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함유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유효 성분으로서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가 용해된 수용액이 캡슐화된 가교 결합 아크릴 파우더; (b)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 헥실아탁톤과 실리카의 크로스폴리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 디메타크릴리레이트의 크로스폴리머 및 무정형 실리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혼합된 혼합 파우더; 그리고 (c)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액상 성분"이라는 용어는 주름 방지 또는 미백 활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물 및 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성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 (AA 2-G)는 미백 및 주름 개선의 활성 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브산의 2번 탄소 위치의 히드록시기를 글루코오스로 치환한 화합물이다. L-아스코르브산의 2번 탄소 위치의 히드록시기에 치환되는 글루코오스는 α-D-글루코오스 또는 β-D-글루코오스일 수 있으며, 상기 L-아스코르브산과 글루코오스 사이의 결합은 상기 글루코오스의 1번, 2번, 3번, 4번, 5번 또는 6번 탄소의 히드록시기와 상기 L-아스코르브산의 2번 탄소의 히드록시기 사이의 탈수 반응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오스는 α-D-글루코오스의 1번 탄소의 히드록시기와 L-아스코르브산의 2번 탄소의 히드록시기 사이에 결합이 형성된 하기 화학식 1의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오스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1.0-10.0 중량%가 바람직하며,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주름 개선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미약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이 저하되고 주름 개선 및 미백의 향상 효과가 없으며, 안정성 확보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가 용해된 수용액에서 상기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의 안정성 및 역가 보존을 위한 파우더 제형을 위하여 선택되는 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정제수, 에탄올, 콘작, 히아루로닉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용매이다. 상기 용매는 제조할 캡슐화 파우더에 대하여 1-3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가 용해된 수용액은 부틸히드록시 톨루엔 (BHT), 부틸히드록시 아니솔 (BHA),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폴리페놀, 캄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산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0.05-2.0 중량%이다.
상기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를 항산화제와 함께 수성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가교 결합 아크릴 파우더로 캡슐화한 후 냉동 건조하여 입도를 제형의 특성에 맞게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미백 기능성 성분, 즉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 함유 캡슐을 파우더 제형에서의 안정성 및 사용성 확보를 위해 소수성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소수성 정도가 약할 경우에는 물에 쉽게 엉겨 제형화가 곤란해지고, 소수성 정도가 너무 강할 경우에는 사용시 감촉이 나빠지며 또한 제형화가 역시 어려워지기 때문에 소수성 표면 처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표면 처리시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는 시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수성 표면 처리 물질의 종류는 화장료의 사용성, 안정성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종래의 실리콘계, 예컨대, 메치콘, 디메치콘, 시클로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또는 불소유도체나 아미노산 염 등으로 표면 처리를 하게 될 경우에는 소수화는 어느 정도 만족스러우나 안정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소수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캡슐화된 파우더의 0.5-5 중량%이며, 상기 표면 처리 물질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소수화 정도가 약해 기능성 물질이 수상 성분에 용출되고 사용성이 부드럽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안정성은 우수하나 물과의 친화력이 너무 약해서 제형화가 어렵고 사용시 밀리는 단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은 0.5-2.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혼합물은 시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세틸 디메치콘코폴리올의 비율이 (20-40):(30-60):(3-10):(0.1-2.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파우더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에대하여 5-50 중량%이며,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액상 성분, 즉 물 및 수성 성분의 함유력이 저하되어 제형화의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우더 감촉 및 촉촉함이 저하되는 등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파우더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5-15 중량%이다.
상기 혼합 파우더에는, 색상 및 펄 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산화철, 이산화티탄 및 펄 등이 적당량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은 평균 입도가 3.5 ㎛이고 비표면적이 110-150이며, 상기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 헥실아탁톤 및 실리카 크로스폴리머는 평균 입도가 3.7 ㎛이고 비표면적이 150-180이며, 상기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 디메타크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는 평균 입도가 25.0 ㎛이고 비표면적이 100-300이며, 상기 무정형 실리카는 평균 입도가 5.0 ㎛이고 흡유량이 0.3 ㎖-4 ㎖/g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액상 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유용성 활성 물질이 안정화된 파우더의 안정성 및 사용성의 확보를 위하여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유화 베이스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 및 유용성 활성 물질의 안정화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 퍼짐성을 우수하게 하고 마무리시 수성 성분이 피부에 침투됨으로써 부착 및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었고, 파우더의 가루 날림을 방지하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중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만난 및 소이폴 등이며, 실리콘은 시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실리콘 파우더 및 세틸디메치콘 코폴리올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 및 실리콘의 함량은 각각유화 베이스의 5-20 중량% 및 2-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 제조시에는 유화 베이스의70-93 중량%의 정제수가 첨가되는데, 이상과 같은 조성 및 함량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최종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물 및 글리세린 등의 액상 성분의 함량이 50-80 중량%가 됨으로써 본 발명은 다량의 액상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아스코르브산-2 글루코오스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안정화 아스코르브산 2-글로코오스 파우더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오스를 유성 전달매체에 용해시키고 가교 결합 아크릴 파우더에 캡슐화 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안정화하였다.
원료 번호 |
성분 |
함량 (중량%) |
샘플 1 |
샘플 2 |
1 |
가교 결합 아크릴 파우더 |
81.7 |
74.7 |
2 |
AA 2-G |
3.0 |
10.0 |
3 |
1,3-부틸렌글리콜 |
5.0 |
10.0 |
4 |
정제수 |
10.0 |
5.0 |
5 |
BHT |
0.2 |
0.2 |
6 |
메틸파라핀 |
0.1 |
0.1 |
계 |
100 |
100 |
(1) 상기 원료 1을 초고속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혼합 속도 1000 rpm으로 혼합시켰다. (2) 상기 원료 2-6을 상온에서 초고속 울트라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원료 (2)를 혼합 속도 3000 rpm으로 혼합시키면서 상기 (1)에 서서히 투입한 후, 냉동 건조시켰다.
상기 제조된 기능성 성분 함유 캡슐을 수분이 다량 함유된 제형에서의 상용성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소수화 표면 처리함으로써 이차적으로 안정화하였다.
원료 번호 |
성분 |
함량 (중량%) |
샘플 3 |
샘플 4 |
1 |
샘플 2 |
98 |
- |
2 |
샘플 1 |
- |
98.0 |
3 |
시클로메치콘 |
0.50 |
0.40 |
4 |
디메치콘 |
1.20 |
1.33 |
5 |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0.20 |
0.20 |
6 |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
0.10 |
0.07 |
계 |
100 |
100 |
(1) 상기 원료 3-6을 초고속 울트라 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에서 2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상기 원료 1 및 2를 초고속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혼합속도 1000 rpm으로 혼합하면서 상기 (1)을 스프레이 분무하고 냉동 건조한 후, 50 메쉬를 이용하여 여과시켰다.
실시예 2: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의 제조
제형의 안정성, 유용성 기능성 물질의 안정화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원료 번호 |
성분 |
함량 (중량%) |
샘플 5 |
샘플 6 |
1 |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
0.4 |
0.5 |
2 |
디메치콘 (6cs) |
10.0 |
5.0 |
3 |
디메치콘 (100cs) |
- |
5.0 |
4 |
시클로메치콘 |
3.0 |
5.0 |
5 |
라우릴 디메치콘 코폴리올 |
0.3 |
0.5 |
6 |
정제수 |
잔량 |
잔량 |
7 |
글리세린 |
10.0 |
5.0 |
8 |
1,3-부틸렌글리콜 |
5.0 |
10.0 |
9 |
콘작 |
0.5 |
0.5 |
10 |
D.L 판테놀 |
0.1 |
0.1 |
11 |
방부제 |
미량 |
미량 |
12 |
착향제 |
미량 |
미량 |
계 |
100 |
100 |
상기 원료 1-5를 70-75℃로 가온하고, 상기 원료 6-11를 70-75℃로 가온하여 방부제 등을 용해시킨 후, 유상 부분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Homo rpm 3000에서 10분간 유화시키고, 상기 원료 12를 투입하여 1분간 유화시킨 다음, 30℃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3: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표 1 및 2 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안정화 아스코르브산 2-글로코오스 파우더 및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유화 베이스를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번호 |
성분 |
함량 (중량%)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1 |
샘플 2 |
1.0 |
- |
- |
- |
- |
2 |
샘플 4 |
- |
10.0 |
- |
- |
- |
3 |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
2.0 |
1.0 |
2.0 |
5.0 |
- |
4 |
HDI/트리메틸올 헥실라탁톤 과 실리카의 크로스폴리머 |
3.0 |
7.0 |
3.0 |
5.0 |
- |
5 |
소수화 실리카 |
- |
- |
- |
- |
10.0 |
6 |
정제수 |
- |
- |
- |
잔량 |
잔량 |
7 |
농글리세린 |
- |
- |
- |
8.3 |
- |
8 |
1,3-부틸렌글리콜 |
- |
- |
- |
4.15 |
- |
9 |
방부제 |
- |
- |
- |
미량 |
미량 |
10 |
샘플 5 |
잔량 |
- |
잔량 |
- |
- |
11 |
샘플 6 |
- |
잔량 |
- |
- |
- |
12 |
샘플 2 |
- |
- |
10.0 |
- |
- |
13 |
AA 2-G |
- |
- |
- |
- |
0.975 |
14 |
폴리페놀 |
0.2 |
0.2 |
0.2 |
0.2 |
0.2 |
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1) 상기 원료 1-5를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2) 상기 원료 6-14를 아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1)에 서서히 스프레이 분무하면서 제형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분말 상태로서의 제조 용이성 및 안정성 시험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제형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분말화 상태로서의 제조 용이성 및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이 중 제조 용이성은 관능 시험으로, 안정성은 45℃ 4주 보관 후의 변색 및 변취 정도와 제조 직후 및 1개월 보관 후의 역가 보존율로써 시험하였다. 상기 역가 보존율은 제조 직후 및 45℃ 1개월 보관 후의 흡광도를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각각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제조 직후 |
a |
a |
b |
c |
c |
1개월 경과 후 |
c |
b |
c |
c |
d |
a: 95% 이상 양호; b: 80% 이상 양호; c: 70% 이상 양호; 및 d: 50% 미만 양호
시험항목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변색, 변취(45℃, 4주 후) |
c |
a |
b |
c |
d |
역가 보존율(%) |
직후 |
1개월 |
직후 |
1개월 |
직후 |
1개월 |
직후 |
1개월 |
직후 |
1개월 |
99.4 |
99.0 |
99.7 |
98.6 |
99.5 |
97.3 |
98.4 |
55.5 |
98.6 |
57.6 |
a: 95% 이상 양호; b: 80% 이상 양호; c: 70% 이상 양호; 및 d: 50% 미만 양호
상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형예가 분말 제형화 면에서 비교예에 비해 훨씬 제형이 용이하고, 고온에서의 제형 유지도 면에서도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분이 다량 함유된 분말 제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방수 기능이 있어야 하고 수분을 다량 함유한 분말 제형의 특성인 고온 안정도 저하를 극복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파우더의 단순 소수화보다는 실리콘 혼합물로 표면 처리하고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파우더 입자의 뭉침이 방지되고, 고온 안정성이 훨씬 우수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45℃에서 1개월 보존한 후의 역가 측정에서도 본 발명의 제형예가 비교예에 비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본 발명의 표면처리와 폴리올/실리콘 유화베이스가 일반 유화제형과 단순혼합에 비하여 유화막의 안정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화장료로서의 안정성 및 사용성 시험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제형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피부자극과사용성 및 사용시 액화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의 화장료로서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은 폐쇄 첩포 시험 방법으로서, 피시험군인 25-35세의 여성 20명에게 24시간 동안 시험 제품을 부착하게 한 후 제거하여 피부 자극 정도를 관능 시험으로 판정하도록 하였다. 판정 기준은 피부 자극이 전혀 없는 경우를 0, 심한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관능값의 평균을 기재하였으며, 시험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피시험군을 이용하여 1개월간, 1일 1회씩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그 사용성 및 사용시 액화 상태의 관능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피부자극 |
0.4 |
0.5 |
0.5 |
3.3 |
2.7 |
시험항목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사용성 |
a |
b |
a |
d |
e |
사용시 액화 상태 |
b |
b |
a |
c |
c |
a: 매우 우수; b: 80% 우수; c: 70% 보통; d: 나쁨; 및 e: 매우 나쁨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형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안전성이 더 우수하다. 이는 피부 자극 물질인 유용성 감초 추출물 등의 기능성 물질이 파우더에 캡슐화되어 있어 소량씩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피부 자극이 극소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형예가 비교에에 비하여 화장료로서의 안정성이 훨씬 우수하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그 제형의 특성상 육안으로 보기에는 분말상이지만 사용시에는 액상으로 변하는 제형으로서 피부에 도포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분말감이 없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실리콘 유화 베이스를 사용하여 액상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예 3: 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인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에 대해 하기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2 x 104 세포/웰)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였다. AA 2-G의 함유량은 0.1%, 0.5%, 1% 및 2%로 조정하여 배지와 함께 넣고 48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AA 2-G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것이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타입 IC-펩타이드 양을 PICP 어세이 키트 (Takara, 일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A 2-G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의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농도 (%) |
콜라겐 합성율 (%) |
제형예 1 |
90.6 |
제형예 2 |
92.0 |
제형예 3 |
91.7 |
비교예 1 |
2.2 |
비교예 2 |
70.7 |
AA 2-G (1%) |
86.5 |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AA 2-G를 포함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콜라겐의 합성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AA 2-G 원료 자체에 대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비교할 때 본 발명이 약간 높은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이 피부로의 전달의 용이성과 잔존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미백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상기 제형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피부의 색채 변화를 측정하였다.
색채 변화의 측정은 온도 24-26℃, 습도 38-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25-35세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제품을 각각 피시험자의 좌측 및 우측 안면에 하루 2회씩 2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컬러미터를 이용하여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피부 밝기 차이 L (Lightness)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으며 ΔE는 좌측 및 우측 안면의 L값의 차이이다.
시험항목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ΔE |
1.0 |
1.4 |
1.5 |
0.20 |
0.35 |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형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미백 효과가 훨씬 우수하다. 이는 캡슐화된 미백 기능성 물질, 즉 AA 2-G가 서서히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