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355B1 -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355B1
KR100454355B1 KR10-2003-0000277A KR20030000277A KR100454355B1 KR 100454355 B1 KR100454355 B1 KR 100454355B1 KR 20030000277 A KR20030000277 A KR 20030000277A KR 100454355 B1 KR100454355 B1 KR 10045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lane
mobile game
mobile
game
qua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542A (ko
Inventor
신봉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게임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게임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게임빌
Priority to KR10-2003-000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3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전시키며 게임을 운영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은 모바일 게임의 운영 중 게임의 중단 없이 화면을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모바일 게이머가 상기 모바일 게임에 대해 흥미를 잃지 않고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은 모바일 게임 운영에 있어서 기준면은 하나 밖에 없다는 고정관념을 깸으로써, 모바일 게임 운영자 및 개발자들로 하여금 사고의 전환을 일으켜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모바일 게임의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Method of Operating Mobile Game through Changing Standard Surface}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전시키며 게임을 운영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모바일 게임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성장세 가운데, 모바일 게임의 컨텐츠로는 겔러그, 보글보글 및 테트리스 등의 종래 이미 개발되어 있던 오프라인 게임 뿐만 아니라, 현재 유행하고 있는 드라마나 영화 등이 게임의 소재로 쓰이고 있는데, 이는 게임 개발 기간이 짧은 모바일 게임만의 장점을 이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게임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급증하고 있는 모바일 게이머의 새로운 모바일 게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모바일 게임 컨텐츠의 개발 뿐만 아니라, 모바일 게임 고유의 장점을 발견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의 아랫면을 제1 사분면이라고 하며, 상기 제1 사분면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서 제2 사분면, 제3 사분면 및 제4 사분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사분면, 제2 사분면, 제3 사분면 및 제4 사분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면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각 사분면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구현되는 모바일 게임의 아랫면을 기준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땅에 나무가 심겨져 있는 화면을 구현하고 있는모바일 게임이라면 화면의 아래측에 위치하면서 땅과 평행한 면이 기준면이 될 것이다. 종래 오프라인 게임에서는 상기 기준면이 하나이며 고정적일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의해 운영되는 모바일 게임에서의 상기 기준면은 제1 사분면, 제2 사분면, 제3 사분면 또는 제4 사분면 중의 하나와 일치할 수 있으며, 고정적이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도 2a에서는 제1 사분면(21)이 기준면이 되지만, 도 2c에서는 제2 사분면(22)이 기준면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게이머의 새로운 모바일 게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컨텐츠의 개발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며, 이미 대중들에게 검증받은 오프라인 게임을 모바일 게임의 소재로 하는 것은 단순히 오프라인상의 게임을 모바일 게임으로 즐길 수 있다는 것일 뿐 모바일 게임만의 묘미를 살리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유행하고 있는 드라마 및 영화 등을 게임의 소재로 한 모바일 게임은 일시적으로 그 소재가 된 드라마 및 영화 등의 인기에 편승해서 대중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뿐, 그 소재가 된 드라마 및 영화 등의 인기가 시들해짐에 따라서 그 인기도 역시 하락될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게임의 컨텐츠 개발과 관련하여 오프라인 게임, 드라마 및 영화 등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모바일 게임만의 묘미를 살릴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따른 기준면 변경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1 사분면인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1 사분면에서 제2 사분면으로 변경되기 직전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2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3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4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한 것으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준면에서의 게임 운영 시간이 기준면 변경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상기 기준면 변경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동작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면을 제2 기준면으로 변경하는 단계(c)를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이다.
상기 단계(a)의 기준면 변경 시간은, 상기 제1 기준면이 상기 제2 기준면으로 변경되기 위한 최소 시간 값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b)의 동작 요청은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b)에서 요청되는 동작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총을 쏘는 게임에서는 총을 쏘는 행위가 상기 동작이 될 것이며, 장애물을 넘는 게임에서는 장애물을 넘기 위해 점프하는 행위가 상기 동작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c)의 제2 기준면은 상기 제1 기준면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1 기준면은 상기 모바일 게임의 중단 없이 상기 제2 기준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따른 기준면 변경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 게임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S11), 기준면 변경 시간, 즉 기준면을변경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였는지에 대해 판단하고(S12), 상기 단계 S12에서의 판단 결과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게임에 적합한 동작 요청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13). 상기 동작 요청은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 개의 버튼 중 동작을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 S13의 판단 결과 동작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동작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을 변경하게 된다(S14). 상기 단계 S12의 판단 결과,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및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단계 S13에서 판단한 결과, 동작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모바일 게임은, 기준면 변경없이 계속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1 사분면인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은 사람 형상의 메인 캐릭터가 자신의 앞에 있는 장애물을 점프하여 넘는 게임으로서 기준면을 제1 사분면(21)으로 하고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1 사분면에서 제2 사분면으로 변경되기 직전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의 메인 캐릭터가 장애물을 점프하여 넘는 과정을 일정한 시간에 걸쳐 반복한 후, 제2 사분면을 향하여 점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메인 캐릭터가 일정 시간, 즉 미리 설정된 기준면 변경 시간을 경과한 후 점프 동작을 요청함으로써, 기준면이 상기 제1사분면(21)에서 상기 제2 사분면(22)으로 변경된다. 상기 기준면 변경 시간은 모바일 게임의 초기값 설정시 정해질 수 있는 시간 값으로서, 상기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이 변경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면 변경 시간이 3분인 경우, 상기 모바일 게임은 제1 사분면(21)을 기준면으로 하여 진행되고, 상기 모바일 게임이 진행되기 시작한 지 3분이 지난 후에 점프를 위한 버튼이 동작되면 상기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은 상기 제1 사분면(21)에서 제2 사분면(22)으로 변경된다.
기준면이 변경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와 같이 기준면 변경 시간을 정해놓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캐릭터의 각 사분면에서의 위치가 특정 지점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된 후에 동작 요청이 있는 경우, 즉 동작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 기준면이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면 변경은 상기 모바일 게임의 중단 없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2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c에서는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의 화면에 비해 90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모바일 게임을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하였으나, 상기 모바일 게임의 메인 캐릭터는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한다. 즉,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는 모바일 게임의 기준면이 제1 사분면(21)이었으나, 상기 도 2c에서는 제2 사분면(22)으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3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기준면이 제4 사분면으로 변경된 경우의 모바일 게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을 실시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의 일실시예는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의 제1 사분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시작하는 게임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게임의 메인 캐릭터는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NOM'으로 호칭된다.
상기 모바일 게임은 상기 'NOM'이 상기 기준면 위를 일방향으로 달리며 수시로 생성되는 장애물을 점프하여 넘는 게임으로, 상기 모바일 게임을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 개의 버튼 중 한 개의 버튼을 동작 버튼으로 하여, 동작버튼만 누르면 상기 'NOM'이 점프하도록 하여 게임을 운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의 모바일 게임이다.
상기 'NOM'은 제1 속도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비해, 상기 기준면은 제2 속도로 상기 'NOM'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속도는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그 크기만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속도보다 다소 빠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NOM'이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점프하는 순간에는 상기 제1 속도가 아닌 상기 제2 속도로 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NOM'이 상기진행방향으로 제1 속도와 제2 속도의 절대값의 차이만큼의 속도로 진행하다가, 점프하는 순간에는 진행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상기 모바일 게이머의 입장에서 볼 때 제자리에서 점프한 듯한 느낌을 준다.
반면에, 상기 'NOM'이 상기 기준면 위에 생성되는 장애물을 넘지 못하고 부딪히는 경우에는 상기 'NOM'은 진행하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튕겨 나가게 되며, 동시에 상기 'NOM'의 에너지는 손실된다. 다만,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튕겨 나가는 정도 및 에너지 손실 정도는 장애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도록 하며, 에너지 회복 아이템을 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NOM'의 에너지가 보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NOM'이 기준면인 제1 사분면 위를 진행하던 중 사전에 설정된 기준면 변경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동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NOM'은 상기 기준면에서 점프하여 제2 사분면 위로 이동하게 되며, 모든 장애물은 상기 'NOM'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2 사분면 위에 생성된다. 즉, 제2 사분면이 상기 모바일 게임의 새로운 기준면이 되어 상기 모바일 게임이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흐른 뒤에 상기 동작 버튼을 누르면, 기준면은 제2 사분면에서 제3 사분면으로 변경되며, 상기 기준면이 계속해서 변경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게이머는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키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기준면 변경 시간은 상기 모바일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설정되며(예를 들어, 3분), 상기 'NOM'이 현재 기준면인 제1 사분면 위를 진행해가는 동안에는 상기 기준면 변경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분마다)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준면 변경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NOM'은 제1 사분면위에서 점프하여 제2 사분면으로 진행하며, 기준면은 상기 제1 사분면에서 상기 제2 사분면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상기 일실시예에서 기준면의 변경 순서가 제1 사분면, 제2 사분면, 제3 사분면 및 제4 사분면의 순서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며, 상기 모바일 게임의 운영자의 초기 설정에 의해 다양한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분면, 제3 사분면, 제2 사분면 및 제4 사분면의 순서로 기준면이 변경되도록 설정되었다면, 상기 'NOM'이 제1 사분면 위를 진행하던 중 기준면 변경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NOM'은 상기 제1 사분면으로부터 제3 사분면으로 점프하며, 상기 제3 사분면이 새로운 기준면이 되어 상기 모바일 게임이 진행된다.
기준면 변경 방식은,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준면 변경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작 버튼이 눌려지면 기준면을 변경하는 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NOM'이 각 사분면의 일정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NOM'이 상기 일정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고, 동작 버튼이 눌려지면 미리 설정된 다음 사분면으로 점프하는 방식에 의해 기준면을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면의 변경은 상기 모바일 게임의 중단 없이 게임이 진행되는 중간에 이루어지며, 게임이 중단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 개의 버튼 중에서 하나의 동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작시킬 수 있는 원 버튼 방식의 모바일 게임의 운영에 적합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은 모바일 게임의 운영 중 게임의 중단 없이 화면을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모바일 게이머가 상기 모바일 게임에 대해 흥미를 잃지 않고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은 모바일 게임 운영에 있어서 기준면은 하나 밖에 없다는 고정관념을 깸으로써, 모바일 게임 운영자 및 개발자들로 하여금 사고의 전환을 일으켜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모바일 게임의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준면에서의 게임 운영 시간이 기준면 변경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상기 기준면 변경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동작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면을 제2 기준면으로 변경하는 단계(c)를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기준면 변경 시간은, 상기 제1 기준면이 상기 제2 기준면으로 변경되기 위한 최소 시간 값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동작 요청은 상기 모바일 게임이 구현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제2 기준면은 상기 제1 기준면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제1 기준면은 상기 모바일 게임의 중단 없이 상기 제2 기준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KR10-2003-0000277A 2003-01-03 2003-01-03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KR10045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77A KR100454355B1 (ko) 2003-01-03 2003-01-03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77A KR100454355B1 (ko) 2003-01-03 2003-01-03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42A KR20040055542A (ko) 2004-06-26
KR100454355B1 true KR100454355B1 (ko) 2004-10-26

Family

ID=3734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277A KR100454355B1 (ko) 2003-01-03 2003-01-03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29B1 (ko) 2006-11-0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퍼즐 게임 실행 단말기 및 퍼즐 게임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29B1 (ko) 2006-11-0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퍼즐 게임 실행 단말기 및 퍼즐 게임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42A (ko)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455B2 (en) Interactive animation
US8435121B1 (en) Providing remote access to games designed for a single-machine experience
EP2044984A1 (en) Method for adjusting character ability value and server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218995A1 (en) Video game controller
US9675885B2 (en) Game system, a controlling method of the game system thereof,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2007075606A (ja) ボタン遭遇システム
JP200626306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CN107998654B (zh) 加速度的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20170095734A1 (en) Dual screen game controller with camera
EP2952235B1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game control program, matching server, matching control method, and matching control program
KR20210116567A (ko) 객체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저장 매체 및 전자 디바이스
KR100454355B1 (ko) 기준면 변경을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 방법
JP20131095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149658A (ja) ゲーム装置
JP2024514115A (ja) 仮想シーンにおける仮想スキルの制御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04314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7275992B2 (en) Mobile gaming
EP3469801B1 (en) Generating challenges using a location based game play companion applicaiton
WO2022264682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それに用いるゲーム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72447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3125A1 (zh) 一种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84286A (ko) 직소 퍼즐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2016030101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13752A (ko) 휴대기기용 블록 퍼즐 게임 및 그 이용방법
JP20221473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