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877B1 -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877B1
KR100455877B1 KR10-2002-0040485A KR20020040485A KR100455877B1 KR 100455877 B1 KR100455877 B1 KR 100455877B1 KR 20020040485 A KR20020040485 A KR 20020040485A KR 100455877 B1 KR100455877 B1 KR 10045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nitored
monitoring
monitored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149A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재테크
Priority to EP0275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423833A4/en
Priority to US10/482,959 priority patent/US7412078B2/en
Priority to CNB028144708A priority patent/CN100409271C/zh
Priority to JP2003514519A priority patent/JP3979499B2/ja
Priority to PCT/KR2002/001347 priority patent/WO2003009251A1/en
Publication of KR2003000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찰 순찰차, 경비업체 차량, 택시 등 운행중인 차량에 카메라를 포함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비를 탑재하고, 카메라를 통해 운행 또는 주정차 중인 다른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한 후 그 차량의 도난, 수배, 번호판의 변조여부 등을 확인하여 해당 차량에 문제가 있는 경우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난차량 및 수배차량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문검색의 방식이 아닌 감시 차량의 운행중에 직접 피감시 차량인 다른 차량의 문제 여부 파악이 가능함으로 범죄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automatic recognizing licence number of other vehicles on observatio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도난, 수배, 번호판의 변조여부 등을 감지함으로써, 문제가 있는 차량을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인식(차량 감시)은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주요 도로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를 통해 할 수 있었으며, 경찰이나 감시원이 눈으로 차량 번호, 색깔 등을 확인 후 무전으로 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차량을 확인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한계를 인정할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요 도로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는 그 위치가 고정적이라 상당수가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에서 문제 차량을 감시 카메라로 포착한다 하여도 이를 통한 해당 차량의 검거로 연결시키기에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고, 검거 요원과 문제 차량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 경찰, 단속 요원 등 사람이 직접 감시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지속적인 감시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시 기간 내에도 완벽한 감시를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순간적인 차량의 발견시에 해당 차량이 문제 차량인지 파악하기도 어렵고, 문제 차량을 발견한다 하여도 자료로 남기기 어려워 실제 활용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장착된 감시 차량에 의해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그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여 문제가 있는 차량을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감시 차량과 서버 컴퓨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루틴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시 차량과 서버 컴퓨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감시 차량과 서버 컴퓨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피감시 차량
200 : 감시 차량
300 : 통신망
400 : 서버 컴퓨터
500 : 처리기관 컴퓨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받아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과, 감시수단에서 추출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과;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통신망을 통해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시스템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며, 서버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불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의 발견을 기록하는 감시수단과, 서버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수신받고, 서버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과;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각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며, 통신망을 통해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시스템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수신받아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과;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통신망을 통해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감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와; (2)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3)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4)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5)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6)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통보하는 단계와; (7)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8)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9)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서버 컴퓨터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법은, (A)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와; (B)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C)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 이후,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서버 컴퓨터로부터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에서 제공된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D)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추출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E)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알리는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와; (F)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G)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H)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은, (a)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와; (b)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d) 서버 컴퓨터에서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e) 서버 컴퓨터에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f)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통보하는 단계와; (g)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i)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단계(a)는, (a1) 감시 차량의 운전자/동승자, 또는 이동식(휴대용) 카메라 소지자가 직접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고,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감시수단과 연결한 후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감시수단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은, 피감시 차량(100),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비를 탑재한 감시 차량(200), 정보의 전달을 위한 통신망(300), 차량번호 자동인식에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고 감시 차량(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400),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를 포함한다.
감시 차량(200)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하는 카메라(210)와,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받아 문자/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220)과, 감시수단(220)에서 추출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2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감시 차량(200)으로는 경찰 순찰차, 경비업체 차량, 택시 등 운행중인 차량이 이용된다.
또한, 감시 차량(200)에 탑재된 카메라(210)가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을 촬영할 때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자동 감지에 의한 카메라 촬영 방식을 사용한다. 즉, 카메라(210)에 부착되거나 또는 감시 차량(200)의 다른 곳에 위치한 감지 센서(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피감시 차량(또는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의한 촬영 방식을 사용한다. 즉, 감시 차량(200)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피감시 차량(100)을 발견하여 촬영 스위치를 누르고, 촬영 스위치 동작을 인지한 카메라(210)가 촬영하는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서버 컴퓨터(400)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특정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부터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즉, 도난이나 수배, 번호판 위조 등)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예를 들어, TRS(Trunked Radio System)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로 전송한다.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400)는, 특정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현재 위치 등)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감시 차량(2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조작부(221)는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200)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23)로 출력한다.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는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223)로 출력한다.
제어부(223)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차량번호 인식부(224)로 출력하여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추출을 제어하고, 차량번호 인식부(224)에서 추출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휴대용 통신기기(230)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차량번호 인식부(224)는 제어부(223)의 제어에 따라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를 통해 입력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225)는 감시 수단(2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카메라(210)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226)는 제어부(223)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230)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출력부(227)는 제어부(223)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230)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8)는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223)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휴대용 통신기기(230)로 출력하며, 휴대용 통신기기(230)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223)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410)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메인제어부(420)로 출력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부터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수신받아 메인제어부(420)로 출력하며, 메인제어부(420)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 전송한다.
메인제어부(420)는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430)는 메인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루틴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감시 차량(200)에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추출된 차량번호를 토대로 서버 컴퓨터(400)에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감시 차량(200)의 처리 가능 여부에 따라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해당 감시 차량(200) 또는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보하여 처리하도록 하는것으로서,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비(카메라, 감시수단, 휴대용 통신기기 등)를 구비한 특정 감시 차량(200)에서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S102),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다(S104).
이때,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은 감시 차량(200)이나 카메라(2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감시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한 후 카메라(210)로 촬영하거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촬영범위 내의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 카메라(210)를 조작하여 촬영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210)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한 이후,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감시수단(220)의 제어부(223)에서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데이터를 차량번호 인식부(224)로 출력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한다(S106).
상술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추출과정을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번호 인식부(224)에서는 제어부(223)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에서 카메라(210)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S106a).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메라(210)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에서 번호판 영역 추출을 위한영상(예를 들어, 해상도 640×480)을 획득하고(S106a-1), 상술한 단계(S106a-1)에서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을 수행(예를 들어, 해상도 640×240)하여 카메라 움직임에 의한 화질 저하를 완화시키고(S106a-2), 번호판 영역 추출에 적합한 해상도의 선택을 위해 다운 샘플링된 영상을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예를 들어, 640×240, 320×120, 160×60, 80×30)하며(S106a-3),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한 이후 번호판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의 정도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며,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프로젝션 영상 생성 및 가로/세로 프로젝션 영상과 번호판의 가로/세로 비율(aspect ratio)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고(S106a-4),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른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S106b)를 수행하거나(S106a-5),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카메라의 상하좌우 위치정보 및 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감시수단(220)의 제어부(223)에서 카메라(100)를 제어하도록 한다(S106a-6). 즉,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을 촬영하는 단계(S104)(후술되는 제 2 실시예에서는 S204 단계, 제 3 실시예에서는 S304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S106a)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 이후에는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한다(S106b).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번호 인식부(224)에서는 상술한 단계(S106a)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S106b-1), 그레이 레벨로 변환한 번호판 영역에 수평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한 후(S106b-2), 수평 히스토그램 적용에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 수직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번호판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문자를 추출하며(S106b-3), 상술한 단계(S106b-2)(S106b-3)의 수평/수직 히스토그램 적용을 통해 추출된 개별 문자를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처리한 후 다음 단계(S106c)를 수행한다(S106b-4).
상술한 단계(S106b)를 통해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한 이후에는 추출된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S106c).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술한 단계(S106b)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후(S106c-1),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고(S106c-2),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후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하며(S106c-3),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한 이후 매핑된 각 개별 문자의 값을 정규화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S106c-4). 이때, 매핑된 각 차원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므로 문자의 크기를 정규화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단계(S106c)를 통해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한 이후에는 추출된 특징 벡터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S106d). 이때, 개별 문자 영역에서 추출한 특징 벡터를 토대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할 때에는, 모듈화 신경망을 이용한 패턴 학습을 통해 인식된 여러 가지의 문자 중에서 가장 유사도가 높은 문자를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로 선택한다.
이제, 상술한 단계(S106)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이후, 감시수단(220)에서는 추출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28)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230)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108).
서버 컴퓨터(400)에서는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수신한다(S110).
이후 서버 컴퓨터(400)의 메인제어부(420)에서는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인지를 판단한다(S112).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가 아니면, 메인제어부(420)에서는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하여 최신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430)를 갱신한다(S114).
상술한 단계(S112)의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이거나, 또는 상술한 단계(S114)를 통해 최신정보를 갱신한 이후, 메인제어부(420)에서는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고(S116), 비교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가 있는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118).
판단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메인제어부(420)에서는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를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감시 차량(200)으로 전송한다(S120).
이때,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서버 컴퓨터(400)로 차량 조회 요청이 수행되었음을 알고 있는 경우, 감시 차량(200)의 감시수단(220)에서는 표시부(226) 또는 음성출력부(227)를 통해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문제가 없음을 통보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하도록 하며,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 조회 요청이 수행되었음을 모르고 있는 경우, 감시 차량(200)의 감시수단(220)에서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를 수신받았음을 기록한다.
그러나, 상술한 단계(S118)의 판단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면, 메인제어부(420)에서는 감시 차량(200)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122). 즉,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 능력이 있는 차량(예를 들어, 경찰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감시 차량(200)에서 직접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으면, 메인제어부(420)에서는 감시 차량(200)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S124), 감시 차량(200)에서 주어진 처리절차에 따라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126).
그러나, 상술한 단계(S122)의 판단 결과, 해당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능력이 없어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라면, 메인제어부(420)에서는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경찰 등의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보하여(S128), 해당 처리기관에서 감시 차량(200)으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130).
마지막으로, 감시 차량(200) 또는 관련 처리기관 측의 차량에서는 특정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며, 마찬가지로 서버 컴퓨터(400)에서도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요청된 피감시 차량(100)의 조회 결과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의 구성과 비교해 볼 때 부호 및 명칭이 동일하지만, 감시 차량(200)에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감시 차량(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바로 확인하는 기능상의 차이점이 있다.
즉, 감시 차량(200)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210a)와, 카메라(210a)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며, 서버 컴퓨터(400)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불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의 발견을 기록하는 감시수단(220a)과,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수신받고, 서버 컴퓨터(400)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230a)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감시수단(220a)은, 카메라(210a)로 촬영하여 추출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감시 수단(220a)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현재 위치 등)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서버 컴퓨터(400)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해 각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 전송하며,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감시 차량(2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조작부(221a)는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23a)로 출력한다.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a)는 카메라(210a)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223a)로 출력한다.
제어부(223a)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a)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부(224a)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차량번호 인식부(224a)를 통해 추출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 출력을 제어하며, 서버 컴퓨터(400)로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불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의 발견을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한다.
차량번호 인식부(224a)는 제어부(223a)의 제어에 따라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a)를 통해 입력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225a)는 감시 수단(220a)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카메라(210a)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제어부(223a)의 제어에 따라 문제 차량의 발견을 저장한다.
이때,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25a)에서 갱신, 관리하는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는, 이동이 간편한 저장매체인 컴팩트 디스크(CD)를 활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226a)는 제어부(223a)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출력부(227a)는 제어부(223a)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8a)는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휴대용 통신기기(230a)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어부(223a)로 출력하며, 제어부(223a)의 제어에 따라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410a)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 전송하며,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부터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수신한다.
메인제어부(420a)는 데이터 통신부(410a)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a)에 저장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데이터 통신부(410a)를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부터 수신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a)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430a)는 메인제어부(420a)의 제어에 따라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로부터 수신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감시 차량(200)에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감시 차량(200) 내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감시 차량(200)의 처리 가능 여부에 따라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운전자/동승자에게 바로 통보하거나, 또는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보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비(카메라, 감시수단, 휴대용 통신기기 등)를 구비한 특정 감시 차량(200)에서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S202),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카메라(210a)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다(S204).
이때,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은 감시 차량(200)이나 카메라(210a)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감시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한 후 카메라(210a)로 촬영하거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 카메라(210a)를 조작하여 촬영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210a)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한 이후,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감시수단(220a)의 제어부(223a)에서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a)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데이터를 차량번호 인식부(224a)로 출력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한다(S206). 이때, 차량번호 인식부(224a)에서 수행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한 차량번호의 추출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량번호 추출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단계(S206)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이후, 감시수단(220a)에서는 감시수단(220a) 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인지를 판단한다(S208).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가 아니면, 감시수단(220a)의 제어부(223a)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8a)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측에서 제공하는 각종 문제 차량들의 최신정보를 요청하고(S210),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각종 문제 차량들의 최신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225a)를 갱신한다(S212).
상술한 단계(S208)의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이거나, 또는 상술한 단계(S210, S212)를 통해 최신정보를 갱신한 이후, 감시수단(220a)에서는 상술한 단계(S206)를 통해 추출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225a)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정보를 비교하고(S214), 비교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가 있는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216).
판단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감시수단(220a)에서는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226a) 또는 음성출력부(227a)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하도록 한다(S218).
그러나, 상술한 단계(S216)의 판단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면, 감시수단(220a)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220). 즉,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 능력이 있는 차량(예를 들어, 경찰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감시 차량(200)에서 직접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으면, 감시수단(220a)에서는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226a) 또는 음성출력부(227a)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여(S222), 감시 차량(200)에서 주어진 처리절차에 따라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224).
그러나, 상술한 단계(S220)의 판단 결과,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 능력이 없어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라면, 감시수단(220a)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8a)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230a)를 통해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전송하여(S226), 해당 처리기관에서 감시 차량(200)으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228).
마지막으로, 감시 차량(200) 또는 관련 처리기관 측의 차량에서는 특정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며, 마찬가지로 서버 컴퓨터(400)에서도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요청된 피감시 차량(100)의 조회 결과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의 구성과 비교해 볼 때 부호 및 명칭이 동일하지만, 감시 차량(200)에서 피감시 차량(100)을 촬영한 데이터를 전부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서버 컴퓨터(400)에서 해당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서버 컴퓨터(400) 내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상의 차이점이 있다.
즉, 감시 차량(200)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210b)와,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수신받아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220b)과, 카메라(210b)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230b)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시 차량(200)에 고정식으로 구비된 카메라(210b)를 통해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방법 이외에,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동승자, 또는 이동식(휴대용) 카메라 소지자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한 후,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감시수단(220b)에 연결하여 촬영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감시수단(220b)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서버 컴퓨터(400)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 전송하여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400)는 특정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200)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현재 위치 등)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감시 차량(20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조작부(221b)는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23b)로 출력한다.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b)는 카메라(210b)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223b)로 출력한다.
제어부(223b)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222b)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출력을 제어한다.
표시부(224b)는 제어부(223b)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출력부(225b)는 제어부(223b)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6b)는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223b)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10b)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 출력하며,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223b)로 출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410b)는 통신망(300)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고,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부터 카메라(210b)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메인제어부(420b)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 전송한다.
메인제어부(420b)는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 추출을 제어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100)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430b)는 메인제어부(420b)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처리기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차량번호 인식부(440b)는 메인제어부(420b)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서버 컴퓨터(400)에서 특정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감시 차량(200)의 처리 가능 여부에 따라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감시 차량(200) 또는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보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비(카메라, 감시수단, 휴대용 통신기기 등)를 구비한 특정 감시 차량(200)에서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S302), 감시 차량(200)에 구비된 카메라(210b)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하여 촬영한다(S304).
이때,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은 감시 차량(200)이나 카메라(210b)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감시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한 후 카메라(210b)로 촬영하거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피감시 차량(100)을 인식하고 카메라(210b)를 조작하여 촬영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210b)를 통해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포함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한 이후, 감시 차량(200)의 감시수단(220b)에서는 해당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26b)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306).
서버 컴퓨터(400)에서는 통신망(300)을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피감시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다(S308).
그리고, 서버 컴퓨터(400)의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받은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차량번호 인식부(440b)로 출력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도록 한다(S310). 이때, 차량번호 인식부(440b)에서 수행하는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한 차량번호의 추출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량번호 추출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번호 인식부(440b)에서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한 이후,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인지를 판단한다(S312).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가 아니면,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하여 최신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430b)를 갱신한다(S314).
상술한 단계(S312)의 판단 결과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가 유효기간 내의 최신정보이거나, 또는 상술한 단계(S314)를 통해 최신정보를 갱신한 이후,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상술한 단계(S310)를 통해 추출한 피감시 차량(100)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430b)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고(S316), 비교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가 있는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318).
판단 결과 피감시 차량(100)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를 데이터 통신부(410b)를 통해 해당 감시 차량(200)으로 전송한다(S320).
이때,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서버 컴퓨터(400)로 차량 조회 요청이 수행되었음을 알고 있는 경우, 감시 차량(200)의 감시수단(220b)에서는 표시부(224b) 또는 음성출력부(225b)를 통해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문제가 없음을 통보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하도록 하며,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 조회 요청이 수행되었음을 모르고 있는 경우, 감시 차량(200)의 감시수단(220b)에서는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해당 피감시 차량(100)에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를 수신받았음을 기록한다.
그러나, 상술한 단계(S318)의 판단 결과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이면,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감시 차량(200)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322). 즉,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 능력이 있는 차량(예를 들어, 경찰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감시 차량(200)에서 직접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으면,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감시 차량(200)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100)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S324), 감시 차량(200)에서 주어진 처리절차에 따라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326).
그러나, 상술한 단계(S322)의 판단 결과, 감시 차량(200)이 사법 처리 능력이 없어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직접 처리할 수 없는 경우라면, 메인제어부(420b)에서는 문제 발생 차량인 피감시 차량(100)의 정보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500)로 통보하여(S328), 해당 처리기관에서 감시 차량(200)으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100)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330).
마지막으로, 감시 차량(200) 또는 관련 처리기관 측의 차량에서는 특정 피감시 차량(100)의 촬영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며, 마찬가지로 서버 컴퓨터(400)에서도 감시 차량(200)으로부터 요청된 피감시 차량(100)의 조회 결과 및 처리 결과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단계(S304)를 통해 감시 차량(200)에 고정식으로 구비된 카메라(210b)를 사용하여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방법 이외에, 감시 차량(200)의 운전자/동승자, 또는 이동식(휴대용) 카메라 소지자가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한 후,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감시수단(220b)에 연결하여 촬영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피감시 차량(100)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감시수단(220b)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230b)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감시 차량을 통해 다른 차량을 감시하고 정보를 얻음으로써, 도난차량 및 수배차량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검문검색의 방식이 아닌 감시 차량의 운행중에 직접 피감시 차량인 다른 차량의 문제여부 파악이 가능함으로 범죄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9)

  1. 감시 차량을 이용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받아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과, 감시수단에서 추출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은,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조작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
    상기 촬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을 제어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촬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감시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휴대용 통신기기로 출력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신받으며, 메인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특정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현재 위치 등)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5. 감시 차량을 이용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며, 서버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불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의 발견을 기록하는 감시수단과, 서버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수신받고, 서버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각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은,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조작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을 제어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의 통지가 불가능한 경우 문제 차량의 발견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촬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감시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문제 차량의 발견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휴대용 통신기기로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은,
    카메라로 촬영하여 추출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감시 수단에 연결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9. 감시 차량을 이용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차량번호를 토대로 문제 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수신받아 문자, 음성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안내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구비된 감시 차량;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주기적으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감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은,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감시 차량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키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키조작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입력받는 촬영 데이터 입력부;
    상기 촬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로 촬영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기기로 출력하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메인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 차량의 통제, 관리를 수행하는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을 제어하고,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며, 피감시 차량의 문제 발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해당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감시 차량에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난, 수배된 각종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할 때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해당 감시 차량에서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감시 차량에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경찰, 폐차사업소, 구청 등의 처리기관 컴퓨터로 문제 차량으로 확인된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은,
    감시 차량의 운전자/동승자의 조작, 또는 이동식(휴대용) 카메라 소지자를 통해 촬영한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다운로드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4.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있어서,
    (1)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
    (2)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3)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추출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4)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5)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6)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통보하는 단계;
    (7)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8)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9)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는,
    (2-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2-2)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2-3) 추출된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2-4)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1)는,
    (2-1-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에서 번호판 영역 추출을 위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2-1-2) 상기 단계(2-1-1)에서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여 카메라 움직임에 의한 화질 저하를 완화시키는 단계;
    (2-1-3) 번호판 영역 추출에 적합한 해상도의 선택을 위해 다운 샘플링된 영상을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하는 단계;
    (2-1-4)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한 이후, 번호판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의 정도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통해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며,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프로젝션 영상 생성 및 가로/세로 프로젝션 영상과 번호판의 가로/세로 비율(aspect ratio)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2-1-5)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른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2-2)를 수행하는 단계; 및
    (2-1-6)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카메라의 상하좌우 위치정보 및 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의 제어부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2)는,
    (2-2-1) 상기 단계(2-1)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단계;
    (2-2-2) 그레이 레벨로 변환한 번호판 영역에 수평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하는 단계;
    (2-2-3) 수평 히스토그램 적용에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 수직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번호판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2-2-4) 상기 단계(2-2-2)(2-2-3)의 수평/수직 히스토그램 적용을 통해 추출된 개별 문자를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처리한 후 다음 단계(2-3)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3)는,
    (2-3-1) 상기 단계(2-2)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2-3-2)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후,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2-3-3)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후,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 및
    (2-3-4)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한 이후, 매핑된 각 개별 문자의 값을 정규화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19.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있어서,
    (A)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
    (B)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C)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추출 이후,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상기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서버 컴퓨터로부터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에서 제공된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D)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추출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알리는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
    (F)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G)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H)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2)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B-3) 추출된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B-4)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1)는,
    (B-1-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에서 번호판 영역 추출을 위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1-2) 상기 단계(B-1-1)에서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여 카메라 움직임에 의한 화질 저하를 완화시키는 단계;
    (B-1-3) 번호판 영역 추출에 적합한 해상도의 선택을 위해 다운 샘플링된 영상을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하는 단계;
    (B-1-4)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한 이후, 번호판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의 정도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며,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프로젝션 영상 생성 및 가로/세로 프로젝션 영상과 번호판의 가로/세로 비율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B-1-5)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른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B-2)를 수행하는 단계; 및
    (B-1-6)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카메라의 상하좌우 위치정보 및 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의 제어부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2)는,
    (B-2-1) 상기 단계(B-1)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단계;
    (B-2-2) 그레이 레벨로 변환한 번호판 영역에 수평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하는 단계;
    (B-2-3) 수평 히스토그램 적용에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 수직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번호판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4) 상기 단계(B-2-2)(B-2-3)의 수평/수직 히스토그램 적용을 통해 추출된 개별 문자를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처리한 후 다음 단계(B-3)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3)는,
    (B-3-1) 상기 단계(B-2)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B-3-2)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후,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B-3-3)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후,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4)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한 이후, 매핑된 각 개별 문자의 값을 정규화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4.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있어서,
    (a) 감시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는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단계;
    (b)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d)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e) 서버 컴퓨터에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통보하는 단계;
    (g)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h)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i)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2)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3) 추출된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c-4)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1)는,
    (c-1-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가 포함된 촬영 데이터에서 번호판 영역 추출을 위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1-2) 상기 단계(c-1-1)에서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여 카메라 움직임에 의한 화질 저하를 완화시키는 단계;
    (c-1-3) 번호판 영역 추출에 적합한 해상도의 선택을 위해 다운 샘플링된 영상을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하는 단계;
    (c-1-4)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한 이후, 번호판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의 정도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며,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프로젝션 영상 생성 및 가로/세로 프로젝션 영상과 번호판의 가로/세로 비율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c-1-5)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른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c-2)를 수행하는 단계; 및
    (c-1-6)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영상에서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카메라의 상하좌우 위치정보 및 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시 차량에 구비된 감시수단의 제어부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2)는,
    (c-2-1) 상기 단계(c-1)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단계;
    (c-2-2) 그레이 레벨로 변환한 번호판 영역에 수평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하는 단계;
    (c-2-3) 수평 히스토그램 적용에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 수직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번호판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c-2-4) 상기 단계(c-2-2)(c-2-3)의 수평/수직 히스토그램 적용을 통해 추출된 개별 문자를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처리한 후 다음 단계(c-3)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3)는,
    (c-3-1) 상기 단계(c-2)를 통해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c-3-2)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후,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는 단계;
    (c-3-3)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후,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 및
    (c-3-4) 6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한 이후, 매핑된 각 개별 문자의 값을 정규화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29.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에 있어서,
    (a1) 감시 차량의 운전자/동승자, 또는 이동식(휴대용) 카메라 소지자가 직접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운행 또는 주정차중인 피감시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촬영하고, 이동식(휴대용) 카메라를 감시수단과 연결한 후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감시수단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b1) 카메라로 촬영한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1)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부터 피감시 차량의 촬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촬영 데이터를 토대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d1)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피감시 차량의 문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부터 최신의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e1) 서버 컴퓨터에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차량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1)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이 아님을 통보하는 단계;
    (g1)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차량으로 확인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에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h1)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감시 차량으로 해당 피감시 차량이 문제 발생 차량임을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i1) 감시 차량에서 문제가 발생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서버 컴퓨터에서 관련 처리기관 컴퓨터로 해당 피감시 차량의 정보를 통보하여 문제가 발생된 피감시 차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 방법.
KR10-2002-0040485A 2001-07-18 2002-07-11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 및 방법 KR10045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758893A EP1423833A4 (en) 2001-07-18 2002-07-18 SYSTEM FOR THE AUTOMATIC RECOGNITION OF IDENTIFICATION OF OTHER VEHICLES ON OBSERVATIVES AND METHOD THEREFOR
US10/482,959 US7412078B2 (en) 2001-07-18 2002-07-18 System for automatic recognizing license number of other vehicles on observatio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CNB028144708A CN100409271C (zh) 2001-07-18 2002-07-18 在观察车辆上自动识别其他车辆牌照号的系统及其方法
JP2003514519A JP3979499B2 (ja) 2001-07-18 2002-07-18 監視車両を利用した被監視車両の車両番号の自動認識システム及び方法
PCT/KR2002/001347 WO2003009251A1 (en) 2001-07-18 2002-07-18 System for automatic recognizing licence number of other vehicles on observatio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3189 2001-07-18
KR1020010043189 2001-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49A KR20030009149A (ko) 2003-01-29
KR100455877B1 true KR100455877B1 (ko) 2004-11-06

Family

ID=2771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485A KR100455877B1 (ko) 2001-07-18 2002-07-11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993A1 (en) *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Multi-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1422217B1 (ko) 2014-06-16 2014-08-13 (주)샤인정보통신 차량 번호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94B1 (ko) * 2003-12-26 2008-03-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컬러 영상 처리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KR100727031B1 (ko) * 2006-10-27 2007-06-12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전용차로 단속시스템
KR100785759B1 (ko) * 2007-01-17 2007-12-18 주식회사 진성아이엔티 차량 탑재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KR100839815B1 (ko) * 2007-03-08 2008-06-19 렉스젠(주) 차량번호 인식 및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및 검색방법
KR100851900B1 (ko) * 2007-03-29 2008-08-13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이동식 교통정보 검지 시스템
KR100770157B1 (ko) * 2007-03-29 2007-10-25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이동형 차량번호 판독 및 증거수집 시스템
KR101034532B1 (ko) * 2010-06-01 2011-05-12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지능형 원격 차량 감시 시스템
KR101783982B1 (ko) * 2012-01-31 2017-10-1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차량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4514B1 (ko) * 2013-04-17 2015-02-23 (주)파슨텍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탐지 시스템
KR101428011B1 (ko) * 2013-11-21 2014-08-07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의 차량 인식정보 통합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53386B1 (ko) * 2013-11-28 2014-10-22 백청열 차량 지능형 검색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3761879B (zh) * 2014-01-24 2016-07-27 深圳市华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套牌识别方法及系统
KR101525151B1 (ko) * 2014-04-04 2015-06-10 주식회사 태건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05117096B (zh) * 2015-07-27 2018-10-16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反跟踪方法及装置
KR101859402B1 (ko) * 2017-12-14 2018-05-18 주식회사 딥스 터널 내 카메라 간 물체 연계 추적 및 차선 변경 차량 탐지 방법
KR102008283B1 (ko) * 2019-01-23 2019-08-07 (주)토페스 번호판인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번호판인식장치
KR102604009B1 (ko) 2021-06-01 2023-11-22 주식회사 엠제이비전테크 차량번호판 위조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631367B1 (ko) * 2023-04-20 2024-02-01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 영역 자동 등록, 줌배율 데이터 초기화 및 실시간 갱신을 위한 단속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15499B1 (en) * 2023-08-30 2024-02-27 Hayden A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icense plate recogn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993A1 (en) *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Multi-vehicle surveillance system
US9162606B2 (en) 2011-12-28 2015-10-20 Intel Corporation Multi-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1422217B1 (ko) 2014-06-16 2014-08-13 (주)샤인정보통신 차량 번호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149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9499B2 (ja) 監視車両を利用した被監視車両の車両番号の自動認識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55877B1 (ko) 감시 차량을 이용한 피감시 차량의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 및 방법
CN111932693B (zh) 城市路侧停车场管理系统
CN103824452B (zh) 一种轻量级的基于全景视觉的违章停车检测装置
US20060200307A1 (en) Vehicl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KR102122859B1 (ko) 교통 영상감시시스템의 멀티 표적 추적 방법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587641A (zh) 车辆牌照检测与识别系统
CN111629181B (zh) 消防生命通道监控系统及方法
CN111613088A (zh) 停车计费管理系统及方法
KR102039279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한 경찰 업무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850B1 (ko) 딥 러닝 기반의 교통분석 및 차량번호 인식 솔루션
KR100948382B1 (ko)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68316B1 (ko) 다목적 문제차량 지능형 검색 및 자동 인식 통합 플랫폼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030012371A (ko) 통신망을 이용한 감시 카메라의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85759B1 (ko) 차량 탑재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Prasetyo et al. Optimiz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 developing of smart parking system
KR20200025384A (ko) 실시간 영상처리를 활용한 주차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40071479A (ko) 차량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100805782B1 (ko) 임베디드 비디오 서버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장치 및방법
KR102435435B1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번호 및 보행자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13593249A (zh) 基于移动平台的动态停车位车辆压线识别方法
KR20190061543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 중 셔틀 내 화물 정렬 방법
KR20190061548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의 4열 벨트 구조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