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481B1 -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481B1
KR100456481B1 KR1019970012037A KR19970012037A KR100456481B1 KR 100456481 B1 KR100456481 B1 KR 100456481B1 KR 1019970012037 A KR1019970012037 A KR 1019970012037A KR 19970012037 A KR19970012037 A KR 19970012037A KR 100456481 B1 KR100456481 B1 KR 10045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grance
venosa
kom
v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750A (ko
Inventor
전병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7001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4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방향제 향료로 사용함으로써 향취 기호도가 좋고, 방부 및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냉방병을 유발시키는 미생물인 레지오넬라균까지도 살균시키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Fragr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the flowers of Syringa velutina Kom var. venosa}
본 발명은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방향제 향료로 사용함으로써 향취 기호도가 좋고, 방부 및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냉방병을 유발시키는 미생물인 레지오넬라균까지도 살균시키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라 함은 방향성 물질에 의해 향기가 발생하여 주변의 악취나 이취를 마스킹하는 것으로서, 대부분 단지 일시적으로 나쁜 냄새들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일 뿐이지 근본적으로 나쁜냄새를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섬개회나무(Syringa velutina Kom var. venosa(Nak.) T.Lee)는 우리나라의 울릉도와 계룡산이 자생지로 알려진 낙엽관목으로서, 가지는 회갈색이며 줄기에는 피목이 산재하며 높이가 1.5미터 정도이다. 개화기는 5월로 전년지 끝에 액출하며 원추화서로 보라색 꽃이 피며 향기가 진하다. 화축에는 털이 없으며,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꽃통은 길이가 7∼8mm로 열편이 젖혀지고 수술이 통부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capsule)이고 길이가 9∼12mm로 끝이 둥글고 피목이 산재하며 9월에 익는다.특히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아 정원에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향취가 좋은 방향효과를 가지면서, 아울러 우리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까지 살균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던 중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며 향기가 좋은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이 살균효과도 뛰어나며 냉방병을 일으키는 균으로 알려진 레지오넬라균까지도 살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에는 메틸헥사데카노에이트(Methyl Hexadecanoate), 벤질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페닐에칠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테트라데카놀(Tetradecanol) 등이 함유되어 있는 바, 이런 물질들이 좋은 향기와 살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각되어 향기 및 살균실험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기 및 살균력이 우수한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2∼5중량% 만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은 섬개회나무꽃을 헥산에 넣고 20∼30분간 침적한후 탈수, 여과하고 진공농축시켜서 고형의 추출물을 얻는다. 이 고형의 추출물에 알코올을 넣고 20∼25℃에서 30∼40분간 교반하고, 이를 영하 10∼20℃까지 냉각한 다음, 다시 진공여과하고 진공농축시켜서 추출물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2∼5중량% 첨가하고, 가용화제, 자외선 차단제, 색소, 알코올, 물 등을 첨가하여 액체타입의 방향제를 제조한다. 상기 추출물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방향제의 향취가 미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중량%를 초과하면 방향제로서의 안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 섬개회나무꽃 추출물 제조
섬개회나무꽃 1kg을 헥산 6리터에 넣고 20분간 침적시킨 다음 헥산용액은 회수하고 섬개회나무꽃은 버렸다. 헥산용액에 들어있는 수분을 탈수하고 와트만 NO.2 여과지로 여과한후 진공농축시켜 고형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 고형 추출물에 95% 메탄올 18g을 넣고 30분간 교반한 다음,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영하 15℃까지 냉각시킨후 와트만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진공여과하여 왁스류와 안료 등을 제거했다. 이 여과액을 다시 농축기에 넣고 진공농축하여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얻었다.
이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의 성분을 GC 및 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추출물에는 메칠헥사데카노에이트 36.66%, 벤질살리실레이트 8.66%, 페닐에틸알코올 8.67%, 테트라데카놀 3.38% 만큼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섬개회나무꽃 추출물 함유 방향제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조성비에 따라 성분 1∼5를 혼합하여 40℃에서 완전히 녹인후 여기에 성분 6∼7을 혼합하여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타입 방향제를 제조하였다.
[표 1]
섬개회나무꽃 추출물 함유 방향제의 성분 조성비
Figure pat00001
[비교예 1]
하기 표 2의 성분 조성비에 따라 성분 1∼4를 혼합하여 40℃에서 완전히 녹인후 여기에 성분 6과 5를 혼합하여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액체타입 방향제를 제조하였다.
[표 2]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방향제의 성분 조성비
Figure pat00002
[시험예 1] 향취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방향제의 향취가 우수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신들이 향기에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남,여 각 10명씩을 선발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오염되지 않은 가로 3m, 세로 3m, 높이 2m의 패널룸(Panal room)에 실시예 1의 액체방향제를 넣고,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남,여 각 10명의 관능평가자들을 페널룸에 수용하여, 10분간 그 안에 머무르면서 향취를 맡게 하여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8개 항목 즉, "① 활기차고 적극적인 기분이다, ② 상쾌한 기분이다, ③ 마음이 따뜻해지는 기분이다, ④ 즐겁고 유쾌한 기분이다, ⑤ 평온하고 차분해지는 기분이다, ⑥ 흥미진진하고 두근거리는 기분이다, ⑦ 행복하고 충만한 기분이다, ⑧ 흥분된 기분이다"에 대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그러지 않다"는 0점, "조금 그렇다"는 1점, "매우 그렇다"는 2점의 배점으로 하여 평가 후 남, 여 각 10명에 대한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1의 제품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는 그 향취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방부 및 살균효과 실험
방부 및 살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 주변에서 많이 발견되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을 배지에 도포한후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방향제와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액체방향제를 배지에 뿌려 실험하였다.
즉, 페트리 디쉬(petri dish)의 플레이트(plate)에 대장균(E.coli), 황색포도상구균(S.aureus), 녹농균(P.aeruginosa)을 도포한후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액체방향제를 0.2ml씩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에 떨어뜨려 위 시험 균들이 도포된 플레이트(plate)에 얹고 37℃의 진탕기에서 3일간 배양한후 플레이트(plate)에 생기는 인히비션 죤(inhibition zone)의 크기로 살균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각종 균에 대한 살균효과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는 그렇지 않은 방향제보다 살균효과가 우수했다.
[시험예 3]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 실험
냉각수탑이나 음료수용 수도 배관, 에어콘 등에 광범위하게 존재하여 레지오넬라병을 일으키는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력을 입증하기 위해 확산법을 이용해 레지오넬라균의 생육 저지 정도를 확인하였다.
즉, 레지오넬라균이 도포된 레지오넬라 아가 플레이트(Legionella Agar Plate)를 뒤집어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액체방향제를 0.1ml, 0.5ml, 0.7ml, 1.0ml씩 적신 탈지면을 그 뚜껑에 얹어 37℃의 진탕기에서 3일간 배양한후 확산에 의한 레지오넬라균의 생육 저지 정도를 확인한후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효과표
Figure pat00005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가 그렇지 않은 방향제보다 레지오넬라균의 생육 저지 효과가 탁월함을 보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는 향취가 좋은 방향효과를 가지면서 우리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까지 살균시키는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냉방병을 일으키는 균으로 알려진 레지오넬라균까지도 살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개회나무꽃 추출물 함유하는 방향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개회나무꽃 추출물은 섬개회나무꽃에 헥산을 첨가하여 20∼30분간 침적한 후, 헥산용액을 탈수, 여과, 진공농축한 고형의 추출물에 알콜을 가하여 30∼40분간 교반한 후, 영하 10∼20℃ 까지 냉각한 후 다시 진공여과, 진공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KR1019970012037A 1997-04-01 1997-04-01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KR10045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37A KR100456481B1 (ko) 1997-04-01 1997-04-01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37A KR100456481B1 (ko) 1997-04-01 1997-04-01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750A KR19980075750A (ko) 1998-11-16
KR100456481B1 true KR100456481B1 (ko) 2005-01-25

Family

ID=3737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37A KR100456481B1 (ko) 1997-04-01 1997-04-01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93B1 (ko) * 2016-11-24 2021-02-09 (주)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8097524A1 (ko) * 2016-11-24 2018-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97A (ja) * 1991-12-18 1993-06-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剤
KR950000063A (ko) * 1993-06-03 1995-01-03 홍기상 1체 2원통식 실린더를 가진 녹즙기
KR950002780A (ko) * 1993-07-30 1995-02-16 장용택 구인 액제의 제조방법
KR19980035928A (ko) * 1996-11-15 1998-08-05 박근영 정향나무, 계수나무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향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697A (ja) * 1991-12-18 1993-06-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剤
KR950000063A (ko) * 1993-06-03 1995-01-03 홍기상 1체 2원통식 실린더를 가진 녹즙기
KR950002780A (ko) * 1993-07-30 1995-02-16 장용택 구인 액제의 제조방법
KR19980035928A (ko) * 1996-11-15 1998-08-05 박근영 정향나무, 계수나무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방향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750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3968B1 (fr) Compositions parfumantes antimicrobiennes
KR100285781B1 (ko)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EP0600060B1 (fr) Composition parfumee
KR20100056484A (ko) β-글루쿠로니다아제 저해제
CN108371724A (zh) 一种含姜花提取物的除臭杀菌净味剂
KR20160114801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JP4633226B2 (ja) 抗菌剤及び消臭剤
CN111714543A (zh) 一种具有杀菌功效的本草精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1064141A (ja) 未分化植物細胞の用途
CN102170918A (zh) 含有气味控制物质的擦拭物
CN109497094A (zh) 一种含蓖麻油酸锌的鞋袜除臭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251078A (zh) 一种清香型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12807237B (zh) 一种含有天然抑菌剂的化妆品
KR102205206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100456481B1 (ko)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KR102107772B1 (ko) 망자 피부 세정용 조성물
JPS63159302A (ja) 殺菌・消毒剤
CN111494260A (zh) 一种含植物精油的消毒液
CN102771519A (zh) 一种手机天然芳香除菌剂
KR100797974B1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JP3563559B2 (ja) 徐放性農園芸植物用活性剤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789352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균용 방향 조성물
KR2015011215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 악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064163A (ja) 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