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974B1 - 통신시스템의호셋업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호셋업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974B1
KR100455974B1 KR10-1998-0700122A KR19980700122A KR100455974B1 KR 100455974 B1 KR100455974 B1 KR 100455974B1 KR 19980700122 A KR19980700122 A KR 19980700122A KR 100455974 B1 KR100455974 B1 KR 10045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822A (ko
Inventor
요시 질베르파르브
사메이 알트맨
라리 디 스베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이스라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이스라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이스라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2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정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고정 유선 전화 시스템과 종래 셀룰러 무선시스템의 결합 형태이다. 특히, 이 고정 무선 전화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고정 무선 단말기(101)와 유선 통신 시스템(105) 사이에 고속 통신 링크를 제공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얼 톤과 같은 호 진행 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링크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오프 후크 신호를 검출하고(403), 종래 셀룰러 시스템 상에서의 "고스트(ghost)" 전화 번호로 호 셋업 요청을 전송하고(405), 상기 고스트 전화 번호를 인식하고(411), 그에 응답하여 유선 통신 시스템(105) 상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고(413), 유선 통신 시스템 상의 오디오 링크를 종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함으로써(415), 형성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호 셋업 방법 및 장치
일반적으로, 고정 무선 전화 서비스는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시골이나 도시에서 유선 전화 서비스의 대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고정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 하는 한가지 방식은 종래의 셀룰러 전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지리 영역 전체에 걸쳐서 무선 서비스를 고정 단말기들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를 유선 전화 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이다.
종래의 셀룰러 전화 시스템과 종래의 유선 전화 시스템간에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 예컨대, 유선 전화 시스템에서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오프 후크 상태를 검출할 때, 오디오 회선이 유선 전화 교환기와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 직접연결된다. 이 오디오 회선은 사용자에게 고속 다이얼링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서비스가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다이얼 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종래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전화 번호가 다이얼되고, 다음에, 지시기 또는 전송 버튼이 눌리며, 이에 의해 호 또는 통신이 요구됨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중앙 기지국에 전송된다.특정량의 지연 후, 사용자에게 통신 채널이 할당되고 다이얼된 번호에 직접 라우팅된다. 통신 채널 상에서의 직접적인 다이얼은 허용되지 않고, 상기 시스템은 다이얼 톤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고정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정 유선 전화 서비스의 서비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 무선 전화 시스템의 통신 유닛으로부터 오프 후크 신호를 전송할 때 다이얼 톤 피드백 및 전화 교환기에의 고속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과 고정(fixed)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유선(wire line)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 셀룰러 전화 시스템과 종래 유선 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정 무선 전화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간의 상호 접속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셋업 방법의 공정 흐름도.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호 셋업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 1 통신 디바이스의 오프 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무선 가입자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발생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무선 링크 상으로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으로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상기 무선 가입자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에 통신 링크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통신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호 셋업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제 1 통신 디바이스에서 오프 후크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으로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전송하는, 상기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무선 송신기와;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기지국 내의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 내의 액세스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서비스에 대한 요청으로서 인식하는 수단과; 상기 인식하는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고, 상기 오디오 링크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링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정 유선 전화 시스템과 종래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결합 형태인 고정 무선 시스템의 설명을 포함한다. 고정 무선 시스템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시골이나 도시에서 유선 전화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고안되었다. 고정 무선 전화 시스템은 유선 전화 시스템에 필요한 기본 시설을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의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고정 무선 전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고정 무선 단말기와 유선 통신 시스템간의 고속 통신링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다이얼 톤과 같은 호 진행 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링크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오프 후크 신호를 검출하고, 종래 셀룰러 시스템 상에서 "고스트(ghost)" 전화 번호로 호 셋업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고스트 전화 번호를 검출하고 이 고스트 전화번호에 응답하여 유선 통신 시스템 상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여, 유선 통신 시스템 상의 오디오 링크를 종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방식으로 종래 셀룰러 시스템을 변경할 때, 유선 통신 시스템과 고정 무선 전화 서비스의 무선 디바이스간의 고속 링크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따라서 일반적인 유선 통신 시스템이 형성된다.
도 1은 고정 무선 단말기(101), 고정 무선 기지국(103), 및 종래 유선 교환기(105)를 포함하는 고정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고정 무선 단말기(FWT)(101)는 모뎀, 전화기 또는 팩스 기기와 같은 일반적인 유선 통신 디바이스(10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무선 단말기(101)는 PSTN 인터페이스(109), 인핸스먼트(enhancement) 디바이스(111), 및 셀룰러 무선 전화 송수신기(11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107)는 전화기, 팩스 기기 또는 모뎀과 같은 일반적인 유선 통신 디바이스이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107)는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2 와이어 접속을 통해 PSTN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109)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를 통신 디바이스에 제공하며, 이에 의해 최종 사용자는 고정 무선 통신 시스템과 고정된 유선 통신 시스템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PSTN 인터페이스는 오프 후크 신호, 온 후크 신호. 및 스위치 후크 신호와 같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107)에 의해 생성되는 통상의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109)는 통신 디바이스(107)와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 사이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PSTN 인터페이스(109)는 검출된 표준 통신 디바이스 신호들(온 후크, 오프 후크, 스위치 후크)을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에 전송하고,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호 신호, 미터링(metering) 펄스 또는 호 종료 신호와 같은 표준 유선 신호들을 상기 통신 디바이스(107)에 전달한다.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상기 PSTN 인터페이스(109)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표준 셀룰러 무선 전화 시스템 송수신기(113)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송수신기(11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상기 송수신기(113)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PSTN 인터페이스(109)에 출력한다. 또한,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고정무선 전화 환경에서 일반적인 셀룰러 송수신기(113)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인핸스먼트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PSTN 인터페이스(109)로부터의 원래 오프 후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디지털 시퀀스를 상기 송수신기(113)에 전송함으로써 종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통신 채널을 요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소정의 디지털 시퀀스는 "고스트" 전화 번호이다. 이 요청에 관한 상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인핸스먼트디바이스(111)는 온 후크, 오프 후크, 플래시 후크, 미터링 펄스 및 통신 종료 신호와 같은 통상의 유선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상기 송수신기(113)는 표준 셀룰러 무선 전화 시스템 송수신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TACS 아날로그 셀룰러 무선 전화 시스템을 충족하도록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 및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상의 셀룰러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이 상기 TACS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13)는 기지국 송수신기(115)에 대해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기지국 송수신기(115)는 고정 무선 단말기(101)의 송수신기(113)와 호환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송수신기(115)는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에 대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은 고정 무선 단말기(101)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한 복수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에 포함된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들은 전송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들을 기지국 송수신기(115)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 내에 포함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7)들은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들을 통상의 유선 전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내에 포함되는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들은 고정 무선 단말기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와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채널 뱅크 멀티플렉서(MUX)(119)는 E1 트렁크(123)를 통해 디지털 액세스 인터페이스(DAI)(121)에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액세스 인터페이스(121)는 기지국 송수신기(115)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 및 채널 뱅크 MUX(119)는 마이크로파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채널 뱅크 MUX(119)는 디지털 액세스 인터페이스(12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4 웨이(4-way)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며, 이 신호는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로부터 수신된 4 웨이 오디오 신호는 채널 뱅크 MUX(119)에 의해 하나의 트렁크로 변환되어 디지털 액세스 인터페이스(121)에 출력된다.
디지털 액세스 인터페이스(121)는 R2 또는 SAT와 같은 표준 트렁크 레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로컬 중앙국 교환기에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러서, DAI(121)는 E1 트렁크(123)와 공공 교환 전화망(105)간을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상기 DAI(121)는 유선 통신 시스템 상의 오디오 링크들을 요청하여, 유선 통신시스템 상의 오디오 링크를 종래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통신 채널과 연결하며, 이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107)와 PSTN(105) 사이에 링크가 제공된다.
도 2는 고정 무선 기지국(103)의 일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기지국 송수신기(115),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 채널 뱅크 MUX(119), E1 인터페이스(123), 및 이들 디바이스간의 상호 접속을 포함하고 있다. 기지국 송수신기(115)는 도 1의 FWT(101)와 같은 고정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각각의 무선 통신 채널용의 송수신기(201)를 포함하고 있다. 필요한 송수신기들의 개수는 이 통신 시스템(100)에 설치된 셀룰러 시스템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시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면, 각각의 송수신기는 복수의 고정 무선 전화 디바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한 송수신기의 개수가 감소된다. 상기 기지국 송수신기(115)의 각각의 송수신기(201)는 4 와이어 접속(203)을 통해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송수신기(201)는 인핸스먼트 디바이스 콘솔(117)에 포함되는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고 30 개의 송수신기 및 대응하는 30 개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회선(205)들을 통해 4 와이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채널 뱅크 MUX(119)에 대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온 후크, 오프 후크, 플래시 후크, 미터링 펄스 및 호출 종료와 같은 통상의 유선 신호들을 실시간 신호 접속(207)을 통해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실시간 신호 비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의 상세 블록도이다.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는 DSP(301), 제 1 코덱(303), 제 2 코덱(305), 외부 메모리(307), 인터페이스 커넥터(309), 상기 제 1 코덱(303)에 관련된 제 1 세트의 필터(311)들, 및 상기 제 2 코덱(305)에 관련된 제 2 세트의 필터(313)들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DSP(301)는 80 MHz로 동작하는 16비트 고정 소수점 DSP이다. 오디오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DSP(301)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현하는 2진수열을 수신한다. 상기 DSP는 상기 2진수열을 통신 디바이스(107) 또는 PSTN(105)으로부터 수신된 실제 데이터 또는 음성을 나타내는 디지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상기 DSP는 제 1 코덱(303) 또는 제 2 코덱(305)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또는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적절한 세트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필터링하고, 부호화된 데이터/음성을 인터페이스 커넥터(309)에 전송한다. 오디오 신호의 착신의 경우, 상기 DSP(301)는 데이터/음성 디지털 신호를 복호화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다시 변환하며, 이전에 설명한 발신프로세스의 역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는 통상의 전화 신호(온 후크, 오프 후크, 스위치 후크, 미터링 펄스, 호 분리)를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들로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셋업 방법(400)을 설명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401에서 시작된다. 기능 블록(403)에서, 도 1의 PSTN 인터페이스(109)는 통신 다비이스(107)에서 오프 후크 상태를 검출한다. 기능 블록(405)에서는, 도 1 의 인핸스먼트 디바이스(111)가 상기 검출하는 스텝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비트 스트림을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채널 상의 전송을 위해 송수신기(113)에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정 비트 스트림은 이전에 설명된 "고스트" 전화 번호이다. 기능 블록(407)에서, 고정 무선 기지국(103)은 상기 미리 결정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비트 스트림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 무선 기지국(103)은 상기 고정 무선 기지국(103)과 통신 디바이스(107)간의 통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을 기능 블록(409)에서 셋업한다. 다음에, 상기 미리 결정된 비트 스트림은 상기 고정 무선 기지국(103) 내의 DIA(121)상에 전달된다. 기능 블록(411)에서, DIA(121)는 상기 미리 결정된 비트 스트림을 통신 서비스 요청으로서 인식한다. 기능 블록(413)에서, DIA(131)는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도 1 의 유선 통신 시스템(105) 상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한다. 다음에, 상기 DIA(121)는 기능 블록(415)에서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 상의 무선 링크를 무선 통신 시스템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한다. 다음에, 통신 디바이스(107)는 기능 블록(417)에서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와 같이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다이얼 톤을 수신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기능 블록 419에서 이중 톤 멀티 주파수(DTMF) 코드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 상에서 유선 통신 시스템에 다이얼한다. 이 방법(400)은 421에서 종료된다.

Claims (7)

  1.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호 셋업(call setup)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 1 통신 디바이스의 오프 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무선 가입자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발생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링크 상으로 무선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요청으로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상기 무선 가입자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유선통신 시스템 사이에 통신 링크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통신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셋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호 진행 톤들 및 메시지들(call progress tones and announcements)을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셋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진행 톤들은 다이얼 톤을 포함하는, 호 셋업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호 셋업 장치에 있어서,
    제 1 통신 디바이스에서 오프 후크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으로 미리 결정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무선 송신기와;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기지국 내의 무선 수신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 내의 액세스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전화 번호를 서비스에 대한 요청으로서 인식하는 수단과;
    상기 인식하는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링크를 요청하고, 상기 오디오 링크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상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링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번호를 다이얼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호 셋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호 진행 톤들과 메시지들(call progress tones and announcements)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재전송하는 제 2 송신기를 더 구비하는, 호 셋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진행 톤들은 다이얼 톤을 포함하는, 호 셋업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인, 호 셋업 장치.
KR10-1998-0700122A 1996-05-09 1997-05-07 통신시스템의호셋업방법및장치 KR100455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9692.0 1996-05-09
GB9609692.0 1996-05-09
GB9609692A GB2313016B (en) 1996-05-09 1996-05-09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setting up a call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822A KR19990028822A (ko) 1999-04-15
KR100455974B1 true KR100455974B1 (ko) 2005-02-07

Family

ID=1079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122A KR100455974B1 (ko) 1996-05-09 1997-05-07 통신시스템의호셋업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05329B1 (ko)
EP (1) EP0838121B1 (ko)
JP (1) JPH11509713A (ko)
KR (1) KR100455974B1 (ko)
CN (1) CN1121798C (ko)
BR (1) BR9702242A (ko)
CA (1) CA2226431C (ko)
DE (1) DE69727187T2 (ko)
GB (1) GB2313016B (ko)
HU (1) HU219699B (ko)
IL (1) IL122582A (ko)
RU (1) RU2212117C2 (ko)
WO (1) WO19970427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060B1 (ko) * 1998-09-16 2001-01-15 윤종용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 안내 메시지 제공 방법
CA2316076C (en) 2000-08-16 2004-02-17 Stephen Sean Ospalak System for interfacing a conventional telephone installation to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US7480503B2 (en) * 2004-06-21 2009-01-20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CN105141789B (zh) * 2015-07-28 2018-04-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陌生号码标记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6510B (en) * 1993-01-19 1994-07-11 Novatel Comm Ltd Wireline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US5475735A (en) * 1993-12-02 1995-12-12 Motorola, Inc. Method of providing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with local mobility for a subscribed unit
AU3428595A (en) * 1994-10-31 1996-05-09 Alcatel N.V. Communication system
SE504356C2 (sv) * 1995-05-31 1997-01-2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etablera en förbindelse i ett telesystem
WO1996039786A2 (en) * 1995-06-05 1996-1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ity adjunct f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FI101508B (fi) * 1995-09-29 1998-06-30 Nokia Mobile Phones Ltd Kiinteän viestintäverkon solukkolaajennus
FI103169B1 (fi) * 1995-11-24 1999-04-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tietoliikenneyhteyden muodosta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6431C (en) 2005-07-26
GB2313016A (en) 1997-11-12
DE69727187D1 (de) 2004-02-19
HUP9900455A2 (hu) 1999-06-28
IL122582A0 (en) 1998-06-15
GB9609692D0 (en) 1996-07-10
EP0838121B1 (en) 2004-01-14
CN1197580A (zh) 1998-10-28
JPH11509713A (ja) 1999-08-24
CN1121798C (zh) 2003-09-17
CA2226431A1 (en) 1997-11-13
KR19990028822A (ko) 1999-04-15
EP0838121A2 (en) 1998-04-29
BR9702242A (pt) 1999-02-17
WO1997042777A3 (en) 1997-12-18
HUP9900455A3 (en) 1999-11-29
DE69727187T2 (de) 2004-11-04
RU2212117C2 (ru) 2003-09-10
US6205329B1 (en) 2001-03-20
GB2313016B (en) 2000-06-28
IL122582A (en) 2000-11-21
WO1997042777A2 (en) 1997-11-13
HU219699B (hu)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117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y de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81472B1 (en) TDD/TTY-digital access
KR100476732B1 (ko) 아날로그 통신 장비용 디지털 무선 전화 시스템 인터페이스
US5913176A (en) System for virtual connection to dedicated PSTN lines
JPH06500452A (ja) 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機器及び移動電話機への着呼を処理する方法
US5953676A (en)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riginating a call
WO1998033337A2 (en) Wireless access system with did and aiod functions
FI101028B (fi) Menetelmä kiinteän verkon tilaajalaitteen, kuten puhelinkojeen kytkemi seksi WLL-järjestelmään sekä menetelmän toteuttava radioyksikkö ja rad ioverkko
FI97670C (fi) Menetelmä rekisterin uudelleenkutsun aikaansaamiseksi radiojärjestelmässä, tilaajalaite ja tilaajaverkkoelementti
KR100455974B1 (ko) 통신시스템의호셋업방법및장치
KR100203355B1 (ko)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
JP2775846B2 (ja) 時分割多重化装置
AU5766999A (en) System supporting data/fax connection with a dual mode mobile telephone
WO19980387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terminal equipment units using a fixed wireless terminal
WO1997049257A1 (en)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testing and maintaining a communication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2514869A (ja) 固定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ダイヤルされる番号の桁長さを判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32375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운용 방법
JPS63182924A (ja) 移動無線通信方式
GB2313017A (en)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JPS61177038A (ja) 移動通信方式
JPS61154232A (ja) 移動通信方式
WO1998027757A2 (en) Method of passing a pbx station directory number over an air interface
JPS60250756A (ja) 国際自即電話方式
CN1192108A (zh) 无线本地回路系统及其拨号方法和终端设备
JPH04263550A (ja) 発信者電話番号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