨 후 1㎖ 아세트산과 2㎖ 클로로포름을 혼합 진탕후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리놀레인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산화되기 쉽다. 그러한 리놀레인산에 대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해당식품은 노화 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산화억제물질에 대한 검색은 TBA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3> 항산화활성 (%/mg/ml)
시 료 용 매 농 도
0.2 0.6 1.0
천 마 증류수 23 35 46
효과기준 50% 이상
검정 방법 TBA assay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인산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으로 산화되기 매우 쉽다. 이러한 리놀레인산에 대한 산화를 억제시키는 것은 노화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일 것이다. 천마 추출물 1.0 중량%에서 46%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은 식물을 원료로서 식품을 제조할 경우 체내에서 필요한 식품 내 필수지방산의 산화억제로 식품의 안정성 연장 및 흡수시 체내 활성 라디칼의 소거 등의 작용으로 노화억제 및 체내 산화작용으로 발생하는 성인병 등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이다.
<실시예 9> 천마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얻은 농축액을 9, 11, 13중량%로 달리하고, 여기에 표 14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액상과당, 솔비톨, 대추추출물 등을 혼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5 및 16과 같다.
<표 14> 음료조성물의 조성 (%/mg/ml)
농축액 액상과당 솔비톨 대 추엑기스 타우린 포 도농축액 매 실농축액 과라나추출액 정백당 구연사나트륨 비타민C 로얄젤리 기타
9(40BX) 5 1.5 0.5 0.05 2 0.1 0.2 1 0.1 0.1 0.02 80.43
11 5 1.5 0.5 0.05 2 0.1 0.2 1 0.1 0.1 0.02 78.43
13 5 1.5 0.5 0.05 2 0.1 0.2 1 0.1 0.1 0.02 76.43
<표 15> 품질특성 (%/mg/ml)
함량(%) Brix pH 탁도 색 도 관능검사 (1∼5)
L a b 종합
9 14.8 3.93 3.2116 40.98 5.45 56.12 3.4 3.2 3.3 3.3
11 15.4 4.10 3.9964 34.99 7.27 54.23 3.4 3.5 3.4 3.4
13 16.2 4.14 4.0000 29.08 8.05 43.64 3.1 3.3 3.2 3.2
<표 16> 기능성 (%/mg/ml)
농축액첨가 항암(위암) 고혈압조절 간기능개선
11% 52 60 132
상기 제조한 음료의 품질특성으로 Brix의 경우 천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높아졌으며, 색도도 Brix와 같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value black 계열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천마농축액 11% 첨가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료의 기능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암활성, 혈당저하, 혈압저하, 해독작용 및 각종 성인병의 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는 천마를 과립차 또는 액상차의 형태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각종 기능성의 보강은 물론 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음료조성물에 있어서,
    약 40Brix 정도로 농축된 천마농축액 5∼25 중량%를 주재료로 하고 부재료로는 적어도 액상과당 1∼10중량%, 솔비톨 0.5∼5중량%, 대추추출물 0.1∼1중량%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조성물.
KR10-2001-0088014A 2001-12-29 2001-12-29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045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014A KR100458300B1 (ko) 2001-12-29 2001-12-29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014A KR100458300B1 (ko) 2001-12-29 2001-12-29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911A KR20030057911A (ko) 2003-07-07
KR100458300B1 true KR100458300B1 (ko) 2004-11-26

Family

ID=322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014A KR100458300B1 (ko) 2001-12-29 2001-12-29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707B1 (ko) 2005-12-20 2007-04-23 이진만 천마의 유효성분추출 증대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음료의제조방법
KR100870139B1 (ko) * 2007-12-20 2008-11-24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천마추출물, 현미상황버섯추출물, 한약재추출물이 포함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6B1 (ko) * 2007-05-08 2009-04-24 충주시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CN108112836A (zh) * 2018-01-10 2018-06-05 贵州黔贵天赐大健康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改善睡眠作用的丹参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520686B1 (ko) * 2020-11-24 2023-04-12 상주시 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707B1 (ko) 2005-12-20 2007-04-23 이진만 천마의 유효성분추출 증대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음료의제조방법
KR100870139B1 (ko) * 2007-12-20 2008-11-24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천마추출물, 현미상황버섯추출물, 한약재추출물이 포함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911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664B1 (ko)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CN108347974A (zh) 源自传统发酵食品及具有优异酶生成能力的新颖的菌株及利用其的谷物发酵酶食品的制备方法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089B1 (ko) 진세노사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6824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32208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100734975B1 (ko)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s1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34371B1 (ko)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nt 11 및 이의 용도
KR102376622B1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 srcm20925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458300B1 (ko)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2133721B1 (ko) 감 잎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0755515B1 (ko)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458301B1 (ko)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립차 및 액상차
KR102078671B1 (ko)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증대된 아로니아 음료 조성물
KR102548092B1 (ko)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9463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2421B1 (ko) 산사음료의 제조방법
KR102159380B1 (ko) 항산화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srcm10143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03096B1 (ko) 생리활성을 갖는 발효 쑥 및 발효 솔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11238B1 (ko) 항산화 활성,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산하지 않으면서, 프로테아제 및 아밀라제 효소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gb 15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83672B1 (ko)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 및 면역강화 기능을 갖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Si et al. Phenolic Antioxidants of Auricularia Species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α-Amylase, α-Glucosidase and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ies.
KR20200000743A (ko)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효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37662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리조넨시스 bcnu 920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0516888B1 (ko) 마가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