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557B1 -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557B1
KR100454557B1 KR10-2002-0023613A KR20020023613A KR100454557B1 KR 100454557 B1 KR100454557 B1 KR 100454557B1 KR 20020023613 A KR20020023613 A KR 20020023613A KR 100454557 B1 KR100454557 B1 KR 10045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ntory
company
product
ent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683A (ko
Inventor
신병철
장시웅
권우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장시웅
권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장시웅, 권우현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2-002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5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557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마켓플레이스(e-market place) 입점업체 간에 전자부품의 재고 공유를 통하여, 입점 업체의 재고 부담을 줄임으로써 입점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재고 공유 방법은 이-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한 입점 업체가 입점업체의 관리자 입력모드를 통하여 상품의 재고정보를 입력하면, 이-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입점업체 정보와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하며, 입점업체의 관리자 화면에는 자기업체가 보유한 상품의 재고와 다른 업체가 보유한 재고를 합한 재고량이 판매 가능한 수량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입점업체가 재고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고도 적극적으로 영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재고 정보 관리는 상품코드와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품코드는 입점업체가 입력하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품명을 조합하여 이-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품코드와 규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이 유일하게 식별된다. 상품판매시에 이윤의 배분은 상품을 판매한 업체와 재고를 보유한 업체간의 소정의 이윤 계산 방법에 의하여 배분된다.

Description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Inventory sharing method among paticipants in e-Market Place}
본 발명은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인 이-마켓플레이스(e-Market Place: e-MP)에서의 입점 업체간에 재고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하여 이-마켓플레이스의 입점업체 관리자 화면을 통하여 자사보유 재고량과 함께 이-마켓플레이스의 다른 입점업체가 보유한 총 재고량을 알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매요청이 있는 해당업체에 재고가 없을 경우 다른 입점업체의 물품을 대신 판매할 수 있도록 하되, e-MP홈페이지와 입점업체홈페이지 모두를 통해서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판매된 수익에 대하여는 재고보유업체와 판매업체 및 이-마켓플레이스가 일정비율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도록 함으로써, 입점 업체간에 재고 공유를 통한 적극적 영업을 유도하여 입점 업체 간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기업간 전자상거래에서는 이-마켓플레이스(e-Market Place : 이하 e-MP)를 통해서 임의의 업체가 물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상기 e-MP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입점업체가 자사가 보유한 물품에 대하여 그 종류와 재고량 및 가격등의 정보를 e-MP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시하면, 소비자가 이를 보고 구매신청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구매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입점업체는 자사가 보유한 재고량의 범위내에서 판매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e-MP를 통한 전자상거래에서는 입점 업체가 판매하기 위하여 등록한 재고량이 소진된 경우에는 구매신청이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구매신청에 대하여 항상 판매가 가능하도록 e-MP의 입점업체는 항상 일정량의 재고를 유지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물품 특히, 전자제품이나 의류등을 판매하는 입점업체가 해당물품을 대량으로 보유할 경우, 라이프 사이클이 지난 제품은 불용 재고가 되어 입점 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기존 e-MP의 경우에는, e-MP 도메인의 홈페이지에서 대부분의 거래가 이루어져 입점 업체가 독립성을 갖지 못하였고, 입점 업체간의 발전적인 경쟁체제가 형성되지 않아 e-MP 입점 업체간의 시너지 효과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한 입점 업체가 자기 업체의 관리자 입력모드를 통하여 상품의 재고정보를 입력하면, e-MP 서버는 입점업체 정보와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하며, 입점업체의 관리자 화면에는 자기업체가 보유한 상품의 재고와 다른 업체가 보유한 재고를 합한 재고량이 판매 가능한 수량으로 출력되고, 발주업체에 재고가 모자랄경우 자동으로 다른 업체로 나머지 재고량에 대한 발주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판매된 이익은 소정의 비율에 따라 e-MP와 발주업체가 배분함으로써, 입점업체가 재고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않고도 적극적으로 영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e-MP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종래의 e-MP에서는 대부분의 기업간 전자상거래가 e-MP에서 이루어져 입점업체의 독립성이 부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영업을 수행한 입점 업체의 홈페이지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입점 업체의 독립성을 최대한 제공하는 e-MP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마켓플레이스(e-Market Place)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마켓플레이스의 회원관리 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점업체의 재고정보 입력화면 도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고정보의 대분류 선택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고정보의 중분류 선택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고정보의 소분류 선택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고정보의 규격 입력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재고 정보 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주문의 처리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e-MP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은, 이-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한 입점 업체가 자기 업체의 관리자 입력모드를 통하여 상품의 재고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정보 입력과정과, 상기 판매정보 입력과정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e-MP 서버가 입점업체 정보와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하는 판매정보 정리과정과, 상기 판매정보 정리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입점업체의 관리자 화면에 자기업체가 보유한 제품에 대하여 자사 재고와 다른 업체가 보유한 재고를 합한 재고량을 판매 가능한 수량으로 출력시키는 재고량 표시과정과, 구매자로부터 주문이 있을 경우 입점업체에 발주량을 배분하되, 해당업체의 재고가 부족할 경우 다른 입점업체에게 재고부족분에 대하여 자동으로 발주하는 발주량 배분과정과, 발주량 배분과정을 통하여 요청된 발주량만큼 해당입점업체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과정과, 상기 판매 과정을 통하여 발생된 이윤에 대하여 상품발주량만큼 각 업체에 재고보유 비용을 지불하고 영업 업체에게는 별도의 영업 이윤을 더 배분하며, e-MP에게 중개비용을 배분하는 이윤 배분 과정으로 구성되다.
한편, 상기에서 구매자 그룹은 e-MP 입점 업체, e-MP 법인회원, e-MP 개인회원, 입점 업체 법인 회원, 입점 업체 개인회원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입점업체는 온라인 전문업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겸하는 입점 업체로 구분하고 입점 업체의 종류, 영업실적, 재고 보유량, 회원수 및 입점기간 등을 고려하여 입점 업체의 등급을 책정 관리하며, 상기 발주량 배분과정에서 구매자가 e-MP 회원인 경우에는 입점 업체 중 주문자와 가까운 지역에 있으면서 등급이 가장 높은 입점 업체에 상품이 발주되며, 구매자가 입점 업체 소속 회원일 경우 해당 입점업체에 상품을 발주하되, 그 업체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에는 차순위 등급의 업체에게 재고부족분에 대한 주문을 하고, 고객의 주문량이 만족될 때까지 입점 업체의 등급에 따라 연쇄적으로 발주를 한다.
그리고, 상기 입점 업체가 상품 재고를 등록하는 방법은 e-MP에서 입점업체에게 상품 제고를 등록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입점 업체가 입력한 분류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품에따라 6자리의 분류코드를 생성하며, 분류코드에 따라 규격(spec) 단위를 화면에 출력하고, 입점 업체가 규격 단위에 따라 규격을 입력하도록 한 후 분류코드와 순차번호를 결합하여 상품코드를 구성하며, 상품코드를 기본키로 해당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재고 정보를 입점 업체별 판매가능 수량 뷰, 이-마켓플레이스 뷰 및 입점업체 뷰로 나누어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재고보유 비용은 재고를 등록하는 입점업체가 입고가격과 배송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이 확보하여야 하는 비용을 재고 등록시에 기재하여, 등록하고, 판매가격은 e-MP에서 시장조사를 거쳐 일괄적으로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그 평균값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재고 공유를 가능케 하기 위해, 이-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입점 업체에게는 독립적인 홈페이지 주소와 자신만의 상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모드를 제공하며, 구매자는 각 입점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고, 이-마켓플레이스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MP에서 판매되는 물품을 전자제품을 예로써 살펴본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구매자 그룹(110), 입점 업체 그룹(120), e-MP 관리자 그룹, e-MP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매자 그룹(110)은 e-MP 입점업체(111), e-MP 법인회원(112), e-MP 개인회원(113), 각 입점업체의 법인회원(114) 및 개인회원(115)으로 구분되며, e-MP 입점업체는 전자부품을 판매하거나 다른 입점 업체로부터 물건을 구매하는 업체를 의미하고, e-MP 법인회원 및 개인 회원은 e-MP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 가입한 법인 및 개인 회원을 의미한다. 각 입점 업체의 법인회원 및 개인회원은 각 입점 업체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가입한 법인 및 개인회원을 의미한다.
입점업체 그룹(120)은 온라인 전용 입점 업체(121)와 온라인 겸 오프라인 입점업체로 구분되며, 온라인 전용 입점 업체는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지 않고 온라인만으로 거래를 수행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온라인겸 오프라인 입점업체는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면서 e-MP에 입점한 업체를 의미한다. e-MP의 입점 업체는 e-MP내에 입점한 다른 업체와 재고를 공유하며, 필요에 따라 공동 구매 및 공동판매를 수행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e-MP 서버에 구축된 자신의 홈페이지를 관리하고, 상품정보 및 재고 정보를 등록하거나 삭제하여 영업을 관리한다. e-MP 관리자는 e-MP 서버의 관리자 모드에 접속하여 입점 업체들의 재고 정보와 각종 요구 사항들을 모니터링하고 e-MP 운영 전략을 수정하고, 유지보수한다. e-MP 서버는 각종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 재고정보 DB, 부품정보 DB 및 회원정보 DB 등을 검색, 추가, 변경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e-MP 서버의 제어에 따라 재고정보 DB, 부품정보 DB 및 회원정보 DB 등을 유지보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재고 공유를 통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업체는 e-MP에 입점 업체로서 등록한 후(210), 재고 공유를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입점업체 관리자 모드를 이용하여 입점 업체 서버로 등록한다(220). 이후 구매 회원은 e-MP에 입점한 입점업체나 e-MP의 홈페이지에 회원으로 등록하고(230) 필요한 상품을 주문한다(240). 주문된 상품은 e-MP 서버에 의해 분석되어 상품을 주문한 회원이 소속한 입점업체에 상품이 발주된다(250). 만일 상품을 주문한 회원이 e-MP의 회원이면 입점 업체 중 주문자와 같은 지역(거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에 있으면서 가장 등급이 높은 업체에 상품이 주문된다. 모든 상품이 발주되면, e-MP는 고객에게 대금 결제를 요구하고, 고객이 원하는 방법에 따라 대금결제를 처리한다(26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마켓플레이스의 회원 관리체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마겟플레이스의 전체 회원은 e-MP 회원(310) 및 입점 업체의 회원(340)으로 구분된다. e-MP 회원은 모든 입점 업체에 가입한 것과 동일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e-MP(320)에 로그인하여 상품을 검색하면, 이-마겟플레이스에 입점한 모든업체의 상품정보를 볼 수 있다. 각 입점 업체의 회원은 자기가 가입한 입점 업체(330)의 정보와 재고가 공유되어 있는 다른 입점 업체의 정보를 볼 수 있다. 각 입점 업체의 회원은 자신이 가입한 입점 업체에서만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입점 업체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에는 입점 업체와 재고를 공유한 업체로부터 상품을 배송 받게 된다. e-MP 회원과 입점 업체 회원을 구분하는 이유는 e-MP와 각각의 입점 업체가 나름대로의 영업 방식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영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영업력에 따라 이윤을 배분함으로써, 입점 업체간에 경쟁을 유발하여 e-MP 전체의 영업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즉, e-MP가 영업하여 모집한 회원이 상품을 구매하면, 이-마켓플레이스는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품 발주는 입점 업체 중에서 수행하게되지만 영업 이윤은 e-MP에 배정하고, 상품을 발주한 업체는 재고보유 비용을 배당 받는다. 입점 업체가 모집한 회원이 상품을 구매하면, 해당 업체가 재고를 충분히 보유한 경우에는 판매가격에서 e-MP의 중개비용을 제외한 모든 비용이 입점업체로 배당되며, 입점 업체가 재고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업체는 e-MP의 중개비용을 제외한 영업 이윤을 배정 받고, 재고를 보유하여 상품을 발주한 입점업체가 재고보유 비용을 배당 받는다.
도4는 상품 재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폼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입점 업체는 본 입력 폼을 통해 자기 업체의 상품재고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다른 입점 업체와 재고를 공유하게 된다. 도4에서 대분류 버튼을 클릭하면 도5의 대분류 선택 예시도처럼 대분류의 항목들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원하는 대분류항목(FUNCTION-PARTs)을 선택한 후, 중분류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도6의 중분류 선택 예시도에서 처럼 선택된 대분류에 해당하는 중분류의 항목들이 나타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원하는 중분류 항목(RELAYS)을 선택한 후 소분류 버튼을 클릭하고, 도7의 소분류 선택 예시도에 나타난 항목 중 원하는 소분류 항목(SUBMINI ... RELAYs)을 선택한다. 이후, 입점 업체 코드를 입력하면, 도8에 예시된 것처럼 6자리의 분류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분류코드가 생성된 후 품명, 약어, 메이커를 입력하면, 해당 상품에 해당하는 규격(SPEC) 단위가 출력된다. 입점업체는 도8에 예시된 규격 단위에 따라 규격정보를 입력한 후 공유하고자 하는 재고량, 재고보유비용 및 기타 정보를 입력한다. 도 8의 11자리 상품코드는 6자리의 분류코드와 5자리의 순차코드로 구성되며, 입력된 분류정보와 규격정보는 11자리의 상품코드로 유일하게 식별된다. 입점업체가 입력화면을 이용하여 입력한 재고는 재고정보 DB 및 부품정보 DB에 저장된다. 등록된 재고는 입점 업체의 회원에 의하여 구매될 수도 있고, 다른 입점 업체나 e-MP 회원에 의해 구매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고 정보의 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입점 업체별 판매 가능 수량 뷰(910)는 이-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각각의 입점 업체가 판매할 수 있는 재고량을 의미한다. S사의 판매 가능 수량 뷰(911)는 S사가 보유한 재고량(931)뿐만 아니라 T사가 보유한 재고량(932)과 U사가 보유한 재고량(933)을 합친 형태가 된다. T사의 판매 가능 수량 뷰(912)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과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코드인 B코드와 C코드의 S사와 U사의 재고량을 합친 값이 된다. 즉, 입점업체의 홈페이지에는 자기 업체가 재고를 등록한 상품에 대해서만 e-MP가 보유한 수량이 나타나게된다. 따라서, 자신이 재고를 등록하지 않으면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 보완적으로 재고는 보유하지 않았지만 영업을 하고 싶은 입점 업체는 입점 업체의 재고량 뷰에 상품코드를 등록시키고 재고수량을 0(zero)으로하여 다른 입점 업체의 재고를 공유하여 영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재고량이 0(zero)인 입점 업체에 주문이 들어오면 재고를 보유한 업체에 상품을 발주하여 판매하도록 하고 재고를 보유하지 않은 입점 업체에게는 영업 이윤을 배분하고, 재고 보유로 상품을 발주한 입점 업체에게는 재고 보유 비용을 지불한다. 이-마켓플레이스 뷰는 각 입점 업체가 등록한 모든 재고를 보여주며, 입점업체 재고량 뷰는 각 입점 업체가 e-MP에 등록한 재고량을 입점업체별로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매자가 주문한 주문 내역의 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회원이 상품을 주문하면 (1001), e-MP 서버는 선정 업체 수를 1로 초기화(1002)하고, 누적 발주량을 0으로 초기화한다(1003). 주문자의 회원 구분을 파악하여(1004), 입점 업체 회원이면 해당 입점 업체를 선정하고(1005), 주문자가 e-MP 회원이면 입점 업체 중 우선순위가 높은 업체를 선정한다(1006). 우선순위는 주문자와 같은 지역의 입점업체에게 우선권을 주며, 같은 지역의 입점업체가 여러 개인 경우, 입점업체의 등급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입점 업체의 등급은 입점 업체의 종류, 영업실적, 재고 보유량, 회원수 및 입점기간에 따라 소정의 기준으로 상대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한다.
선정된 업체의 재고량이 고객의 주문량보다 많으면(1007), 선정업체의 발주량을 고객주문량으로 지정한다(1013). 선정 업체의 재고량이 고객주문량보다 작은경우, 선정된 업체의 발주량을 선정된 업체의 재고량으로 할당하고(1008), 누적 발주량의 값에 선정 업체의 발주량을 더한다(1009). 그리고 차순위 업체를 선정한 후(1010) 선정 업체 수 정보를 1 증가시킨다(1011). “누적 발주량 + 차순위로 선정된 업체의 재고량”이 고객 주문량보다 많으면(1012) 차순위 선정 업체의 발주량을 “고객주문량-누적발주량”으로 할당한다(1013). “누적발주량+차순위로 선정된 업체의 재고량”이 고객 주문량보다 적으면 1008의 과정부터 1011의 과정을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누적 발주량이 고객 주문량보다 많으면 발주 업체 선정을 종료하고, 발주량에 따른 선정 업체별 이익을 배분한다(1014). 그리고, 선정된 업체에게 할당된 발주량을 배송 하도록 요청한다(101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수히 많은 종류의 상품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분류코드를 생성하고, 분류 코드와 순차번호를 결합하여 상품코드를 구성한 후, 상품코드를 키값으로 재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입점 업체간에 재고를 공유하도록 하여, 입점 업체가 재고의 부담을 가지지 않고 영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적은량의 재고를 가지고도 대규모의 영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불용재고로 인한 재고부담을 줄여 입점 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통해서 입점업체와 구매자가 이-마켓플레이스의 서버에 접속하여 이-마켓플레이스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품을 판매 또는 구매하는 이-마켓플레이스를 통한 상거래에 있어서,
    이-마켓플레이스에 가입한 입점 업체가 자기 업체의 관리자 입력모드를 통하여 상품의 재고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정보 입력과정과,
    상기 판매정보 입력과정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e-MP 서버가 입점업체 정보와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하는 판매정보 정리과정과,
    상기 판매정보 정리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입점업체의 관리자 화면에 자기업체가 보유한 제품에 대하여 자사 재고와 다른 업체가 보유한 재고를 합한 재고량을 판매 가능한 수량으로 출력시키는 재고량 표시과정과,
    구매자로부터 주문이 있을 경우 입점업체에 발주량을 배분하되, 해당업체의 재고가 부족할 경우 다른 입점업체에게 재고부족분에 대하여 자동으로 발주하는 발주량 배분과정과,
    발주량 배분과정을 통하여 요청된 발주량만큼 해당입점업체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과정과,
    상기 판매 과정을 통하여 발생된 이윤에 대하여 상품발주량만큼 각 업체에 재고보유 비용을 지불하고 영업 업체에게는 별도의 영업 이윤을 더 배분하며, e-MP에게 중개비용을 배분하는 이윤 배분 과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매정보 정리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입점 업체의 종류, 영업실적, 재고 보유량, 회원수 및 입점기간에 따라 소정의 기준으로 상대 평가에 의하여 입점업체의 등급을 부여하고, 구매자를 e-MP 소속 회원과 입점 업체 소속 회원으로 구분하여, 상기 발주량 배분과정에서 구매자가 e-MP 회원인 경우에는 입점 업체 중 주문자와 가까운 지역에 있으면서 등급이 가장 높은 입점 업체에 상품이 발주되며, 구매자가 입점 업체 소속 회원일 경우 해당 입점업체에 상품을 발주하되, 그 업체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에는 차순위 등급의 업체에 주문이 발주되고, 고객의 주문량이 만족될 때까지 입점 업체의 등급에 따라 입점 업체에 연쇄적으로 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이-마켓플레이스의 입점업체에게 각각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제품의 판매 및 구매가 e-MP홈페이지와 입점업체홈페이지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정보 입력과정에서 e-MP서버는 입점 업체에게 상품 재고를 등록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입점 업체가 입력한 분류정보를 이용하여 각 제품에 해당하는 분류코드를 생성하며, 분류코드에 따라 규격(spec) 단위를 화면에 출력하여 입점 업체가 규격 단위에 따라 규격을 입력하도록 한 후, 규격코드와 순차번호를 연결하여 상품코드를 구성하며, 상품코드를 기본키로 해당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재고보유 비용은 재고를 등록하는 입점업체가 입고가격과 배송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이 확보하여야 하는 비용을 재고 등록시에 기재하고, 판매가격은 e-MP에서 시장조사를 거쳐 일괄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에서 재고는 보유하지 않았지만 영업을 하고 싶은 입점 업체는 입점 업체의 재고량 뷰에 상품코드를 등록시키고 재고수량을 0(zero)으로하여 다른 입점 업체의 재고를 공유하여 영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KR10-2002-0023613A 2002-04-30 2002-04-30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KR10045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613A KR100454557B1 (ko) 2002-04-30 2002-04-30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613A KR100454557B1 (ko) 2002-04-30 2002-04-30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83A KR20020064683A (ko) 2002-08-09
KR100454557B1 true KR100454557B1 (ko) 2004-11-05

Family

ID=2772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613A KR100454557B1 (ko) 2002-04-30 2002-04-30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884A (ko) * 2014-06-10 2017-03-29 이베이 인크. 조달 도구 상의 시장 리스트
KR20210025931A (ko) * 2019-08-28 2021-03-10 송정원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630259B1 (ko) * 2023-09-27 2024-01-29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재활용 플라스틱 판매 중개 시스템
KR102630263B1 (ko) * 2023-09-27 2024-01-29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업체 간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구매 중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99B1 (ko) * 2002-11-14 2007-01-04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인터넷을 통한 교품 시스템 및 방법
KR100981113B1 (ko) * 2008-04-16 2010-09-08 (주)이디지털큐브 통신망을 이용한 오더 공유 바터몰 운영 시스템
CN113723675B (zh) * 2021-08-20 2024-03-26 深圳依时货拉拉科技有限公司 一种零担揽件自动调度方法和计算机设备
KR20230165485A (ko) * 2022-05-27 2023-12-05 쿠팡 주식회사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899A (ja) * 1996-02-14 1997-08-19 Hitachi Ltd 商品の自動補充処理方法
KR19990071192A (ko) * 1998-02-27 1999-09-15 이부경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피오에스 시스템
WO2001012533A1 (fr) * 1999-08-11 2001-02-22 Nabelin Co., Ltd. Systeme de gestion de stocks
KR20010070546A (ko) * 2001-05-18 2001-07-27 염문수 Erp시스템과 자재수급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전문시스템 구축방법
KR20010076492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다수의 사이버 대리점들을 통합한 인터넷 쇼핑 몰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899A (ja) * 1996-02-14 1997-08-19 Hitachi Ltd 商品の自動補充処理方法
KR19990071192A (ko) * 1998-02-27 1999-09-15 이부경 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 피오에스 시스템
WO2001012533A1 (fr) * 1999-08-11 2001-02-22 Nabelin Co., Ltd. Systeme de gestion de stocks
KR20010076492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다수의 사이버 대리점들을 통합한 인터넷 쇼핑 몰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0546A (ko) * 2001-05-18 2001-07-27 염문수 Erp시스템과 자재수급 기업간 전자상거래(b2b) 전문시스템 구축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다로그[2001.11.17 보고서 참조]2001.11.17 *
카다로그[Moneytoday (증권,증권벤처)2000-08-10 참조]2000.08.1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884A (ko) * 2014-06-10 2017-03-29 이베이 인크. 조달 도구 상의 시장 리스트
KR20210025931A (ko) * 2019-08-28 2021-03-10 송정원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317543B1 (ko) * 2019-08-28 2021-10-25 송정원 타이어 재고관리를 통한 재고공유 방법
KR102630259B1 (ko) * 2023-09-27 2024-01-29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재활용 플라스틱 판매 중개 시스템
KR102630263B1 (ko) * 2023-09-27 2024-01-29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업체 간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구매 중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83A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Omnichannel retail operations with refurbished consumer returns
US6873967B1 (en) Electronic shopping assistant and method of use
US67515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de specification and match-making optimization
US20130151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Orders
US20120185357A1 (en) Centralized Database Supported Electronic Catalog and Order System for Merchandise Distribution
KR100454557B1 (ko)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US20030105676A1 (en) New order system
US20190147400A1 (en) Inventory Management Software System
US7440911B1 (en) Distributed quote management
JPH1125362A (ja) 商品流通システム
CA23892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de specification and match-making optimization
KR200000641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근거리지역 내에서의 물품판매 방법
Vaidyanathan et al. The impact of shopping agents on small business E-commerce strategy
KR20010070735A (ko) 온라인 구매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쇼핑 마일리지 통합시스템
KR20020013251A (ko) 전국망 쇼핑몰 구현방법
KR20000058714A (ko) 전국적인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한 전자상거래의 네트워크
JP2001243286A (ja) 販売管理システム
KR20040015903A (ko) 쇼핑몰 운영 및 쇼핑몰 관리 통합 솔루션
KR100656952B1 (ko) 구매순서에 따라 보상금액을 달리하는 반복적 보상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보상방법
KR102378240B1 (ko) 거래 보증 및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시공업체 통합 중개 시스템
KR20050003724A (ko) 다중판매가격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5033539B2 (ja) 職域販売処理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000063135A (ko) 단위 지역별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물적 상품의 전자유통 서비스
KR20010086780A (ko) 네트워크상의 가격결정시스템 및 가격결정방법
JP2001297236A (ja) 複数ディーラー(メーカー)の複数品種の商品又はサービス、及びオプション等の特性と価格の明示されたものを、消費者が希望の組み合わせで選択しその場で発注できる仕入販売方法とその決済・納品・経営方法及び順位可変選択肢絞込み検索エンジン付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