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279B1 - 차량용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279B1
KR100452279B1 KR1019970004071A KR19970004071A KR100452279B1 KR 100452279 B1 KR100452279 B1 KR 100452279B1 KR 1019970004071 A KR1019970004071 A KR 1019970004071A KR 19970004071 A KR19970004071 A KR 19970004071A KR 100452279 B1 KR100452279 B1 KR 10045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needle
light source
light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02A (ko
Inventor
고이치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 B60K236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36Illuminated dial and pointer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에 있어서, 상기 빛을 바늘기부를 향하여 조사하는 광원을 바늘기부의 전면위치에 간격을 두어 형성시키는 구조로 하여, 바늘에 대한 광원의 발열영향을 적게함으로써 바늘의 열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바늘과 광원 상호간의 고치수 정도(精度)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 차량용 계기의 생산성, 조립 작업성의 용이성을 높인다. 그리고 바늘 조명용의 광원 및 복수의 경보 램프를 배치, 지지하는 강체기판과 계기구동회로 및 다른 경보 램프 등을 지지하는 플랙시블 프린트기판을 병설하여 그 기판에 있어서, 패턴선의 자유도를 높임과 아울러 경보 램프의 착탈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고 또 프론트 커버 내면 및 문자판 표면의 오손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차량 계기를 구성하는 어퍼 하우징(12)의 내측에는 강체기판(22)을 부착함과 아울러 그 강체기판(22)에 아날로그식 계기의 바늘(14A, 15A, 16A, 17A)을 반사조명시키기 위한 광원(23) 및 반사경(24)과 일부의 경보 램프, 즉 강체기판 부착램프를 접속, 유지시키는 소켓공(26), 및 그 회로 패턴(27)을 형성한다. 또한 어퍼 하우징(12)과 세트가 되는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반사광을 받아 발광하는 바늘(14A, 15A, 16A, 17A)을 구비하는 아날로그식 계기를 부착함과 아울러 그 아날로그식 계기 등에 접속되는 회로 패턴을 부착하여 구성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을 첨설한다. 또 이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 강체기판 부착램프의 탈착을 로우어 하우징(11)의 뒤측에서도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공(21)과 상기 강체기판과 협동하여 계기 문자판과 어퍼 하우징에 피착되는 프론트 커버(1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29)으로의 외기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차폐벽(30)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계기
(산업상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車輛)에 설비되어 있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때는 계기표면이 검게 되어 계기표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면 광원의 점등에 의하여 계기표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블랙 페이스(black face)타입의 차량용 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의 개략구조는, 발광(發光)되는 바늘 및 투과조명방식의 문자판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형 계기 유니트(unit)를 계기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또한 그 계기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開口部)에는 검정색 투명커버를 피착(被着)시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일 때에는, 발광형 계기 유니트를 불발광형상태로 하여 검정색 투명커버를 투과하는 계기 유니트 표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였고, 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는, 발광형 계기 유니트가 발광표시되어 이 발광표시가 검정색 투명커버를 투과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랙 페이스 타입에 사용되는 발광형 계기 유니트의 발광 표시는, 검정색 투명커버를 투과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특히 발광바늘로서 충분한 발광휘도(發光輝度)를 지니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발광바늘의 휘도를 충분히 확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조명구조가 특개평 6-2218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바늘조명구조는, 바늘(8)을 지지하는 회전 바늘 축(10)의 주위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發光 diode)로 이루어진 광원(9)을 배치하고 그 광원으로부터 조사(照射)되는 빛을 바늘기부(基部)에 형성한 수광부(受光部)에서 입사(入射)시켜 바늘(8)을 발광시킨다.
또한 블랙 페이스 미터(meter)와는 직접 관계는 없지만 바늘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개소 55-59317호가 고안되어 있다. 그 바늘조명구조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 회전축(1)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바늘(2)의 기부 정면측으로 오목 형상인 수광부(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조명기 지지체(照明器 支持體)(4)에는 통전용 기판(通電用 基板)(5)이 첨설(添設)되고, 이 통전용 기판(5)에 의하여 밸브 홀더(valv holder)(6)가 부착되어져 있으며 또 이 밸브 홀더(6)에는 상기의 수광부(3) 내로 접근, 위치하는 램프(7)를 결합, 유지시켜 램프(7)로부터의 빛을바늘기부에서 수광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특개평 6-221878호 기재의 블랙 페이스 계기에 있어서, 충분한 발광휘도(發光輝度)를 얻기 위하여 다수의 광원을 필요로 함으로써 원가 상승과 조명구조의 중량이 무거워짐과 아울러 바늘축의 주위에 복수의 광원을 배치하기 위하여 전면(前面)으로부터 광원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차폐판(遮蔽板)의 지름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됨으로써 바늘 발광부의 길이가 짧아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실개소 55-59317호의 구조에 있어서는, 바늘기부 전면측으로부터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시키는 바늘 조명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바늘기부가 외부로부터 직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계기의 전면측 가장자리에서 바늘기부를 향하여 지지부재(支持部材)를 연장하여 형성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계기를 눈으로 확인했을 때에 그 지지부재가 문자판상의 일부를 횡단하여 버림으로써 의장성(意匠性)이 떨어지고 위화감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여 버린다.
또한 상기 실개소 55-59317호에 있어서는, 바늘(2)의 발광휘도를 감하게 하기 위하여 바늘(2)의 기부에는 오목 형상의 수광부(3)를 형성하고 이 오목 형상 내부에 램프(7)의 일부를 끼어 넣어 수광부(3)와 램프(7)를 접근시키고 있으므로, 램프(7)에 의한 발열(發熱)이 수지로 만든 바늘(2)에 작용하므로 그 수피제 바늘이 열로 인하여 변형(變形)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수광부(3)인 오목 형상 내부에 램프(7)를 삽입, 접근시키는데 있어서,그 램프(7)와 바늘의 수광면(受光面)이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램프(7)의 부착위치 및 바늘 수광부(3)의 형상, 위치 등의 치수 설정을 엄격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생산성 및 경제성이 결여된 것이었다.
또한 차량용 계기 케이스의 내부에 발열하는 램프 또는 오도미터(odometer), 제어장치(trip) 표시용의 형광 표시관 등을 내장한 계기에 있어서는, 계기 케이스의 내부에 발열이 넘쳐 흐르기 쉬우므로 이 발열을 계기 케이스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열(熱)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계기 케이스에는 계기 케이스의 안ㆍ밖을 연통(連通)하는 배열용 슬릿을 형성하고 있지만, 계기 케이스에 배열용 슬릿을 형성한 차량용 계기에 있어서는, 그 배열용 슬릿을 통하여 계기 케이스 안으로 담배연기나 먼지 등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투명한 프론트 커버의 내면 및 문자판 표면까지도 그 연기나 먼지에 의하여 오손(汚損)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계기에 있어서, 적어도 문자판 및 프론트 커버 내면의 오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기 케이스의 안쪽의 표면판에 형성되는 문자판 개구공의 가장자리에 문자판의 가장자리와 닿는 플랜지 리브(flange rlb)를 형성하여, 계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배열용 슬릿 등에서 침입하는 연기, 먼지를 문자판의 표면측 및 프론트 커버의 내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바늘기부 정면측으로부터 그 바늘을 조명하려고 하는, 예를 들어 도6의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표면판(조명기 지지체)의 문자판 개구공의 가장자리에 닿는 연기, 먼지 차단용의 플랜지 리브를 문자판의 정면에 닿게 할 수가 없다. 결국 도6의 조명기 지지체(4)에 있어서, 램프(7)의 가장자리에 연기, 먼지 차단용의 플랜지 리브를 형성하려고 한다면, 이 플랜지 리브에 의하여 바늘과 플랜지 리브와의 간섭이 생겨 바늘이 회전을 할 수 없는 불합리한 상태가 일어났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늘기부와 간격을 두어 형성한 전면측의 광원에서 빛을 조사하여 그 바늘을 발광표시시키는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를 구성하여 값싼 블랙 페이스 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바늘에 대한 광원의 발열영향을 적게함으로써 바늘의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한다. 그리고 바늘과 광원간의 고치수 정도(構度)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 차량용 계기의 생산성, 조립 작업성의 용이성을 높이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늘조명용의 광원 및 복수의 경보 램프(worning lamp)를 배치, 지지하는 강체기판(rigid 基板)과 계기구동회로 및 다른 경보 램프 등에 신호를 공급하는 플렉시블 프린프기판을 함께 형성시킴으로써 각 기판에 있어서, 패턴선의 자유도를 높임과 아울러 강체기판에 배치, 지지되는 경보 램프의 착탈(着脫)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계기 케이스 안에 부착되어 있는 계기 문자판 표면과, 계기 케이스의 전면에 피착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와, 계기 케이스에 뚫려 형성되어 있는 배열공(排熱孔)과의 사이에 통기 차폐벽을 형성하여 계기 문자판과 프론트 커버 사이에 생기는 틈 안으로의 연기 및 먼지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론트 커버의 내면 및 문자판 표면의 오손을 방지하는 것을 제4의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에서는, 로우어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계기 케이스 내에 설비되어 있는 계기와 그 계기의 바늘의 기부 전면측으로부터 그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照射)하고 계기의 바늘회전 범위외에서 계기 중심을 향하여 연장하는 부재(部材)상에 지지되는 광원과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는 암색(暗色) 계열의 반투명 보호커버를 갖추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일 때에만 계기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이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2항에서는, 청구항 제1항의 발명 이외에, 광원은 상기 바늘기부 정면에 대하여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그 광원(23)으로부터의 빛을 바늘기부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경(24)을 구비시킨 회로기판(22)으로 이루어진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3항에서는, 청구항 제2항의 발명 이외에, 회로기판은 계기구동회로에 신호를 공급하는 프린트기판과는 별도의 회로기판임과 아울러 복수의 경보 램프를 배치하고 또 로우어 하우징에는 상기의 각 경보 램프에 대응하여 각 경보 램프의 착탈을 가능케 하는 개구공을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이다.
또한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4항에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의 발명 이외에, 로우어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의 각 계기 문자판 표면과 프론트 커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 안으로의 기류(氣流) 침입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11은 차량용 계기의 로우어 하우징, 12는 그 로우어 하우징(11)의 앞측에서 로우어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어퍼 하우징으로서, 이 로우어 하우징(11)과 어퍼 하우징(12)에 의하여 계기 케이스가 구성된다. 13은 어퍼 하우징(12)의 전면에 피착되는 검정색 반투명의 프론트 커버로서, 이 프론트 커버에 의하여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가 구성된다.
로우어 하우징(11)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식(analogue system)의 속도계(14), 엔진 회전계(15), 연료계(16), 온도계(17)등 각각의 계기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계기(14, 15, 16, 17)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14A, 15A, 16A, 17A)은 모두 바늘 전방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광(照射光)을 받아 휘도를 발생시키는 발광바늘로서, 그 바늘은 그 기부(바늘축(軸) 부착부)가 수광부(14B, 15B, 16B, 17B)에 형성되어 있다. 그 수광부(14B, 15B, 16B, 17B)로부터 들어온 빛은 상기한 실개소 55-5931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늘 내부에서 반사하여 바늘은 발광된다.
또한 상기 로우어 하우징(11)의 배면(背面)에는, 상기 계기(14, 15, 16, 17)의 무브먼트(movement)(도2에서는 엔진 회전계(15)의 무브먼트(15C)만을 나타냄)에 접속되는 회로 패턴 또는 인디케이터용(indicater用)램프, 일부의 경보 램프, 조명용 램프 접속용의 회로 패턴 등의 회로 패턴을 갖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18)이 첨설(添設)되어 있다. 또한 이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18)의 회로 패턴에 바로 접속되는 인디케이터용, 경보용, 조명용 등의 로우어 하우징 부착램프(19)를 끼원 넣기 위한 각각의 소켓공(20)이 각 곳에 뚫려 형성되어 있다. 21은 로우어하우징(11)에 있어서, 뚫려 형성되어 있는 램프 삽입용의 개구공으로서, 이 개구공(21)은 후술하는 강체기판에 부착되는 램프를 착탈(着脫)조작하기 위하여 뚫려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2)의 이면(裏面)에는, 강체기판(22)이 그 어퍼 하우징(12)과 일체로 부착되어져 있고, 그 강체기판(22)에는 상기 바늘(14A, 15A, 16A, 17A)을 향하여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각각의 광원(LED 램프)(23), 일부의 경보 램프 등의 강체기판 부착램프(25)가 부착되는 소켓공(26)과 강체기판 부착램프 접속용의 회로 패턴(27)이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상기 광원(23)의 발광부 후방측에는 반사경(24)이 설치되어져 있다(이와사키 전기제(岩崎 電氣製) DDH 1160). 또한 도5에 있어서,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강체기판(22)의 회로 패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 광원(23), 반사경(24)의 강체기판(22)에 대한 부착위치는, 어퍼 하우징(12)을 로우어 하우징(11)에 부착할 때, 그 광원(23), 반사경(24)이 로우어 하우징(11)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각 바늘(14A, 15A, 16A, 17A)의 수광부(14B, 15B, 16B, 17B)에 접근하도록 미리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한 상기의 강체기판 부착램프(25)의 강체기판(22)에서의 부착위치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보 하우징(28)과 대응하여 있고 그 각 강체기판 부착램프(25)는 각 경보 표시실(28A) 내에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우어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는 각 개구공(21)은, 강체기판 부착램프(25)의 배부에 대응되어 있고, 그 개구공(21)의 틈 사이로 어퍼 하우징(12)과 일체인 강체기판(22)에 형성되어 있는 소켓공(26)의 램프의 탈착작업을 가능케 하여, 강체기판의 램프의 탈착작업을 차량용 계기를 분해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4D, 15D, 16D, 17D는 각 계기(14, 15, 16, 17)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문자판을 나타내고, 또한 32는 경보 렌즈를 나타낸다. 또한 29는 계기 문자판과 프론트 커버(13)와의 사이에 생기는 틈이고, 30은 그 틈(29) 안으로의 외기(外氣)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차폐벽으로서, 이 차폐벽(30)은 로우어 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31)으로부터의 담배의 연기나 먼지가 프론트 커버면에 부착하지 않도록 차폐벽(30)이 강체기판(22)을 향하여 연장되어 닿아있다 또한 바늘회전 범위의 외주(外周)에는 어퍼 하우징(12)으로부터 문자판 표면를 향하여 플랜지 모양의 리브가 연장하여 문자판에 닿아있다.
즉 상기 차폐벽(30)이 형성되는 것은, 어퍼 하우징(12)의 문자판 개구공의 주면(周面)으로부터 문자판에 닿는 플랜지 리브를 형성할 수 없는 개소에 대응하여 로우어 하우징(11)의 저벽(低壁)으로부터 강체기판(22)을 향하여 차폐벽을 형성함으로써 연기, 먼지가 돌아다니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계기를 구성하는 어퍼 하우징(12)의 내측에는 강체기판(22)을 부착함과 아울러 그 강체기판(22)에 아날로그식 계기의 바늘(14A, 15A, 16A, 17A)을 반사조명시키기 위한 광원(23) 및 반사경(24)과 일부의 경보 램프, 즉 강체기판 부착램프를 접속 유지시키는 소켓공(26) 및 그 회로 패턴(27)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어퍼 하우징(12)과 세트가 되는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반사광을 받아 발광하는 바늘(14A, 15A, 16A, 17A)을 구비하는 아날로그식 계기를 부착함과 아울러 그 아날로그식 계기 등에 접속되는 회로 패턴을 부착하여 구성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첨설한다. 또 이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 강체기판 부착램프의 탈착을 로우어 하우징(11)의 뒤측에서도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공(21)과 상기 강체기판과 협동하여 계기 문자판과 어퍼 하우징에 피착되는 프론트 커버(1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29)으로의 외기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차폐벽(30)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우어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계기 케이스 내에 계기를 설비하고, 그 계기의 바늘기부 전면측으로부터 그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照射)하는 광원을 바늘회전 범위외에서 계기 중심을 향하여 연장하는 부재(部材)상에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는 보호커버를 암색 계열의 반투명 보호커버로 하는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를 구성함으로써, 바늘기부 전면측으로부터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문자판상의 일부를 횡단하여도 검정색 반투명의 프론트 커버에 의하여 지지부재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또 바늘의 발광부 길이가 짧아지는 일도 없음으로써 의장(意匠)상의 효과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 하나의 무브먼트에 대하여 한 개의 광원으로 바늘을 고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값싼 블랙 페이스 타입의차량용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늘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은 발광량이 적은 LED를 사용하고 있고, 또한 그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반사경(24)을 통하여 바늘의 수광부에 조사시키는 구조이므로, 바늘에 있어서 열적 변형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광원과 수광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치수 오차 및 위치적으로 오차가 생기더라도 바늘의 수광부에서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적절히 수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계기의 회로 패턴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강체기판으로 분할하고 있으므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및 강체 기판에 있어서의 회로밀도가 세밀하지 않게 됨으로써, 각 기판에 있어서 회로 패턴의 형성을 위한 자유도가 높아짐과 아울러 회로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강체기판(22)에 바늘 조명용의 광원(23)을 바늘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그 광원(2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보 램프도 함께 부착함으로써 기판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경보 표시부가 미터(meter) 표면에 배치됨으로써 경보 점등시의 주시력(注視力)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어 하우징에 램프 소켓의 착탈을 위한 개구공(21)을 형성함으로써, 이 개구공(21)을 이용하여 차량용 계기의 뒤측에서 경보 램프의 착탈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용 계기를 분해하는 일 없이 램프의 교환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어 하우징(11)에 차폐벽(30)을 형성하여 틈(29) 안으로의 외기의 유입을 저지함으로써, 계기의 문자판 표면 및 프론트 커버(13)의내면에 먼지나 담배의 진(津)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므로 계기 내부의 오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계기(計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4는 어퍼 하우징(upper housing)을 제거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계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강체기판(rigid 基板)을 부착한 어퍼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 이면도(裏面圖),
도6은 종래 차량용 계기에 사용되는 바늘조명기구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
도7은 다른 종래예인 블랙 페이스(black face) 계기용 바늘조명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로우어 하우징(lower housing) 12 : 어퍼 하우징(upper housing)
13 : 프론트 커버(front cover) 14 : 속도계
15 : 엔진 회전계 16 : 연료계
17 : 온도계
18 : 플렉시블 프린트기판(flexible print 基板)
19 : 로우어 하우징 부착램프 20 : 소켓공(socket孔)
21 : 개구공(開口孔) 22 : 강체기판(rigid 基板)
23 : 광원(光源) 24 : 반사경
25 : 강체기판 부착램프 26 : 소켓공
27 : 회로 패턴(回路 pattern) 28 : 경보 하우징(warning housing)
29 : 틈 30 : 차폐벽(遮蔽壁)
31 : 슬릿(slit) 32 : 경보 렌즈(warning len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우어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계기 케이스 내에 설비되어 있는 계기와 그 계기의 바늘의 기부 전면측으로부터 그 바늘을 향하여 빛을 조사(照射)하고 계기의 바늘회전 범위외에서 계기 중심을 향하여 연장하는 부재(部材)상에 지지되는 광원과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는 암색 계열의 반투명 보호커버를 갖추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일 때에만 계기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를 구성함으로써, 바늘기부 전면측으로부터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문자판상의 일부를 횡단하여도 검정색 반투명의 프론트 커버에 의하여 지지부재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또 바늘의 발광부 길이가 짧아지는 일도 없음으로써 의장상의 효과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 하나의 무브먼트에 대하여 한 개의 광원으로 바늘을 고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값싼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늘에 접근, 배치되는 광원을 발열이 적은 LED를 사용하므로써 그 바늘의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LED광원으로부터 내는 빛을 반사경을 통하여 바늘에 반사조명함으로써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광원과 바늘과의 사이의 치수적 정도(精度), 위치적 정도의 제약이 완화되어 생산성, 경제성이 높아진다.
또한 로우어 하우징에 차폐벽을 형성함으로써, 외기의 계기 내 침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한 계기 내의 오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계기의 회로를 플렉시블 프린트기판과 강체기판으로 분할하여 그 강체기판측에 바늘 조명용 광원과 일부의 경보 램프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그 광원 및 경보 램프의 회로를 형성한 것이므로 그 기판의 회로설계의 자유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다.

Claims (3)

  1. 로우어 하우징과 어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계기 케이스 내에 설비되어 있는 계기와,
    그 계기의 바늘의 기부 전면측으로부터 그 바늘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照射)하고 계기의 바늘회전 범위 외에서 계기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재(部材) 상에 지지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블랙 페이스 타입의 차량용 계기로서,
    상기 광원은 상기 바늘기부의 정면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광원(23)으로부터의 빛을 바늘기부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경(24)을 구비하는 회로기판(22)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전면에 부착되는 암색 계열의 반투명 보호커버를 갖추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일 때에만 계기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22)은 복수의 경보 램프(25)를 배치하고 또 로우어 하우징(11)에는 상기의 각 경보램프에 대응하여 각 경보 램프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공(21)을 뚫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하우징(11)의 내측에 각 계기의 문자판 표면과 프론트 커버(13)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29) 안으로의 기류 침입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벽(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
KR1019970004071A 1996-02-19 1997-02-12 차량용계기 KR100452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091596A JP3611263B2 (ja) 1996-02-19 1996-02-19 車両用計器
JP8-30915 1996-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02A KR970061602A (ko) 1997-09-12
KR100452279B1 true KR100452279B1 (ko) 2004-12-23

Family

ID=1231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071A KR100452279B1 (ko) 1996-02-19 1997-02-12 차량용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39811A (ko)
JP (1) JP3611263B2 (ko)
KR (1) KR100452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546A (ja) * 1998-04-28 1999-11-09 Kansei Corp 計器装置の照明ランプ取付構造
JP4075242B2 (ja) * 1999-09-01 2008-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指針計器
US6499852B1 (en) * 1999-09-07 2002-12-31 Toyoda Gosei Co., Ltd. Vehicle display lighting device
US6663251B2 (en) 2002-04-26 2003-12-16 Auto Meter Products, Inc. Gauge with illuminated dial and pointer
JP2005037238A (ja) * 2003-07-14 2005-02-10 Denso Corp 車両用指針計器
US7278749B2 (en) * 2005-01-06 2007-10-09 Sullivan John T Gauge with large illuminated gauge face
US7549390B2 (en) * 2005-04-29 2009-06-23 Auto Meter Products, Inc. Gauge with illuminated dial and pointer
KR101393998B1 (ko) * 2008-07-15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
JP5493831B2 (ja) * 2009-12-25 2014-05-14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装置
CN101879905B (zh) * 2010-07-13 2012-05-02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地下工程车辆驾驶室用仪表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556A (ja) * 1985-10-29 1987-05-12 Honda Motor Co Ltd 薄型照明付計器
JPH03109138A (ja) * 1989-09-21 1991-05-09 Mazda Motor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H0648248A (ja) * 1992-05-14 1994-02-22 Robert Bosch Gmbh 車両用の照明装置
EP0663311A1 (de) * 1994-01-18 1995-07-19 Valeo Borg Instruments Verwaltung GmbH Hybridanzeige-Instrument,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armaturentafel
KR19990040456A (ko) * 1997-11-18 1999-06-05 주종철 자동차 계기판용 지침
US6317037B1 (en) * 1997-11-03 2001-11-13 Atoma International Corp. Virtual instrument pane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3337A (en) * 1958-04-23 1962-09-11 Rau Swf Autozubehoer Instrument housing for motor vehicles and switch construction therefor
JPS53164166U (ko) * 1977-05-30 1978-12-22
DE7831611U1 (de) * 1978-10-24 1979-02-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oerperschallaufnehmer
US5142274A (en) * 1989-08-24 1992-08-25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Silhouette illuminated vehicle head-up display apparatus
US5227767A (en) * 1990-02-27 1993-07-13 Nissan Motor Co., Ltd. Instrument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GB2266375A (en) * 1992-04-21 1993-10-27 Delco Electronics Corp Vehicle instrument display apparatus.
JP2836719B2 (ja) * 1993-01-22 1998-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計器の指針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556A (ja) * 1985-10-29 1987-05-12 Honda Motor Co Ltd 薄型照明付計器
JPH03109138A (ja) * 1989-09-21 1991-05-09 Mazda Motor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H0648248A (ja) * 1992-05-14 1994-02-22 Robert Bosch Gmbh 車両用の照明装置
EP0663311A1 (de) * 1994-01-18 1995-07-19 Valeo Borg Instruments Verwaltung GmbH Hybridanzeige-Instrument,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armaturentafel
US6317037B1 (en) * 1997-11-03 2001-11-13 Atoma International Corp. Virtual instrument panel
KR19990040456A (ko) * 1997-11-18 1999-06-05 주종철 자동차 계기판용 지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11263B2 (ja) 2005-01-19
US5839811A (en) 1998-11-24
KR970061602A (ko) 1997-09-12
JPH09222339A (ja) 1997-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852B1 (en) Vehicle display lighting device
EP1271109B1 (en) Illuminable pointer instrument
JP4075242B2 (ja) 指針計器
KR100452279B1 (ko) 차량용계기
KR20010015328A (ko) 차량 계기판용 복합 작동 표시기 유닛
JP3782731B2 (ja) 表示器
JP5370658B2 (ja) 計器照明装置
JP4904270B2 (ja) 目盛板周辺で視認可能な一体式の指針を備えたパネル指示器
JP2010276498A5 (ko)
JP4600234B2 (ja) 車両用計器
JP5362289B2 (ja) 表示装置
JP4514569B2 (ja) 表示装置
JP5218171B2 (ja) 計器
JP3855954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3812540B2 (ja) 車両用計器
US9021978B2 (en) Indicator displaying device
JP2006118892A (ja) 指針計器
JP2008102092A (ja) 計器
JPH07294293A (ja) 指示計器
JP200432517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510762B2 (ja) 計器照明装置
KR200206194Y1 (ko) 차량용 계기지침의 직접조명구조
JP2501903Y2 (ja) 計器装置
JPH10142008A (ja) 車両用計器装置
JP2003130692A (ja) 車両用指針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