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632B1 -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632B1
KR100445632B1 KR10-2001-0059573A KR20010059573A KR100445632B1 KR 100445632 B1 KR100445632 B1 KR 100445632B1 KR 20010059573 A KR20010059573 A KR 20010059573A KR 100445632 B1 KR100445632 B1 KR 10044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s
group
belonging
wi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534A (ko
Inventor
안효주
문병모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632B1/ko
Priority to US10/253,926 priority patent/US6813175B2/en
Publication of KR2003002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Landscapes

  • Dram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들은 데이터 독출 라인들과 데이터 기입 라인들을 하나씩 번갈아 배열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독출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기입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고 데이터 기입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독출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라인들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INTERCONNECTS LAYOUT CAPABLE OF REDUCING COUPLING NOIS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배선들(라인들)의 커플링 노이즈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의 기판상에는 신호 선, 전원 배선 그라운드 배선 등의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선은 배선 저항이라고 불리는 전기 저항을 가짐과 동시에, 기판이나 다른 배선과의 사이에 배선 커패시턴스(interconnects capacitance)라고 불리는 커패시턴스를 구성한다. 그리고 신호 선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그 신호가 보유한 배선 저항과 배선 커패시턴스와의 곱에 의해 정해지는 값에 따라 신호의 지연이 생긴다. 여기에서, 배선 저항을 무시하고 배선 커패시턴스만을 고려하면, 신호의 지연은 배선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배선 커패시턴스는, 배선의 윗면 또는 저면과 기판과의 사이의 커패시턴스(면성분에 의한 커패시턴스), 배선의 측면과 기판과의 사의의 커패시턴스(외변(fringe) 커패시턴스), 및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커패시턴스(커플링(coupling) 커패시턴스)의 합계에 의해 결정된다.
미크론(micron) 이전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는 배선 커패시턴스 중 배선과 기판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고, 배선들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특히, 배선과 기판 사이의 커패시턴스에서는 기판의 전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배션 커패시턴스에 기인한 신호의 지연량을 계산할 때 기판의 전위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반도체 집적 회로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배선의 상부 면적과 하부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인접한 배선들 간의 간격이 좁아졌다. 이 때문에 배선 커패신턴스 중 면 성분에 의한 커패시턴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작아지고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전체 배선 커패시턴스 가운데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차지하는 비중인 50% 이상에 이르게 되었다. 게다가, 기판의 전위는 변화하지 않고, 배선, 특히 신호 선의 전위는 전송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천이한다. 신호 선의 전위가 천이하면, 이 신호선과 이것에 인접한 신호선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에 기인한 신호의 지연량도 변동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2 개의 신호 선의 전위가 동일한 타이밍(timing)에 천이할 때와 인접한 2 개의 신호 선의 전위 천이 방법이 서로 다를 때(즉, 어느 하나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하면 다른 하나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두 신호 선들 간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에 기인한 신호의 지연량은 달라지므로 지연량을 고려한 회로 설계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도 1은 데이터 기입 라인과 데이터 독출 라인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데이터 입력 단자들(미 도시됨)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미 도시됨)로 제공되고,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는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을 통해 데이터 출력 단자들(미 도시됨)로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선 구조에 의하면,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끼리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끼리 인접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 단자들 통해 데이터가 입력될 때에는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 사이에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형성되고,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에 실릴 때에는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 사이에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선들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는 데이터를 왜곡시키거나 지연시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배선들 간의 커플링 커패시턴스에 의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배선 레이아웃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데이터 기입 라인과 데이터 독출 라인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의 배선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시버들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독출 라인들에 실린 데이터를 출력 단자로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력 단자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될 때 데이터 라인들의 상태 천이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출력 단자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 데이터 라인들의 상태 천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12 : 리시버 WL0, WL1 : 기입 라인
20, 22 : 쉬프트 레지스터 RL0, RL1 : 독출 라인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및 제 2 그룹들로 분류되며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배선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배선은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한쌍의배선들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배선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한쌍의 배선들 사이에 놓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정적(static) 상태일 때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상기 정적 상태일 때 상기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라인이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라인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들은 데이터 독출 라인들과 데이터 기입 라인들을 하나씩 번갈아 배열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독출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기입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고 데이터 기입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독출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라인들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의 배선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 단자들(미 도시됨)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 셀 어레이(미 도시됨)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과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단자들(미 도시됨)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은 하나씩 번갈아 배열된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독출 라인(RL0)은 두 개의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 사이에 배열되고, 데이터 기입 라인(WL1)은 두 개의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 사이에 배열된다. 도 2에서는 2 개의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과 2 개의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만을 도시하였으나 데이터 기입 라인들 및 데이터 독출 라인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기입 라인 구동 회로는 리시버들(10, 12)을 포함한다. 리시버(10)는 클럭 신호(SCLK)에 응답해서 입력 단자(IN)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기입 라인(WL0)으로 전달한다. 리시버(12)는 반전된 클럭 신호(/SCLK)에 응답해서 입력 단자(IN)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기입 라인(WL1)으로 전달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시버들(10, 12)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시버(10)는 클럭 신호(SCLK)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즉, 클럭 신호(SCLK)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입력 단자(IN)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짝수 번째 데이터(EVEN DATA)로서 데이터 라인(WL0)으로 전달한다. 리시버(12)는 클럭 신호(SCLK)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즉, 클럭 신호(SCLK)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할 때 입력 단자(IN)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홀수 번째 데이터(ODD DATA)로서 데이터 라인(WL1)으로 전달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에 실린 데이터를 출력 단자로 전달하기 위한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출력 회로는 쉬프트 레지스터들(20, 22)과 멀티플렉서(24)를 포함한다.
쉬프트 레지스터(20)는 클럭 신호(TCLK)에 응답해서 메모리 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독출 라인(RL0)을 통해 멀티플렉서(24)의 일입력 단자로 전달한다. 쉬프트 레지스터(22)는 반전된 클럭 신호(/TCLK)에 응답해서 메모리 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데이터 독출 라인(RL1)을 통해 데이터를 멀티플렉서(24)의 타입력 단자로 전달한다. 멀티플렉서(24)는 클럭 신호(TCLK)에 응답해서 쉬프트 레지스터들(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플렉서(24)는 클럭 신호(TCLK)의 폴링 에지에서 쉬프트 레지스터(20)로부터 출력된 짝수 번째 데이터(EVEN DATA)를 선택해서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고, 클럭 신호(TCLK)의 라이징 에지에서 쉬프트 레지스터(22)로부터 출력된 홀수 번째 데이터(ODD DATA)를 선택해서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력 단자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될 때 데이터 라인들의 상태 천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럭 신호(SCLK)의 라이징 에지에서 입력 단자(IN)를 통해 전원 전압 레벨(VDD)의 이진 데이터(즉, 논리 '1')가 입력되면 데이터 기입 라인(WL0)은 전원 전압 레벨(VDD)로 천이한다. 이어서, 클럭 신호(SCLK)의 폴링 에지에서 입력 단자(IN)를 통해 전원 전압 레벨(VDD)의 이진 데이터(즉, 논리 '1')가 입력되면 데이터 기입 라인(WL1)은 전원 전압 레벨(VDD)로 천이한다. 이 때,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 각각은 접지 전압 레벨(VSS)을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라인들 사이에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출력 단자로 데이터를 출력할 때 데이터 라인들의 상태 천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럭 신호(TCLK)의 폴링 에지에서 메모리 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EVEN DATA)가 논리 '1'일 때 데이터 독출 라인(RL0)은 전원 전압 레벨(VDD)로 천이한다. 한편, 클럭 신호(TCLK)의 라이징 에지에서 메모리 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ODD DATA)가 논리 '1'일 때 데이터 독출 라인(RL1)은 전원 전압 레벨(VDD)로 천이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독출 라인들(RL0, RL1)이 전원 전압 레벨(VDD)일 때 데이터 기입 라인들(WL0, WL1)은 접지 전압 레벨(VSS)을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라인들 사이에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에는 다양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독출 라인들과 데이터 기입 라인들이 번갈아 배열되고, 데이터 독출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기입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고 데이터 기입 라인들이 천이할 때 데이터 독출 라인들은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므로 데이터 전송 라인들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1)

  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의 배선 구조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그룹들로 분류되며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배선들과;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배선은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한쌍의 배선들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배선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한쌍의 배선들 사이에 놓여지며; 그리고
    상기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정적(static) 상태일 때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상기 정적 상태일 때 상기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
  7.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의 배선 구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라인들과;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입력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출력 라인들은 교대로 배열되며; 그리고
    데이터 입력 라인들은 상기 데이터 출력 라인들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정적(static) 상태일 때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되고, 상기 데이터 출력 라인들은 상기 데이터 입력 라인들에 속하는 상기 배선들이 상기 정적 상태일 때 상기 전원 전압 레벨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라인들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라인들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선 구조.
  10. 삭제
  11. 삭제
KR10-2001-0059573A 2001-09-26 2001-09-26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KR10044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573A KR100445632B1 (ko) 2001-09-26 2001-09-26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US10/253,926 US6813175B2 (en) 2001-09-26 2002-09-25 Interconnection layou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573A KR100445632B1 (ko) 2001-09-26 2001-09-26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534A KR20030026534A (ko) 2003-04-03
KR100445632B1 true KR100445632B1 (ko) 2004-08-25

Family

ID=1971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573A KR100445632B1 (ko) 2001-09-26 2001-09-26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13175B2 (ko)
KR (1) KR100445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66B1 (ko) 2004-04-13 2007-0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100666182B1 (ko) 2006-01-02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웃하는 워드라인들이 비연속적으로 어드레싱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및 워드라인 어드레싱 방법
KR100732633B1 (ko) 2006-02-0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연속적인 비트라인 디코딩을 수행하는 플래시 메모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81A (ja) * 1992-06-19 1994-01-14 Hitachi Ltd スタティック型ram
JPH06350059A (ja) * 1993-06-08 1994-12-2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8125130A (ja) * 1994-10-26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JPH11120779A (ja) * 1997-10-09 1999-04-3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9990086914A (ko) * 1998-05-30 1999-12-15 김영환 노이즈 간섭 방지를 위한 데이터라인 배열 구조를 갖는 반도체메모리 소자
JP2000029923A (ja) * 1998-07-14 200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配置配線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
US6189133B1 (en) * 1998-05-14 2001-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upling noise reduction technique using reset tim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526A (en) * 1992-01-22 1996-02-20 Alt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EPROM and EEPROM programmability and process scaling
US5646893A (en) * 1995-09-07 1997-07-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gmented read line circuit particularly useful for multi-port storage arrays
US5894437A (en) * 1998-01-23 1999-04-13 Hyundai Elecronics America, Inc. Concurrent read/write architecture for a flash memory
US6275407B1 (en) * 1999-06-29 2001-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ense and data lines for use to read and write oper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81A (ja) * 1992-06-19 1994-01-14 Hitachi Ltd スタティック型ram
JPH06350059A (ja) * 1993-06-08 1994-12-2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8125130A (ja) * 1994-10-26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JPH11120779A (ja) * 1997-10-09 1999-04-3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189133B1 (en) * 1998-05-14 2001-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upling noise reduction technique using reset timing
KR19990086914A (ko) * 1998-05-30 1999-12-15 김영환 노이즈 간섭 방지를 위한 데이터라인 배열 구조를 갖는 반도체메모리 소자
JP2000029923A (ja) * 1998-07-14 200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配置配線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534A (ko) 2003-04-03
US20030058677A1 (en) 2003-03-27
US6813175B2 (en)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084A (en) Scannable sense amplifier circuit
US6411539B2 (en) Memory system
US5654659A (en) Scan circuit having a reduced clock signal delay
US4796224A (en) Layout for stable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70250B2 (en) Test patterns to insure read signal integrity for high speed DDR DRAM
US6356095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646381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mountable on both sides of a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640324B1 (en) Boundary scan chain routing
US7627773B2 (en) Logic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445632B1 (ko) 커플링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선 구조
KR100224051B1 (ko) 반도체 집적회로
US5034634A (en) Multiple level programmable logic integrated circuit
US5818773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5952868A (en) Voltage level interface circuit with set-up and hold control
US20020162064A1 (en) RAM functional test facilitation circuit with reduced scale
US6151257A (en) Apparatus for receiving/transmitting signals in an input/output pad buffer cell
US648768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885595B2 (en) Memory device
US6367044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8653853B1 (en) Differential interfaces for power domain crossings
US5958075A (en) Efficient on-pitch scannable sense amplifier
JPH05182454A (ja) デュアルポートメモリ装置
KR100345815B1 (ko) 저소비 전류의 데이터 전송 회로
JP3266189B2 (ja) 信号伝送装置
US20230298635A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sense amplifiers of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