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687B1 -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687B1
KR100451687B1 KR10-2002-7005244A KR20027005244A KR100451687B1 KR 100451687 B1 KR100451687 B1 KR 100451687B1 KR 20027005244 A KR20027005244 A KR 20027005244A KR 100451687 B1 KR100451687 B1 KR 10045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ck
data
encoded audio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734A (ko
Inventor
슈요시마사히로
후지타타케시
아베카즈타카
니시오코슈케
카타야마타카시
마츄모토마사하루
카와무라아키히사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2Blocking, i.e. grouping of samples in time; Choice of analysis windows; Overlap fac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7Synchronising arrangements using pulse stuffing for systems with different or fluctuating information rates or bit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8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recurring cyc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신호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그 장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이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Digital interface device}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도 7은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700)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704)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장치(701), 송신 신호(704)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장치(703), 및 신호 송신 장치(701)와 신호 수신 장치(703) 간에 송신 신호(704)를 전달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702)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 장치(703)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704)를 재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ISO/IEC61397은 디지털 인터페이스(702)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송신 및 수신에 대한 공지된 규격이다. 이 규격에서, 신호 송신 장치(701)는 프레임당 M 샘플들을 갖는 PCM(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16비트 M샘플스테레오 신호 형태로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704)를 송신한다. 이 경우, 관리 정보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 정보의 크기가 16 x M x 2 비트의 블록 크기 미만일 때, 신호 송신 장치(701)는 블록 중 미사용 부분에 스터핑(stuffing) 정보를 기입하고(스터핑 과정), 구체적으로는 미사용 부분 전체를 제로로 설정함으로써 완전한 블록을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신호 송신 장치(701)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704)에서, 각 블록에 동기화 워드 정보가 나타난다. 어떤 동기화 워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블록의 시작과 바로 다음의 동기화 워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또 다른 블록의 시작간의 시간을 여기서는 "반복 시간"이라 한다.
ISO/IEC61397 규격에서는 낮은 샘플링 주파수(LSF)[24 kHz, 22.05 kHz, 혹은 16 kHz]를 갖는 MPEG2 오디오의 스트림이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반복 시간은 48 kHz, 44.1 kHz 혹은 32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MPEG1 오디오의 스트림이 송신될 때의 반복 시간의 2배이다.
ISO/IEC61397 규격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유형의 디지털 인터페이스(702)의 송신 클럭은, 송신할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를 48 kHz, 44.1 kHz, 혹은 32 kHz라 가정하여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정보의 부호화에 다른 부호화 방법들이 사용될 때, 신호 수신 장치(703)는 신호 수신 장치(703)가 송신 신호(704)를 올바르게 수신하기 위해서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이 규격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다른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값은 다른 부호화 방법이 사용되었음을 신호 수신 장치(703)에 알리기 위해 송신 신호(704)의 데이터 유형 정보용의 비트 필드에 정의된다.
이 경우, 오디오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방법들이 바뀌었을 때, 송신 신호(704)의 반복 시간들도 바뀐다. 그러므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었던 부호화 방법이 데이터 유형 정보에 정의되어 있다면, 신호 수신 장치(703)는 송신 신호(704)를 동기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703)는 송신 신호(704)를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제, 부호화 방법은 동일하나 샘플링 주파수를 달리하여 얻어진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디지털 인터페이스(702)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703)에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702)의 송신 클럭과 신호 수신 장치(703)의 수신 클럭 모두 일정하다. 디지털 인터페이스(702) 및 신호 수신 장치(703)는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디지털 인터페이스(702)의 송신 클럭은 신호 수신 장치(703)의 수신 클럭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다음의 기재에서, 디지털 인터페이스(702)의 송신 클럭은 신호 수신 장치(703)의 수신 클럭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신호 수신 장치(703)는 신호 수신 장치(703)가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 변경에 대해 통보받지 않으면 가정된 샘플링 주파수 이외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어떤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송신된 후다른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송신될 때, 신호 수신 장치(703)는 신호 수신 장치(703)가 송신 신호(704)의 반복 시간 변경에 대해 통보받지 않으면 송신 신호(704)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다.
이하 종래의 예를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8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들의 종래의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프레임은 송신 신호(704)의 일부이다.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이 신호 송신 장치(701)에 의해 송신 신호(704)로서 출력된다.
도 8(a)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8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는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하여 얻어진 1프레임 데이터이다. 도 8(b)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8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는 24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하여 얻어진 1프레임 데이터이다. 이 경우,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대한 부호화 방법은 24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대한 부호화 방법과 동일하다. 즉,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에 대한 부호화 방법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에 대한 부호화 방법과 동일하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800)은 1블록으로 구성된다. 송신 프레임(800)은 헤더부(801)와 바디부(802)를 포함한다. 헤더부(801)는 관리 정보(811)를 기억한다. 바디부(802)는 데이터 정보(812)를 기억한다. 관리정보(811)는 동기화 워드 정보(821)와 사이드 정보(822)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81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812)는 비(non)-"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의 신호 송신 장치(701)는 신호 입력에서 신호 송신 장치(701)로 송신 프레임(800)을 발생하고,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80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704)를 디지털 인터페이스(702)로 출력한다.
관리 정보(811)는 바디부(802)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데이터로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 및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23)는 바디부(802)에 기억된다. 관리 정보(811)는 바디부(80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동기화 워드 정보(821)는 송신 프레임(800)의 블록의 시작을 나타낸다. 동기화 워드 정보(821)는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각각의 송신 프레임(80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사이드 정보(82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가 바디부(80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23)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23)는 데이터 정보(812)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850)은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송신 프레임(850)은 헤더부(851)와 바디부(852)를 포함한다. 헤더부(851)는 관리 정보(861)를 기억한다. 바디부(852)는 데이터 정보(862)를 기억한다. 관리 정보(861)는 동기화 워드 정보(871)와 사이드 정보(872)를 포함한다. 데이터정보(86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862)는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신호 송신 장치(701)는 신호 입력에서 송신 장치(701)로 송신 프레임(850)을 발생하고,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85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704)를 디지털 인터페이스(702)로 출력한다.
관리 정보(861)는 바디부(852)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데이터로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 및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73)는 바디부(852)에 기억된다. 관리 정보(861)는 바디부(850)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동기화 워드 정보(871)는 송신 프레임(850)의 블록의 시작을 나타낸다. 동기화 워드 정보(871)는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각각의 송신 프레임(85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사이드 정보(87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가 바디부(85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73)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73)는 데이터 정보(862)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바디부(852)의 크기는 송신 프레임(800)의 바디부(802)의 크기의 두 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 및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는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1프레임 데이터(즉, 동일한 수의 샘플들을 갖는 데이터)이다. 그러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의 샘플링 주파수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의 샘플링 주파수와는 다르기 때문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의 재생시간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와는 다르다. 더욱이, 신호수신 장치(703)에 의해 수신될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800)에 필요한 시간은 신호 수신 장치(703)에 의해 수신될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850)에 필요한 시간과는 다르다.
전술한 경우에, 송신 프레임(850)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은 송신 프레임(800)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의 두 배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03)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의 두 배이다. 또한, 송신 프레임(85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송신 프레임(80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의 두 배이다.
도 8을 참조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2일 때,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갖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반복 시간의 두 배이다. 마찬가지로,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N일 때,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갖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반복 시간의 N배이고,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1/N배만큼 감소되었을 때, 신호 수신 장치(703)에 의해 수신되는 바디부의 크기는 N배 증가된다. 결국, 반복 시간도 N배 증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부호화 방법이 사용되더라도,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반복 시간이 달라진다. 다른 반복 시간이 사용되었음을 신호 수신 장치(703)에 알리지 않고 송신 신호(704)가 송신된다면, 신호 수신 장치(703)는 송신 신호(704)와 올바르게 동기화될 수 없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703)는 송신 신호(704)를 올바르게 수신하기 위해서 최소한 반복 시간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통보받아야 한다.
대안으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에 관계된 어떤 정보는 송신 신호(704)의 반복 시간을 신호 수신 장치(703)에 간헐적으로 알리기 위해서 관리 정보에 정의된다. 통상적으로, ISO/IEC61397 규격에서, 동일한 부호화 방법이 사용되고 다른 반복 시간이 사용될 때, 데이터 유형 정보에 다른 값이 정의된다. 데이터 정보에 관계된 데이터 유형 정보는 관리 정보에 포함된다. 그러나, 다른 데이터 유형의 정보가 각각의 샘플링 주파수에 대해 정의될 때, 데이터 유형 정보에 기입될 데이터 유형들의 수가 증가된다. 결국, 데이터 유형 정보의 비트 필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유형 정보의 비트 필드는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장치 및 신호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F 혹은 1/N x F의 복수의 샘플링 주파수들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장치 및 신호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프레임들의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송신 프레임들의 상세한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신호 송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12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정보의 부호화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송신 프레임들의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서,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신호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이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킨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이전의 블록과 후속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블록을 생성하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킨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전 블록 및 후속 블록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하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이드 정보이고,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음을 상기 사이드 정보가 나타낼 때, 사이드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낸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후속 블록 내 상기 바디부에 스터핑 정보를 기억시킨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전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생성되는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와 동일하다. 후속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계없이 이전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면에 따라서,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고,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신호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이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킨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한 세트의 N개의 블록들을 생성하며, 먼저 출력될 상기 생성된 N 블록들 중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1프레임 데이터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기억시키고, 상기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제 1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고, 각각의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제 1 블록 이외의 N개의 생성된 블록들의 각각의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킨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N 블록들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라서,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는,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이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이전의 블록과 후속 블록을 포함하는 한 쌍의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전 블록 및 후속 블록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이드 정보이고,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음을 상기 사이드 정보가 나타낼 때, 사이드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후속 블록 내 상기 바디부에 스터핑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전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생성되는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와 동일하다. 후속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계없이 이전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라서,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고,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이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한 세트의 N개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먼저 출력될 상기 생성된 N 블록들 중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제 1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 각각의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제 1 블록 이외의 N개의 생성된 블록들의 각각의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N 블록들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다른 샘플링 주파수들을 갖고 있을 때에도, 동일 크기를 갖는 복수의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반복 시간을 변경함이 없이 송신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2일 때는,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가 송신될 때 사용되는 블록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두 개의 블록들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중 하나의 1프레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두 개의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두 개의 송신된 블록들 각각은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들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는 반복 시간을 통보받을 필요가 없다. 결국, 상이한 샘플링 주파수들을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신호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동일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된 관리 정보는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블록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는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헤더부 내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을 때, 이전 블록의 바디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하고 이전 블록의 헤더부는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하다는 정보를 기억하고 후속 블록의 헤더부는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 무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는 이전 블록의 바디부만을 추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호 수신 장치의 레이턴시(latency)는 일정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후속 블록의 헤더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는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추출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 후속 블록의 바디부는 스터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된 페이로드 길이 정보가, 후속 블록의 바디부의 페이로드 길이가 최소 값(예를 들면, 제로) 미만임을 나타낼 때, 신호 수신 장치는 후속 블록의 바디부를 추출할 필요가 없다. 신호 수신 장치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이전 블록의 바디부만을 추출하는 것만으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의 전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2일지라도,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N일 때는,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가 송신될 때의 블록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N개의 블록들이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될 수 있고 N개의 생성된 블록들은 순차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는 여기서는 단독으로 복호 혹은 재생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스트림에 소정의 수의 데이터(샘플들)를 포함하는 소정의 간격을 말한다. 소정의 수는 예를 들면 1024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송신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송신될 1프레임 데이터의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송신 단위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를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장치(101), 송신 신호(104)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장치(103), 및 신호 송신 장치(101)와 신호 수신 장치(103) 간에 송신 신호(104)를 전달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104)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신호 수신 장치(103)는 예를 들면 송신 신호(104)를 재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제, 부호화 방법은 동일하나 샘플링 주파수를 달리하여 얻어진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동일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103)에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02)의 송신 클럭과 신호 수신 장치(103)의 수신 클럭 모두 일정하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02) 및 신호 수신 장치(103)는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도 1은 단일의 신호 송신 장치(101)가 단일의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송신 신호(104)를 단일의 신호 수신 장치(103)에 송신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일의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는 송신 신호(104)가 복수개의 신호 수신 장치(103)에 동시에 송신되도록 복수의 신호 수신 장치들(103)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일의 신호 송신 장치(101)는 송신 신호(104)가 더 많은 수의 신호 수신 장치들(103)에 송신될 수 있게 복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들(102)에 접속된다.
도 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송신 프레임들의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프레임은 송신 신호(104)의 일부이다. 송신 프레임들이 신호 송신 장치(101)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도 2(a)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는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하여 얻어진 1프레임 데이터이다. 도 2(b)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2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는 24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하여 얻어진 1프레임 데이터이다. 이 경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에 대한 부호화 방법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에 대한 부호화 방법과 동일하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200)은 1블록으로 구성된다. 송신 프레임(200)은 헤더부(201)와 바디부(202)를 포함한다. 헤더부(201)는 관리 정보(211)를 기억한다. 바디부(202)는 데이터 정보(212)를 기억한다. 관리 정보(211)는 동기화 워드 정보(213)와 사이드 정보(214)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21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212)는 비(non)-"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신호 송신 장치(101)는 신호 입력에서 신호 송신 장치(101)로 송신 프레임(200)을 발생하고,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20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로 출력한다.
관리 정보(211)는 바디부(202)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데이터로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 및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18)는 바디부(202)에 기억된다. 관리 정보(211)는 바디부(20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바디부(20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는 바디부(20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낸다. 동기화 워드 정보(213)는 송신 프레임(200)의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송신 프레임(200)의 블록의 헤드에 위치한다. 동기화 워드 정보(213)는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각각의 송신 프레임(20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바디부(20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예가 사이드 정보(214)이다. 사이드 정보(214)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가 바디부(20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18)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18)는 데이터 정보(212)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250)은 제 1 블록(260)과 제 2 블록(280)으로 구성된다.
제 1 블록(260)은 제 1 헤더부(261) 및 제 1 바디부(262)를 포함한다. 제 1 헤더부(261)는 제 1 관리 정보(271)를 기억한다. 제 1 바디부(262)는 제 1 데이터 정보(272)를 기억한다. 제 1 관리 정보(271)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와 제 1 사이드 정보(274)를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정보(27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정보(272)는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리 정보(271)는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데이터로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 및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78)는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다. 제 1 관리 정보(271)는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바디부(26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제 1 관리 정보(271)는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낸다.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는 송신 프레임(250)의 제 1 블록(260)의 시작을 나타내는 송신 프레임(250)의 제 1 블록(260)의 헤드에 위치한다.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는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제 1 블록(260)과 제 2 블록(28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예가 제 1 사이드 정보(274)이다. 제 1 사이드 정보(274)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가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78)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78)는 제 1 데이터 정보(272)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블록(280)은 제 2 헤더부(281) 및 제 2 바디부(282)를 포함한다. 제 2 헤더부(281)는 제 2 관리 정보(291)를 기억한다. 제 2 바디부(282)는 제 2 데이터 정보(292)를 기억한다. 제 2 관리 정보(291)는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와 제 2 사이드 정보(294)를 포함한다. 제 2 데이터 정보(292)는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을 포함한다.
제 2 관리 정보(291)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데이터로서,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다. 제 2 관리 정보(291)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2 바디부(28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관리 정보(291)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낸다.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는 송신 프레임(250)의 제 2 블록(280)의 시작을 나타내는 송신 프레임(250)의 제 2 블록(280)의 헤드에 위치한다.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는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제 1 블록(260)과 제 2 블록(280) 간의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예는 제 2 사이드 정보(294)이다. 제 2 사이드 정보(294)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낸다.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는 제 2 데이터 정보(292)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제 1 바디부(262)의 크기는 제 1 바디부(282)의 크기와 동일하다. 또한, 제 1 바디부(262)의 크기는 바디부(212)의 크기와 동일하다. 더구나, 헤더부(201), 제 1 헤더부(261), 및 제 2 헤더부(281)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송신 프레임(200)의 1블록, 제 1 블록(260), 및 제 2 블록(280)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 1의 신호 송신 장치(101)는 신호입력에서 신호 송신 장치(101)로 송신 프레임(250)을 생성하여,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25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로 출력한다. 제 1 블록(260)은 제 2 블록(280)보다 먼저 출력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도 3(b)의 송신 프레임(250)은 도 8(b)의 종래의 송신 프레임(850)과 비교될 수 있다. 송신 프레임(850)의 데이터 정보(862)의 두 개의 동일한 부분들은 송신 프레임(250)에서 제 1 블록(260)의 제 1 데이터 정보(272) 및 제 2 블록(280)의 제 2 데이터 정보(292)에 대응한다. 바디부(852)의 크기는 제 1 바디부(262)의 크기와 제 2 바디부(282)의 크기의 합과 동일하다. 더욱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853)에 대응한다.
도 2(b)에서,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는 제 1 블록(260)의 시작을 나타내며,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는 제 2 블록(280)의 시작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 1 블록(260)과 제 2 블록(280) 간 반복 시간은 순차적인 송신프레임들(200) 각각 간의 반복 시간과 동일하다.
전술한 구조에 의해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의 샘플링 주파수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의 샘플링 주파수와 다를 때에도,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103)는 신호 수신 장치(103)가 반복 시간 변경을 통보받지 않을지라도 송신 신호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의 전체가 제 1 데이터 정보(272)에 포함되기 때문에, 제 2 데이터 정보(29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나타내는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이다. 그러므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 자체는 송신 프레임(250)에 제 1 블록(260)만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결국, 신호 수신 장치(103)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레이턴시(latency)를 동일한 시간으로 항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요약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생성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을 때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한 블록과,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후속의 블록을 발생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을 때 부호화된 데이터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이전 블록과 후속 블록 각각의 크기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1블록과 같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에의해 생성되는 각각의 블록은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대해 생성되는 각각의 블록 간 반복 시간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대해 생성되는 각각의 블록간 반복 시간과 동일하다. 결국, 신호 송신 장치는 반복 시간의 변경을 알리지 않고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된 관리 정보는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블록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는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부로부터 검색하여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라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1프레임 데이터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되고,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는 이전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되고,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는 이전 블록의 바디부만을 추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1프레임 데이터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레이턴시는 일정하다.
도 3은 도 2의 송신 프레임들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200)에서, 사이드 정보(214)는 데이터 유형 정보(215) 및 페이로드 길이 정보(216)를 포함한다. 데이터 유형 정보(215)는 바디부(202)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 페이로드 길이 정보(216)는 바디부(202) 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의 길이(페이로드 길이)에 관한 정보이다.
데이터 정보(212)는 스터핑 정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핑 정보(215)는 제로로 채워지고, 이것은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18)의 형태이다(도 2(a)).
버스트 정보(221)는 동기화 워드 정보(213), 사이드 정보(214), 및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포함한다. 버스트 정보(221)는 송신 프레임(200)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블록(260)에서, 제 1 사이드 정보(274)는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 및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를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는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는 제 1 바디부(262)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의 길이(제 1 페이로드 길이)에 관한 정보이다.
제 1 데이터 정보(272)는 스터핑 정보(27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핑정보(279)는 제로로 채워지고, 이것은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78)의 형태이다(도 2(b)).
제 1 버스트 정보(277)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 제 1 사이드 정보(274), 및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포함한다. 제 1 버스트 정보(277)는 제 1 블록(260)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제 2 사이드 정보(294)는 제 2 데이터 유형 정보(295) 및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에서, 제 2 데이터 유형 정보(295)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제 2 데이터 유형의 정보(295)는 제 2 바디부(282)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계없이 제 1 블록(260)의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는 제 2 바디부(282)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길이(제 2 페이로드 길이)에 관한 정보이다. 이 경우,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는 제 2 바디부(282)의 제 2 페이로드 길이가 소정의 값(예를 들면, 제로) 미만임을 나타낸다. 신호 수신 장치(103)(도 1)는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검색하므로, 제 2 바디부(282)의 전체를 직접 검출하지 않고도 제 2 블록(280) 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재를 판정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정보(292)는 스터핑 정보(29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핑 정보(299)는 제로로 채워지고, 이것은 비-"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98) 유형이다(도 2(b)).
제 2 버스트 정보(297)는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 및 제 2 사이드 정보(294)를 포함한다. 제 2 버스트 정보(297)는 제 2 블록(280)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도 1의 신호 송신 장치(101)는 신호입력에서 신호 송신 장치(101)로 송신 프레임(250)을 발생하여,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250)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이 예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과 동일하기 때문에, 데이터 유형 정보는 반복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대응하는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만을 나타낸다. 대안으로, 제 2 데이터 유형 정보(295)는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에 의해 나타낸 제 1 바디부(262)에 기억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신호 수신 장치(103)는 소정의 최소 값보다 작지 않은 페이로드 길이를 갖는 블록의 바디부를 추출하기 위해서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 및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검색하고, 그럼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이 예의 신호 송신 장치(101)의 구조와 이 예의 신호 수신 장치(103)의 구조에 대해 기술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ADTS 포맷의 MPEG2 AAC(어드밴스드 오디오 코딩)의 기본(elementary) 스트림(이하 AAC 스트림이라 함)이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 논한다.
이 경우, AAC 스트림의 샘플링 주파수가 24 kHz이고,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는 48 kHz라고 가정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102)의 송신 클럭 및 신호 수신 장치(103)의 수신 클럭이 설계된 것으로 한다. 송신 프레임(200)의 크기는 32768 비트임에 유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호 송신 장치(101)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 송신 장치(101)는 데이터 생성부(400) 및 데이터 출력부(4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생성부(400)는 비트 카운터(411), 정보 스위칭부(412), 블록 카운터(413), 스터핑 정보 생성부(414), 스트림 버퍼(415), 및 관리 정보 생성부(420)를 포함한다. 관리 정보 생성부(420)는 동기화 워드 정보 생성부(421) 및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를 포함한다.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는 데이터 유형 정보 생성부(431) 및 페이로드 길이 정보 생성부(432)를 포함한다. 데이터 출력부(450)는 출력 버퍼(451)를 포함한다.
이하, 신호 송신 장치(101)가 도 3(b)의 제 1 블록(260) 및 제 2 블록(280)을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250)을 송신하는 경우를 기술한다.
송신 프레임(250)에 포함된 성분들의 크기들을 이하 기술한다.
제 1 블록(260)의 크기 및 제 2 블록(280)의 크기는 각각 32768 비트이다. 제 1 헤더부(261)의 크기 및 제 2 헤더부(281)의 크기는 각각 64비트이다.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의 크기 및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의 크기는 각각 32비트이다. 제 1 사이드 정보(274)의 크기 및 제 2 사이드 정보(294)의 크기는 각각32비트이다.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의 크기 및 제 2 데이터 유형 정보(295)의 크기는 각각 16비트이다.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의 크기 및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의 크기는 각각 16비트이다.
송신 프레임(250)의 제 1 블록(260)을 생성하여 이 생성된 제 1 블록(260)을 출력하는 신호 송신 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한다.
신호 송신 장치(101)가 활성화된 후에, 스트림 버퍼(415)는 AAC 스트림을 수신한다. AAC 스트림은 헤더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는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는 예를 들면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에 관한 정보,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의 프레임의 길이(프레임 길이)에 관한 정보, 및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정보의 유형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스트림 버퍼(415)는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를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스트림 버퍼(415)는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헤더 정보를 관리 정보 생성부(420)에 출력한다.
관리 정보 생성부(420)의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는 스트림 버퍼(415)로부터 출력된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사이드 정보(274)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제 1 사이드 정보(274)를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의 데이터 유형 정보 생성부(431)는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의 유형에 관한 정보에근거하여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를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의 페이로드 길이 정보 생성부(431)는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프레임 길이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를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관리 정보 생성부(420)의 동기화 워드 정보 생성부(421)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를 생성하여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스터핑 정보 생성부(414)는 스터핑 정보(279)를 정보 스위칭부(412)에 출력한다.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적어도 AAC 스트림의 1프레임 데이터 정보(즉,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 및 스터핑 정보(27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정보를 출력버퍼(451)에 출력한다.
출력버퍼(451)는 제 1 블록(260)으로서 정보 스위칭부(41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02)에 출력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송신 프레임(250)은 송신 신호(104)의 일부이고, 일련의 송신 프레임들(250)이 출력됨에 유의한다. 송신 프레임(250)은 제 1 블록(260) 및 제 2 블록(280)을 포함한다.
비트 카운터(411)는 출력 버퍼(451)로부터 출력된 제 1 블록(260)의 비트 수를 카운트한다.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에 의해 얻어진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정보를 출력 버퍼(451)에 출력한다. 정보 스위칭부(412)는 제 1 블록(260)이 되게 정보 순서를 선택하여 이 정보를 출력버퍼(451)에 출력한다.
제 1 블록(260)의 선두 비트가 출력버퍼(451)로부터 출력될 때 비트 카운터(411)의 값은 제로로 설정된다. 비트 카운터(411)의 값은 제 1 블록(260)의 1비트가 출력버퍼(451)로부터 출력될 때마다 1만큼 증분된다.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최대 값에 이른 후에, 비트 카운터(411)의 값은 제로로 재설정되고 그 후 다시 최대 값 쪽으로 증분된다. 최대 값은 제 1 블록(260)의 크기, 즉 송신 프레임(200)의 크기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 비트 카운터(411)의 최대 값은 32768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조에 의해서, 블록 내 모든 비트들에 다른 값들이 주어질 수 있다.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0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정보 스위칭부(412)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를 출력한다. 그 후에,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32 내지 63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정보 스위칭부(412)는 제 1 사이드 정보(274)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32 내지 47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정보 스위칭부(412)는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를 출력한다. 비트 카운터(411)가 48 내지 63 범위 내에 있을 때, 정보 스위칭부(412)는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를 출력한다.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일단 64이면 1프레임에 대응하는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즉,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가 출력될 때까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출력한다.
즉, 정보 스위칭부(41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로서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를,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64에서 64와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에 나타낸 값의 합까지 변하는 시간 동안 출력버퍼(451)로 출력한다. 이 경우, 비트 카운터(411)는 사이드 정보 생성부(422)로부터 제 1 사이드 정보(274)에 의거하여 정보 스위칭부(41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카운터(411)는 페이로드 길이 정보 생성부(432)에 의해 발생된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에 의해 나타낸 제 1 페이로드 길이에 근거하여 정보 스위칭부(41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한다.
제 1 버스트 정보(277)의 크기가 제 1 블록(260)의 크기 미만일 때,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64와 제 1 페이로드 길이의 값의 합에서 제로로 변하는 시간 동안 스터핑 정보(279)를 출력한다.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최대 값에 도달할 때, 비트 카운터(411)의 값은 다시 제로로 되고 동시에 블록 카운터(413)의 값은 1에서 제로로 갱신된다. 이 경우, 제 1 블록(260)의 출력 동작이 완료되고 그 후에 제 2 블록(280)의 출력 동작이 시작된다.
블록 카운터(413)의 값은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다시 제로로 될 때 1로 갱신된다. 이 경우, 제 2 블록(280)의 출력 동작이 완료되고 그후 또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블록(260)의 출력 동작이 시작된다.
블록 카운터(413)는 출력 버퍼(45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관계되는 송신 프레임 블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에서, 블록 카운터(413)의 값이 제로로 될 때, 페이로드 길이 정보 생성부(432)는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의 프레임 길이에 관한 정보를 비트 수로 변환하여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는 출력 버퍼(451)로부터 정보 스위칭부(412)를 통해 출력된다.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는 제 1 블록(260) 내에 16비트의 비트 필드를 갖는다.
블록 카운터(413)의 값이 제로가 아닐 때(즉, 1), 즉 제 2 블록(280)이 송신될 때,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0 내지 47의 범위 내에 있는 시간 동안 데이터 생성부(400)의 동작은 제 1 블록(260)이 송신될 때와 유사하다.
페이로드 길이 정보 생성부(432)는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에 대한 것과 유사하게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생성한다. 송신 프레임(250)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 전체가 제 1 블록(260)에 포함되고 제 2 블록(280) 내 바디부(282)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기억하고 있지 않을 때,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의 비트 필드의 모든 16비트는 제로이다. 대안으로,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는 소정의 최소 값 미만의 값을 갖는다. 어느 경우이든,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는 제 2 바디부(282)의 제 2 페이로드 길이가 제로임을 나타낸다.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48 내지 63의 범위 내에 있는 시간 동안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출력한다.
제 2 페이로드 길이가 제로이므로, 정보 스위칭부(412)는 비트 카운터(411)의 값이 63 내지 최대 값의 범위 내에 있는 시간 동안 출력버퍼(451)로 스터핑 정보(299)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동작에서, 신호 송신 장치(101)는 신호 송신 장치(101)로부터 입력되는 AAC 스트림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송신 프레임(200)이 송신될 때, 신호 송신 장치(101)는 신호 송신 장치(101)로부터 입력되는 AAC 스트림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03)를 송신한다. 송신 프레임(200)은 송신 프레임(250)의 제 1 블록(260)과 유사하게 생성된다.
또한, 스트림 버퍼(415)는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근거하여 AAC 스트림의 데이터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를 얻을 수 있고, 얻어진 샘플링 주파수에 근거하여 비트 카운터(411) 및 비트 카운터(411)의 값들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 스위칭부(412)의 동작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트 카운터(411)는 데이터 유형 정보 생성부(43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유형 정보에 의거하여 정보 스위칭부(412)의 제어를 수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정보 스위칭부(412)의 제어는 스트림 버퍼(415)에 의해 추출된 AAC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정보의 유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수정될 수 있다.
이 예의 신호 송신 장치(101)에 의해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들이 서로 다를 때, 동일한 반복 시간을 갖는 송신 신호들이 생성되고, 두 개의 블록 중 단지 제 1 블록 내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만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가 생성된다. 이 경우, 신호 수신 장치(103)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으로부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에서 블록을 구별하고, 그럼으로써 정보를 올바르게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102)의 송신 클럭과 신호 수신 장치(103)의 수신 클럭 대 AAC 스트림의 샘플링 주파수의 비들과는 무관하게, 디지털 인터페이스(102)의 송신 클럭과 신호 수신 장치(103)의 수신 클럭이 일정하다면, 신호 수신 장치(103)는 동일한 레이턴시의 다른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104)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호 수신 장치(103)는 임의의 다른 장치와 쉽게 동기화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부호화된 AAC 스트림은 스트림 버퍼(415)에 입력된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생성부(400)는 오디오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 생성부(400)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호 수신 장치(103)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 수신 장치(103)는 동기화 확립부(510),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추출부(520), 및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를 포함한다. 동기화 확립부(510)는 비트 카운터(511)를 포함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추출부(520)는 정보 스위칭부(521) 및 스트림 버퍼(522)를 포함한다.
이하, 신호 수신 장치(103)가 제 1 블록(260) 및 제 2 블록(280)을 포함하는도 3(b)의 송신 프레임(250)을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신호 수신 장치(103)에서, 동기화 확립부(510)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104)의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를 검색한다.
송신 프레임(250)의 제 1 블록(260)에서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를 찾은 후에, 동기화 확립부(510)는 제 1 관리 정보(271)에 포함된 제 1 데이터 유형 정보(275)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로서, 제 1 블록(260)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263)의 부호화 방법이 원하는 유형의 것(예를 들면, AAC 스트림)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동기화 확립부(510)의 비트 카운터(511)는 신호의 반복 시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간격들에 제로로 설정된다(이 경우, 32768 비트).
동기화 확립부(510)는 송신 신호(104)의 동기화가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동기화의 판정은 예를 들면 검색된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로부터 제 1 블록(260) 다음에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대안으로, 동기화의 판정은 연속하여 5회에 걸쳐 전송 신호(104)의 제 1 블록(260)과 제 2 블록(280) 간 간격들(32768 비트)에서 동기화 워드 정보가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동기화가 수립되었을 때, 비트 카운터(511)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의 헤드, 즉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에 의해 나타낸 블록(260)의 시작점에서 제로로 설정된다.
비트 카운터(511)의 값은 제 1 블록(260)의 1비트가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로부터 입력될 때마다 제로에서 최대 값(즉, 32767)까지 1씩 증분된다. 비트 카운터(511)의 값은 최대 값에 도달한 후에 제로로 재설정된다. 그러므로, 비트 카운터(511)의 값은 제 1 관리 정보(271)의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273)의 헤드, 혹은 제 2 관리 정보(291)의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293)의 헤드에서 제로로 재설정되게 조작된다.
동기화 확립부(510)에서 동기화가 수립된 것으로 판정하였을 때, 송신 프레임(250)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추출부(520)에 출력된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추출부(520)에서, 정보 스위칭부(521)는 비트 카운터(511)의 값에 근거하여(구체적으로, 비트 카운터(511)가 48 내지 63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송신 프레임(250) 내 제 1 블록(260)의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나 제 2 블록(280)의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에 출력하도록 송신 프레임(250)의 목적지들을 전환한다.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는 제 1 페이로드 길이 혹은 제 2 페이로드 길이를 얻기 위해서 제 1 블록(260) 내 제 1 페이로드 길이 정보(276), 혹은 제 2 블록(280) 내 제 2 페이로드 길이 정보(296)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예에서, 비트 카운터(511)의 값이 48일 때,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가 활성화되고, 48 내지 63의 비트 카운터(511)의 값의 범위에 상응하는 제 1 블록(260) 및 제 2 블록(280) 각각의 16 비트는 제 1 페이로드 길이 및 제 2 페이로드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분석된다.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의 분석 결과로서, 페이로드 길이가 제로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즉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분석된 블록에 없을 때, 부호화된오디오 정보 추출부(520)는 비트 카운터(511)가 제로로 재설정될 때까지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송신 프레임(250)을 읽지 않는다. 즉,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추출부(520) 내 정보 스위칭부(521)는 블록의 페이로드 길이가 제로일 때 송신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스트림 버퍼(522)에 출력하지 않는다.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의 분석결과로서, 페이로드 길이가 제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정보 스위칭부(521)는 비트 카운터(511)의 값이 64에서 64와 페이로드 길이의 합까지 변할 때까지 페이로드 길이 분석부(53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스트림 버퍼(522)에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한다. 스트림 버퍼(52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임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 수신 장치(103)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송신되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만을 올바르게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동기화 워드 정보가 소정 반복 시간에 연속하여 5회 검출될 때, 동기화의 확립이 판정된다. 본 발명은 연속 5회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기화 워드 정보가 검출된 횟수는 정확한 동기화가 확립되는 한 임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유사한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 동기화 워드 정보는 연속적으로 검출될 필요가 없다.
전술한 예에서, 24 kHz 혹은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다른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을 알리거나 수정하지 않고도 송신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는 다른 유형의 부화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2이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한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가 다른 유형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샘플링 주파수의 1/N일 땐 적용할 수 없다. 이 경우, N은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이 경우, 송신 프레임의 블록 수는 N이다. N 블록 중에서, 예를 들면, 먼저 송신할 제 1 블록의 데이터 정보만이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제 1 블록 이외의 블록들의 모든 데이터 정보들은 각각의 블록에 어떠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도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제 1 블록만의 데이터 정보로부터 추출된다.
이하, N이 2가 아닐 때, 즉 N이 4일 때 송신 프레임의 구조를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4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6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12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나누어 얻어진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625) 중 1프레임 데이터가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된 디지털 인터페이스(102) 및 신호 수신 장치(103)(도 1)로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송신 프레임(6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송신 프레임(600)의 블록들 간 반복 시간은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가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 디지털 인터페이스(102) 및 신호 수신 장치(103)로 송신될 때 송신 신호의 반복 시간과 동일하다.
송신 프레임(600)은 제 1 블록(610), 제 2 블록(630), 제 3 블록(650), 및 제 4 블록(670)을 포함한다.
제 1 블록(610)은 제 1 헤더부(611) 및 제 1 바디부(612)를 포함한다. 제 1 헤더부(611)는 제 1 관리 정보(621)를 기억한다. 제 1 바디부(612)는 제 1 데이터 정보(622)를 기억한다. 제 1 관리 정보(621)는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623) 및 제 1 사이드 정보(624)를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정보(622)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625) 및 스터핑 정보(626)를 포함한다.
제 2 블록(630)은 제 2 헤더부(631) 및 제 2 바디부(632)를 포함한다. 제 2 헤더부(631)는 제 2 관리 정보(641)를 기억한다. 제 2 바디부(632)는 제 2 데이터 정보(642)를 기억한다. 제 2 관리 정보(641)는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643) 및 제 2 사이드 정보(644)를 포함한다. 제 2 데이터 정보(642)는 스터핑 정보(645)를 포함한다.
제 3 블록(650)는 제 3 헤더부(651) 및 제 3 바디부(652)를 포함한다. 제 3 헤더부(651)는 제 3 관리 정보(661)를 기억한다. 제 3 바디부(652)는 제 3 데이터 정보(662)를 기억한다. 제 3 관리 정보(661)는 제 2의 제 3 동기화 워드 정보(663) 및 제 3 사이드 정보(664)를 포함한다. 제 3 데이터 정보(662)는 스터핑 정보(665)를 포함한다.
제 4 블록(670)은 제 4 헤더부(671) 및 제 4 바디부(672)를 포함한다. 제 4 헤더부(671)는 제 4 관리 정보(681)를 기억한다. 제 4 바디부(672)는 제 4 데이터 정보(682)를 기억한다. 제 4 관리 정보(681)는 제 4 동기화 워드 정보(683) 및 제 4 사이드 정보(684)를 포함한다. 제 4 데이터 정보(682)는 스터핑 정보(68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623) 및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643)는 제 1 블록(610)과 제 2 블록(63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제 2 동기화 워드 정보(643) 및 제 3 동기화 워드 정보(663)는 제 2 블록(630)과 제 3 블록(650) 간 반복 시간을 얻는 데 사용된다. 제 3 동기화 워드 정보(663) 및 제 4 동기화 워드 정보(683)는 제 3 블록(650)과 제 4 블록(670)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더욱이, 바로 다음의 송신 프레임(600)의 제 4 동기화 워드 정보(683) 및 제 1 동기화 워드 정보(623)는 대응하는 블록들 간 반복 시간을 얻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예에서, MPEG2 AAC 스트림의 1프레임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므로, 비트 카운터들(411(도 4), 511(도 5))의 최대 값은 32768이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트 카운터(411, 511)의 최대 값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에 포함된 샘플들의 수에 따르며 부호화 방법간에 다르다.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AAC 스트림이 아닐 때, 다른 샘플링 주파수들을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는 동일한 반복 시간에 송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로부터 생성된 블록들 간 반복 시간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로부터 생성된 블록들 간 반복 시간과 동일하다. 결국, 신호 송신 장치는 반복 시간 변경을 신호 수신 장치에 알리지 않고도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및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부호화 방법들이 동일하고 샘플링 주파수들이 다를 때, 송신 신호들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의 정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신호 송신 장치 혹은 신호 송신 방법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는 헤더부로부터 블록의 바디부 내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블록의 바디부 내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신호 송신 장치 혹은 신호 송신 방법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는 제 1 출력 블록의 바디부만을 추출함으로써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장치의 레이턴시는 일정하다.

Claims (10)

  1.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이전의 블록과 후속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블록들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정보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전 블록 및 후속 블록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한, 신호 송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이드 정보이고,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음을 상기 사이드 정보가 나타낼 때, 상기 사이드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 송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후속 블록 내 상기 바디부에 스터핑 정보를 기억시키는, 신호 송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이전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생성되는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와 동일하고;
    후속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계없이 이전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신호 송신 장치.
  5.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상기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한 세트의 N개의 블록들을 생성하며, 먼저 출력될 상기 생성된 N 블록 중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상기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제 1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고, 각각의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제 1 블록 이외의 N개의 생성된 블록들의 각각의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N 블록들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한, 신호 송신 장치.
  6.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이전의 블록과 후속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 쌍의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이전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후속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2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전 블록 및 후속 블록의 크기들은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한, 신호 송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이드 정보이고,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바디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음을 상기 사이드 정보가 나타낼 때, 상기 사이드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 송신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후속 블록 내 상기 바디부에 스터핑 정보를 기억시키는, 신호 송신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이전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생성되는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와 동일하고;
    후속 블록의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후속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에 관계없이 이전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신호 송신 방법.
  10. 동일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 각각은 F 혹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상기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를 프레임들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1프레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한 블록을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블록 각각은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블록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화 워드 정보, 및 상기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1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생성된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생성된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한 세트의 N개의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먼저 출력될 상기 생성된 N 블록 중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의 1프레임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유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제 1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 각각의 블록의 바디부에 기억된 데이터가 무효한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상기 제 1 블록 이외의 N개의 생성된 블록들의 각각의 블록의 헤더부에 기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1/N x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N 블록들의 크기들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정보가 F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질 때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1블록의 크기와 각각 동일한, 신호 송신 방법.
KR10-2002-7005244A 2000-08-25 2001-08-23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 KR100451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5064 2000-08-25
JP2000255064 200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734A KR20020062734A (ko) 2002-07-29
KR100451687B1 true KR100451687B1 (ko) 2004-10-08

Family

ID=1874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244A KR100451687B1 (ko) 2000-08-25 2001-08-23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1371B2 (ko)
EP (1) EP1312076B1 (ko)
KR (1) KR100451687B1 (ko)
CN (1) CN1189863C (ko)
BR (1) BR0107161A (ko)
CA (1) CA2385149C (ko)
DE (1) DE60127419T2 (ko)
WO (1) WO20020173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1161B1 (en) * 2002-03-01 2007-01-2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for decod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EP1341160A1 (en) 2002-03-01 2003-09-0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for decod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WO2004077406A1 (ja) * 2003-02-28 2004-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20050083808A1 (en) * 2003-09-18 2005-04-21 Anderson Hans C. Audio player with CD mechanism
JP4251955B2 (ja) * 2003-10-15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データのネットワーク装置、アンプ装置
KR100546398B1 (ko) * 2003-11-25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에서 싱크 워드를 찾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207756B2 (ja) * 2007-03-07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61685B1 (ko) * 2008-03-31 2014-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객체 오디오 신호의 부가정보 비트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6446980A (zh) * 2015-08-11 2017-02-22 青岛安然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机音频供电和传输数据的ZigBee基站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710B2 (ja) * 1988-05-13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cm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pcm信号記録再生方法
US6289308B1 (en) * 1990-06-01 2001-09-11 U.S. Philips Corporation Encoded wideband digital transmission signal and record carrier recorded with such a signal
US6115537A (en) 1994-02-18 2000-09-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8298649A (ja) * 1995-04-27 1996-11-12 Oki Electric Ind Co Ltd 映像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映像符号化装置及び映像復号化装置
US5956674A (en) * 1995-12-01 1999-09-21 Digital Theater Systems, Inc. Multi-channel predictive subband audio coder using psychoacoustic adaptive bit allocation in frequency, time and over the multiple channels
US5826227A (en) * 1995-12-18 1998-10-20 Lucent Technologies Inc. Hiding a source identifier within a signal
JP3748936B2 (ja) * 1996-03-18 2006-0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US5953375A (en) * 1996-03-21 1999-09-14 Kabushiki Kaisha Toshiba Pack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variable length data
JP4428779B2 (ja) * 1999-12-24 2010-03-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データ多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7302A2 (en) 2002-02-28
BR0107161A (pt) 2002-06-18
DE60127419D1 (de) 2007-05-03
CN1388955A (zh) 2003-01-01
CN1189863C (zh) 2005-02-16
EP1312076B1 (en) 2007-03-21
US20020026255A1 (en) 2002-02-28
CA2385149C (en) 2007-08-21
US6931371B2 (en) 2005-08-16
DE60127419T2 (de) 2007-12-06
WO2002017302A3 (en) 2002-06-13
EP1312076A2 (en) 2003-05-21
CA2385149A1 (en) 2002-02-28
KR20020062734A (ko) 200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552A (en) Buffer fullness indicator
JP4037361B2 (ja) ビットストリーム変換システム
KR100461211B1 (ko) 디지털다용도디스크디바이스와다중채널재생장치간의비-pcm비트스트림을엔코딩,전송및디코딩하기위한방법및디바이스
EP0944086A2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system
KR100451687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치
KR20060022637A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US48933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companding a digital voice signal
WO2022059655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H10178419A (ja) 誤り訂正方法および装置
JP2001136503A (ja) テレビ会議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音声再生方法
JPH0686244A (ja) 映像信号送信装置と映像信号受信装置
US699313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coding audio data
JP3177825B2 (ja) メディア符号化装置
JPH07321668A (ja) 高効率データ伝送・蓄積装置
KR19980036074A (ko) 디코더 시스템의 비디오/오디오 동기화 장치
JPH1118071A (ja) スロー再生システム
US5956320A (en) Cell assembling/disassembling system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EP0676868A1 (en) Audio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JP3226068B2 (ja) データ伝送装置
KR100242307B1 (ko) 비디오 데이타 전송장치
KR0184405B1 (ko) 가변길이 부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2149196A (ja) 信号送信装置および信号送信方法
KR0181080B1 (ko) 엠펙 시스템의 이에스씨알 부호화장치
KR0181083B1 (ko) 엠펙 시스템의 피시알 부호화장치
KR100246622B1 (ko) 플래그 비트를 이용한 패킷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