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트랜스-2-헥세날 (trans-2-hexenal) 및 헥사놀(hexanol);
b) 이소아밀 알코올(isoamyl alcohol); 또는
상기 a) 및 b)를 모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a) 트랜스-2-헥세날 (trans-2-hexenal) 및 헥사놀(hexanol)은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은 A 군의 그린 노트(green note) 향을 1 종 이상 더욱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 이소아밀 알코올(isoamyl alcohol)은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은 B 군의 사과(apple) 향을 1 종 이상 더욱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 a)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 내 0.0001 내지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 성분은 전체 향료 조성물 내 0.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제로서 과산화물과 중조를 사용하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내 사용되는 a) 트랜스-2-헥세날 (trans-2-hexenal) 및 헥사놀(hexanol)은 미백제인 과산화물과 중조에 의한 양치시 또는 양치후 자극감을 해소하는 작용을 한다. 이들 트랜스-2-헥세날 및 헥사놀은 풀냄새가 나는 그린 노트 향으로서 약간의 오일감을 갖고 있으며 강하게 작용하기 보다는 전반으로 부드럽게 깔리는 향이나 지속성이 강한 향이다. 이들 두 성분을 동시 사용함으로 인하여 각각의 향취가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2-헥세날 및 헥사놀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 내지1.0의 중량% 및 0.0001 내지1.0의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트랜스-2-헥세날 (trans-2-hexenal) 및 헥사놀(hexanol)은 하기 A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그린 노트(green note)향을 조합하여 사용함에 의하여 더욱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군)
1. α-터피네올 (α - Terpineole)
2. 헥사날 (Hexanal)
3. cis-3-헥세날 (cis-3-Hexenal)
4. trans-2-헥세놀 (trans-2-hexenol)
5. cis-3-헥세놀 (cis-3-Hexenol)
6. cis-3-헥세놀-1-올 (cis-3-Hexenol-1-ol)
7. 헥실 아세테이트 (Hexyl acetate)
8. 헥실 부티레이트 (Hexyl butyrate)
9. cis-3-헥세놀 아세테이트 (cis-3-Hexenol acetate)
10. 2-헥세닐 아세테이트 (2-Hexenyl acetate)
11. n-헥사노익 액시드 (n-Hexanoic acid)
12. trans 2-헥사노익 액시드 (trans-2-Hexanoic acid)
13. 2-헥실 부티레이트 (2-Hexenyl butyrate)
14. 이소시클로시트랄 (Isocyclocitral)
15. 디메틸테트라히드로벤즈알데히드 (Dimethyltetrahydrobenzaldehyde)
16.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Styrallyl acetate)
17. 리나룰 (Linalool)
18. trans-2-헥세날 디에틸 아세탈 (trans-2-hexenal diethyl acetal)
상기 A 군의 그린 노트 향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내 사용되는 b) 이소마일 알코올은 과산화수소와 중조의 아린 맛과 중조에 의해 구강 내 느껴지는 작열감을 마스킹하고 사용감을 개선하여 기존의 치약 대비 동등 이상의 사용감을 구현하는 작용을 한다. 이소아밀 알코올은 사과의 주된 성분으로 부드럽고 스위트한 향취를 지니며 상기 a) 트랜스-2-헥세날과 헥사놀이 갖는 자극감을 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b) 이소아밀 알코올은 하기 B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사과향을 조합하여 사용함에 의해 더욱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B군)
1.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2. 아세트산 (Acetic Acid)
3.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4. 포름산 (Formic acid)
5. 부티르산 (Butyric acid)
6. 알데히드 C10(Aldehyde C10)
7. 알릴 부티레이트 (Allyl butyrate)
8. 알릴 시클로헥실발레레이트 (Allyl cyclohexylvalerate)
9. 알릴 이소발레레이트 (Allyl isovalerate)
10. 아밀 아세테이트 (Amyl acetate)
11. 아밀 부티레이트 (Amyl butyrate)
12. 아밀 발레레이트 (Amyl valerate)
13. 벤즈알데히드 (Benzaldehyde)
14. 벤질 포르메이트 (Benzyl formate)
15. 벤질 이소발레레이트 (Benzyl isovalerate)
16. 부틸 발레레이트 (Butyl valerate)
17. 시나밀 포르메이트 (Cinnamyl formate)
18. 시나밀 이소발레레이트 (cinnamyl isovalerate)
19. 시트랄 (Citral)
20. 시트로네랄 (Citronellal)
21. 시트로넬릴 이소발레레이트 (Citronellyl isovalerate)
22. 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Cyclohexyl acetate)
23. 시클로헥실 부티레이트 (Cyclohexyl butyrate)
24. 디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 (Dimethyl benzyl carbinyl acetate)
25.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26.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Ethyl methylphenylglycidate)
27. 에틸 부티레이트 (Ethyl butyrate)
28. 에틸 포르메이트 (Ethyl formate)
29. 에틸 헵타노에이트 (Ethyl heptanoate)
30. 에틸 헥사노에이트 (Ethyl hexanoate)
31. 에틸 이소발레레이트 (Ethyl isovalerate)
32. 에틸 2-메틸부티레이트 (Ethyl 2-methylbutyrate)
33. 에틸 페라르고네이트 (Ethyl pelargonate)
34.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Ethyl phenylacetate)
35. 에틸 발레레이트 (Ethyl valerate)
36. 게라니올 (Geraniol)
37. 게라닐 아세테이트 (Geranyl acetate)
38. 게라닐 이소발레레이트 (Geranyl isovalerate)
39. 말톨 (Maltol)
44. 메틸 아세테이트 (Methyl acetate)
45. 메틸 알릴 부티레이트 (Methyl allyl butyrate)
46. 페네틸 이소부티레이트 (Phenethyl isobutyrate)
47. 로디놀 스티랄릴 (Rhodinol Styralyl)
48. γ-운데카락톤 (γ-undecalactone)
49. 터페닐 이소발레레이트 아세테이트 (Terpenyl isovalerate acetate)
상기 B 군의 애플 향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민트 향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시판 중인 치약은 대부분 사용후 구강 내 상쾌감을 부여하고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민트를 향료의 기본 베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도 기존의 치약에서 사용되어 온 기존 향료인 민트계 향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제품이 갖는 상품력을 그대로 지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a) 트랜스-2-헥세날과 헥사놀 및 b) 이소아밀 알코올을 함께 사용함에 의해 과산화물과 중조의 자극감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며, A)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그린 노트 향과 B)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과향을 더욱 조합하여 사용함에 의하여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치약의 제조
표 1의 베이스 처방에 표 2의 향료를 각각 1% ∼ 15%씩 부향하는 관능평가로 양치중, 후의 자극감을 평가하였다. 5점으로 평가하였고 1점 : 매우 약하다, 2점 : 약하다, 3점 : 일반치약과 차이없다, 4점 : 조금 강하다, 5점 : 강하다로 평가하였다.
[표 1]
치약 base |
구분 |
성분명 |
제품예 1 |
제품예 2 |
제품예 3 |
제1제과산화물함유 |
미백제 |
과산화요소 |
12 |
9 |
- |
과산화탄산나트륨 |
- |
- |
5 |
과산화칼슘 |
- |
3 |
- |
과산화수소(30%) |
- |
- |
5 |
용제 |
폴리에틸렌글리콜 |
60 |
- |
10 |
프로필렌글리콜 |
- |
50 |
- |
농글리세린 |
- |
- |
40 |
안정화제 |
토코페롤 |
0.1 |
0.05 |
- |
부티레이티드톨로엔 |
0.1 |
- |
0.6 |
이디티에이 |
- |
0.1 |
- |
점도상승제 |
폴록사머 |
15 |
20 |
30 |
기타 |
정제수 |
12.8 |
18.85 |
9.4 |
제2제염기성조성물 |
연마제 |
침강실리카 |
25 |
- |
20 |
인산일수소칼슘 |
- |
35 |
- |
습윤제 |
솔비톨액 |
30 |
5 |
15 |
|
농글리세린 |
- |
25 |
30 |
기포제 |
라우릴황산나트륨 |
2 |
2 |
2 |
미백제 |
중조 |
10 |
15 |
5 |
PH조정제 |
제3인산나트륨 |
2 |
1 |
- |
수산화나트륨 |
- |
0.1 |
0.2 |
약효제 |
일불소인산나트륨 |
0.76 |
0.76 |
0.76 |
감미제 |
삭카린나트륨 |
0.2 |
0.2 |
0.2 |
용제 |
정제수 |
25.54 |
12.44 |
78.16 |
[표 2]
|
성분명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향료물 |
Peppermint |
48 |
30 |
50 |
30 |
|
Spearmint |
- |
10 |
- |
10 |
|
I-Menthol |
34 |
26 |
32 |
26 |
|
I-carvone |
- |
10 |
- |
10 |
|
Anethole |
9.8 |
15 |
7 |
15 |
|
trans-2-Hexenal |
5 |
- |
1.5 |
0.8 |
|
Hexanol |
1.2 |
- |
1.8 |
0.7 |
|
Isoamyl alcohol |
- |
4.0 |
2.0 |
2.8 |
|
A군 |
2.0 |
- |
2.5 |
1.2 |
|
B군 |
- |
5.0 |
3.2 |
3.5 |
A군:명세서 4-5페이지에 기재된 18종의 그린노트향중 1종B군:명세서 6-8페이지에 기재된 48종의 사과향중 1종 |
양치 중,후 자극감에 대한 평가
실험군의 조합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 3]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제품예1 |
실험군1 |
실험군4 |
실험군7 |
실험군10 |
제품예2 |
실험군2 |
실험군5 |
실험군8 |
실험군11 |
제품예3 |
실험군3 |
실험군6 |
실험군9 |
실험군12 |
각각 제조된 실험군의 치약으로 양치를 시작한 최초 1분후의 자극감을 평가하고 3분 후 양치를 종료한 뒤 자극감을 평가하였다. 비교치약은 패널리스트가 현재 사용하는 치약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 평가척도 : 1∼5점까지 소수점까지 사용하는 평점법으로 조사하였다.
1 2 3 4 5
┣━━━━━━━╋━━━━━━━╋━━━━━━━╋━━━━━━━┫
매우약함 보통(차이없음) 강함
[표4]
|
실험군1 |
실험군2 |
실험군3 |
실험군4 |
실험군5 |
실험군6 |
1분후평균 |
3.12 |
3.19 |
3.10 |
3.36 |
3.42 |
3.45 |
3분후평균 |
2.68 |
2.78 |
2.69 |
2.03 |
2.88 |
2.90 |
|
실험군7 |
실험군8 |
실험군9 |
실험군10 |
실험군11 |
실험군12 |
1분후평균 |
2.95 |
2.92 |
3.01 |
3.02 |
3.15 |
2.98 |
3분후평균 |
2.36 |
2.57 |
2.47 |
2.89 |
2.85 |
2.68 |
양치중, 후 자극감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기존 사용하는 범용치약보다 약하거나 동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향료 실시예 3을 사용한 실시험 4,실험군5, 실험군 6의 경우 다른 실험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향료의 경우, 향료 실시예 1과 향료 실시예 3이 향료 실시예 2, 향료실시예 4보다 양호하며, 특히 향료 실시예 3의 경우 trans-2-헥세날, 헥사놀, 이소아밀 알코올에 A군, B군 향료를 각각 1종 이상 씩 함유하도록 처방된 실시예로서 그린 노트나 사과 향취를 동시에 함유할 때 중조와 과산화수소를 미백제로 사용한 치약에서 자극감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동반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미백제인 과산화물의 쏘는 듯한 자극과 중조의 작열감, 즉 입안에서 느껴지는 염류의 맛과 온열감에서 오는 자극감을 그린 노트의 향인 trans-2-헥세날과 헥사놀의 향취가 서로 상쇄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사과의 주된 성분이 이소아밀 알코올이 상기 2종의 미백제가 같는 자극감을 순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green note의 향과 apple의 향료가 공존할 때 과산화물과 중조의 자극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