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658B1 - 배터리 트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트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658B1
KR100448658B1 KR10-2002-0074437A KR20020074437A KR100448658B1 KR 100448658 B1 KR100448658 B1 KR 100448658B1 KR 20020074437 A KR20020074437 A KR 20020074437A KR 100448658 B1 KR100448658 B1 KR 10044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ttery
lever
fix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493A (ko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6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에서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트레이가 엔진룸의 바닥쪽에 설치되므로 트레이로부터 배터리를 인출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양측단 하측으로 슬롯 홀이 구비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트레이와, 레버 브라켓에 힌지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롤러가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메인레버와, 상기 메인레버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손잡이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배터리가 안착된 트레이를 승강가능하게 하여 배터리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트레이 구조{ Battery tray assembly }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손쉽게 장착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물의 유무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상측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시동 및 기본 전장부품의 작동을 위하여 배터리가 장착되는 바, 배터리를 지지하는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는 엔진룸 바닥에 고정되어 배터리(10)를 지지하는 트레이(11)와, 상기 트레이(11)에 형성된 걸림부(11')에 하단의 후크(13')가 걸림되고 상기 배터리(10)의 측부에 위치되어 배터리(10)의 유동을 방지하는 클램핑 볼트(13)와, 상기 클램핑 볼트(13)의 상단 부분에 걸려지는 갈고리(17')가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쇠(17)와, 상기 클램핑 볼트(13)에 부착되고 상기 배터리(10)의 상단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클램프(16)와, 상기 클램핑 볼트(13)의 볼트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쇠(17)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15) 및 고정너트(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는 배터리가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쇠를 이용하여 클램핑 볼트를 고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움직임을 차단하게 된다.
엔진룸에 설치된 배터리(10)를 인출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핑 볼트(13)에 결합된 고정너트(14) 및 와셔(15)를 분리하고, 고정쇠(17)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 클램핑 볼트(13)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한다. 이후, 상기 클램핑 볼트(13)를 양측으로 벌려 클램프(16)가 배터리(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상기 트레이(11)로부터 배터리(10)를 인출할 수 있다. 물론, 배터리(10)를 트레이(1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트레이가 엔진룸의 바닥쪽에 설치되므로 트레이로부터 배터리를 인출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중량이 5㎏ 정도로 꽤 무거운 물품에 속하며, 소모품이기 때문에 교체가 요구된다. 그런데, 소비자가 자가정비하는 경우 배터리의 무게 및 인출 자세의 불합리로 인하여 소비자의 불만사항이 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가 장착되는 엔짐룸은 협소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주위에 장애물이 있으며, 이는 배터리의 인출 및 장착에 있어서 상당한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트레이를 승강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보다 편리하게 엔진룸으로부터 배터리를 인출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지지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트레이 구조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배터리 51 : 트레이
52 : 가이드 53 : 메인레버
54 : 가이드 롤러 55 : 보조레버
56 : 손잡이 57 : 가이드 샤프트
58 : 지지브라켓 59 : 방진패드
60 : 트레이 고정부 61 : 래칫
62 : 고정부재 63 : 힌지브라켓
65 : 레버 고정부 66 : 걸림부재
67 : 후크 68 : 리턴 스프링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단 하측으로 슬롯 홀이 구비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트레이와, 레버 브라켓에 힌지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롤러가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메인레버와, 상기 메인레버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손잡이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트레이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 하측으로 슬롯 홀(52')이 구비된 가이드(52)가 형성되어 배터리(50)를 지지하는 트레이(51)와, 레버 브라켓(63)에 힌지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롤러(54)가 상기 슬롯 홀(52')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51)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메인레버(53)와, 상기 메인레버(53)에 각각 삽입되어 장애물(100)의 유무에 따라 레버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레버(55)와, 상기 보조레버(55)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레버(53)가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손잡이(56)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5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8)과, 상기 트레이(5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5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샤프트(57)와, 상기 트레이(51)의 위치를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8)의 상단에는 상기 트레이(51)로 차체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진패드(59)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57)는 상단 부분에 상기 배터리(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5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 상기 손잡이(56)는 장애물(100)과의 접촉시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롤러의 형태로 상기 보조레버(55)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54)는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 샤프트(미 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메인레버(53)에 의해 트레이(51)가 상승될 때 연결 샤프트가 상기 트레이(51)를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 고정부(60)는 상기 메인레버(53)의 힌지 결합부에 형성된 래칫(61)과, 상기 레버브라켓(63)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가 상기 래칫(61)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레버(53)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부재(62)와, 상기 고정부재(62)의 끝단에 설치되어 고정부재(6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 손잡이(64)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보조레버(55)에는 상기 메인레버(53)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레버 고정부(6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고정부(65)는 상기 보조레버(55)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의 후크(67)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레버(55)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걸림부재(66)와, 일단은 상기 걸림부재(6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레버(55)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재(66)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6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66)의 후크(67)는 상기 트레이(51)에 걸리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트레이(51)와 접촉될 때 상기 걸림부재(66)가 회동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는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베터리가 안착된 트레이를 승강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배터리를 교체시킬 수 있게 한다.
엔진룸에 장착된 배터리(50)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버를 움직일 수 있도록 레버 고정부(65)의 걸림부재(66)를 눌러 후크(67)가 트레이(51)로부터 이탈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레이 고정부(60)의 고정 손잡이(64)를 조작하여 고정부재(62)가 래칫(61)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이후, 손잡이(55)를 이용하여 메인레버(53)를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레버(53)의 가이드 롤러(54)가 트레이(51)의 가이드(52)에 형성된 슬롯 홀(52')을 따라 힌지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51)는 가이드 샤프트(57)의 안내를 받아 점차 상승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51)가 어느 정도 상승되어 배터리(50)의 인출이 용이하게 되면, 고정 손잡이(64)를 이용하여 고정부재(62)의 선단을 래칫(61)에 삽입시킴으로써 메인레버(53)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 트레이(51)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트레이(51)가 고정되면 작업자가 트레이(51)로부터 배터리(50)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되며, 새로운 배터리(50)를 안착시키는 것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배터리(50)가 트레이(51)에 안착되면 고정 손잡이(64)를 조작하여 트레이(51)의 고정을 해제하고, 메인레버(53)를 서서히 회전시켜 트레이(51)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트레이(51)의 하강이 완료되면 트레이(51)는 지지브라켓(58)과의 사이에 방진패드(59)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지지브라켓(58)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레버 고정부(65)의 걸림부재(66)가 트레이(51)에 접촉되면서 하강되어 트레이(51)에 걸림으로써 메인레버(53)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레버(53)에 결합된 보조레버(55)는 주위에 장애물(100)이 있는 경우에는 메인레버(53)에 삽입되어 레버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하고, 주위에 장애물(100)이 없으면 메인레버(53)로부터 빠져나와 더 적은 힘으로 트레이(51)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보조레버(55)의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56)는 롤러 형태로 결합되어 장애물(100)과 접촉시 회전됨으로써 레버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 구조는 배터리가 안착된 트레이를 승강가능하게 하여 배터리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메인레버에 삽입 가능한 보조레버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유무에 관계없이 트레이를 승강시킬 수 있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배터리의 인출이 가능하게 하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양측단 하측으로 슬롯 홀이 구비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트레이와, 레버 브라켓에 힌지 고정되고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롤러가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메인레버와, 상기 메인레버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손잡이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트레이 고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에 각각 삽입되어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레버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레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보조레버의 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장애물과의 접촉시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롤러의 형태로 상기 보조레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레버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레버 고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고정부는 상기 보조레버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의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레버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걸림부재와, 일단은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후크는 상기 트레이에 걸리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트레이와 접촉될 때 상기 걸림부재가 회동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연결 샤프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단에는 상기 트레이로 차체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진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고정부는 상기 메인레버의 힌지 결합부에 형성된 래칫과, 상기 레버브라켓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부가 상기 래칫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레버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단 부분에 상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구조.
KR10-2002-0074437A 2002-11-27 2002-11-27 배터리 트레이 구조 KR10044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437A KR100448658B1 (ko) 2002-11-27 2002-11-27 배터리 트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437A KR100448658B1 (ko) 2002-11-27 2002-11-27 배터리 트레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493A KR20040046493A (ko) 2004-06-05
KR100448658B1 true KR100448658B1 (ko) 2004-09-13

Family

ID=3734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437A KR100448658B1 (ko) 2002-11-27 2002-11-27 배터리 트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807A (ko) 2018-04-05 2019-10-15 이동신 Led 광고용 프레임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1936B2 (ko) * 1973-06-01 1980-10-27
JPH06107090A (ja) * 1992-09-24 1994-04-19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のトレイ構造
JPH07228258A (ja) * 1994-02-17 1995-08-29 Isuzu Motors Ltd バッテリー交換台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1936B2 (ko) * 1973-06-01 1980-10-27
JPH06107090A (ja) * 1992-09-24 1994-04-19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のトレイ構造
JPH07228258A (ja) * 1994-02-17 1995-08-29 Isuzu Motors Ltd バッテリー交換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807A (ko) 2018-04-05 2019-10-15 이동신 Led 광고용 프레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493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9210A (ko)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
KR100448658B1 (ko) 배터리 트레이 구조
CN219388855U (zh) 一种带自锁部件的管道管托
CN217477018U (zh) 用于物料车连接的手动挂销自动脱销机构
CN109552127B (zh) 一种可调节和翻转的手托
CN115566574A (zh) 一种用于直线杆改造的带电作业提升装置
CN101338774B (zh) 轴向限位的挡销机构
KR100912650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109485B1 (ko)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CN101176817B (zh) 一种折叠式跑步机
KR200277288Y1 (ko) 자동차 정비용 지지대의 록킹장치
CN219345087U (zh) 一种通风机安装底座
CN217495753U (zh) 自动牵引装置
CN110700657A (zh) 简易升降立体停车设备
KR200154392Y1 (ko) 트랙터 작업기 순간 착탈장치
CN218355638U (zh) 一种电动窗帘开合辅助机
CN215719986U (zh) 一种风箱气缸开启机构
JP3327904B2 (ja) 吊りフック
CN214396262U (zh) 一种可伸缩万向轮装置
CN201108704Y (zh) 一种折叠式跑步机
CN218977631U (zh) 转盘式挤奶机配重自动启动系统
CN217377153U (zh) 一种剪式千斤顶
CN211143903U (zh) 简易升降立体停车设备
KR102111781B1 (ko) 대형크레인의 휠 제동용 자동초크장치
CN210262386U (zh) 一种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