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895B1 -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895B1
KR100450895B1 KR1019960023087A KR19960023087A KR100450895B1 KR 100450895 B1 KR100450895 B1 KR 100450895B1 KR 1019960023087 A KR1019960023087 A KR 1019960023087A KR 19960023087 A KR19960023087 A KR 19960023087A KR 100450895 B1 KR100450895 B1 KR 10045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ulse
generating
switching
sensorles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269A (ko
Inventor
고이치 이나가키
노리아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peed or torque of more than on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2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back-emf i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5Controlling commutation ti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20Arrangements for starting
    • H02P6/21Open loop start

Abstract

본 발명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회전가능한 로터와, 복수의 여자(勵磁)코일을 가지는 모터를 구동하고, 모터의 기동(起動)모드로부터 통상 모드에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고, 기동시간의 불균일이 적어진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여자코일로부터의 역기(逆起)전압을 검출하는 검출회로와,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회로와, 클록펄스에 따라서 지연펄스를 발생시키는 지연펄스발생회로와, 지연펄스와 검출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통전전환신호를 발생하여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을 다른 통전패턴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신호발생회로와,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클록펄스에 따른 기동펄스를 검출회로에 삽입하는 기동펄스삽입회로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본 발명은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로서는, 예를 들면 2상(相)의 브러시레스모터 등을 구동하는 회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2상의 브러시레스모터의 구동회로는 모터의 로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센서 또는 소자(홀소자 등)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구동 또는 여자코일에 발생하는 유기전압(역기전압)을 이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종류의 일반적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는 여자코일에 발생하는 유기전압을 검출하고, 극성이 반전하는 타이밍에 대하여 소정의 지연량을 부여하여 2상의 여자코일에 통전되는 구동전류(통전)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반적인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에서는, 통전패턴전환시에 발생하는 스파이크전압(플라이백전압)은 필터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 등에 의하여 제거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에서는, 기동펄스를 발생하여 로터의 회전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모터의 로터가 정확히 정지할 위치(기준위치라고도 함)에 이미 있어, 여자코일에 대하여 통전한 직후에 모터의 로터가 기동(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어떤 시간내에 여자코일에 있어서의 유기전압을 검출할 수 없었을 때에는, 기동펄스를 발생하여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을 강제적으로 다음의 통전패턴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로터가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제7도는 종래의 2상 양방향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통상 역기전압검출기(203), 스위칭회로(204), 구동회로(205), 위상동기루프회로 또는 PLL(phase-locked loop)회로(206) 및 기동회로(207)를 구비하고 있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로터 R를 가지는 모터에 사용된다.
동작에 있어서, 모터의 로터 R가 회전하면, 2상의 여자코일(201), (202)로부터, 역기전압(205s - 1) ∼ (205s -4)이 발생한다. 역기전압(205s - 1) ∼ (205s -4)은 역기전압검출기(203)에 들어가고, 역기전압을 비교하여 콤퍼레이트신호(203s)가 얻어진다. 이 콤퍼레이트신호(203s)는 스위칭회로(204)에 들어간다. 스위칭회로(204)의 출력신호(204s)는 구동회로(205)에 들어가서 증폭되고, 다시 여자코일(201), (202)에 출력된다.
또한, 한편 PLL회로(6)에 보내진 콤퍼레이트신호(203s)는 처리되거나 또는 체배(遞倍)되어 내부클록(206s)이 생성된다. 이 내부클록(206s)은 기동회로(207)에 보내지고, 기동회로(207)는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동펄스를 생성한다. 즉, 여자코일(201), (202)로부터 역기전압(205s-1)∼(205s -4)의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기동회로(207)는 정지모드로부터 기동모드로 전환되고, 이러한 기동모드에 있어서, 기동회로(207)는 내부클록신호(206s)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펄스를 카운트하여, 기동펄스(207s)를 스위칭회로(204)에 보낸다. 이로써, 스위칭회로(204)는 강제적으로 2상의 전환을 행하여, 여자코일(201),(202)의 통전패턴을 다음의 통전패턴으로 전환하여, 로터 R를 강제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브러시레스 샌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는, 2상의 여자코일(201) 또는 (202)의 통전직후에 로터 R가 동작함으로써, 여자코일(201), (202)의 역기전압(205s-1)∼(205s-4)을 검출하고, 소정 시간에 그 역기전압의 이른바 제로크로스의 타이밍에 있는 지연량을 부여하여, 통전전환을 행하고 있다. 또, 여자코일(201), (202)의 통전직후에 로터 R가 기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어떤 시간내에 역기전압의 제로크로스점을 검출할 수 없었을 때에는 기동회로(207)가 동작한다. 특히, 이 기동회로(20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 기동펄스(207s)를 발생하여, 여자코일(201), (202)의 통전패턴을 강제적으로 다음의 통전패턴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통전패턴을 전환하는 기능에 의하여, 로터 R가 동작하여 여자코일(201), (202)에서 역기전압이 발생한다.
이 종류의 종래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여자코일(201), (202)의 역기전압(205s-1)∼(205s-4)의 제로크로스점을 검출하여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기동모드로부터 통상의 모터구동모드로 전환한다. 이 어떤 조건이라는 것은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소정 조건으로서 제로크로스발생과 기동클록의 주파수 또는 위상이 맞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의 방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만일, 로터 R를 기동직후에, 로터 R가 회전할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전술한 조건이 비교적 긴 기간내에 만족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로터 R가 수 스텝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로써, 모터의 기동시간 및 로터 R의 기동시간의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기동모드로부터 통상의 모터구동 모드에의 전환조건의 설정 또는 사용에 따라서는, 로터 R의 기동성능이 좌우되어 버린다. 또, 이와 같은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기동모드로부터 통상의 모터기동모드에의 전환을 정밀도 양호하게 행하므로, 고기능으로 하면 소자수가 많은 회로로 되어, 고코스트로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기동모드로부터 통상모드에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고, 기동시간의 불균일이 적어지는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가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있어서는, 회전가능한 로터와, 복수의 여자코일을 가지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가 배설된다. 구동회로는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회로와,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지연펄스를 발생시키는 지연펄스발생회로와, 상기 지연펄스발생회로로부터의 지연펄스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검출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전환신호를 발생하는 전환신호발생장치와, 상기 통전전환신호에 따라서 상기 여자코일을 통전시키는 구동회로와,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록펄스에 따른 기동펄스를 상기 검출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기동펄스삽입회로와로 이루어진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회전자기헤드장치의 드럼의 회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광디스크의 회전용으로 사용된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의 검출장치는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고,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가진다. 위상동기루프회로(PLL회로)는 클록펄스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분주회로와, 이 분주한 펄스에 대하여 미분펄스를 비교하는 위상비교기와를 가진다. 지연펄스발생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지연펄스는 PLL회로로부터의 클록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기준위치로부터 어떤 지연시간만큼 지연된다. 전환신호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통전전환신호를 사용하여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을 다음의 통전패턴으로 강제적으로 전환한다. 기동펄스삽입회로는, (i) 위상동기루프회로로부터 공급된 클록펄스에 따라서 능동상태와 비능동상태의 하나에 있도록 동작하는 전환장치와, (ii) 전환장치에 응답하여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에서 비교회로에 접속되어, 전환장치가 비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비교회로에 제1의 불평형전압을 부여하고, 전환장치가 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비교회로에 제2의 불평형전압을 부여하는 불평형전압부여부를 구비한다. 불평형전압부여부는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검출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미분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펄스발생장치로 이루어진다.
임의의 하나 이상의 여자코일이 통전되어 자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자력에 의하여 로터가 동작하는 경우에, 검출장치는 여자코일로부터 공급된 역기전압을 검출하여 비교한다. 여자코일에서 발생된 역기전압에 따라서, 검출장치는 회전하는 로터의 기준위치를 검출 또는 측정한다. 이 기준위치라는 것은, 로터가 동작하면 여자코일에 전압이 유기되지만, 이 전압이 제로크로스점으로 되었을 때의 로터의 위치를 말한다.
로터가 가령 자력으로 끌어당겨져 정지할 위치(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복수의 여자코일에 통전해도 로터가 동작하지 않고, 유기전압도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기동펄스삽입회로가 PLL회로의 클록펄스를 분주하여 얻어지는 모터의 기동펄스를 검출장치의 비교회로에 삽입한다. 이로써, 전환신호발생장치가 여자코일의 통전전환신호를 강제적으로 발생하여,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은 다음의 통전패턴으로 강제적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식의 기동 또는 구동펄스삽입회로는, 복수의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모터용의 구동펄스를 검출장치의 비교회로에 삽입하고 있다.
제1 또는 제2의 불평형전압이 비교회로에 강제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장치는 기동 또는 클록펄스신호에 따라서 비능동 또는 능동상태의 하나에 있다. (이로써, 비교회로는 각각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 또는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의 하나에 있다. ) 이와 같이 스위칭장치가 비능동상태로부터 능동상태로 변하면, 제2의 불평형전압이 비교회로에 공급됨으로써, 비교회로에 의하여 생성된 콤퍼레이트신호는 변환 또는 전환된다. 이때, 로터가 중립위치에 있으면, 여자코일에 통전해도 로터가 동작하지 않고 역기전압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은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기동펄스는 PLL회로의 분주회로를 겸용하여 얻고 있다.
그리고, 이 제1의 불평형전압과 제2의 불평형전압은 로터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역기전압보다 상당히 작은 전압치이다. 따라서, 불평형전압은 역기전압에 대하여 노이즈와 같이 역기전압에 실리지만, 그 불평형전압은 무시할 수 있는 값이고, 따라서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기동모드로부터 통상의 모터구동모드에의 전환은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다. 즉, 역기전압이 발생한 시점에서, 기동펄스삽입회로의 기동펄스는 크게 변하지 않고 또는 방해로 되지 않고,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의 기동모드로부터 통상의 모터구동모드에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또는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120)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를 나타낸다. 구동회로(10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회로(3), 셀렉터(4), 스위칭회로(5), 구동회로(6), 미분회로(7), 위상동기(PLL)회로(8), 래치지연회로(9),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 및 디코더(12)를 포함한다.
제1도에 있어서, 2상 양방향 통전형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 (이하, 센서레스모터라고 함)(120)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레스모터(120)는 2개의 구동코일(여자코일이라고도 함)(1), (2)과 로터 R를 가지고 있다. 로터 R는 N극과 S극을 가지고 있다. 구동코일(1)로부터는 역기전압(6s-1), (6s-2)이 얻어지고, 구동코일(2)측으로부터는 역기전압(6s-3), (6s-4)을 얻을 수 있다. 이 역기전압은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구동코일(1),(2)에 생기는 유기전압이다.
센서레스모터(120)는 여러가지 응용에 이용할 수 있고, 이 센서레스모터(120)는 예를 들면 VCR(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기기에 사용되는 회전자기헤드장치의 회전드럼의 회전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광디스크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광디스크의 회전용 모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로터 R의 회전에 의하여 2상의 구동코일(1) 또는 (2)에 의하여 생긴 역기전압은 검출회로(3)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회전하는 로터 R의 기준위치를 검출한다. 이 로터 R의 기준위치라는 것은 로터 R가 회전하면 구동코일에 전압이 유기되지만, 이 전압이 제로크로스점으로 되었을 때의 구동코일(1),(2)에 대한 로터 R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로크로스점은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검출회로(3)는 구동코일(1), (2)로부터의 유기전압 또는 역기전압을 PLL회로(8)로부터의 클록펄스(8s)와 함께 수신하고, 거기로부터 콤퍼레이트신호(3s-1),(3s-2)를 발생한다. 이 콤퍼레이트신호의 예를 제5도 B 및 C에 나타낸다. 콤퍼레이트신호(3s-1),(3s-2)는 셀렉터(4) 및 미분회로(7)에 공급될 수 있다.
셀렉터(4)는 검출회로(3)로부터의 콤퍼레이트신호(3s-1),(3s-2) 및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로부터의 마스크신호(11s)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셀렉터는 스위칭회로(5)에 공급되는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를 형성한다. 이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의 예를 제5도 D 및 E에 나타낸다.
스위칭회로(5)는 셀렉터(4)로부터의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 및 래치지연회로(9)로부터의 래치지연펄스(9s)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펄스에 따라서, 스위칭회로(5)는 디코더(12)에 공급되는 스위칭출력신호(5s-1),(5s-2)를 발생한다. 이 스위칭출력신호의 예를 제5도 G 및 H에 나타낸다.
디코더(12)는 스위칭출력신호(5s-1),(5s-2)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소정의 기술에 따라서 디코드하여 구동회로(6)에 공급되는 디코드되거나 통전된 통전전환신호(13s-1),(13s-2),(13s-3) 및 (13s-4)를 형성한다. 이 신호의 예를 제5도 K, L, M 및 N에 나타낸다.
구동회로(6)는 신호(13s-1)∼(13s-4)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서 코일 등을 통전시킨다. 구동회로(6)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위칭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위칭회로는 코일(1),(2)의 각각에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코일(1)용으로는 트랜지스터 Trl, Tr2, Tr3 및 Tr4가, 코일(2)용으로는 트랜지스터 Tr5, Tr6, Tr7, 및 Tr8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트랜지스터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되고, 신호(13s-1)∼(13s-4)에 따라서 "온"으로 전환되어 각 코일을 통전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Tr1, Tr4는 신호(13s-1)가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6)는 구동코일(1)을 통전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 Tr2, Tr3는 신호(13s-2)가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는 구동코일(1)을 통전시키고, 트랜지스터 Tr5, Tr8는 신호(13s-3)가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는 구동코일(1)을 통전시키고, 트랜지스터 Tr5, Tr8는 신호(13s-3)가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는 구동코일(2)을 통전시키고, 트랜지스터 Tr6, Tr7는 신호(13s-4)가비교적 높은 값을 가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회로는 구동코일(2)을 통전시킨다. 이 스위칭배열의 표시를 제5도의 하부에 나타낸다.
미분회로(7)는 콤퍼레이트신호(3s-1),(3s-2)를 수신하고, 이 비교신호의 어느 한쪽이 반전했을 때에 하나의 미분펄스(7s)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미분펄스신호(7s)의 예를 제5도 F에 나타낸다 (또한, 제5도 B, C 및 F의 화살표 F1, F2를 참조), 즉, 예를 들면 2상의 구동코일(1), (2)의 역기전압의 어느 한쪽이 제3도에 나타낸 제로크로스점 ZC을 통과할 때마다, 미분회로(7)는 미분펄스(7s)를 발생하게 된다. 이 미분펄스(7s)는 PLL회로(8), 래치회로(9),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에 각각 입력된다.
PLL회로(8)는 미분펄스(7s)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서 클록펄스신호(8s)를 발생한다. 특히, 이 클록펄스신호는 미분펄스(7s)에 동기하여 발생하고, 클록펄스의 소정의 횟수는, 예를 들면 제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6배의 클록펄스가 각 미분펄스(7s)에 발생한다. 이 발생된 클록펄스신호(8s)는 검출회로(3), 래치지연회로(9) 및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에 입력된다.
제4도는 이 PLL회로(8)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PLL회로(8)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된 위상비교기(40), 로패스필터(LPF)(42), 전압제어형 발진기(VCO) (44) 및 1/N분주회로(46)를 포함한다. 위상비교기(40)는 미분회로(7)로부터 미분펄스(7s) 및 1/N분주회로(46)로부터 출력신호 또는 펄스(8p)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위상비교기(40)는 수신된 펄스신호를 비교하여 로패스필터(42)에 입력되는 비교신호(40a)를 발생한다. 로패스필터(42)는 소정치보다 적은 주파수를 가지는 콤퍼레이트신호(40a)의 주파수성분을 통과시켜 전압 또는 출력신호(42a)를 형성한다. 이러한 출력신호(42a)가 VCO(44)에 입력되고, 따라서 클록펄스신호(8s)가 출력신호(42a)에 상응하는 주파수로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클록펄스신호(8s)가 PLL회로(8)로부터 출력되어, 1/N분주회로(46)에 입력된다. 1/N 분주회로(46)는 클록펄스(8s)를 분리하여 클록펄스의 주파수 1/N를 가지는 신호(8p)를 발생하고, 예를 들면 1/N분주회로(46)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8p)는 클록펄스(8s)의 1/16의 주파수로 분주하여 위상비교기(40)에 신호 또는 펄스(8p)로서 부여한다.
따라서, 클록펄스(8s)는 VCO(44)에 의하여 미분펄스(7s)의 대략 16배의 주파수로 변환되고, 또 VCO(44)는 로패스필터(42)로부터 출력신호(42s)가 비교적 높은 전압을 가질 때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클록펄스신호(8s)를, 그리고 출력신호(42a)가 비교적 낮은 전압을 가질 때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클록펄스신호(8s)를 발생한다.
제1도에 있어서, 래치지연회로(9)는 클록펄스신호(8s) 및 미분펄스신호(7s)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지연을 가지는 래치지연펄스(9s)를 발생한다. 이 소정의 지연을 측정하기 위하여, 래치지연회로(9)는 플록펄스신호(8s)내의 펄스를 카운트할 카운터 또는 유사한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래치지연펄스(9s)는 제5도 F 및 J에 화살표 G1 및 G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분펄스(7s)로부터 3개의 클록펄스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 이 래치지연펄스(9s)는 로터 R의 기준위치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으로 지연될 수있다. 래치지연펄스(9s)는 스위칭회로(5)에 입력된다.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는 클록펄스신호(8s) 및 미분펄스신호(7s)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마스크신호(11s)를 발생한다. 이 마스크신호(11s)는 비교적 높게 또는 소정 기간 T 온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소정의 변화가 발생하기까지 그 안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신호(11s)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온상태로 남고, 래치지연펄스(9s)는 제5도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분펄스(7s)가 발생된 후에 형성된다. 마스크신호(11s)는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로부터 셀렉터(4)에 입력된다.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는 ZC1(제3도)와 같은 제로크로스점이 셀렉터(4)의 로직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제로크로스점은 전류흐름을 U상(제3도)에 상응하는 구동코일(1)의 통전파형으로 전환으로써 발생되는 역기전압파형에 기인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스크신호(11s)의 기간 T은 의사펄스억제기간 T으로 간주할 수 있고, 그 중 의사펄스 또는 플라이백전압(제3도)은 전환된 구동코일(1),(2)의 통전이 억제될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는 제로크로스점 ZC1을 만들어 구동코일(1),(2)을 전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역기전압 또는 플라이백전압을 제거한다. 제로크로스점 ZC1이 센서레스모터(120)의 회전과 관계없이 발생되므로, 이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검출회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회로(3)내에 콤퍼레이터(112),(112) 및 기동펄스삽입회로(70),(70)가 내장되어 배치된 예이다. 기동펄스삽입회로(70)는 불평형전압부여부(80)와 스위칭수단인 스위칭회로(90)를 가지고 있다. 기동펄스삽입회로(70),(70)는 아날로그식 회로이고, 검출회로(3)의 콤퍼레이터(112),(112)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콤퍼레이터(112),(112)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입력단자는 저항 R1 및 R2을 통하여 여자코일(1),(2)에 각각 결합된다. (각 저항은 10㏀의 저항치를 가진다. ) 검출회로(3)의 콤퍼레이터(112)는 저항 R1 및 R2을 통하여 역기전압(6s-1),(6s-2)을 수신, 비교하여, 콤퍼레이트신호(3s-1)를 출력하는 비교회로이다(제5도 B).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콤퍼레이터(112)는 저항 R1 및 R2을 통하여 역기전압(6s-3),(6s-4)을 수신, 비교하여, 콤퍼레이트신호(3s -2)를 출력하는 비교회로이다(제5도 C). 역기전압신호 이외에, 콤퍼레이터(112),(112)는 불평형전압부여부(80),(80)로부터의 전압을 또한 수신한다.
각 기동펄스삽입회로(70)는 대략 동일한 하나의 회로이고, 특히 소자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지만, 이 설명은 다른 회로(7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칭장치(90)는 예를 들면 능동 및 비능동상태의 NPN트랜지스터가 채용되고 있다. 이 트랜지스터는 PLL회로(8)와 불평형전압부여부(80) 사이에 배설되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PLL회로(8)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불평형전압부여부(80)에 접속된다.
제2도의 불평형전압부여부(80)는 저항브리지회로이고, 5개의 저항 R3∼R7을 가지고 있다. 저항 R3, R4은 예를 들면 100㏀이다. 이에 대하여, 저항 R5은, 예를들면 95㏀이다. 저항 R6은, 예를 들면 90㏀이다. 그리고, 저항 R7은, 예를 들면 10㏀이다. 불평형전압부여부(80)는 트랜지스터/스위칭장치(90) 및 콤퍼레이터(112)에 접속되고, 특히 저항 R6과 R7 사이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불평형전압부여부(80)의 저항 R5과 R6 사이의 접속점은 저항 R1과 콤퍼레이터(112)의 플러스입력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불평형전압부여부(80)의 저항 R3과 R4 사이의 접속점은 저항 R2과 콤퍼레이터(112)의 마이너스입력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PLL회로(8)로부터 클록펄스신호(8s)를 수신할 때, 스위칭장치/트랜지스터(90)가 구동된다. 즉, 스위칭장치(90)는 클록 또는 기동펄스(8s)에 따라서 비능동상태로부터 능동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스위칭장치 또는 트랜지스터는 불평형전압부여부(80)에 신호를 공급하여 제1의 불평형전압이 콤퍼레이터(112)에 공급된 상태로부터 제2의 불평형전압이 콤퍼레이터(112)에 공급된 상태로 변환시킨다.
이로써, 로터 R(제1도)가 정지하고 있으며, 또한 스위칭장치(90)가 비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전압(10s)쪽이 전압(99s)보다 약간 높은 전압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압(10s)이 전압(99s)보다 약간 높은 전압상태를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라고 한다. 이 제1의 불평형전압(전압 10s-전압 99s)은 콤퍼레이터(112)의 오프셋 규격 및 콤퍼레이터(112)의 입력부의 노이즈레벨보다 약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불평형전압은 콤퍼레이터의 히스테리시스와 같은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노이즈에 의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 R가 정지모드로부터 기동모드로 되어, PLL회로(8)로부터의 기동펄스(10s)가 스위칭장치(90)에 주어지면, 스위칭장치(90)는 기동펄스에 따라서 비능동상태로부터 능동상태로 전환된다. 스위칭장치(90)가 능동상태로 되면, 역으로 전압(10s)이 전압(99s)보다 낮은 전압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전압(10s)이 전압(99s)보다 낮은 전압으로 된 상태를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라고 한다.
이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와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전압 10s 및 전압 99s을 포함) 및 이들 상태와 콤퍼레이트신호 사이의 관계를 제6도에 나타낸다. 제6도에 있어서,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를 T1로 나타내고,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를 T2로 나타낸다.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 T1로부터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 T2로 변하면, 콤퍼레이트신호(3s-1),(3s-2)는 최저치, 최고치의 오프상태 또는 온상태로 전환되어, 콤퍼레이터(112), (112)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다음에, 구동코일(1),(2)에 대하여 구동전류를 통전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렉터(4)(제1도)에 들어간 콤퍼레이트신호(3s-1),(3s-2)는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제1도)의 마스크신호(11s)가 최저치 또는 오프하는 동안 셀렉터(4)를 통과하고, 마스크신호(11s)가 온하는 동안은 마스크신호(11s)가 온하기 직전의 데이터가 셀렉터(4)에 의하여 래치되어,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로서 스위칭회로(5)에 대하여 출력된다. 스위칭회로(5)에서는 래치지연펄스(9s)의 타이밍으로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가 래치되고, 래치지연회로(9)에 통전되어, 스위칭출력신호(5s-1),(5s-2)를 생성한다. 즉, 스위칭회로(5)에서는 미분펄스(7s)로부터 예를 들면 3클록 후에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가 래치된다 (제5도 F, G, H 및 J 참조). 스위칭회로(5)로부터의 스위칭출력신호(5s-1),(5s-2)는 디코더(12)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디코더(12)는 소정의 논리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스위칭출력(5s-1),(5s-2)은 디코더(12)의 논리회로에 의거한 통전코드에 따라서 디코드되어, 통전전환신호(13s-1)∼(13s-4)로서, 구동회로(6)에 대하여 주어진다. 이 스위칭신호에 따라서, 구동회로(6)는 특정의 트랜지스터를 전환하여, 2상의 전환 (통전패턴의 전환)을 행하여, 구동코일(1),(2)에 통전한다.
이와 같이, 일련의 구동코일(1),(2)에 대하여 통전하기 위한 데이터의 흐름의 대부분은 PLL회로(8)로부터 발생되는 클록펄스신호(8s)를 기준으로 하여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의 내부에서 콘트롤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의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로터 R가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의 통전시에 회전하는 경우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에 대하여 통전을 하여 로터 R (제1도)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2개의 구동코일(1),(2)중의 어느 한쪽에 구동전류의 통전이 행해진다. 구동코일(1),(2)의 어느 한쪽에 통전이 행해지면, 그 통전이 있었던, 예를 들면 각 구동코일(1)의 자력에 의하여, 로터 R가 끌려서 약간 회전한다. 그러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코일(1)의 유기전압(역기전압)을 검출회로(3)가 검출한다.
검출회로(3)(제1도)가 역기전압(6s-2),(6s-4)을 검출하면, 검출회로(3)는 콤퍼레이트신호(3s-1),(3s-2)(제5도 B 및 C)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서 미분회로(7)는미분펄스(7s)(제5도 F)를 생성하고, 미분펄스(7s)는 PLL회로(8), 래치회로(9), 마스크신호 발생회로(11)에 주어진다. 셀렉터(4)는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제5도 D 및 E)를 생성한다.
PLL회로(8)는 최저주파수에서 클록펄스신호(8s)를 발생한다. 즉, 먼저 미분펄스(7s)가 PLL회로(8)에 주어지고, PLL회로(8)의 VCO(44)는 최저주파수에서 클록펄스신호(8s)를 생성한다.
PLL회로(8)는 항상 미분펄스(7s)의, 예를 들면 16배의 클록펄스신호(8s)를 발생하고, 또한 미분펄스(7s)로부터, 예를 들면 3클록후에 항상 클록펄스(8s)의 상전환을 행할 수 있다. PLL회로(8)는 로터 R의 회전수에 관계없이, 항상 제로크로스점 ZC으로부터 일정한 지연간격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로이다.
PLL회로(8)로부터 주어진 클록펄스신호(8s)는 검출회로(3)에 내장되어 있는 2개의 스위칭회로(90), (90)(제2도), 래치지연회로(9),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에 주어진다.
래치지연회로(9) 및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는 클록펄스 및 미분회로(7)로부터 주어진 미분펄스(7s)에 따라서 동작한다.
즉, 래치지연회로(9)는 래치지연펄스(9s)(제5도 J)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5)에 부여한다. 스위칭회로(5)에서는, 이 래치지연펄스(9s)는 미분펄스(7s)로부터 소정 클록펄스후, 예를 들면 2클록후에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제5도 D 및 E)를 래치한다.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에 의하여, 스위칭회로(5)의 출력이 강제적으로 스위칭출력신호(5s - 1), (5s - 2)로 전환된다. 셀렉트데이터신호(4s - 1) , (4s - 2) 및 래치지연펄스(9s)에 의하여, 스위칭회로(5)의 스위칭출력(5s-1),(5s-2)이 강제적으로 전환된 결과, 디코더(12)로부터 구동회로(6)에 대하여 통전전환신호(13s-1)~(13s-4)가 주어지고, 구동코일(1),(2)에 통전되어, 로터 R가 회전하게 된다.
로터 R가 회전을 개시하면, 전술한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어 로터 R의 회전이 빨라지는 동시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역기전압의 제로크로스점 ZC을 통과하는 타이밍이 빨라져서, 미분펄스(7s)의 발생간격이 좁아진다.
본 발명의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의 실시예에서는, 센서레스모터구동장치(100)의 내부에 여자코일이라고도 하는 구동코일(1),(2)의 역기전압(유기전압)을 입력하는 PLL회로(11)를 가지고 있다. PLL회로(8)의 클록펄스신호(8s)에 따라서 래치지연회로(9)에 의하여 위상시프트(위상지연을 적극적으로 형성)를 형성하여 로터 R의 기준위치보다 소정량 지연시킨다.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는 클록펄스신호(8s)에 따라서, 마스크기간 T (제5도 I)의 타이밍을 형성하여 불필요한 플라이백전압(제3도)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서, 센서레스모터(120)(제1도)의 로터 R의 속도가 변화해도, 항상 최적의 구동코일(1),(2)의 통전을 행할 수 있다.
(2) 로터 R가 통전시에 이미 정지해야 할 위치 (중립위치)에 있어서, 통전에 의해서는 회전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 (기동모드)
로터 R가 구동코일(1),(2)의 자력에 끌려서 이미 정지해야 할 위치 또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구동코일(1),(2)에의 통전후라도 로터 R가 동작하지 않는 동시에, 역기전압(6s-1),(6s-2),(6s-3),(6s-4)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로터 R가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도(구동코일(1),(2)의 통전여부와 관계없음), PLL회로(8)는 최저주파수로 클록펄스신호(8s)를 발생하고, 이 클록펄스신호(8s)를 래치지연회로(9) 및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에 부여한다. 또한, 클록펄스신호(8s)는 검출회로(3)의 스위칭회로(90),(90)에 부여되거나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에, 이들 후자의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한다.
로터 R가 정지하고, 스위칭회로(90)에는 클록펄스신호(8s)가 들어가지 않을 때, 스위칭회로(90)가 비능동상태이다. 그 결과로서, 불평형전압부여부(80)의 전압(10s)은 전압(99s)보다 약간 높은 전압상태, 즉 제6도의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 T1에 설정되어 있다.
한편,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100)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되어, 기동모드로 되면, 클록펄스신호(8s)가 스위칭회로(90)에 입력되어 스위칭회로(90)가 능동상태로 된다. 그러면, 불평형전압부여부(80)의 전압(10s)은 전압(99s)보다 낮은 전압으로 되고, 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제6도의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 T1로부터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 T2로 변한다.
콤퍼레이트신호(3s-1),(3s-2)는 셀렉터(4)(제1도)에 보내지고,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제1도)의 마스크신호(11s)가 오프상태인 동안 셀렉터(4)를 통과하고, 마스크신호(11s)의 온상태 직전의 데이터가 래치되어, 셀렉트데이터신호(4s-1),(4s-2)로서 스위칭회로(5)에 대하여 출력되고, 스위칭회로(5)에서는 래치지연펄스(9s)의 타이밍으로 셀렉트데이터신호가 래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래칭은 미분펄스(7s)로부터 3클록펄스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가진다.) 스위칭회로(5)로부터의 스위칭출력신호(5s-1),(5s-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디코더(12)에 보내지고, 디코드되어, 구동회로(6)에 보내진다. 구동회로(6)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동코일(1),(2)을 통전한다. 즉, 구동회로(6)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Tr1~Tr6까지의 트랜지스터(제8도)중 적당한 것이 전환되게 함으로써 통전패턴의 상을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로터 R의 기동모드를 구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방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로터 R가 기동모드에서 구동모드로 전환될 때, 불평형전압(10s),(99s)(제2도)은 로터 R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역기전압(6s-1)∼(6s-4)에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기전압은 불평형전압(10s),(99s)보다 훨씬 큰 전압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역기전압에 중첩하는 불평형전압은 어떤 역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실제로 노이즈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압(10s),(99s)은 역기전압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적은 값을 가지므로, 로터 R의 기동모드는 로터구동모드로 순조롭게 전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역기전압이 발생한 시점에서, 센서레스모터(120)의 로터 R는 기동펄스삽입회로(70)의 전압(10s),(99s)에 특히 방해받지 않고 순조롭게 기동모드로부터 본래 로터의 통상의 회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7도의 구동회로에서의 로터 R의 통전이 디지탈적으로 제어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어가 본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서는 아날로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즉, 본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서 기동펄스삽입회로(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저항 및 스위칭회로(90)(또는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저항브리지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탈회로에 의한 전환기능이나 특별한 분주회로 등을 제7도의 구동회로와는 달리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7도의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역기전압이 검출되었을 때, PLL회로(206)에 포함될 수 있는 제1의 분주기를 리세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리세팅은 제1의 분주기에 더하여 여분의 리세트분주기나 특별한 분주기를 필요로 한다. 반면, 본 구동회로에서는, PLL회로(8)의 분주회로(46)에 의하여 클록펄스신호(8s)를 형성하고, 이 클록펄스신호(8s)는 기동펄스삽입회로(70)의 스위칭회로(90)에 보내지고, 또한 이러한 분주회로는 스위칭회로(90)의 온오프용의 기동펄스생성을 위하여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동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1/128의 분주를 하는 분주회로가 필요하고, PLL회로(8)는 1/16의 분주를 하는 분주회로가 필요한 경우에는, 1/128회로는 7개의 플립플롭을, 1/16회로는 4개의 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분주회로(46)도 기동펄스를 생성하므로, 다만 7개의 플립플롭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로의 감소 및 코스트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7도에 포함하고 있는 다른 구동회로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을 다음에 요약한다.
첫째, 마스크신호발생회로(1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구동코일(1),(2)의 통전이 전환될 때 발생하는 스파이크전압(플라이백전압)을 발생하는 기간을 마스킹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파이크전압에 의하여 생기는제로크로스점을 잘못하여 검출하는 것이 없어진다.
둘째, 로터 R의 기동모드가 로터구동모드로 순조롭게 전환될 수 있고, 기동시간의 불균일이 적어진다.
셋째, 모터기동모드가 통상구동모드로 전환되는 조건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넷째, 기동펄스삽입회로(70)의 불평형전압부여부(80)의 불평형전압(10s),(99s)이 콤퍼레이터(112)의 입력측에서 오프셋으로서 동작하므로, 콤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이른바 비트로크(beat lock)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모터구동회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간단한 장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조 및 동작에 관련된 코스트가 저감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순한 디자인은 본 구동회로가 광범위한 종류의 모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인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는 2상 모터에 한하지 않고, 3상 또는 다른 타입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에 대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모터는 코어레스모터나 철심형 모터 뿐만 아니고, 영구마그네트(PM)형 스테핑모터나 하이브리드(HB)형 스테핑모터 또는 다른 타입의 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변형예를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은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사용된 검출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하나의 구동회로의 통전파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도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통전전환시에 있어서의 플라이백전압 및 제로크로스점(zero-cross)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에 사용된 PLL회로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 A~R은 제1도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신호의 타임차트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1의 불평형(不平衡)전압상태와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 사이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배경설명을 위한 종래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의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1도의 브러시레스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 사용된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모터의 구동코일(여자(勵磁)코일), 3 : 검출회로(검출수단), 3s-1, 3s-2 : 콤퍼레이트신호, 4 : 셀렉터, 4s-1, 4s-2 : 셀렉트데이터신호, 5 : 스위칭회로(통전전환신호발생수단), 6 : 구동회로, 6s-1 ∼ 6s-4 : 유기(誘起)전압(역기(逆起)전압), 7 : 미분(徵分)회로(미분펄스발생수단), 7s : 미분펄스, 8 : PLL(위상동기루프)회로, 8s : 클록펄스신호, 9 : 래치지연회로(래치회로), 9s : 지연펄스(래치펄스), 11 : 마스크신호발생회로, 12 : 디코더, 13s-1 ∼ 13s-4 : 통전전환신호, 46 : 분주(分周)회로, 70 : 기동(起動)펄스삽입회로, 80 : 불평형 전압부여부, 90 : 스위칭수단, 100 :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12 : 콤퍼레이터(비교회로), 120 : 센서레스모터, R : 모터의 로터, T : 의사(疑似)펄스제어기간, T1 : 제1의 불평형전압상태, T2 : 제2의 불평형전압상태.

Claims (15)

  1. 회전가능한 로터와, 복수의 여자(勵磁)코일을 가지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의 역기전압(逆起電壓)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회로,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지연펄스를 발생시키는 지연펄스발생수단,
    상기 지연펄스발생수단으로부터의 지연펄스의 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전환신호를 발생하는 전환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통전전환신호에 따라서 상기 여자코일을 통전시키는 구동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로부터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 기동(起動)펄스를 삽입하기 위한 기동펄스삽입회로를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갖고,
    상기 기동펄스삽입회로는 상기 비교회로에 접속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펄스삽입회로는 상기 위상동기 루프회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능동상태와 비능동상태의 하나에 있도록 동작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동펄스삽입회로는 또한 상기 전환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비교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비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교회로에 제1의 불평형(不平衡)전압을 부여하고,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교회로에 제2의 불평형전압을 부여하는 불평형전압부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평형전압부여부는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미분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펄스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는 상기 클록펄스를 분주(分周)하기 위한 분주회로와, 이 분주한 펄스에 대하여 상기 미분펄스를 비교하는 위상비교기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이 전환될 경우 발생하는 펄스를 억압하는 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크신호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회전자기헤드장치의 드럼의 회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광디스크의 회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9. 회전가능한 로터와, 복수의 여자코일을 가지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고, 각 역기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자코일의 역기전압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미분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펄스발생수단,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회로로서, 상기 클록펄스를 분주하기 위한 분주회로와, 이 분주한 펄스에 대하여 상기 미분펄스를 비교하는 위상비교기를 가지는 위상동기루프회로,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지연펄스를 발생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지연회로로부터의 지연펄스에 따라서,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전환신호를 발생하는 전환신호발생수단,
    상기 통전전환신호에 따라서 상기 여자코일을 통전시키는 구동회로, 및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로부터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록펄스에 따른 기동펄스를 상기 비교회로에 삽입하기 위한 기동펄스삽입회로
    를 포함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펄스삽입회로는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로부터 공급된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능동상태와 비능동상태의 하나에 있도록 동작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동펄스삽입회로는 또한 상기 전환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여자코일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비교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비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교회로에 제1의 불평형전압을 부여하고,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능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교회로에 제2의 불평형전압을 부여하는 불평형전압부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평형전압부여부는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2. 제9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이 전환될 경우 발생하는 펄스를억압하는 마스크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스크신호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회전자기헤드장치의 드럼의 회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2상 양방향 센서레스모터이고, 광디스크의 회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15. 회전가능한 로터와, 최소한 1개 이상의 여자코일을 가지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로부터의 역기전압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클록펄스를 발생하는 위상동기루프회로,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서 지연펄스를 발생시키는 지연펄스발생수단, 및
    상기 출력신호와 상기 지연펄스에 따라서 통전전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여자코일의 통전패턴을 다른 통전패턴으로 강제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신호발생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역기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록펄스에 따라 기동펄스를 삽입하기 위한 기동펄스삽입회로를 가지는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60023087A 1995-06-23 1996-06-22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0450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80966 1995-06-23
JP18096695A JP3151758B2 (ja) 1995-06-23 1995-06-23 センサレスモータ駆動回路
JP1995-180966 199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269A KR970004269A (ko) 1997-01-29
KR100450895B1 true KR100450895B1 (ko) 2004-11-26

Family

ID=1609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087A KR100450895B1 (ko) 1995-06-23 1996-06-22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17299A (ko)
JP (1) JP3151758B2 (ko)
KR (1) KR100450895B1 (ko)
CN (1) CN10567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150A (en) * 1999-01-15 2000-12-05 Semipower Systems, Inc. Brushless sensorless DC motor assembly with precisely controllable positioning
JP2001236721A (ja) * 2000-02-22 2001-08-31 Alps Electric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のインデックス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モータ装置
JP2002027782A (ja) * 2000-07-10 2002-01-25 Sony Corp センサレスモータの起動システム
JP3692923B2 (ja) * 2000-10-13 2005-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モータドライバ
EP1267479A1 (fr) * 2001-06-15 2002-12-18 Saia-Burgess Murten AG Moteur à courant continu sans collecteur, procédé de demarrage et utilisation de celui-ci
JP2003235285A (ja) * 2002-02-08 2003-08-22 Denso Corp 三相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回転方向検出装置
JP4454328B2 (ja) * 2004-01-29 2010-04-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集積回路、モータ駆動方法
JP4049126B2 (ja) * 2004-06-09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モータ駆動回路、電子機器およびモータ駆動方法
US7246029B2 (en) * 2004-09-09 2007-07-17 F;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machine with actively controlled switches
CN1326318C (zh) * 2005-06-23 2007-07-11 南京航空航天大学 双凸极电机无位置传感器控制方法
US7233125B2 (en) * 2005-09-01 2007-06-19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ction motor
US8664905B2 (en) * 2010-02-26 2014-03-04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ntrol of brushless motor
EP2503684B1 (en) * 2011-03-25 2018-05-16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ntrol of brushless motor
CN102590544A (zh) * 2012-03-14 2012-07-18 南京埃斯顿自动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伺服电机低速运行时的测速方法及装置
KR20150077769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영교차 추정 회로, 그를 이용한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34427B2 (ja) * 2015-02-13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モータ駆動装置
CN112504104B (zh) * 2020-11-20 2022-09-09 苏州纳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电感原理的位置传感电路及传感器和位置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388A (ja) * 1987-10-31 1989-05-15 Sony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センサレス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114A (en) * 1982-03-04 1984-11-20 Rotron, Incorporated Self-starting brushless DC motor
US4616166A (en) * 1984-12-10 1986-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power system for starting a large rotatable synchronous machine
JPS6331488A (ja) * 1986-07-25 1988-02-10 Oki Electric Ind Co Ltd 直流ブラシレスモ−タの駆動方法
JP2875529B2 (ja) * 1987-10-31 1999-03-31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US5572097A (en) * 1991-10-03 1996-11-05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polyphase dc motor
US5223772A (en) * 1992-02-28 1993-06-29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lock of a phase-locked loop system from frequency swee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388A (ja) * 1987-10-31 1989-05-15 Sony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センサレス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675A (ja) 1997-01-10
JP3151758B2 (ja) 2001-04-03
KR970004269A (ko) 1997-01-29
US5717299A (en) 1998-02-10
CN1056711C (zh) 2000-09-20
CN1146098A (zh) 199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895B1 (ko) 센서레스모터구동회로
US55720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polyphase dc motor
US52218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lyphase DC motors
EP0536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a moving rotor of a polyphase DC motor
US53069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lyphase dc motors
JP3250599B2 (ja) ブラシレスモ−タ
KR0158614B1 (ko) 모오스-스타트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4814676A (en) Self-starting brushless D.C. motor
US6181093B1 (en) Commutation circuit for a sensorless three-phase brushless direct curent motor
KR100384682B1 (ko) 센서리스모터구동회로
JP3957326B2 (ja) 多相直流電動機用駆動信号発生装置、ロック検出器、駆動装置及びディスク駆動
JP2000050680A (ja) 逆起電力をモ―タ制御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US6512342B2 (en) Brushless motor driving device
US55128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verse rotation of a polyphase DC motor
JP3348296B2 (ja) センサ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KR0177995B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기동회로 및 방법
JP376616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H1084691A (ja) モータドライバ
JP3513765B2 (ja)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dcモータ駆動回路
KR0154848B1 (ko) 텔레그래프 스타트 회로와 그 제어 방법
JP3285371B2 (ja)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dcモータ駆動回路
JP348608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H05260786A (ja) モータ制動回路
JP2892164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
JPH0632799Y2 (ja) ブラシレスモ−タの起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