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215B1 -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215B1
KR102053215B1 KR1020190038850A KR20190038850A KR102053215B1 KR 102053215 B1 KR102053215 B1 KR 102053215B1 KR 1020190038850 A KR1020190038850 A KR 1020190038850A KR 20190038850 A KR20190038850 A KR 20190038850A KR 102053215 B1 KR102053215 B1 KR 10205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owder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blue light
porous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은
김진영
계성봉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215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31 priority patent/WO20202044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E POWDER FOR PROTECTING ULTRAVIOLET RAY, NEAR INFRARED RAY OR BLUE LIGHT, AND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10 ~ 4000 나노미터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태양광선으로서, 적정량의 자외선은 살균 작용, 염증 완화, 비타민 D 합성 등의 효과를 보이나, 과도하게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에는 홍반,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이 발생되고, 주름이 증가하여 피부 노화가 가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로서 이산화티탄, 산화 아연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7995호에서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하여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7527호에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을 포함하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탄은 피부 표면에서 미(Mie)산란되어 청백색을 보임에 따라 백탁 현상을 유발할 뿐 아니라 광촉매 활성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산화 아연 또한 광촉매 활성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공성 실리카 내에 무기계 자외선 차단 성분을 담지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1190호에서는 중형기공성 실리카 분자체 물질의 기공내에 티타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의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무기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카 내에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뿐 아니라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자극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또한 자외선과 함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요소이나, 상기 등록특허의 화장료 조성물을 비롯한 대부분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의 차단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종래의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면서도 자외선 뿐 아니라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의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79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75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1190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과 같이 종래의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안정할 뿐 아니라,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동시에 차단하면서도 피부 저자극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흡유량이 1 ~ 2 mL/g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분체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상기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정향 및 상기 미역취를 1 : 0.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의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분체를 0.01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로 형성된 복합 분체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양친매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수중유형 유화 제형 및 유중수형 유화 제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로 형성된 복합 분체를 포함함에 따라,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모두 차단할 수 있어, 태양광에 의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백탁 현상이 없으며, 사용감이 좋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의 SEM 및 EDS mapping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9의 SEM 및 EDS mapping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의 양친매성 평과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됨에 따라,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가지는 복합 분체를 제공한다. 특히, 주로 자외선 차단만 가능하였던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모두 차단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광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로 형성되면서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산화티탄, 산화 아연 등의 광촉매 활성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도 침전, 층분리, 석출 등의 문제 없이 안정한 제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양친매성을 가짐에 따라, 수중유형 유화와 유중수형 유화에 모두 적용되어 안정한 제형을 형성할 수 있다.
다공성 실리카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실리카로서,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는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다.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는 다각형, 구형, 무정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는 구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가 구형의 형태로 형성될 때, 입도는 5 ~ 15 마이크로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2 마이크로미터, 가장 바람직하게는 9 ~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가 구형의 형태로 형성될 때, 입도가 5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의 함침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구형 입자의 부드러운 감촉의 구현이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입도가 1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할 경우에는 까칠까칠한 감촉에 의해 사용감, 소비자의 선호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피부에 자극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는 흡유량이 1 ~ 2 mL/g, 바람직하게는 1.3 ~ 1.9 mL/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9 mL/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의 흡유량이 1 mL/g 미만인 경우에는 다공성 실리카에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의 함침 또는 담지가 충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의 흡유량이 2 mL/g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공성 실리카 내에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의 함침 또는 담지는 용이하나, 상기 두 물질이 함침 또는 담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공극의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의 흡유량이 1 mL/g 미만이거나, 흡유량이 2 mL/g를 초과할 경우에는, 복합 분체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서,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 내 공극에 담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 처리 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정향(eugenia caryophyllus bud)은 정향 나무의 꽃봉오리 부분을 일컫는 것으로, 암흑갈색을 한 정모양으로 길이는 10 ~ 18 mm 이며, 산지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다. 정향은 상쾌하고 달콤한 향을 가져 주로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본래의 향미를 강화시키면서도 이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정향은 유게놀, 아세틸유게놀, 차비콜 등의 페닐프로파노이드 화합물; 세스퀴테르펜, 트리테르펜, 유게닌 등의 탄닌; 알칼로이드; 바닐린; 지방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향을 알코올로 추출할 경우에는 항균 효과를 가짐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정향 추출물”은 정향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역취(Solidago virgaurea)는 식이섬유소와 비타민이 풍부한 산나물 중 하나로서, 돼지나물이라고도 불린다. 미역취는 초장이 30 ~ 80 cm이고, 근생엽의 엽병은 길며, 엽은 장타원형이고 피침형을 가진다. 미역취는 평지로부터 해발 1,000 m의 높은 지대서 주로 자생한다. 일반적으로 미역취는 전초가 건조된 형태로 섭취 또는 활용되며 건위, 강장, 이뇨, 두통, 황달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미역취는 다양한 아종과 변종이 있는데, 본 실시예의 미역취는 울릉미역취(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Nakai) Kitam.), 나래미역취(Solidago virgaurea var. coreana Nakai) 및 산미역취(Solidago virgaurea var. leiocarpa (Benth.) A. Gra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은 울릉미역취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미역취 추출물”은 미역취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를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이 정향 및 미역취를 모두 포함할 때, 이들을 각각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성능에 대해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를 1 : 0.5 ~ 1.5 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정향 및 미역취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정향 및 미역취를 1 : 0.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추출물은 정향 및 미역취를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정향 및 미역취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정향 및 미역취를 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가장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륨옥사이드(Cerium oxide, CeO2)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로서,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 내 공극에 담지된다. 세륨옥사이드는 태양광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투명성이 좋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와 같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와 같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1 : 0.5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1 : 0.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다공성 실리카 내에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가 안정적으로 담지되어 있을 수 있고, 양친매성이 우수하여 수중유 유화 및 유중수 유화에 적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차단 하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와 같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0.5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와 같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다공성 실리카에 대해 소량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다공성 실리카에 대해 과량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저하될 뿐 아니라 안정적인 담지 상태와 양친매성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다공성 실리카에 대해 소량의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다공성 실리카에 대해 과량의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저하될 뿐 아니라 안정적인 담지 상태와 양친매성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여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상기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로 형성된 복합 분체를 함유함에 따라,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주로, 자외선 차단만 가능하였던 종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를 모두 차단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광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된 형태로 형성되면서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이산화티탄, 산화 아연과 같은 성분의 광촉매 활성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이 담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한 제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복합 분체는 양친매성을 가짐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제형으로 모두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분체를 0.0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분체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분체가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의 향상은 미미한 반면에, 피부 자극성이 증가되고, 유화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 이외에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주름 개선제, 항노화제, 항산화제, 탄력 개선제, 미백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항염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여드름 개선제, 피지분비 억제제, 트러블 방지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향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험예 1 : 실리카의 선정]
하기에 따라 본 발명에 적합한 다공성 실리카를 선별하였다.
먼저,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의 실리카 1, 실리카 2, 실리카 3, 실리카 4 및 실리카 5를 준비하였다.
이때, 표 1에서 흡유량은 건조된 다공성 실리카 1 g을 정량하여 이를 플레이트에 담고, 이에 액상의 파라핀을 떨어뜨리면서 액상의 파라핀이 다공성 실리카(파우더)에 더 이상 흡유되지 않고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액상의 파라핀이 방울을 형성하는 시점을 종말점으로 하여, 측정한 것이다.
흡유량(mL/g) 입도(μm) 형태
실리카 1 0.45 10 구형
실리카 2 2.21
실리카 3 1.89
실리카 4 0.54 무정형
실리카 5 3.01
이 후, 흡유된 상태의 실리카 1 내지 5를 상온에서 5 주 동안 방치하면서 1 주차, 2 주차, 4 주차 때의 실리카의 안정도를 하기 조건(◆, ◈, ◇)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 다공성 실리카의 뭉침이 없는 안정한 상태
◈ : 다공성 실리카의 뭉침이 발생되었으며, 진탕을 1 ~ 3회 반복할 경우에는 뭉침이 사라지고 균일하게 분산된 파우더 형태로 돌아오는 상태
◇ : 다공성 실리카의 뭉침이 발생되었으며, 진탕을 1 ~ 3회 반복하여도 뭉침이 사라지지 않는 상태
1 주차 2 주차 4 주차
실리카 1
실리카 2
실리카 3
실리카 4
실리카 5
표 1 및 2를 살펴 보면, 실리카 3과 같이 입도가 10 마이크로미터인 구형으로 형성되되, 약 1 ~ 2 mL/g 사이의 흡유량을 가질 때, 장기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4다.
반면, 실리카 1 및 4와 같이, 흡유량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안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리카 2 및 5와 같이, 흡유량이 2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기 및 장기 안정성이 모두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즉, 실리카 3과 같은 입도, 형태 및 흡유량을 가질 때 장기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다공성 실리카로서 상기 실리카 3을 적용하여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9
표 3과 같은 중량비로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복합 분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복합 분체를 구성하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의 총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먼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 용액을 믹서에 넣고, 5,000 rpm 으로 약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다공성 실리카 내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되도록 한 후, 이를 건조하여 복합 분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세륨옥사이드 용액은 세륨옥사이드와 알킬벤조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산,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혼합한 것으로, 표 3의 세륨옥사이드(고형분)의 함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세륨옥사이드와 적량의 혼합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1



2



3



4



5



6



7



8



9
다공성 실리카 1 1 1 1 1 1 1 1 1
복합 추출물 0.5 0.5 0.5 1 1 1 1.5 1.5 1.5
세륨옥사이드 1 0.5 1.5 0.5 1.5 1 1 0.5 1.5
표 3에서, 다공성 실리카로는 상기 실리카 3을 사용하였다. 또한, 복합 추출물은 정향(정향 나무의 꽃봉오리)과 울릉미역취(전초)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55 ~ 70 ℃ 에서 1.5 ~ 2.5 시간 동안 1차 가열하고, 1차 가열된 혼합물을 100 ~ 120 ℃에서 3 ~ 5 시간 동안 2차 가열한 다음, 열처리된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부피의 5 배 부피의 에탄올을 가하여 1 ~ 3 회 반복 추출한 후,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수득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0 내지 11
정향과 미역취를 표 4에 따르는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10 실시예11
정향 1 1 1
울릉미역취 1 0.5 1.5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4
표 5에 따르는 중량비로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혼합하여 복합 분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다공성 실리카 1 1 1 1
복합 추출물 0 1 0.5 3
세륨옥사이드 1 0 3 0.5
비교예 5
실시예 1의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이산화티탄(파우더)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산화 아연(파우더)을 준비하였다.
[ 제조예 ]
제조예 1 : 크림 제형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 분체를 각각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5는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이산화티탄이 적용되었으며, 비교예 6은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산화아연이 적용되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른다. 예를 들어,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기(호모게나이저)에 표 6에 개시된 수상 성분을 투입하고 약 3 분 동안 약 5,0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표 6에 개시된 유상 성분을 투입하고 7,000 rpm 에서 약 7 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원료명 함량(중량%)
A Dicaprylyl Carbonate 30
Cetearyl Alcohol 8

B
복합 분체 15
Sodium Stearoyl Glutamte 1.0
Dipropylene glycol 5
Xanthan gum 0.05
D.I-Water to.100
제조예 2 : 크림 제형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 분체를 각각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5는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이산화티탄이 적용되었으며, 비교예 6은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산화아연이 적용되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른다. 예를 들어,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기(울트라호모게나이저)에 표 7에 개시된 유상 성분을 투입하고 약 4 분 동안 약 2,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표 7에 개시된 수상 성분을 투입하고 5,000 rpm 에서 약 4 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분 원료명 함량
A Disteardimonium hectorite 2
Dicaprylyl carbonate 2
Cyclopentasiloxane 15
Cetyl PEG/PPG-10/1 Dimethicone 4
복합분체 15
B Magnesium sulfate heptahydrate 5
Dipropylene glycol 15
D.I-Water to.100
[ 실험예 2 : 함침 상태 비교]
실시예 2 의 복합 분체를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와, 상기 복합 분체에서 다공성 실리카의 겉표면에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의 함침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EDS mapping 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실시예 9의 복합 분체를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와, EDS mapping 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서 스케일바는 6 마이크로미터를 나타내며, 도 2에서 스케일바는 3 마이크로미터를 나타낸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 2와 실시예 9에 따르는 복합 분체의 SEM 및 EDS mapping 결과를 보면, 다공성 실리카에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가 균일하게 분사되어 담지 또는 흡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상세히, 도 1을 보면, 다공성 실리카, 정향과 울릉미역취가 1 : 1로 혼합된 혼합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수득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0.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입자간의 엉김 없이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 성분이 고르게 담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다공성 실리카, 정향과 울릉미역취가 1 : 1로 혼합된 혼합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수득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1.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9의 경우에도,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 성분이 고르게 담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실시예 2 보다는 입자간의 엉김 현상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에 따르면, 상기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1 ~ 2 : 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복합 추출물과 세륨옥사이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담지되되, 특히, 상기 복합 분체가 다공성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0.5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입자간의 엉김 없이 더욱 균일하게 분산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 양친매성 평가 ]
실시예 1에 따르는 복합 분체 2 g을 물 20 mL 및 오일 20 mL에 각각 혼합한 뒤, 이를 약 3,000 rpm의 조건으로 교반한 다음, 물과 오일 내에서 복합 분체의 분산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육안으로 관찰한 분산 정도를 하기 조건에 따라 ○ 및 X 로 평가하여, 용매가 물인 경우를 표 8 에 나타내었고, 용매가 오일인 경우를 표 9에 나타내었다(○ : 응집 없이 균일하게 분산됨 / X : 응집이 형성됨).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1과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르는 복합 분체의 분산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8 및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의 경우에는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이산화티탄이 적용된 경우이며, 비교예 6의 경우에는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산화 아연이 적용된 경우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에 따르는 복합 분체의 물과 오일에서의 분산 상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각 사진의 두 개의 바이알병 중 왼쪽은 물이 용매인 경우며, 오른쪽은 오일이 용매인 경우이다.
분산 정도 분산 정도 분산 정도
실시예1 실시예7 X 비교예1
실시예2 실시예8 X 비교예2
실시예3 실시예9 X 비교예3 X
실시예4 실시예10 비교예4 X
실시예5 실시예11 비교예5
실시예6 비교예6
오일
분산 정도 분산 정도 분산 정도
실시예1 실시예7 X 비교예1
실시예2 실시예8 비교예2
실시예3 실시예9 비교예3 X
실시예4 실시예10 비교예4 X
실시예5 실시예11 비교예5
실시예6 비교예6
표 8 및 9를 참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3 내지 4를 비교하면,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여도 1 : 0.1 ~ 2 : 0.1 ~ 2 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과 오일에 모두 분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1를 보면, 실리카,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1 : 0.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 2, 3, 4, 5, 6, 10 및 11의 경우 물과 오일에 모두 분산되는 바, 양친매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지 않는 실시예 7 내지 8의 경우 물과 오일에서 모두 분산되지 않거나, 물 또는 오일 중 하나에서만 분산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양친매성을 구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 자외선 차단능 확인]
COLIPA(European Cosmetics Association)의 'method for the in vitro determination of UVA protection provided by sunscreen products'의 시험 규격을 참고하여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를 도포하고 UV-2000S (LABSPHERE, INC. USA)를 이용하여, 290 ~ 400 nm 영역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는 COPLIPA에 언급되어 있는 1.3 mg/cm2의 조건으로 PMMA plate에 도포되었으며, 총 사용량은 PMMA plate 22 cm2 내에 28.6 mg 도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에 따라 측정된 자외선 투과율을 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SPF 지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9 및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료로는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 분체가 적용된 제조예 1에 따르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예 2에 따르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였다.
[식 1]
Figure 112019034129801-pat00001
이때, 표 10은 복합 분체가 표 6과 같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표 11은 복합 분체가 표 7과 같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수중유형
SPF SPF SPF
실시예1 22.5 실시예7 - 비교예1 10.3
실시예2 23.6 실시예8 - 비교예2 8.9
실시예3 19.3 실시예9 - 비교예3 -
실시예4 17.5 실시예10 16.1 비교예4 -
실시예5 20.5 실시예11 17.4 비교예5 21.5
실시예6 21.2 비교예6 17.5
유중수형
SPF SPF SPF
실시예1 18.1 실시예7 - 비교예1 7.5
실시예2 23.8 실시예8 12.3 비교예2 6.3
실시예3 15.0 실시예9 13.4 비교예3 -
실시예4 14.6 실시예10 14.5 비교예4 -
실시예5 15.8 실시예11 13.8 비교예5 22.1
실시예6 12.3 비교예6 21.5
표 10 및 11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SPF 지수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험예 3에서 물과 오일에 모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7,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또한, 물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8 및 9의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실험예 5 : 블루라이트 차단능 확인]
실시예 1의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블루라이트 차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의 블루라이트 파장대(400 ~ 450nm)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HELIO PLATE HD6') plate에 시료를 도포하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0 ~ 450 nm 영역의 블루라이트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는 COPLIPA에 언급되어 있는 1.3 mg/cm2의 조건으로 PMMA plate에 도포되었으며, 총 사용량은 PMMA plate 22 cm2 내에 28.6 mg 도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식 2에 적용하여, 실시예 1의 블루라이트 반사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12 및 13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112019034129801-pat00002
이때, 시료는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 분체가 적용된 제조예 1 및 2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수중유형
반사율(%) 반사율(%) 반사율(%)
실시예1 14.8 실시예7 - 비교예1 4.1
실시예2 38.4 실시예8 - 비교예2 3.0
실시예3 11.5 실시예9 - 비교예3 -
실시예4 10.8 실시예10 10.2 비교예4 -
실시예5 13.5 실시예11 10.5 비교예5 11.2
실시예6 12.2 비교예6 10.5
유중수형
반사율(%) 반사율(%) 반사율(%)
실시예1 24.6 실시예7 - 비교예1 10.5
실시예2 27.4 실시예8 12.3 비교예2 8.7
실시예3 21.0 실시예9 11.8 비교예3 -
실시예4 20.1 실시예10 20.0 비교예4 -
실시예5 16.5 실시예11 19.4 비교예5 18.1
실시예6 12.3 비교예6 16.2
표 12 및 1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험예 3에서 물과 오일에 모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7,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또한, 물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8 및 9의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실험예 6 : 근적외선 차단능 확인]
근적외선 분광광도계(NIR Spectrophotometer, ASD Inc., USA)를 사용하여 시료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대는 700 ~ 1,400 nm이며, 이 영역에서 분광반사율(%) 높을수록 근적외선 차단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상기 분광반사율(%)은 하기 식 3을 통해 계산하였다.
[식 3]
Figure 112019034129801-pat00003
이때, 시료는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 분체가 적용된 제조예 1 및 2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상기에 따르는 시료의 분광반사율(%)을 표 14 및 15에 나타내었다. 표 14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의 결과이며, 표 15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의 결과이다.
수중유형
반사율(%) 반사율(%) 반사율(%)
실시예1 18.4 실시예7 - 비교예1 1.1
실시예2 24.6 실시예8 - 비교예2 0.8
실시예3 15.3 실시예9 - 비교예3 -
실시예4 14.8 실시예10 13.9 비교예4 -
실시예5 17.1 실시예11 14.7 비교예5 13.4
실시예6 16.2 비교예6 14.2
유중수형
반사율(%) 반사율(%) 반사율(%)
실시예1 24.5 실시예7 - 비교예1 4.3
실시예2 39.2 실시예8 8.5 비교예2 2.8
실시예3 13.0 실시예9 9.1 비교예3 -
실시예4 11.1 실시예10 11.0 비교예4 -
실시예5 22.2 실시예11 10.9 비교예5 21.0
실시예6 8.5 비교예6 20.6
표 14 및 1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험예 3에서 물과 오일에 모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7,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또한, 물에 분산되지 않았던 실시예 8 및 9의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구현되지 못하여 실험 자체가 어려웠다.
[실험예 7 :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관능성 평가]
(1)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및 2의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45 ℃, 1 개월 방치)을 하기 조건(○, ◐, ●)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이산화티탄을 적용한 비교예 5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과 복합 분체를 대신하여 산화 아연을 적용한 비교예 6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 : 층분리, 젤화 또는 케이킹 현상이 없음
◐ : 층분리, 젤화 또는 케이킹 현상이 발생되었으나, 진탕을 1 ~ 3회 반복할 경우에는 안정한 제형으로 회복됨
● : 층분리, 젤화 또는 케이킹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진탕을 1 ~ 3회 반복하여도 안정한 제형을 회복되지 않음
유중수형
제형 안정성 제형 안정성
실시예1 비교예5
실시예2 비교예6
표 1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자외선 차단제 유지율 평가
상기 (1)의 제형 안정성(45 ℃, 1 달 방치)을 평가한 후,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HPLC)하여 복합 분체(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의 유지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상기 복합 분체의 유지율(%)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의 HPLC로 측정한 세륨옥사이드의 피크와 약 1 달 방치(45 ℃)후의 HPLC로 측정한 세륨옥사이드의 피크의 변화를 통해 측정되었다.
유중수형
유지율(%) 유지율(%)
실시예1 79 비교예5 62
실시예2 82 비교예6 55
표 1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분체가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보다 더욱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안정한 제형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백탁 현상 및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18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백탁 현상이 없음을 의미하며, 사용감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반면, 점수가 낮을수록 백탁 현상이 심하고, 사용감이 나쁨을 의미한다.
유중수형
백탁 현상 사용감
실시예1 4 4
실시예2 5 4
비교예5 2 3
비교예6 1 3
표 1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백탁 현상이 없고, 사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다공성 실리카;
    정향 및 미역취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 및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공극에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상기 세륨옥사이드가 담지되고,
    상기 다공성 실리카, 상기 복합 추출물 및 상기 세륨옥사이드를 1 : 0.5 ~ 2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흡유량이 1 ~ 2 mL/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정향 및 상기 미역취를 1 : 0.5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6. 제 1 항의 복합 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분체를 0.01 ~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8850A 2019-04-03 2019-04-03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50A KR102053215B1 (ko) 2019-04-03 2019-04-03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20/003631 WO2020204403A1 (ko) 2019-04-03 2020-03-17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50A KR102053215B1 (ko) 2019-04-03 2019-04-03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215B1 true KR102053215B1 (ko) 2019-12-06

Family

ID=6883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850A KR102053215B1 (ko) 2019-04-03 2019-04-03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215B1 (ko)
WO (1) WO20202044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403A1 (ko) * 2019-04-03 2020-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304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9816A (ko) 2020-11-03 2022-05-10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무기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9822A (ko) 2020-11-03 2022-05-10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7632A (ko)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아단소니아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세포 증식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89A (ko) * 1992-01-29 1993-08-26 한동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JP2005053846A (ja) * 2003-08-05 2005-03-03 L'oreal Sa 光学的活性物質を内包した多孔質粒子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1221190B1 (ko) 2006-12-07 2013-01-10 (주)아모레퍼시픽 기공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중형기공성 무기 복합분체와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JP2013136493A (ja) * 2011-12-28 2013-07-11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紫外線遮蔽効果を有するシリカ系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得られたシリカ系粒子並びに該シリカ系粒子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KR101727527B1 (ko) 2015-06-09 2017-04-17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7995A (ko) 2015-12-09 2017-06-19 (주) 에이치에스디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KR20190000175A (ko) * 2017-06-22 2019-01-02 이스트힐(주)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868Y1 (ko) * 1991-12-12 1994-10-01 주식회사 금성사 마그네트론의 가스켓 이탈방지장치
KR102053215B1 (ko) * 2019-04-03 2019-12-0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89A (ko) * 1992-01-29 1993-08-26 한동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JP2005053846A (ja) * 2003-08-05 2005-03-03 L'oreal Sa 光学的活性物質を内包した多孔質粒子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1221190B1 (ko) 2006-12-07 2013-01-10 (주)아모레퍼시픽 기공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중형기공성 무기 복합분체와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JP2013136493A (ja) * 2011-12-28 2013-07-11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紫外線遮蔽効果を有するシリカ系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得られたシリカ系粒子並びに該シリカ系粒子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KR101727527B1 (ko) 2015-06-09 2017-04-17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7995A (ko) 2015-12-09 2017-06-19 (주) 에이치에스디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KR20190000175A (ko) * 2017-06-22 2019-01-02 이스트힐(주)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403A1 (ko) * 2019-04-03 2020-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304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0917B1 (ko) * 2020-07-08 2023-03-1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9816A (ko) 2020-11-03 2022-05-10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무기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9822A (ko) 2020-11-03 2022-05-10 아이큐어 주식회사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7632A (ko) 2021-10-22 2023-05-02 주식회사 아단소니아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세포 증식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403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215B1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EP3592327B1 (de) Lipidmischung aus octyldodecanol und hydriertem rapsöl
US2012023105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JP2007291031A (ja) 抗酸化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89999B1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WO2006010214A1 (en) Natural sunscreen composition
EP1576949A1 (de) Lipidkombination von Shea-Butter und Kakao-Butter zur Behandlung aschenfarbener Haut
KR101006343B1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4612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함침 시트
JP2004026740A (ja) 化粧料
CN112074265A (zh) 二氧化钛
CN101998848A (zh)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KR101086224B1 (ko)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068496B1 (fr) Composition huileuse a base d'extraits lipophiles de rose de porcelaine et de jacinthe d'eau
KR20210036835A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6103A (ko)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7829068B2 (en) Cosmetic bronzing agent based on dihydroxyacetone
KR20210015461A (ko) 세륨옥사이드 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EP4349317A1 (en) Stable dispersions of titanium dioxide and/or zinc oxide
JP2004352628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