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332B1 -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332B1
KR100447332B1 KR10-1999-0019923A KR19990019923A KR100447332B1 KR 100447332 B1 KR100447332 B1 KR 100447332B1 KR 19990019923 A KR19990019923 A KR 19990019923A KR 100447332 B1 KR100447332 B1 KR 10044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weight
composition
tes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75A (ko
Inventor
최수부
신상덕
안주훈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3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55Gla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5/22 - A61K35/545, e.g. thyroids, parathyroids or pineal gl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우황, 영양각, 용뇌, 백렴, 건강, 사향 등의 생약으로 구성된 공지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있어서 사향 대신 영묘향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은 혈압등 우황청심원이 사용되어 오던 순환기계,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증상에 대해 사향이 함유된 우황청심원과 효능이 동등이상이다.

Description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Novel Woowhangchungshimwon composition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새롭게 처방한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향이 제외된 공지의 우황청심원의 주성분에 영묘향이 추가된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생활이 복잡해지고 고도화된 지식사회로 뇌졸중, 고혈압, 심장병, 심인성 질환등 순환기계 질환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우황청심원은 이러한 순환기계 질환을 비롯하여 자율신경실조증, 인사불성등 중추신경계질환 및 자율신경계 질환에도 효과를 보이는 한방약물로, 기사회생의명약으로 알려져 있고 한방약물중 가장 유용하고 폭넓게 사용되고 있어 현대의약분야에서도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우황청심원은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에 처음으로 수록된 처방으로 동의보감, 의학입문, 방약합편 등의 한의서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613년 허준이 개간한 동의보감에 처음으로 수록되었다.
우황청심원의 처방구성은 문헌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동의보감이나 방약합편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우황청심원의 구성생약중 주사와 석웅황이 각각 중금속인 수은과 비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안전성 문제로 우황청심원의 처방에서 삭제되었으며, 서각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원료수급이 어려워져 처방에서 삭제되었다(현재에는 변방우황청심원, 원방우황청심원, 반량우황청심원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1992년도 우황청심원류의 의약품재평가결과에 고시된 원방우황청심원류의 원료약품의 분량을 보면 환제류 100환중 또는 액제류 100병중 "산약 26.3 g, 감초 18.8 g, 인삼 9.4 g, 포황 9.4 g, 신곡 9.4 g, 대두황권 6.6 g, 계피 6.6 g, 아교 6.6 g, 작약 5.6 g, 맥문동 5.6 g, 황금 5.6 g, 당귀 5.6 g, 방풍 5.6 g, 백출 5.6 g, 시호 4.7 g, 길경 4.7 g, 행인 4.7 g, 복령 4.7 g, 천궁 4.7 g, 우황 4.5 g, 영양각 3.8 g, 사향 3.8 g, 용뇌 3.8 g, 백렴 2.8 g, 건강 2.8 g"이며, 변방우황청심원류의 원료약품의 분량을 보면 환제류 100환중 또는 액제류 100병중 "산약 28.2 g, 감초 20.2 g, 인삼 9.7 g, 포황 10.0 g, 신곡 10.0, 대두황권 7.0 g, 계피 7.0g, 아교 7.0 g, 작약 6.0 g, 맥문동 6.0 g, 황금 6.0 g, 당귀 6.0 g, 방풍 6.0 g, 백출 6.0 g, 시호 5.0 g, 길경 5.0 g, 행인 5.0 g, 복령 5.0 g, 천궁 5.0 g, 우황 1.4 g, 영양각 3.5 g, 사향 0.5 g, 용뇌 4.1 g, 백렴 3.0 g, 건강 3.0 g"이며 반량우황청심원류의 원료약품의 분량을 보면 100환중 "산약 13.1 g, 감초 9.4 g, 인삼 4.7 g, 포황 4.7 g, 신곡 4.7 g, 대두황권 3.3 g, 계피 3.3 g, 아교 3.3 g, 작약 2.8 g, 맥문동 2.8 g, 황금 2.8 g, 당귀 2.8 g, 방풍 2.8 g, 백출 2.8 g, 시호 2.3 g, 길경 2.3 g, 행인 2.3 g, 복령 2.3 g, 천궁 2.3 g, 우황 2.3 g, 영양각 1.9 g, 사향 1.9 g, 용뇌 1.9 g, 백렴 1.4 g, 건강 1.4 g"으로 고시되어 있다.
효능·효과를 보면 원방우황청심원 환제, 원방우황청심원 액제, 변방우황청심원 환제, 변방우황청심원 액제, 반량우황청심원 환제에서 동일하게 뇌졸중(졸중풍, 전신불수, 수족불수, 언어장애, 혼수, 정신혼미, 안면신경마비, 뇌일혈), 고혈압, 심계항진, 호흡곤란, 정신불안, 급·만성경풍, 자율신경실조증, 인사불성이다.
옛날부터 사용되어온 우황청심원의 제형은 환제로 각 생약분말과 꿀을 사용한 것으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딱딱하게 굳는 등의 복용시 어려움이 있고 필요할때마다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등 대한약전에 고시되어 있는 부형제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딱딱하게 굳지 않는 우황청심원을 제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황청심원의 구성생약중 산약등 일부생약은 물로 추출하고 우황·사향등 일부생약은 미세분말로 하여 현탁화제, 점도조절제등을 가하고 제제화하여 현탁액 제형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우황청심원 조성물 중 주요성분인 사향은 사슴과에 속하는 사향노루 수컷의 복부에 있는 향낭의 분비물을 건조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대표적인 방향개규약에 속한다. 미(味)는 신(辛)하고 성(性)은 온(溫)하며, 귀경(歸經)은 심(心), 비(脾)이다. 주 약리작용은 방향개규(芳香開窺), 활혈(活血), 최생(崔生)으로 중추흥분작용, 자궁흥분작용, 항균작용이 있다. 임상에서는 주로 중추신경계에 대한 흥분약으로 열성 의식장애, 경련발작, 뇌졸중등에 사용하며, 활혈의 효능이 있어 타박손상, 복강내종창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그 동안 보류되었던 사향에 관한 국제거래규제가 1996년 10월부터 적용됨에 따라 우황청심원의 필수약중의 하나인 사향의 수입이 제한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사향의 효능을 대처할 수 있고 우황청심원의 효능·효과를 높일수 있는 새로운 처방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의서에 수록된 생약재를 중심으로 한방원리에 다양한 처방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사향을 제외한 공지의 우황청심원에 영묘향을 추가로 첨가한 새로운 처방이 사향을 함유한 공지의 우황청심원에 비해 동등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향을 제외한 공지의 우황청심원 처방에 영묘향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가토의 심전도에 대한 본 발명의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에피네프린 처리를 한 가토의 적출심장에 대한 본 발명의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심근수축력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3은 아세틸콜린 처리를 한 가토의 적출심장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심근수축력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롭게 처방한 우황청심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향을 제외한 공지의 우황청심원의 주성분에 영묘향이 추가된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은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건강, 우황, 용뇌를 포함하는, 사향이 제외된 우황청심원 조성물과 함께 영묘향을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향이 제외된 우황청심원 조성물은 산약 13.0 내지 17.0중량%, 감초 9.0 내지 12.0중량%, 인삼 4.0 내지 6.0중량%, 포황 4.0 내지 6.0중량% 신곡 4.0 내지 6.0중량%, 대두황권 3.0 내지 5.0중량%, 계피 3.0 내지 5.0중량%, 아교 3.0 내지 5.0중량%, 작약 2.0 내지 4.0중량%, 맥문동 2.0 내지 4.0중량%, 황금 2.0 내지 4.0중량%, 당귀 2.0 내지 4.0중량%, 방풍 2.0 내지 4.0중량%, 백출 2.0 내지 4.0중량%, 시호 2.0 내지 4.0중량%, 길경 2.0 내지 4.0중량%, 행인 2.0 내지 4.0중량%, 복령 2.0 내지 4.0중량%, 천궁 2.0 내지 4.0중량%, 우황 0.6 내지 4.0중량%, 영양각 1.0 내지 3.0중량%, 용뇌 1.0 내지 3.0중량%, 백렴 1.0 내지 3.0중량% 및 건강 1.0 내지 3.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영묘향은, 영묘향을 제외한 전체 생약중량에 대해0.4∼10.5 w/w%, 바람직하게는 0.8∼6.9 w/w%로 포함된다.
영묘향은 대영묘(Viverra Zibetha Linne, 사향고양이과)의 향신낭의 분비물로서 향주머니속의 분비물을 긁어내어 얻는다. 신선품은 꿀처럼 걸죽한 황백색의 액체이나 농축하면 갈색의 연고상이 된다. 냄새는 향기롭고 맛은 쓰다. 냄새가 진하고 백색 혹은 엷은 황색으로서 종이 위에 놓을시 입자가 없는 것이 상품이다. 미(味)는 신(辛)하고 성(性)은 온(溫)하며 무독이다. 주 약리작용은 피예, 행기(行氣), 진통, 심복졸통, 산통, 중악, 진심, 안신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을 포함하는 순환기계,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질환치료제이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환제나 액제등의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환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른다.
즉, 본 발명의 환제는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건강을 정밀히 달아 각각의 생약을 미세한 분말로 만든 다음 따로 미세분말화한 우황, 용뇌를 가하고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여기에 영묘향을 균질하게 혼합한뒤 꿀등의 부형제를 가하여 제환하고, 금박의 환의를 하여 환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에 따르는 액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액제의 제조방법에서, 영묘향은 에탄올 중 영묘향의 농도가 5 w/v% 인 영묘향 틴크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우황 및 용뇌는 각각 미세분말로 만들거나 베타-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켜 사용하며,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및 건강은 환류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사용하거나 이들의 미세분말을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사용하여 혼합제조한다.
이를 상술하면 한가지 방법으로는
1) 본 발명의 생약재중 우황, 용뇌 및 영묘향을 제외한 나머지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및 건강을 조절 또는 세절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환류추출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하거나 상기 생약재들의 미세분말을 2%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1%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교반하여 생약혼합액을 제조하고,
2) 베타-시클로덱스트린에 우황을 포접시킨 우황포접물을 제조하고,
3) 베타-시클로덱스트린에 용뇌를 포접시킨 용뇌포접물을 제조하고,
4) 영묘향이 5 w/v%의 농도로 에탄올에 녹아있는 영묘향틴크를 제조하고,
5) 생약추출물 또는 생약혼합액에 점도조절제를 가하고 가열용해한 뒤, 우황포접물, 용뇌포접물 및 영묘향틴크와 혼합한 후
6) 이 혼합액에 꿀 또는 백당을 가하여 혼합하고, 안식향산나트륨, 에탄올에 녹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구연산 및 그 염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1) 의 생약추출액은 상기한 약재들을 각각 정밀히 달아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를 가한 다음 90∼100℃에서 환류추출하고 방냉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다. 또한 공정 1)의 생약혼합액은 상기한 약재들을 각각 미세분말로 만들어 200호체(약전)로 여과하고 혼합하거나 상기한 약재들을 혼합한 후 함께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만들어 200호체(약전)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분말을 2%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1%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1,300 ㎖에 충분히 교반 혼화하여 제조한다.
공정 2)의 우황포접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을 전체용량에 대하여 0.5∼0.9 w/v%가 되도록 정밀히 달아 가열하면서 정제수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실리카겔 데시케이타에서 24시간 건조후 분쇄하고 200호체를 통과시켜 미세분말로 만든 우황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다.
공정 3)의 용뇌포접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을 전체용량에 대하여 0.2∼1.3 w/v%가 되도록 정밀히 달아 가열하면서 정제수에 용해하고 실온에 방치한 다음, 에탄올을 전체용량에 대하여 0.7∼1.3 w/v%가 되도록 정밀히 달아 여기에 실온에서 용뇌를 용해시키고 앞의 수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방냉하여 제조한다.
공정 5)의 점도조절제는 잔탄검, 폴리비닐피롤리딘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그리고 펙틴 중에서 1종 또는 2종이상 선택하고 그 사용량은 전체용량에 대하여 각각 0.1∼0.4, 0.2∼1.2, 0.1∼0.5, 그리고 0.1∼0.5 w/v% 가 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1) 본 발명의 생약중 우황, 용뇌 및 영묘향을 제외한 나머지를 조절 또는 세절한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및 건강을 환류추출한 생약추출액을 제조하고,
2) 공정 1)의 생약추출액에 전체용량에 대하여 각각 폴리소르베이트류 0.3∼2w/v%, 폴리에틸렌글리콜류 0.3∼2w/v%, 크레모포아류 0.5∼1.5 w/v%, 알긴산나트륨 0.8∼2.4 w/v%가 되도록하고 이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가하고, 여기에 영묘향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3) 공정 2)의 혼합액에 우황과 용뇌의 미세분말을 가하고 교반하고
4) 공정 3)의 혼합액에 점도조절제, 꿀 또는 백당을 가하고 혼합, 안식향산나트륨과 에탄올에 녹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을 첨가하고 교반, 구연산 및 그 염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2)는 영묘향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수회 초음파 장치에 적용하여 현탁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한다.
공정 3)은 실리카겔 데시케이타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분쇄하고 200호체를 통과시켜 미세분말로 만든 우황과 용뇌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초음파 장치에 적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해 급성경구독성을 조사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자율신경계에 대한 작용, 순환기계에 대한 작용들을 실험하여 공지의 우황청심원 제제와 약리효능을 비교하였다
각 처방시료의 효력을 서로 비교해 본 결과, 사향을 제외한 공지의 우황청심원 처방에 영묘향을 추가한 처방이 사향을 함유한 공지의 우황청심원에 비해 동등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의 처방
실시예 1~9의 처방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의 처방은 성인 100회 복용분량에 해당한다.
비교예 1~3.
비교예 1은 현재 시판중인 변방우황청심원의 처방이고, 비교예 2는 현재 시판중인 원방우황청심원의 처방이며, 비교예 3은 현재 시판중인 반량우황청심원의 처방으로서 각각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처방
처 방 (g)
비교예1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2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3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산약 28.2 28.2 28.2 28.2 26.3 26.3 26.3 26.3 13.1 13.1 13.1 13.1
감초 20.2 20.2 20.2 20.2 18.8 18.8 18.8 18.8 9.4 9.4 9.4 9.4
인삼 9.7 9.7 9.7 9.7 9.4 9.4 9.4 9.4 4.7 4.7 4.7 4.7
포황 10.0 10.0 10.0 10.0 9.4 9.4 9.4 9.4 4.7 4.7 4.7 4.7
신곡 10.0 10.0 10.0 10.0 9.4 9.4 9.4 9.4 4.7 4.7 4.7 4.7
대두황권 7.0 7.0 7.0 7.0 6.6 6.6 6.6 6.6 3.3 3.3 3.3 3.3
계피 7.0 7.0 7.0 7.0 6.6 6.6 6.6 6.6 3.3 3.3 3.3 3.3
아교 7.0 7.0 7.0 7.0 6.6 6.6 6.6 6.6 3.3 3.3 3.3 3.3
작약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맥문동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황금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당귀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방풍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백출 6.0 6.0 6.0 6.0 5.6 5.6 5.6 5.6 2.8 2.8 2.8 2.8
시호 5.0 5.0 5.0 5.0 4.7 4.7 4.7 4.7 2.3 2.3 2.3 2.3
길경 5.0 5.0 5.0 5.0 4.7 4.7 4.7 4.7 2.3 2.3 2.3 2.3
행인 5.0 5.0 5.0 5.0 4.7 4.7 4.7 4.7 2.3 2.3 2.3 2.3
복령 5.0 5.0 5.0 5.0 4.7 4.7 4.7 4.7 2.3 2.3 2.3 2.3
천궁 5.0 5.0 5.0 5.0 4.7 4.7 4.7 4.7 2.3 2.3 2.3 2.3
우황 1.4 1.4 1.4 1.4 4.5 4.5 4.5 4.5 2.3 2.3 2.3 2.3
영양각 3.5 3.5 3.5 3.5 3.8 3.8 3.8 3.8 1.9 1.9 1.9 1.9
사향 0.5 3.8 1.9
용뇌 4.1 4.1 4.1 4.1 3.8 3.8 3.8 3.8 1.9 1.9 1.9 1.9
백렴 3.0 3.0 3.0 3.0 2.8 2.8 2.8 2.8 1.4 1.4 1.4 1.4
건강 3.0 3.0 3.0 3.0 2.8 2.8 2.8 2.8 1.4 1.4 1.4 1.4
영묘향 0.75 1.5 2.25 5.7 11.4 17.1 2.85 5.7 8.55
실시예 10 :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환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2의 처방중 영묘향을 제외한 산약 28.2 g, 감초 20.0 g, 인삼 9.7g, 포황 10.0 g, 신곡 10.0 g, 대두황권 7.0 g, 계피 7.0 g, 아교 7.0 g, 작약 6.0 g, 맥문동 6.0 g, 황금 6.0 g, 당귀 6.0 g, 방풍 6.0 g, 백출 6.0 g, 시호 5.0 g, 길경 5.0 g, 행인 5.0 g, 복령 5.0 g, 천궁 5.0 g, 영양각 3.5 g, 백렴 3.0 g, 건강 3.0 g 및 우황 1.4 g, 용뇌 4.1 g을 정밀히 달아 혼합한 다음, 미세한 분말로 만들고 200호체(약전)로 여과하고, 여기에 영묘향 1.5 g을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고 꿀등의 부형제를 가하고, 연합 제환하고 금박환의를 하여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① 생약추출액의 제조
실시예 2의 처방중 우황, 용뇌, 영묘향을 제외한 나머지 생약 (산약 28.2 g, 감초 20.2 g, 인삼 9.7 g, 포황 10 g, 신곡 10 g, 대두황권 7.0 g, 계피 7.0 g, 아교 7.0 g, 작약 6.0 g, 맥문동 6.0 g, 황금 6.0 g, 당귀 6.0 g, 방풍 6.0 g, 백출 6.0 g, 시호 5.0 g, 길경 5.0 g, 행인 5.0 g, 복령 5.0 g, 천궁 5.0 g, 영양각 3.5 g, 백렴 3.0 g, 건강 3.0 g)을 정밀히 달아 조절하여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 1,300 ㎖를 가한 다음 약 90∼100℃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방냉후 200호체로 여과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한다.
② 우황포접물의 제조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18 g을 정밀히 달아 300 ㎖의 정제수에 넣고 가열하면서 용해하고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실리카겔 데시케이타에서 24시간 건조후 분쇄하고 200호체를 통과시켜 미세분말로 만든 우황 1.4 g을 첨가하고, 2시간동안 충분히 교반하여 우황포접물을 제조한다.
③용뇌포접물의 제조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20 g을 정밀히 달아 350 ㎖의 정제수에 넣고 가열하면서 용해하고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미세분말로 만든 용뇌 4.1 g을 에탄올 30 ㎖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면서 교반 방냉하여 용뇌포접물을 제조한다.
④ 영묘향틴크의 제조
영묘향 1.5 g을 취하여 에탄올 27 ㎖를 가하여 가온하여 용해시킨후 식힌 다음 여과한다. 여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30 ㎖로 한다. 이 영묘향틴크 1 ㎖는 원생약 50 ㎎에 해당된다.
⑤ 혼합탱크에서 ①에서 제조한 추출액을 넣고 잔탄검 6 g을 가한 다음 가열 용해하고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꿀 300 g을 가하고 교반하여 혼화한 다음 ②, ③, ④에서 제조한 제조물을 서서히 가하고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한다.
⑥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 g과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1.5 g을 에탄올 80 ㎖에 용해한 다음 ⑤의 혼합탱크에 가하고 안식향산나트륨 0.6 g을 서서히 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다음 구연산 및 그 염을 사용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용량을 3,000 ㎖로 조정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균질화 시키고 30 ㎖ 용량의 갈색용기에 충전한다.
실시예 12.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1의 제조방법중 ⑤의 잔탄검 6 g 대신에 펙틴 8 g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13.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1의 제조방법중 ②의 우황포접물을 제조함에 있어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18 g 대신 16.5 g을 사용하고 ③의 용뇌포접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20 g 대신 15 g을 사용하고, ⑤의 잔탄검 6 g대신 잔탄검 10 g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제조방법과 동일히다
실시예 14.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1의 제조방법중 ②의 우황포접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18 g 대신 24 g을 사용하고, ③의 용뇌포접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20 g 대신 15 g을 사용하고, ⑤의 꿀 300 g 대신에 백당 240 g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15.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1의 제조방법중 ③의 용뇌포접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베타-시클로덱스트린(Cydex-P) 20 g 대신 30 g을 사용하고, ⑤의 잔탄검 6 g 대신에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8 g을 사용하고 꿀 300 g 대신에 백당 270 g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16.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1의 제조방법중 ①의 생약추출물을 제조할 때 있어서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 1,300 ㎖를 가한 다음 약 90∼100℃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는 대신, 실시예 2의 처방중 우황, 용뇌, 영묘향을 제외한 나머지 생약 22종을 정밀히 달아 미세분말화하고 2%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용액 1,300 ㎖에 교반시켜 생약혼합액을 만든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 17.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액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6의 제조방법중 2%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용액 대신에 1% 프로필렌글리콜수용액 1,300 ㎖에 교반시켜 생약혼합액을 만든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실험예 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Ⅰ: 성상
검체는 실시예 11로 하였으며, 동일한 조작으로 각각 3회 제조하여 각각의 롯트번호를 LOT 1, LOT 2 및 LOT 3라 하였으며 각 롯트에서 3개의 샘플을 취하여 샘플번호를 SA-A, SA-B 및 SA-C라 하여 각각 시험하였다. 보존조건은 실온보존(1∼30℃, 40∼55% RH : 장기보존시험)이고, 보존 및 관찰기간은 제조직후,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로 하였다.
가) 시험기준 : 이 약은 특이한 향이 있는 갈색의 불투명한 현탁액제이다.
나) 시험결과 :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Ⅰ: 성상시험 결과
롯트번호 샘플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SA-A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B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C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LOT 2 SA-A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B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C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LOT 3 SA-A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B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SA-C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실험예 2.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Ⅱ: pH 시험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 pH 3.0 ~ 5.0
나) 시험방법 : 실시예 11의 조성물을 가지고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pH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다) 시험결과 :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Ⅱ: pH 시험 결과
롯트번호 샘플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SA-A 4.0 4.0 4.0 4.0 4.0 4.0 4.0
SA-B 4.0 4.0 4.0 4.0 4.0 4.0 4.0
SA-C 4.0 4.0 4.0 4.0 4.0 4.0 4.0
LOT 2 SA-A 4.0 4.0 4.0 4.0 4.0 4.0 4.0
SA-B 4.0 4.0 4.0 4.0 4.0 4.0 4.0
SA-C 4.0 4.0 4.0 4.0 4.0 4.0 4.0
LOT 3 SA-A 4.0 4.0 4.0 4.0 4.0 4.0 4.0
SA-B 4.0 4.0 4.0 4.0 4.0 4.0 4.0
SA-C 4.0 4.0 4.0 4.0 4.0 4.0 4.0
실험예 3.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Ⅲ: 비중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 1.004 ~ 1.104
나) 시험방법 : 실시예 11의 조성물을 가지고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비중시험법의 제3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다) 시험결과 :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Ⅲ: 비중시험 결과
롯트번호 샘플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SA-A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B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C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LOT 2 SA-A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B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C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LOT 3 SA-A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B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SA-C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1.054
실험예 4.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Ⅳ: 증발잔류물 시험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 20.4 ~ 27.6 w/v%
나) 시험방법 : 실시예 11의 조성물 10 ㎖를 정확히 취하여 미리 105℃에서 4시간 건조하고 데시케이타(실리카겔)에서 방치하여 식힌 다음 무게를 단 비이커에 넣고 수욕상에서 증발농축하고 105℃에서 4시간 건조하여 데시케이타(실리카겔)에서 식힌 다음 무게를 정밀히 달아 전후의 무게차를 구한다.
취한 용량에 대한 전후의 무게의 차를 증발잔류물로 한다.
다) 시험결과 :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Ⅳ: 증발잔류물시험 결과
롯트번호 샘플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SA-A 23.1 23.1 23.05 23.05 23.1 23.2 23.1
SA-B 23.2 23.2 23.1 23.1 23.2 23.1 23.2
SA-C 23.5 23.5 23.2 23.1 23.1 23.0 23.0
LOT 2 SA-A 23.1 23.1 23.1 23.0 23.1 23.0 23.0
SA-B 23.2 23.1 23.2 23.1 23.0 23.1 23.1
SA-C 23.1 23.2 23.1 23.0 23.2 23.1 23.0
LOT 3 SA-A 23.2 23.1 23.1 23.0 23.1 23.1 23.0
SA-B 23.1 23.0 23.1 23.1 23.0 23.0 23.1
SA-C 23.0 23.0 23.0 23.0 23.1 23.2 23.1
실험예 5.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Ⅴ: 우황중 결합형빌리루빈의 함량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 표시량(결합형빌리루빈으로서 1.68 ㎎/30 ㎖)에 대하여 90.0% 이상
나) 시험방법 : 실시예 11의 조성물 30 ㎖ (결합형빌리루빈으로서 1.68 ㎎ 해당량)를 정확히 취하여 300 ㎖ 환저플라스크에 넣고 묽은염산 10 ㎖ 및 클로로포름 50 ㎖를 가하고 환류냉각기를 달아 수욕상에서 40분간 가온한 다음 분액여두에 옮겨서 클로로포름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 여과한다. 다시 수층을 클로로포름 50 ㎖씩으로 3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을 넣어 정확히 200 ㎖로 한 액을 총형 빌리루빈 검액으로 한다.
따로 실시예 11의 조성물 30 ㎖ (결합형빌리루빈으로서 1.68 ㎎ 해당량)를 정확히 취하여 100 ㎖ 분액여두에 넣고 클로로포름 30 ㎖를 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고 클로로포름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 여과한다. 다시 수층을 클로로포름 50 ㎖로 2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을 넣어 정확히 200 ㎖로 한 액을 유리형빌리루빈 검액으로 한다.
따로 빌리루빈 표준품 약 2.0 ㎎을 정밀히 달아 클로로포름에 녹여 200 ㎖로 한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상기 검액과 표준액을 가지고 다음 실험조건에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다.
조작조건
칼람: Shim-pak CLC-ODS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436 nm)
이동상: 메탄올:2% 빙초산 (90:10)
유속: 1.2 ㎖/min
계산: 결합형 빌리루빈(C33H36N4O6)의 양 (㎎)
= [총 빌리루빈의 양 (㎎) - 유리 빌리루빈의 양 (㎎)] × 1.25
빌리루빈의 양 (㎎)
검액의 피크 면적
= 표준품의 양 (㎎) × ――――――――――――
표준액의 피크 면적
다) 시험결과 :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롯트당 3회 시험을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기재하였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Ⅴ: 우황중 결합형빌리루빈 함량 (%) 시험 결과
롯트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233.6 231.2 230.0 228.4 229.2 224.9 225.7
LOT 2 233.9 231.4 229.6 229.0 227.7 225.5 225.7
LOT 3 233.8 230.1 230.4 228.6 227.2 225.1 225.8
실험예 6.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Ⅵ: 감초중 글리시리진산의 함량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 표시량 (글리시리진산으로서 4.04 ㎎/30 ㎖)에 대하여 90.0% 이상
나) 시험방법 : 실시예 11의 조성물 60 ㎖ (글리시리진산으로서 8.08 ㎎ 해당량)를 정확히 취하여 환류냉각기를 달고 여기에 3M 황산 50 ㎖를 넣고 수욕상에서 1시간 가수분해한다. 식힌 다음 클로로포름 50 ㎖를 넣어 수욕상에서 30분간 가온하여 환류 추출한다. 식힌 다음 분액깔대기에 옮겨 클로로포름층을 취하고 다시 클로로포름 30 ㎖ 씩 3회 반복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을 모두 합하여 무수황산나트륨을 통과시켜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농축한 다음 잔사를 메탄올에 녹여 정확히 50 ㎖로 한다. 따로 정량용 글리시리진산 약 8.08 ㎎을 달아 이하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만든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를 가지고 다음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 액의 글리시리진산 피크면적 AT및 AS를 측정한다.
조작조건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54 nm)
칼럼: 안지름 4~6 ㎜, 길이 15~20 ㎝인 스테인레스관에 5~10 ㎛의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을 충전한다.
이동상: 메탄올·물·빙초산(78:19:3)
유량: 1.0 ㎖/분
계산
글리시리진산 (C42H62O16)의 양 (%)
표준액의 농도 (㎎/㎖) 검액의 피크면적
= ――――――――――― × ―――――――――― × F × 100 (F≒2.16)
검액의 농도 (㎎/㎖) 표준액의 피크면적
다) 시험결과 :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각 롯트당 3회 시험을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게재하였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Ⅵ: 감초중 글리시리진산의 함량 (%) 시험 결과
롯트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125.0 124.8 124.5 121.9 122.4 122.1 121.3
LOT 2 125.4 125.1 124.0 123.0 122.2 121.5 121.9
LOT 3 125.1 125.3 124.3 122.7 122.1 121.5 121.9
실험예 7.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Ⅶ: 용뇌중 총보르네올의 함량(%)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표시량 (총보르네올로서 38.58 ㎎/30㎖)에 대하여 90.0% 이상
나) 시험방법: 실시예 11의 조성물 30 ㎖ 를 정확히 취하여 300 ㎖ 분액여두에 넣고 클로로포름 50 ㎖를 가하여 진탕 추출한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 여과한다. 다시 수층을 클로로포름 50 ㎖씩으로 3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을 넣어 정확히 200 ㎖로 한 액을 검액으로 한다.
따로 이소-보르네올 표준품 14.2 ㎎ 및 노르-보르네올 표준품 22.8 ㎎을 정밀히 달아 클로로포름에 녹여 정확히 200 ㎖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상기 검액과 표준액을 가지고 다음 조작조건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다.
조작조건
칼람: 10% PEG-20M Chromosorb (WAW-DMCS) 60-80 mesh
칼람온도: 140~180℃ (분당 5℃씩 승온)
주입부온도: 230℃
검출부온도: 230℃
검출기: 수소불꽃 이온화 검출기
이동가스: 질소가스
유속: 40 ㎖/min
계산
총보르네올 (C10H16O)의 양 (%)
표준액의 농도 (㎎/㎖) 검액의 피크면적
= ―――――――――――― × ――――――――― × 100
검액의 농도 (㎎/㎖) 표준액의 피크면적
다) 시험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각 롯트당 3회 시험을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게재하였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Ⅶ: 용뇌중 총보르네올의 함량 (%) 시험 결과
롯트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98.8 97.3 96.8 96.9 94.6 95.8 96.2
LOT 2 97.2 98.2 95.9 95.8 95.1 94.6 95.4
LOT 3 98.7 98.4 96.7 95.8 94.4 95.2 95.2
실험예 8.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시험 Ⅷ: 영묘향 중 시베톤의 함량(%)
검체, 보존조건, 보존 및 관찰기간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가) 시험기준: 표시량 (시베톤으로서 0.3 ㎎/30 ㎖)에 대하여 90.0% 이상
나) 시험방법: 실시예 11의 조성물 450 ㎖ (시베톤으로서 4.5 ㎎ 해당량)를 정확히 취하여 분액여두에 넣고 클로로포름 600 ㎖씩 3회 진탕 추출한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합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이를 클로로포름 50 ㎖에 녹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시베톤 표준품(Firmenich사 제품) 약 20 ㎎을 정밀히 달아 클로로포름에 녹여 정확히 100 ㎖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상기 검액과 표준액을 가지고 다음 조작조건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다.
조작조건
칼람: 10% OV―17 Chromosorb WHP 100/120
스테인레스 스틸 팩크드 칼럼 (6ft, 2mm)
검출기: 수소불꽃 이온화 검출기
주입부온도: 230℃
검출부온도: 240℃
칼람온도: 210~224℃
초기시간: 20 분
온도상승속도: 0.5℃/분
최종시간: 2분
이동가스: 질소 유속 ―― 60 psi
공기 유속 ―― 40 psi
수소 유속 ―― 30 psi
계산
시베톤 (C17H30O)의 양 (mg)
검액의 피크면적
= 시베톤 표준품의 양 (mg) × ―――――――――― × 100
표준액의 피크면적
다) 시험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각 롯트당 3회 시험을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게재하였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Ⅷ: 영묘향 중 시베톤의 함량 (%) 시험 결과
롯트번호 제조직후 6개월후 12개월후 18개월후 24개월후 30개월후 36개월후
LOT 1 102.78 103.13 102.38 102.72 101.28 99.45 100.60
LOT 2 102.31 101.74 101.56 102.13 99.61 100.24 101.39
LOT 3 100.89 102.48 100.21 101.33 100.43 101.96 100.05
이상의 실험예 1~7에서 각각 성상, pH시험, 비중시험, 증발잔류물시험, 결합형빌리루빈의 함량시험, 감초중 글리시리진산의 함량시험, 총보르네올의 함량시험, 그리고 영묘향 중 시베톤의 함량시험 을 실시한 결과 모든 시험항에서 제조직후부터 제조후 36개월까지 실온보존조건에서 각항의 기준에 적합하여 본 발명의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9: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급성독성시험
1. 시험방법
식품의약품안전본부고시 제1996-8호(96.4.16)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에 준하였다.
① 실험동물
청정구역에서 생산된 7주령의 암, 수컷 스프라그-달리(Sprague-Dawley)계 SPF 랫트를 구입하여 실험실 (온도 24±2℃, 습도 55±5%)에서 이주일 동안 순화시켰으며 순화기간 동안 일반증상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동물만을 선별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고형사료 및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 사용하였다.
② 실험검체
실시예 2 (표1)의 처방중 우황, 용뇌, 영묘향을 제외한 생약을 조절하고 여기에 10배량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90∼100℃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방냉후 200호체로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한 다음 미세한 분말로 하여 200호체로 여과하여 생약 분말을 제조하고 여기에 우황, 용뇌, 영묘향 각각을 미세한 분말로 하여 200호체로 여과한 분말을 배산혼합하여 혼합분말을 만들어 실험 투여용량에 따라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에 용시 희석 현탁하여 실험검체로 사용하였다.
③ 투여용량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최대투여가능 용량인 2,100 ㎎/㎏ 투여군을 최고용량군, 26 ㎎/㎏ 투여군을 최저용량군으로 하고, 일정공비로 5개 용량군(2,100, 700, 233, 78, 26 ㎎/㎏) 및 대조군을 설정하였으며, 투여는 용시조제하여 1회 경구투여하였다.
④ 관찰항목
가) 임상증상관찰 및 사망동물수
모든 시험동물에 대한 임상증상관찰 및 사망동물수는 약물투여직후부터 6시간 동안은 매 시간마다 관찰하였고, 투여익일로부터 11일까지 1일 1회씩 동물의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및 사망유무를 관찰하였다.
나) 체중측정
시험에 사용된 모든 실험동물에 대하여 실험검체 투여직전, 투여후 1일, 3일, 6일, 9일, 12일 및 14일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다) 부검
시험종류후 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후 에테르로 마취하고 설하동맥 및 복부대동맥을 절단하여 치사시킨 다음 외관 및 내부장기의 이상유무를 육안적으로 상세히 관찰하였다. 또한 의심스러운 이상소견이 관찰된 모든 조직은 현미경적 소견을 관찰하기 위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켰다.
2.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경구투여시 암·수 모두의 투여 용량군에서 사망예 및 특이적으로 관찰되는 이상 증상은 없었다.
또한 실험기간 동안 암·수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할 만한 체중의 변화는 없었고 실험완료후 해부시에도 육안적으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LD50치는 본 실험에 사용한 랫트의 최대 투여가능 용량인 2,100 ㎎/㎏(임상용량의 약310배) 이상이었으며, 보다 고용량에서의 측정은 불가능하여 안전한 약물로 평가되었다.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스프라그-달리계 렛트의 생존율
성별 투여량(mg/kg) 투여후 경과 일수(생존마리수/투여마리수) 최종치사율
0 1 2 3 6 9 12
수컷 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6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78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33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70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10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암컷 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6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78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33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70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2,10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10/10 0/10
실험예 10.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한 효력시험 Ⅰ: 뇌허혈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 (Mongolian Gerbil) (체중 60 ∼100 g)를 약 1주일간 순화적응시킨후 건강한 동물을 선택하여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배기 10-12회, 형광등 명암 12hr cycle, 조도 150-160 룩스(Lux)의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공급하였으며 실험실에서 적응시킨 후 일반증상의 이상이 보이지 않는 정상동물만을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검체
표1의 실시예 2의 처방으로 제조한 실험검체를 AT(영묘향 함유), 실시예 5의 처방으로 제조한 실험검체를 AF(영묘향 함유)라 하고, 비교예 1의 처방으로 제조한 실험검체를 BT(사향 함유), 비교예 2의 처방으로 제조한 실험검체를 BF(사향 함유)로 하여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을 이용하여 용시조제 현탁시켜 실험검체로 사용하였다.
3. 실험방법
① 허혈 유발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체중 60~100 g)을 사용하여 경동맥 결찰법으로 대뇌 허혈을 유발시켰다. 3% 이소플루란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을 도입마취시킨 후 농도를 1% 또는 2%로 낮추어 수술 전과정에서 마취를 유지시켰다. 목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고 근육을 둔성분리한 후, 경동맥을 미주신경과 주위조직으로부터 분리하고 경동맥결찰용겸자(microaneurysm clip)를 사용하여 양측 경동맥을 10분간 폐쇄하였다. 경동맥 폐쇄로 인한 뇌로의 혈액공급 차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동맥 폐쇄후 검안경 (opthalmoscope)를 사용하여 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의 한 분지인 눈동맥 (opthalmic artery)의 굵기가 감소하는지 확인하였다. 대뇌 허혈유발 전 과정에 걸쳐 직장 프로브 (rectal probe)를 사용하여 체온을 측정하고, 직장 프로브에 연결되어 있는 가열패드 (heating pad)를 이용하여 체온을 37℃이상 유지시켰다. 샴대조군 (Sham control)은 동일한 방법으로 마취시킨 후 경동맥을 분리하였으나 폐쇄는 하지 않았다. 수술후 마취가 깨어나면 격리시켜 먹이와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 실험동물의 처치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동물에 150 ㎕의 약물을 하루에 두 번씩 12시간 간격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약물대신에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으며, 오전투여를 하기 전에 대조군 및 투여군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투여를 시작하고 7일째 되는 날 오전투여를 마친 후 약 3~4시간 후에 뇌허혈을 유도하기 위한 수술을 실시하였고, 수술이 끝난 동물은 약 12시간이 경과한 후 약물의 투여를 재개하였다. 수술 후 5일이 경과한 후 오전투여를 마치고 약 3∼4시간 후에 희생시켜 심장을 통해 고정액을 주입하여 뇌를 고정하였다.
③ 조직의 처리
허혈 유발후 5일이 경과한 실험동물을 이소플루란(5%)으로 심마취시킨 후 흉강을 열고 대동맥을 통해 고정액을 관류시켜 뇌를 고정하였다. 고정액을 주입하기 전 칼슘을 제거한 타이로이드 (calcium free tyrode) 용액 50ml을 주입하여 조직으로부터 혈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0.2% 피크린산을 포함한 0.4M 인산완충용액(Lana's fixative)를 관류시켜 뇌를 고정하였다. 고정이 끝난 조직은 동일한 고정액에서 4시간동안 처리하여 후고정하고, 4℃에서 20%, 30% 슈크로즈를 포함한 TPBS용액에 차례로 침전시켜 동결시 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처리했다. 슈크로즈 처리가 끝난 조직은 조직동결처리기를 사용하여 -65℃이하의 액화 이산화탄소(dry ice)로 신속히 얼리고 동결절편기 (cryostat microtome)로 뇌정위도상에서 브레그마 (Bregma) -2.34mm에서부터 브레그마 -3.14mm까지의 조직을 두께 40㎛의 절편을 80㎛간격으로 10장씩 제작하였다.
④ MAP2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정
준비된 조직은 내인성 퍼옥시다제 (endogenous peroxidase)의 활성도를 떨어뜨리기 위하여 3%의 과산화수소가 들어있는 TPBS (Tri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의 정상 토끼 혈청과 0.3%의 트리톤-엑스 (Triton-X)가 들어있는 TPBS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였다. 마우스에서 생산된 MAP2(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2) 항혈청(Sigma, 1:80000)을 이용하여 4℃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일차항체와 반응이 끝난 조직은 이차항체인 토끼의 항-마우스 IgG (rabbit anti-mouse IgG) (vector, 1:200)로 실온에서 1시간 처리하고, 이어서 아비딘-비오틴 복합체 (avidin-biotin complex) (Elite kit, Vector, 1:250)와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처리가 끝난 조직은 다시 바이오틴화 타이라민 (Biotinylated tyramine) (BT: 1㎕ BT/ml PBS + 0.005% H2O2)과 20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아비딘-비오틴 복합체 (1:250)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반응을 유도하였다. 각 단계가 끝난 조직은 TPBS를 사용하여 5분간 6번씩 잔류 항체을 제거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아비딘-비오틴 복합체 (ABC: avidin-biotin complex)와 반응이 끝난 조직은 DAB (diaminobenzidine)반응으로 실온에서 발색시켰다. 발색이 끝난 조직은 슬라이드글라스 위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알코올의 농도를 높이면서 탈수시킨 후 크실렌을 거치고 커버글라스를 씌워 봉입하였다.
⑤ 조직의 관찰 및 통계처리.
이미지 분석기 (Image analyser : Metamorph, universal imaging Co.)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한 10장의 조직에서 해마부위를 50배의 배율로 허혈로 손상을 입은 면적을 측정하였다. 샴대조군과 비교하여 염색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부위를 허혈로 인한 손상을 받은 영역(ischemic area)으로 간주하여 그 면적과 이 부위중 MAP2염색성을 나타내는 부위 (area of stained fiber)의 총면적을 함께 측정하여 그 비율을 계산하였다. 샴대조군에서 관찰되는 신경섬유의 평균 염색밀도(mean density of stained fiber)는 허혈을 유도한 투여군에서 관찰되는 평균영역을 측정한 후, 그 평균영역내에서 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경섬유들의 면적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샴대조군의 평균 염색밀도와 비교하여 허혈유도 투여군에서 관찰되는 허혈로 인한 손상을 받은 영역에 대한 MAP2염색이 인정되는 영역의 비율을 샴대조군의 평균 염색밀도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t-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대조군의 평균 염색밀도에 대한 투여군의 평균 염색밀도의 비율은 아래 계산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투여 기간중에 나타나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7일째의 수술하기 전 체중과 12일째의 체중을 투여 시작일의 체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대조군과 투여군간의 차이를 t-Test로 분석하였다.
4. 실험결과
① 체중의 변화
투여시작 후 7일(허혈 유발일)경에 나타나는 체중변화는 각 실험군간에 있어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허혈유발후 5일경에 관찰한 실험동물의 체중은 대조군과 BT 투여군에서 초기체중 및 7일경에 측정한 체중에 비해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표 11). 그러나 BF, AT 및 AF 투여군에서는 초기체중 및 7일경에 관찰한 체중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12일경에 관찰한 대조군 및 BT 투여군의 체중은 다른 투여군에서 관찰되는 체중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체중감소로 볼 때 BF, AT 및 AF 투여군은 허혈 유발로 인해 일어나는 체중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BT 투여군에서는 허혈로 인한 체중감소를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투여기간동안의 체중변화율(%)
투여기간 대조군 BT BF AT AF
0 100 100 100 100 100
7 97.79±4.061) 94.01±7.47 96.17±3.21 95.40±2.80 95.40±4.86
12 81.61±13.99 82.30±10.72 92.49±6.49 92.63±3.63 93.91±2.12
1) 평균±표준편차
② 허혈로 인한 손상을 받은 영역(ischemic area)의 측정
표 12는 허혈유발에 따른 게르빌루스쥐의 해마 (hippocampus)에서의 면역염색 결과로서, 허혈이 일어난 부위의 평균면적과 MAP2 면역조직화학 (immunohistochemistry)에 의해 염색된 부위의 평균면적, 그리고 허혈 부위의 면적에 대한 염색 부위의 면적의 비율을 나타냈다. 샴 대조군 및 허혈유발 대조군에서 관찰되는 MAP2 면역염색성은 섬유모양으로 관찰되었다. 허혈로 인한 MAP2의 염색성의 변화는 주로 해마의 CA1 및 CA2부위에서 현저히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약물투여군에서는 허혈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신경섬유의 수가 증가하였다. 약물투여군에서 관찰되는 허혈로 인해 MAP2의 면역염색성이 감소하는 손상영역의 총합을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약물처치에 의해 허혈손상부위의 총면적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양측 경동맥 폐색에 영향받은 해마의 영역
투여군 허혈 손상영역(1062) 염색영역(1062) 비율2) Sig. A4) Sig. B5)
대조군(n3)=6) 72.16±7.0461) 10.34±2.083 14.44±2.932
BT(n=5) 80.42±5.214 11.86±3.637 17.36±5.053 >0.05
BF(n=5) 66.41±5.951 24.86±3.388 37.88±4.711** <0.01
AT(n=5) 77.04±3.561 21.11±2.827 27.86±4.319* <0.05 <0.01
AF(n=6) 74.26±9.480 27.11±5.840 35.53±4.428* <0.05 >0.05
1) 평균±표준편차
2) 비율 = (염색영역 / 허혈손상영역) × 100 (%)
3) n = 개체수
4)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5)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③ 허혈로 인해 손상을 받은 영역내에서의 MAP2 염색성 변화
허혈로 인해 손상을 받은 영역내에서 관찰되는 MAP2에 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경섬유의 총면적은 BF, AT 및 AF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증가를 나타내는 반면 BT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샴 대조군에서 관찰되는 평균염색밀도는 86.32%로 측정되었으며, 이 평균 염색밀도에 대한 대조군 및 약물투여군들에서 관찰되는 염색밀도의 비율을 계산해 본 결과 BF, AT 및 AF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나, BT투여군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약물투여군간을 비교할 때 허혈의 영향을 받은 영역내에서 각 그룹간 MAP2염색성의 비율은 BF투여군과 BT투여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AF와 AT투여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1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한 효력시험 Ⅱ: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 대신 에스에이취알(SHR) 계 흰쥐 (체중 180∼220 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2. 실험검체
실험예 10과 동일하였다.
3. 실험방법
SHR 흰쥐 1군을 7마리로 구성하고 각 군의 체중은 평균 270∼280 g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시험약물의 경구투여량은 AF 및 BF는 0.85 ㎖/200 g, AT 및 BT는 0.5 ㎖/200 g으로 각각 설정하여 매일 2회씩 미동맥 혈압 측정 후 투여하였다. 미동맥 혈압의 측정은 혈압관측기 (Blood pressure monitor) Multi-channel 8000 (TSE, Technical and Scientific Equipment)을 사용하였고 혈압의 측정과 함께 맥박수를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인 SHR 흰쥐는 혈압측정에 앞서 항상 37℃ 항온기에서 15분간 방치하여 일정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실험결과
SHR 흰쥐 1군을 7마리로 하여 매일 2회 시험약물을 경구투여하고 미동맥혈압을 측정한 결과 실험검체 BT를 투여한 실험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대해 혈압이 강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3). 특히, AT 투여군과 BF 투여군의 경우 투여기간 동안 지속적인 혈압강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도 각 모든 실험군의 혈압이 대조군의 혈압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P<0.01). 혈압의 측정과 함께 미동맥을 통한 맥박수도 기록하였으나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맥박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4).
투여기간중 미동맥혈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측정시간(hr) 대조군 BT BF AT AF
실험치1)(㎜Hg) 비율2)(%) 실험치(㎜Hg) 비율(%) 실험치(㎜Hg) 비율(%) 실험치(㎜Hg) 비율(%) 실험치(㎜Hg) 비율(%)
0 207.5±7.56 100 199±12.82 100 221.21±18.21 100 221.07±17.59 100 207.57±9.44 100
14 220.85±14.56 106.43 190.85±15.07 95.9 212.57±10.05 96.09 214.45±9.57 97 202.57±10.78 97.59
33 216±7.09 104.09 207.21±20.74 104.12 206.64±14.9 93.41 212.3±23.54 96.03 215.5±16.63 103.82
38 218.64±7.46 105.36 213.14±18.08 107.1 212.28±15.9 95.96 216.38±19.37 97.87 213.42±18.08 102.81
57 216.35±12.55 104.26 220.08±16.13 110.59 210.28±12.56 95.05 212.92±17.01 96.31 210.08±12.3 101.30
62 219.07±5.67 105.27 208.4±18.23 104.72 210.57±9.72 95.19 209.57±18.19 94.79 200.5±14.06 96.59
81 215.5±9.62 103.85 211.76±6.98 106.41 209.42±10.43 94.67 211.35±19.06 95.60 201.92±10.01 97.28
86 218.85±6.93 105.47 210.7±16.98 105.87 207.01±11.53 93.58 204.85±21.44 92.66 197.78±14.47 95.28
105 217.42±3.86 104.78 201.9±22.46 101.45 210.78±12.18 95.28 207.85±21.82 94.01 204.14±11.94 98.34
110 220.85±6.64 106.43 205.66±13.87 103.34 208.28±17.05 94.15 198.21±18.06 89.65 199±12.29 95.87
129 222.78±5.10 107.36 208.56±23.48 104.80 206.39±16.42 93.30 206.79±17.95 93.54 199.22±12.17 95.97
134 227.28±5.35 109.53 212.3±10.2 106.68 210.22±18.95 95.03 205.25±24.15 92.84 199.71±7.08 96.21
153 222.64±7.15 107.29 202.74±9.69 101.87 206.65±12.91 93.41 209.92±19.02 94.95 194.97±7.79 93.92
158 222.35±5.78 107.16 205.74±11.23 103.38 196.35±14.99 88.76 208.78±15.15 94.44 193.64±8.19 93.28
Sig.A3)Sig.B4) <0.01 >0.05 >0.05>0.05 >0.05<0.05
1) 실험치 : 평균±표준편차(mmHg)
2) 비율 : (측정시간별 혈압 ÷ 투여전혈압) × 100(%)
3)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4)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투여기간중 맥박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측정시간(hr) 대조군 BT BF AT AF
실험치1) 비율2)(%) 실험치 비율(%) 실험치 비율(%) 실험치 비율(%) 실험치 비율(%)
0 306.95±11.90 100 323.86±15.04 100 311.58±18.53 100 318.92±21.32 100 322.78±28.29 100
14 312.73±9.57 101.88 311.27±7.06 96.11 315.01±8.95 101.1 315.88±15.03 99.04 326.40±30.23 101.12
33 320.72±10.58 104.48 325.21±15 100.41 316.82±24.33 101.68 337.23±20.3 105.74 331.55±25.14 102.71
38 324.97±15.27 105.87 322.92±9.12 99.7 320.71±17.37 102.93 337.87±18.24 105.94 344.99±34.77 106.88
57 327.14±9.78 106.57 333.39±20.52 102.94 318.17±22.04 102.11 331.99±20.97 104.09 328.47±17.63 101.76
62 326.59±11.02 106.39 335.21±20.7 103.5 320.85±18.91 102.97 334±10.24 104.72 333.54±26.62 103.33
81 325.35±8.87 105.99 341.31±25.15 105.38 327.18±13.5 105 346.48±18.88 108.64 347.49±22.75 107.65
86 328.72±17.90 107.09 326.19±21.34 100.71 321.42±19.54 103.08 338.69±25 106.19 325.22±29.06 100.75
105 327.26±10.36 106.61 337.04±17.68 104.06 337.92±19.16 108.45 337.84±26.58 105.93 343.58±23.35 106.44
110 326.36±6.11 106.32 341.51±14.26 105.44 339.90±15.88 109.08 334.13±28.47 104.76 334.06±18.11 103.49
129 322.53±11.30 105.07 332.33±26.9 102.61 359.90±30.71 105.87 340.29±22.22 106.7 346.08±24.57 107.21
134 333.64±9.24 108.69 337.16±20.88 104.1 332.67±10.18 106.76 321.82±22.71 100.9 348.25±26.14 107.89
153 328.91±13.16 107.15 339.10±13.59 104.7 333.60±15.65 107.06 348.79±22.41 109.36 341.30±24.44 105.73
158 331.39±11.68 107.96 331.38±30.54 102.32 326.41±11.95 104.75 339.05±21.69 106.31 341.31±15.98 105.74
Sig.A3)Sig.B4) <0.01 >0.05 >0.05<0.05 >0.05>0.05
1) 평균±표준편차
2) {측정시간별 맥박수 ÷ 투여전맥박수} × 100 (%)
3)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4)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실험예 12.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한 효력시험 Ⅲ: 심계항진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 대신 가토 (체중 2.5~3.5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2. 실험검체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3. 실험방법
① 심전도 검사
가토 5마리를 1군으로하여 30일간 사육하면서 매일 2회, 12시간 간격으로 시험물질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심전도의 측정은 투여기간 직전 과 투여기간 시작후 매 10일마다 심장 증발기 (cardiac coupler: Narco biosystems)가 장착된 Physiograph MKIII(Narco biosyste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심전도의 기록에는 여러 가지 유도방식이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표준전극유도방식(Lead I, II, III), 사지전극유도방식 (aVR, aVL, aVF)을 채택하여 6가지 유도로 기록하였다. 그 중 Lead I 으로 심방과 심실의 수축기간을 측정하고, 그 외 나머지 유도에 의해 기록된 심전도로는 심전도 파형을 이용한 병변의 판단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② 심근수축력
30일간의 장기투여가 종료된 실험군의 가토를 마취하여 배위고정 한 후 흉곽아랫부분부터 머리방향으로 절개하여 노출된 횡경막을 절개하고 흉곽을 머리부분까지 최대한 들어올려 고정시킨 후, 심장으로부터 지방 등의 주위조직을 분리하여대동맥을 노출시켰다. 노출된 대동맥 아래로 명주실(silk)을 통과시켜놓고 대동맥을 횡절개한 후, 삽관하여 관류액이 관상동맥으로 흘러들어가게 하고 미리 통과시켜둔 silk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심장을 적출한 후 공기가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미리 준비해둔 랑게도르프 (Langedorf) 장치에 연결하였다. 이 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챔버에는 크레브스용액 (Kreb's solution)을 충분히 채워놓았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95% : 5% 혼합가스로 관류압 60 mmHg, pO2580 mmHg 이상 되게 하였다. 연결된 심장의 좌심실 말단 부위에 힘변환기 (force transducer : MyoGraph F60, Narco biosystem)를 연결하고 약 30분간 안정화 시킨 뒤 Physiograph MKIII(Narco biosystems)를 이용하여 심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을 측정하였다. 심박동수 및 심근수축력의 측정기간 동안 20μM 에피네프린, 20μM 염화아세틸콜린(acetylcholin chloride) 각 10 ㎖씩을 관류액과 함께 흘려줌으로써 심질환 유발조건 형성에 따른 각 실험군과 대조군의 심박동수 및 심근수축력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심박동수는 beats/min의 단위로 표기하지만 본 실험에서 에피네프린, 염화아세틸콜린에 대한 전체적인 반응시간이 1∼2 분 이내이므로 10초당 박동수로 표기하였다.
4. 실험결과
① 심전도에 대한 작용
약물 투여에 따른 가토의 상태를 검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매주 1회 체중을 측정하였다. 체중 측정 결과 시험약물 투여에 따른 체중 증가의 억제는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사향함유처방 현탁액인 AT, AF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증가를 보였다.(표 15)
투여기간중 체중변화
평균무게±표준편차(g)(최초 무게에 대한 비율%)
투여기간(주) 대조군 BT BF AT AF
0 3108±331.2(100.0%) 2875±267.1(100.0%) 2853.4±276.3(100.0%) 2861±137.1(100.0%) 2633.8±275.3(100.0%)
1 3304±423.3(106.3%) 3109±230.3(108.1%) 3062±229.6(107.3%) 3213±212.3(112.3%) 2866±221.6(108.8%)
2 3474±546.8(111.8%) 3198±185.6(111.2%) 3198±248.1(112.1%) 3316±161.4(115.9%) 3022±156.7(114.7%)
3 3497.2±415.6(112.5%) 3250±194.2(113.0%) 3262±268.6(114.3%) 3424±313.1(119.7%) 3224±137.2(122.4%)
4 3726±453.7(119.9%) 3460±203.3(120.3%) 3414±242.6(119.6%) 3544±287.4(123.9%) 3430±251.2(130.2%)
토끼를 사용하여 각각의 약물을 장기 투여한 결과, 표 16 및 도 1은 약물 투여 전과 투여후 10, 20, 30 일 째에 기록된 심전도를 바탕으로 대조군 및 각 실험군의 P-R interval을 나타낸 것이며, 표 17은 Q-T inteval을 나타낸 것이다. 심방 수축 기간을 의미하는 P-R interval에 있어서 투여 이전의 심전도파에 비해 10일째에 기록된 심전도에서는 각 군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않고, 20일, 30일째에 기록된 심전도에서는 BT, AT 투여군이 P-R interval의 감소를 보이고, AF 투여군의 심전도 기록파에서 나타나는 P-R interval은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였고, Q-T inteval의 경우 AF 투여군의 Q-T interval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그러나,이와 같은 P-R inteval 및 Q-R interval의 구간 차이는 t-Test를 통한 통계적 분석상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심전도의 파형의 형태 변화는 좌심방 비대증 등의 병변을 의미하는데, 본 실험에서 대조군 및 시험군으로 사용된 가토의 심전도 파형 형태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1)
심방수축기간(P-R interval)에 대한 영향
투여기간(일) 대조군 BT BF AT AF
실험치1)(msec) 비율2)(%)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0 8.87±1.00 100.00 8.07±0.85 100.00 9.42±0.33 100.00 7.98±0.04 100.00 7.97±1.34 100.00
10 8.94±1.02 100.83 8.01±0.88 99.22 9.16±0.35 99.84 8.03±0.08 100.67 8.01±1.39 100.59
20 8.53±1.20 96.24 7.37±0.73 95.52 8.13±0.82 97.39 8.12±0.66 101.84 8.27±0.47 103.57
30 8.68±1.08 97.93 7.22±0.74 94.03 8.06±0.86 96.05 7.86±0.34 98.54 8.37±0.45 105.06
Sig.A3)Sig.B4) >0.05 >0.05 >0.05<0.05 >0.05<0.05
1) 평균±표준편차
2) 초기값에 대한 비율(%)
3)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4)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Q-T interval에 대한 영향
투여기간(일) 대조군 BT BF AT AF
실험치1)(msec) 비율2)(%)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실험치(msec) 비율(%)
0 9.10±0.75 100.00 10.00±1.22 100.00 10.12±0.83 100.00 9.87±0.85 100.00 10.77±0.42 100.00
10 9.15±0.84 100.59 10.16±1.08 101.63 9.73±0.67 96.14 9.90±0.77 100.30 9.87±0.25 91.70
20 9.07±0.71 99.63 10.19±0.90 101.90 8.52±0.46 84.22 10.07±1.11 101.99 8.93±1.06 82.97
30 9.17±0.90 100.81 10.03±0.92 100.27 8.42±0.54 83.26 9.93±0.85 100.54 8.95±0.96 83.16
Sig.A3)Sig.B4) >0.05 >0.05 >0.05>0.05 >0.05>0.05
1) 평균±표준편차
2) 초기값에 대한 비율(%)
3)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4)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② 심근수축력
각 시험약물을 장기 투여한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심장 적출후 관류장치에 연결시켜 안정화 된 후의 심근수축력은 AF 투여군 및 BT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표 18). 또한, 적출심장에 대한 부정맥, 허혈 효과 등을 일으키기 위해 처리한 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근수축력과 박동수 (표 19)를 근거로하여 산출되는 심근운동능(heart work)으로 나타내었다. 심근 흥분을 유도하는 에피네프린을 주입하였을 때, 약물처리전 상태에 비해 대조군은 약 418%의 증가를 보였다 (표 20, 도2). 이와 같은 적출심장에 대한 에피네프린 처리시 대조군의 심근운동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BF 처방을 장기투여했던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심근운동능의 증가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P<0.05, P<0.01).
에피네프린 및 아세틸콜린으로 처리한 적출심장의 심근수축력에 대한 영향
실험군 비약물처리 에피네프린 처리 아세틸콜린 처리
실험치1)(g) 비율2)(%) 실험치 (g) 비율 (%) 실험치 (g) 비율(%)
대조군 0.61±0.17 100 1.46±0.11 100.0 0.32±0.14 100.0
BT 1.58±1.74 260.9 2.26±1.88 154.4 1.11±1.55 346.8
BF 1.31±0.83 216.5 2.55±1.14 174.6 1.01±0.58 315.4
AT 1.51±0.86 250.1 2.27±0.96 155.6 0.88±0.50 274.6
AF 3.22±1.33 531.8 4.98±1.83 341.0 2.40±0.86 747.5
1) 평균±표준편차
2) 대조군에 대한 비율
적출심장의 심박동수에 대한 영향
실험군 비약물처리 에피네프린 처리 아세틸콜린 처리
실험치1)(박동수/10초) 비율2)(%) 실험치(박동수/10초) 비율(%) 실험치(박동수/10초) 비율(%)
대조군 15.95±0.92 100.0 26.29±4.33 100.0 5.01±1.46 100.0
BT 15.72±3.59 98.6 25.23±2.91 96.0 4.61±2.24 91.9
BF 13.80±3.81 86.5 19.47±6.27 74.1 6.63±0.55 132.3
AT 17.92±4.59 112.3 22.02±4.28 83.7 6.49±1.91 129.5
AF 17.24±3.65 108.1 22.14±4.70 84.2 7.14±1.32 142.3
1) 평균±표준편차
2) 대조군에 대한 비율
에피네프린 처리전에 대한 처리후의 역학적 수치 변화
심근수축력 심박동수 심근운동능 Sig.A5) Sig.B6)
EPI1)처리전(%) EPI 처리후(%) EPI 처리전(%) EPI 처리후(%) EPI 처리전(%) EPI 처리후(%)
대조군 100 256±662) 100 164±173) 100 418±1124)
BT 100 190±80 100 173±71 100 361±304 >0.05
BF 100 218±74 100 143±33 100 312±131 >0.05
AT 100 203±125 100 127±29 100 287±252 >0.05 >0.05
AF 100 157±10 100 128±5 100 202±14 >0.05 >0.05
1) 에피네프린
2) (처리후 심근수축력/처리전 심근수축력)×100
3) (처리후 심박동수/처리전 심박동수)×100
4) (처리후 심박동수×처리후 심근수축력)/(처리전 심박동수×처리전 심근수축력)×100
5)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6)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아세틸콜린의 처리시에 대조군의 심근운동능은 약 17%로서 시험약물 투여군에 비해 심근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 도3). 대조군과는 달리 AF, BT 처방을 장기 투여한 실험군은 아세틸콜린 처리에 따른 심근운동능의 감소율이 작았다 (P<0.05, P<0.01).
아세틸콜린 처리전에 대한 처리후의 역학적 수치 변화
심근수축력 심박동수 심근운동능 Sig.A5) Sig.B6)
ACH1)처리전(%) ACH 처리후(%) ACH 처리전(%) ACH 처리후(%) ACH 처리전(%) ACH 처리후(%)
대조군 100 54±222) 100 31±93) 100 17±74)
BT 100 65±19 100 29±13 100 21±14 <0.01
BF 100 81±16 100 50±10 100 42±14 >0.05
AT 100 78±52 100 36±8 100 31±29 >0.05 <0.01
AF 100 76±9 100 42±6 100 32±8 >0.05 >0.05
1) 아세틸콜린
2) (처리후 심근수축력/처리전 심근수축력)×100
3) (처리후 심박동수/처리전 심박동수)×100
4) (처리후 심박동수×처리후 심근수축력)/(처리전 심박동수×처리전 심근수축력)×100
5)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6)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표 22는 에피네프린 및 아세틸콜린의 투여 직후 60초 동안의 폭발적인 근수축력 변화를 보인 것으로, 에피네프린 처리시에 BF 처방 장기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수축력의 변화가 작고, 아세틸콜린 처리시 AF, BF 처방 장기투여군의 수축력 변화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P<0.01).
적출심장에 약물투여직후 60초 동안의 근수축력의 변화
시간(초) 에피네프린(20μM)처리 아세틸콜린(20μM)처리
대조군(%) BT(%) BF(%) AT(%) AF(%) 대조군(%) BT(%) BF(%) AT(%) AF(%)
-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 157.6 125.3 135.4 168.2 137.3 56.1 68.6 78.4 95.3 63.4
20 161.8 168.6 171.4 194.2 135.2 59.3 65.0 77.8 85.4 60.2
30 174.7 161.5 200.0 176.2 143.3 58.6 65.3 76.2 84.2 58.9
40 170.6 156.2 181.6 170.3 154.2 66.2 65.6 78.4 81.6 59.6
50 187.4 150.8 181.3 173.5 163.6 69.5 67.4 79.1 84.7 53.5
60 175.4 150.2 183.5 168.4 146.3 71.5 66.7 83.4 94.2 66.0
실험예 13.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한 효력시험 Ⅳ: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 대신 아이시알(ICR)계 마우스 (체중 20-30 g, 수컷)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와 동일하였다.
2. 실험검체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3. 실험방법
① 헥소바르비탈 유도 수면 시간에 미치는 작용
아이시알계 마우스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시험약물(AT, AF, BT, BF) 및 대조약물 (chlorpromazine 4 ㎎/kg)을 경구투여하고 30분 경과 후, 헥소바르비탈 나트륨 50 ㎎/kg 을 복강주사함으로써 유도되는 수면시간, 즉 정향반사 상실부터 회복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② 최대 전기자극에 대한 작용
아이시알계 마우스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시험약물(AT, AF, BT, BF) 및 대조약물(phenobarbital·Na 50 ㎎/kg)을 경구투여하고 30분 경과 후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최대전기자극은 우드버리 (Woodbury) 등의 방법을 참고로 하여 양눈에 50mA의 전류를 0.1초동안 통전하여 부과하였으며, 이로써 유발된 강직성 경련에 의해 사망한 마우스의 수를 계수하고, 생존 개체의 경우 경련 시작 후 회복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③ 펜테드라졸 유발 경련에 대한 작용
아이시알계 마우스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시험약물(AT, AF, BT, BF) 및 대조약물(phenobarbital·Na 100 ㎎/kg)을 경구투여하고 30분 경과 후, 펜테트라졸 85 ㎎/kg을 피하주사하여 주사 직후부터 간대성 경련이 유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④ 스트리크닌 유발 치사에 대한 작용
아이시알계 마우스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시험약물(AT, AF, BT, BF) 및 대조약물(phenobarbital·Na 100 ㎎/kg)을 경구투여하고 30분 후 질산 스트리크닌 1.5 ㎎/kg을 피하주사하여, 강직성 경련이 유발되는데 걸린 시간과 사망한 실험동물의 수를 측정하였다.
⑤ 자발운동능에 대한 작용
자발운동성 측정장치 (activity cage : Ugo Basile)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아이시알계 마우스 8마리를 1군으로 한다. 마우스를 30분간 자발운동성 측정장치에 적응시켜 시험약물(AT, AF, BT, BF) 및 대조약물(chlorpromazine·HCl4 ㎎/kg)을 경구투여하고 다시 1시간 경과 후 15분 동안의 자발운동성을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① 헥소바르비탈 유도 수면시간에 미치는 작용
표 23은 헥소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시간을 측정한 결과로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클로르프로마진 염산염 투여군의 수면시간(2089.2초)은 대조군의 수면시간 (992.5초)보다 증가하였으며, 사향함유 처방인 BF와 영묘향함유 처방인 AT, AF를 투여한 시험군의 수면지속시간은 양성대조군의 수면지속시간에 비해 각각 41%, 34%, 66%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헥소바르비탈 유도 수면시간에 대한 영향
시험군 투여량(㎎/㎏) 총 개체수 수면시간(초) Sig.A2) Sig.B3)
대조군 8 992.5±33.81)
BT 5 8 1126.8±473.4 >0.05
BF 8.3 8 1442.2±499.4* <0.05
AT 5 8 1277.7±103.8** <0.01
AF 8.3 8 1365.8±480.9 >0.05 >0.05
클로르프로마진·염산 4 8 2089.2±353.6** <0.01 >0.05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② 최대전기자극에 대한 작용
전기자극 경련에 대한 길항성 실험 결과는 표 24와 같으며, 대조군의 사망율은 40%인데 반해 양성대조군인 페노바르비탈 투여군은 사망율 0%로서 전기자극 경련이 완전히 길항되었으며, 시험군의 사망율은 BT, AF가 각각 30%로 대조군에 비해 사망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자극 경련의 지속시간은 104.0초를 보인 대조군에 비해 AT투여군은 60.7초, AF는 79.4초로서 감소하였다. 사향함유처방인 BT, BF투여군은 약 80초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전기자극 유도 경련에 대한 영향
시험군 투여량(㎎/㎏) 총 개체수 생존 개체수 경련지속시간(초) Sig.A2) Sig.B3)
대조군 10 6 104.0±33.81)
BT 5 10 7 88.26±46.2 >0.05
BF 8.3 10 6 86.0±66.1 >0.05
AT 5 10 6 60.7±13.5* <0.05 >0.05
AF 8.3 10 7 79.4±52.0 >0.05 >0.05
페놀바르비탈 ·나트륨 50 10 10 52.9±31.3** <0.01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③ 펜테트라졸 유발경련에 대한 작용
표 25는 펜테트라졸로 유도된 경련에 각 시험약물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영묘향 함유 처방액 (AT, AF) 투여군은 펜테트라졸 피하주사 직후부터 경련유발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각각 574.0초, 561.4초로서 경련도달 시간이 392.3초인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펜테트라졸 유발 경련에 미치는 영향
시험군 투여량(㎎/㎏) 총 개체수 경련유발 개체수 경련유발 도달시간(초) Sig.A2) Sig.B3)
대조군 10 10 392.3±41.21)
BT 5 10 10 388.0±223.9 >0.05
BF 8.3 10 10 444.8±180.7 >0.05
AT 5 10 10 574.0±157.8** <0.05 >0.05
AF 8.3 10 10 561.4±126.5** >0.01 >0.05
페놀바르비탈 ·나트륨 100 10 0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④ 스트리크닌 유발 치사에 대한 작용
표 26는 스트리크닌 유도 경련 치사에 대한 실험 결과 스트리크닌의 피하주사 직후부터 경련이 일어나기까지의 경련도달 시간이 사향함유 처방인 BT, BF투여군과 영묘향함유 처방중 AT투여군이 각각 290.7초, 321.7초, 305.6초로서 대조군 (234.8초)에 비해 유의성있게 지연되었다.
스트리크닌 유도 경련치사에 대한 영향
시험군 투여량(㎎/㎏) 총 개체수 생존 개체수 경련유발 도달시간(초) Sig.A2) Sig.B3)
대조군 10 0 234.86±25.931)
BT 5 10 0 290.71±45.89* <0.05
BF 8.3 10 0 321.70±43.90** <0.01
AT 5 10 0 305.63±96.69* <0.05 >0.05
AF 8.3 10 0 252.43±28.40 >0.05 <0.01
페놀바르비탈 ·나트륨 100 10 10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⑤ 자발운동능에 대한 작용
표 27은 시험약물 투여에 따른 자발운동능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이 1369.3의 자발운동능을 보이는데 비해, 모든 시험약물 투여군에서 자발운동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의 자발운동능에 대한 영향
시험군 투여량(㎎/㎏) 총 개체수 자발운동능 Sig.A2) Sig.B3)
대조군 8 1369.3±94.61)
BT 5 8 722.5±278.6* <0.01
BF 8.3 8 591.0±199.9** <0.01
AT 5 8 936.0±204.3** <0.01 >0.05
AF 8.3 8 661.8±69.1** <0.01 >0.05
클로르프로마진 염산염 4 8 224.0±112.4**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실험예 14.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에 대한 효력시험 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
몽고리안 게르빌루스쥐 대신 에스에이취알(SHR) 계 흰쥐 (체중 180~220 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2. 실험검체
실시예 10과 동일하였다.
3. 실험방법
에스에이취알계 흰쥐 10마리를 1군으로 하며, 24시간 절식시킨 흰쥐에 시험약물(AT, AF, BT, BF)을 경구투여하고 2시간 경과 후, 금속튜브 억제기 (metal tube restrainer : Natsume) 에 구속한 후 수욕조 (20±2℃)에 24시간 수침시키는 수침구속 스트레스를 부과하였다. 스트레스 부과가 종료된 흰쥐는 에테르로 마취하여 복부를 절개하고 비장과 부신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장기는 지방조직 또는 피막을 완전히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고, 부신은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richloroacetic acid : TCA) 용액에 균질화시켜 부신 내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측정과 부신내 단백질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즉, 균질화시킨 용액을 원심분리한 후 (13,000 rpm, 10분), 상등액 0.5 ㎖과 0.5 ㎖ TCA 용액, 0.8 ㎖ 디피리딜 (dipyridyl), 0.1 ㎖ 인산 (H3PO4), 0.1 ㎖ 염화제이철 (ferric chloride)를 첨가하여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부신 내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 (Bradford)의 방법에 따라 우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4. 실험결과
표 28은 24시간 수침 구속 스트레스를 부과한 흰쥐에 시험약물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스트레스에 따른 부신의 비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신 내 아스코르베이트의 함량은 스트레스를 받지않은 정상군에 대해 대조군의 경우 약 52%의 감소가 나타난 반면, 사향함유 처방인 BF투여군은 약 17%, 영묘향 함유 처방인 AT투여군은 약 32%의 감소를 보여 각 시험약물이 유의성있게 스트레스 부과에따른 부신 내 아스코르베이트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의 경우 스트레스를 전혀 받지않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의 비장 무게가 4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약물 투여군 중 영묘향 함유 처방인 AT, AF투여군에서는 각각 32%, 29%의 감소율로서 스트레스 부과에 따른 비장 무게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침구속 스트레스를 부과한 흰쥐의 부신 및 비장의 무게와 부신내 아스코르베이트 함량에 대한 영향
시험군 부신의 무게(mg/100g 체중) Sig.A2) Sig.B3) 비장의 무게(mg/100g체중) Sig.A Sig.B 부신내 아스코르베이트 함량(mg/mg 부신단백질) Sig.A Sig.B
정상군 34.5±7.61 >0.05 194.9±38.8** <0.01 4.20±1.15** <0.01
대조군 30.2±5.7 107.5±19.8 2.01±0.40
BT 30.7±6.8 >0.05 102.0±11.7 >0.05 1.25±0.70 >0.05
BF 28.4±3.4 >0.05 115.5±15.0 >0.05 3.49±0.41* <0.05
AT 29.5±4.4 >0.05 >0.05 133.7±11.9* <0.05 <0.01 2.88±0.74* <0.05 <0.05
AF 32.4±15.3 >0.05 >0.05 138.4±16.2* <0.05 >0.05 2.07±0.93 >0.05 >0.05
1) 평균±표준편차
2) Sig. A: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 확률
3) Sig. B: A군과 B군의 상대적 유의성 확률
* : p<0.05, ** : p<0.01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은 혈압등 우황청심원이 사용되어 오던 순환기계,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증상에 대해 사향이 함유된 우황청심원과 효능이 동등이상이다.

Claims (6)

  1.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건강, 우황, 용뇌를 포함하는, 사향이 제외된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영묘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사향이 제외된 우황청심원 조성물이 산약 13.0 내지 17.0중량%, 감초 9.0 내지 12.0중량%, 인삼 4.0 내지 6.0중량%, 포황 4.0 내지 6.0중량% 신곡 4.0 내지 6.0중량%, 대두황권 3.0 내지 5.0중량%, 계피 3.0 내지 5.0중량%, 아교 3.0 내지 5.0중량%, 작약 2.0 내지 4.0중량%, 맥문동 2.0 내지 4.0중량%, 황금 2.0 내지 4.0중량%, 당귀 2.0 내지 4.0중량%, 방풍 2.0 내지 4.0중량%, 백출 2.0 내지 4.0중량%, 시호 2.0 내지 4.0중량%, 길경 2.0 내지 4.0중량%, 행인 2.0 내지 4.0중량%, 복령 2.0 내지 4.0중량%, 천궁 2.0 내지 4.0중량%, 우황 0.6 내지 4.0중량%, 영양각 1.0 내지 3.0중량%, 용뇌 1.0 내지 3.0중량%, 백렴 1.0 내지 3.0중량% 및 건강 1.0 내지 3.0중량%을 포함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영묘향의 조성비가 영묘향을 제외한 전체 생약중량에 대해 0.4∼10.5 중량비(w/w)인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4. 제1항에 따르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을 포함하는 뇌허혈, 고혈압, 심계항진, 경련 및 자발운동능 질환치료제.
  5. 1)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및 건강을 정밀히 달아 미세분쇄 혼합한 다음 여기에 미세분말한 우황, 용뇌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2) 여기에 영묘향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꿀을 첨가하여 제환하고 금박환의를 입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환제 제조방법.
  6. 1)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대두황권, 계피, 아교, 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백출, 시호, 길경, 행인, 복령, 천궁, 영양각, 백렴 및 건강을 조절 또는 세절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환류추출하여 생약추출액을 제조하고,
    2) 베타-시클로덱스트린에 우황을 포접시킨 우황포접물을 제조하고,
    3) 베타-시클로덱스트린에 용뇌를 포접시킨 용뇌포접물을 제조하고,
    4) 영묘향이 5 w/v%의 농도로 에탄올에 녹아있는 영묘향틴크를 제조하고,
    5) 생약추출액에 점도조절제를 가하고 가열용해한 뒤, 우황포접물, 용뇌포접물 및 영묘향틴크와 혼합하고,
    6) 이 혼합액에 꿀 또는 백당을 가하여 혼합하고, 안식향산나트륨, 에탄올에 녹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구연산 및 그 염을 가하여 pH를 조정하고 충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의 액제 제조방법.
KR10-1999-0019923A 1998-06-03 1999-06-0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923A KR100447332B1 (ko) 1998-06-03 1999-06-0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0546 1998-06-03
KR1019980020546 1998-06-03
KR10-1999-0019923A KR100447332B1 (ko) 1998-06-03 1999-06-0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75A KR20000005775A (ko) 2000-01-25
KR100447332B1 true KR100447332B1 (ko) 2004-09-07

Family

ID=2663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923A KR100447332B1 (ko) 1998-06-03 1999-06-01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50A (ko) 2022-03-04 2023-09-12 광동제약 주식회사 개선된 우황청심원 품목의 확인 및 함량 시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65A (ko) * 2000-08-14 2000-11-06 김권 신규한 사향 대체물질 및 이를 이용한 우황청심원
KR101229254B1 (ko) * 2009-11-09 2013-02-26 황성연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95B1 (ko) * 2010-09-13 2011-12-01 한국전력공사 스카다 rtu 시스템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088784B1 (ko) * 2003-10-17 2011-12-01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폴리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84B1 (ko) * 2003-10-17 2011-12-01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폴리싱 장치
KR101088795B1 (ko) * 2010-09-13 2011-12-01 한국전력공사 스카다 rtu 시스템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50A (ko) 2022-03-04 2023-09-12 광동제약 주식회사 개선된 우황청심원 품목의 확인 및 함량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75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004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ale sexual func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US7384657B2 (en) Composition of natural herb extract f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10588931B2 (en) Daphne laureola extracts in the treatment of dermopathies
TWI776234B (zh) 藥學組合物及其於治療肌少症之用途
KR100447332B1 (ko) 새로운 처방의 우황청심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3349748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feenugreek extract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KR101182199B1 (ko) 단삼 추출물 또는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RPI0618634A2 (pt) extrato a partir do córtice da espécie da corynanthe pachyceras, uso dos mesmos, medicamento ou produto alimentìcio bem como prepara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o dito extrato
US9597365B2 (en) Method for treating vascular inflammation, improving skin beauty and improving male sexual function using ginseng berry
Konan et al. Acute toxicity study and effects of sesame (Sesamum radiatum) aqueous leaf extract on rabbit’s electrocardiogram
KR20090131577A (ko) 글루코사민과 생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제제
JPH11349487A (ja) 新しい処方の牛黄清心元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34494B1 (ko) 새로운 생약복합제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25815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on of triglyceride synthesis via synergistic combination of botanical formulations
KR101084727B1 (ko)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을 포함하는 히스타민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10053575A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0150823B1 (ko) 해열진통제 조성물
KR20040011236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조성물
KR20000063965A (ko) 신규한 사향 대체물질 및 이를 이용한 우황청심원
JPH06172196A (ja) 血液粘性低下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102297607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Mishchenko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ICK EXTRACT OF COMMON TANSY FLOWERS (TANACETUM VULGARE L.) AND ESSENTIAL OILS AT THE BILIARY FUNCTION OF THE LIVER AND THE COMPOSITION OF BILE
Sharma et al. Preparation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a Polyherbal Preparation (POL-6) on Alcohol Deprivation Effects following Voluntary Alcohol Consumption in Rats
JPS62132822A (ja) 肝炎治療剤
Yang et al. Hydrogen Attenuates Cognitive Impairment in Rat Models of Vascular Dementia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