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351B1 -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351B1
KR100445351B1 KR1020040028153A KR20040028153A KR100445351B1 KR 100445351 B1 KR100445351 B1 KR 100445351B1 KR 1020040028153 A KR1020040028153 A KR 1020040028153A KR 20040028153 A KR20040028153 A KR 20040028153A KR 100445351 B1 KR100445351 B1 KR 10044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rail
guide
trolley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라다케시
이시지마다케오
Original Assignee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리프트의 각 가이드 레일을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바깥쪽에,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을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안쪽으로 배치하고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포크부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중심에서 균형을 이루고 승강 리프트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횡행용 레일을 따라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의 이송 로울러를 배치하고 이송 로울러의 로울러면을 횡행 레일상의 횡행대차에 붙게 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마찰작용에 의하든가 혹은 쌍방에 형성된 맞물림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횡행대차를 횡행 레일을 따라 보내는 조작을 한다. 횡행대차를 경량화할 수 있고 또한 횡행대차 구동장치의 구조를 비교적 간단히 할 수 있다.
횡행대차의 한 쪽의 일방의 차륜에 가이드 플랜지를 설치하여 가이드 차륜으로 하고 이 가이드 차륜에 대응하는 한 쪽의 일방의 횡행 레일의 상면 중앙부에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횡행대차의 상기 가이드 차륜을 가이드 플랜지와 가이드홈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주행안내시켜 횡행레일의 승강로측의 레일 폭을 각 차륜의 폭에 비하여 반 정도의 길이로 축소하고 입체주차장치의 안쪽 치수를 단축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HORIZONTAL MOVEMENT TRUCK APPARATUS OF ELEVATOR-TYPE MULTISTORY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 특히 승강장치(昇降裝置), 횡행장치(橫行裝置) 및 횡행대차구동장치(橫行臺車驅動裝置)에 개량을 가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내지 제 4 도에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독립철탑형(獨立鐵塔型)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a) 는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단면 측면도, 제 1 도(b) 는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단면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 은 승강로(昇降路)이며 이 승강로(1)상에 승강장치(昇降裝置)(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치(2)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3)과 이들 4 개의 가이드 레일(3)에 부착된 승강 리프트(昇降 lift)(4)를 갖추고있다.
제 2 도는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 및 횡행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개의 가이드 레일(3)은 승강로(1)의 자동차가 출입하는 측 즉 출입측의 좌우 양측 2 곳과, 승강로(1)의 안쪽 좌우 양측 2 곳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3)은 단면이 빈 사격형의 기둥모양 부재(部材)로 이루어지고 그 한 면에 승강 리프트용의 관통부(貫通部)(5)가 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되고 있는 것은 포크식 주차장치로서 승강 리프트(4)로 바깥 틀을 구성하는 2 개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6)의 안쪽에 자동차의 전후 차륜(車輪)을 지지할 수 있는 포크부(fork 部)(7)를 구비하는 포크모양 스테이지(8)를 사용하고, 각 사이드 프레임(6)의 각 기단부(基端部)(9)가 바깥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하여 지지암(支持 arm)이 되고 각 가이드 레일(3)에 그 관통부(5)를 통하여 끼워지고 각 가이드 레일(3)내에서 가이드 로울러(guide roller)(10)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10)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로울러 프레임(guide roller frame)(11)과 그 상하부에 축지(軸支)되는 로울러(roller)(12)로 구성되며 도시되지 않은 승강구동기구(昇降驅動機構)로부터 도출되는 구동 체인(驅動 chain)(13)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3)내를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의 양측을 따라 계층적으로 복수의주차구간(駐車區間)(14)이 형성되고 승강로(1)측의 한 쌍의 중간 레일(中間 rail)(20)과 각 계층의 주차구간(14)의 사이에 설치된 횡행 레일(橫行 rail)(15)과, 각 계층의 한 쌍의 횡행레일(15)상에서 횡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 횡행대차(橫行臺車)(18)로 횡행장치(橫行裝置)(19)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횡행장치(19)와 승강장치(2)의 사이에 자동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차를 입출고시킬 수 있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주차구간(14)에 설치된 각 쌍의 횡행레일(15)와, 승강로(1)에 설치된 한 쌍의 중간레일(20)은 거의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행레일(15)와 중간레일(20)의 사이의 연결 부분에는 승강 리프트(4)의 승강 운동에 따라 포크모양 스테이지(8)의 기단부(9)가 통과할 수 있는 홈부(B)가 각 레일(15, 20)의 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횡행대차(18)는 각 계층에서 승강로(1)에 대하여 한쪽의 주차구간에 1 대, 다른 쪽 주차구간에도 1 대를 수용한다. 각 횡행대차(18)는 포크모양 스테이지(8)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H 형의 프레임(21)과 그 양측의 포크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횡행대차(18)의 입출측단(入出側端) 및 안쪽 측단의 프레임 부분에는 횡행레일(15) 및 중간레일(20)상을 주행하는 복수의 차륜(16, 1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횡행대차(18)은 통상 입출측 또는 안쪽의 한쪽의 측단(이 예에서는 입출측 측단)의 프레임 부분에 전동 모터로 구성되는 횡행대차 구동장치(橫行臺車 驅動裝置)(23)를 탑재하고 그 측단에 설치된 차륜(17)을구동한다. 이와 같이 입출측 측단의 차륜(17)만이 구동측 차륜이 되고 안쪽 측단의 차륜이 종동측(從動側) 차륜이 되어 횡행대차(18)를 한 쌍의 횡행레일(15)과 중간레일(20)의 사이에 횡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륜(16, 17) 중에 한쪽의 전후 쌍이 되는 차륜(16)은,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에 횡행레일(15) 및 중간레일(20)의 양측 끝을 에워싸는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24)를 갖추고 반대측의 차륜(17)에는 가이드 플랜지가 없다.
이렇게 하여 횡행장치(19)에 있어서는,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 작동에 의하여 횡행대차(18)는 그 한 쌍의 차륜(16, 17)이 한쪽의 차륜(16)의 가이드 플랜지(24)의 안내에 의하여 횡행레일(15) 및 중간레일(20)상을 주행하여 주차구간(14)과 승강로(1) 사이를 횡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주차장치에 있어서, 자동차를 입고(入庫)시키는 경우에 우선 그 입출고부(入出庫部)(E)에서 자동차를 실은 포크모양 스테이지(8)가 승강 리프트(4)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로(1)를 상승하여 지정된 계층의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계속하여 그 계층의 한쪽의 주차구간(14)에서 횡행대차(18)가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 작동에 의하여 한 쌍의 횡행레일(15) 및 중간레일(20)상을 횡행하여 승강로(1)상까지 이동시켜 승강로(1)상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포크모양 스테이지(8)가 하강하여 그 횡행대차(18)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포크모양 스테이지(8)에서 횡행대차(18)로 이동된다. 다음에 횡행대차(18)는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먼저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작동에 의하여 그 주차구간(14)내로 되돌아가 자동차가 수용된다.
자동차를 출고하는 경우는 우선 자동차를 수용하고 있는 주차구간(14)으로부터 그 횡행대차(18)가 자동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 작동에 의하여 한 쌍의 횡행레일(15) 및 중간레일(20) 위를 승강로(1)상까지 횡행이동되고 계속하여 승강로(1)를 포크모양 스테이지(8)가 승강 리프트(4)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고 그 횡행대차(18)를 일단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횡행대차(18)에서 포크모양 스테이지(8)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횡행대차(18)가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 역작동에 의하여 그 주차구간(14)로 되돌아 가면 포크모양 스테이지(8)은 승강 리프트(4)의 작동에 의하여 그대로 입출고부(E)로 하강하여 간다.
이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서는 승강 리프트(4)와 횡행대차(18)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되는 한편, 승강 리프트(4)의 승강로(1)에 따른 승강 작동과, 각 횡행대차(18)의 각 주차구간(14)과 승강로(1) 사이의 횡행 동작의 연계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서는 포크모양 스테이지(8)가 횡행대차(18)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2 개의 사이드 프레임(6)의 안쪽에 자동차의 전후 차륜을 지지하는 포크부(7)를 소위 외팔 상태로 형성하고 이들 사이드 프레임(6)의 기단부(9)를 각 가이드 레일(3)에 가이드 로울러(10)를 통하여 부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승강 리프트(4)의 포크부(7)상에 자동차를 싣고 혹은 실은 상태에서 승강 동작을 개시하는 때에 그 하중으로 포크부(7)가 안쪽으로 내려가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승강 리프트(4)에 뒤틀림이 발생하고 그 결과, 제 3 도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레일(3)내에서 상부 가이드 로울러를 안쪽을 향하여 밀고 또한 하부 가이드 로울러를 바깥쪽을 향하여 밀므로 승강 리프트(4)의 상승시에 그 동작에 원활성이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서는 승강 리프트(4)의 승강로(1)를 따른 승강동작과 각 횡행대차(18)의 각 주차구간(14)과 승강로(1) 사이에 횡행 동작을 연계시키기 때문에 횡행대차(18)에는 차륜(16, 17)뿐만 아니라 차륜(17)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횡행대차 구동장치(23)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의 구동력을 대응하는 차륜(17)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를 부착하거나 혹은 횡행대차 구동장치(2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집전기구(集電機構)(트롤리(trolly) 장치 등)를 같이 구비하지 않으면 않되는 등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횡행대차(18)가 횡행대차 구동장치(23)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횡행대차 구동장치(23)는 그 자신과 상기 동력전달기구 등도 운반하기 위한 마력(馬力)을 더 출력할 필요가 있어 에너지를 쓸데 없이 소비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19)에서는 승강로(1)를 이동중인 자동차가 한 쌍의 횡행레일(15)에 부딪히지 않도록 당해 한 쌍의 횡행레일(15)의 사이에 소정의 길이 L(제 2 도 참조)을 설정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승강로(1)의 종방향의 길이를 압축할 수가 없어 주차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제 1 의 목적은 자동차를 탑재하는 때에 승강 리프트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승강리프트에 원활한 승강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승강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적은 에너지 소비에 의하여 횡행대차를 조작할 수 있는 횡행대차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한 쌍의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에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승강로의 종방향 길이를 압축하여 입체주차장치의 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비용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횡행대차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도(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제 1 도(b)는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 및 횡행장치의 평면 단면도,
제 3 도는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제 4 도는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 및 횡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의 평면 단면도,
제 6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제 7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관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부착된 횡행 대차 구동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8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포함된 횡행 대차 구동장치의 구성과 횡행 레일 또는 중간 레일의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제 7 도중의 A - A 선의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 대차 구동장치를 부착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 10 도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포함된 횡행 대차 구동장치의 구성 및 배치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 11 도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포함된 횡행 대차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횡행 대차에 설치된 래크의 단부의 구조 및 기어 로울러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 12 도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 대차 구동장치의 구성과 횡행 레일 또는 중간 레일의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제 10 도중의 A - A 선의 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14 도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장치와 자동차를 주고 받는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15 도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장치의 횡행 대차 및주차구간측의 레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16 도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장치의 횡행 대차 및 승강로측의 레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17도(a)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장치의 자동차의 출입측에 배치된 횡행 레일의 평면도,
제 17도(b)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장치의 안쪽에 배치된 횡행 레일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 승강로(昇降路) 2, 32 : 승강장치(昇降裝置)
3, 33 : 가이드 레일(guide rail) 4, 34 : 승강 리프트(昇降 lift)
5, 35 : 관통부(貫通部) 6, 36 :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7, 22, 37, 49 : 포크부(fork 部) 8, 39 : 포크모양 스테이지
9, 40 : 기단부(基端部)(지지암(支持 arm))
10, 41 : 가이드 로울러(guide roller) 14, 38 : 주차구간(駐車區間)
15, 46 : 횡행레일(橫行 rail) 16, 17, 51 : 차륜(車輪)
18, 45 : 횡행대차(橫行臺車) 19, 75 : 횡행장치(橫行裝置)
20, 47 : 중간 레일(中間 rail)
23, 53 : 횡행대차 구동장치(橫行臺車 驅動裝置)
24, 64 : 가이드 플랜지(gudie flange)(가이드부)
54 :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구동수단)
55 : 프릭션 로울러(friction roller)(이송 로울러)
57 : 지지대 기구(支持臺 機構) 63 : 지주부재(支柱部材)
65, 77 : 가이드홈(guide 홈)(안내로)
66 : 기어 로울러(gear roller)(이송 로울러)
70, 72 : 톱니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을, 포그모양 스테이지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바깥쪽 위치에 배치하고,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을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안쪽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가이드 레일 배치 방법은, 포크부의 중심을 통하고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평행한 포크부 중심선에 대하여 출입측의 가이드 레일의 바깥쪽으로 위치 변화량과 안쪽의 가이드 레일의 안쪽으로 위치 변화량이 거의 같도록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의 태양에 의하면, 승강 리프트에 자동차를 실은 때에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포크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게 함과 아울러 포크부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게 함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중심에서 균형을 이루고 포크모양 스테이지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가이드 로울러의 각 가이드 레일상에서 상하 운동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 근방 바깥쪽의 고정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곳에 복수의 구동수단을 배치하고, 이들 구동수단의 회전축상에 이송 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 로울러를 그 로울러 면을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의 횡행대차의 프레임에 상방으로부터 붙게 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횡행대차를 마찰작용에 의하여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을 따라 이송 동작을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복수의 이송 로울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이송 로울러가 횡행대차를 보내는 조작을 마치기 전에 다음의 이송 로울러가 횡행대차를 보내는 조작을 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의 태양에 의하면, 횡행대차는 당해 횡행대차에 붙여지는 이송 로울러가 회전동작을 함으로써 송출(送出)작용을 받고,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을 주행한다. 그리고 하나의 이송 로울러에 의하여 이송 조작을 받고 있는 횡행대차가 주행하고 이 이송 로울러에 의한 이송 조작이 종료하는 위치에 오기도 전에 횡행대차의 진행방향 앞 끝 부분에는 다음의 이송 로울러가 붙여지고 횡행대차의 이송 조작을 계속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횡행대차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이송 로울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주행되어 일정한 주행경로상을 횡행한다. 이 횡행조작에 있어서 횡행대차는 경량(輕量)이므로 구동출력이 적어도 되고 또한 구조는 비교적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의 태양과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동수단이 있는 이송 로울러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 로울러의 로울러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설치되는 한편 횡행대차에는 상기 이송 로울러의 톱니에 맞물리는 래크(rack)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송 로울러를 그 톱니를 횡행대차의 래크에 맞물려 회전시켜 횡행 대차를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을 따라 이송 조작을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래크 단부(端部)의 톱니는 바람직하게는 톱니의 높이가 다른 톱니의 높이보다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톱니의 피치(pitch)가 다른 톱니의 피치보다도 서서히 크게 되도록 변화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톱니의 점차적인 변화의 방향은 래크의 말단에서 중앙부 쪽의 위치로의 방향 혹은 래크의 중앙부 쪽의 위치에서 말단쪽으로의 방향 모두 무방하다. 또한 복수의 이송 로울러는 하나의 이송 로울러가 횡행 대차를 보내는 조작을 마치기 전에 다음의 이송 로울러가 그 횡행 대차를 보내는 조작을 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 3 의 태양에 의하면 횡행 대차는 당해 횡행 대차의 래크에 톱니가 맞물려 이송 로울러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송출작용을 받고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을 주행한다. 그리고 하나의 이송 로울러에 의하여 이송 조작을 받고 있는 횡행 대차가 주행하고 이 이송 로울러에 의한 이송 조작이 종료하는 위치가 오기도 전에 횡행 대차의 래크의 진행방향 앞 끝 부분에는 다음의 이송 로울러의 톱니가 맞물려 횡행 대차의 이송 조작을 계속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횡행대차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이송 로울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주행되고 일정한 주행경로상을 횡행한다. 래크의 단부에 설치되는 톱니는 톱니의 높이가 다른 톱니의 높이보다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톱니의 피치가 다른 톱니의 피치보다도 서서히 크게 되도록 변화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의 진행방향 앞 끝 부분에 다음의 이송 로울러의 톱니가 맞물릴 때에 톱니와 래크는 서로의 톱니의 어긋남을 흡수하면서 올바르게 맞물린다. 그리고 이 횡행 조작에 있어서 횡행 대차는 경량이므로 구동출력은 작아도 무방하고 또한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각 횡행 대차의 적어도 한쪽의 차륜을 가이드 차륜으로 하여 그 주위면에 가이드부를 갖춤과 아울러 이 가이드 차륜과 같은 측의 한쪽의 횡행 레일 혹은 중간 레일에 가이드 차륜의 가이드부와 맞물려 안내하는 안내로를 설치하고 중간 레일의 레일 폭을 가이드 차륜의 차륜폭(車輪幅)보다도 적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 4 의 태양에 의하면 횡행 대차의 한 쌍의 차륜을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에서 가이드부와 안내로와의 맞물림 안내에 의하여 주행시켜 중간 레일의 승강로측의 레일 폭을 축소시키므로 횡행 대차의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의 횡행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일이 없이 이들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의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그 간격을 레일 폭의 축소분만큼 단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제 5 도는 본 발명의 횡행대차 구동장치를 부착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포크식의 입체주차장치로서, 제 5 도에 있어서 31 은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거의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정되는 승강로, 32 는 승강장치로서, 승강로의 여러 곳(이 실시예에서는 4 곳의 구석)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4 개의 가이드 레일(33)과 이들 가이드 레일(33)에 부착된 승강 리프트(34)를 구비하고 있다.
4 개의 가이드 레일(33)은 각각 단면이 빈 상태이고 또한 거의 사각형의 기둥 모양의 부재 또는 단면이 ㄷ 자인 앵글을 마주 보게 하여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한 기둥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승강로(31)의 내부를 향한 면에 긴 방향을 따라 승강 리프트 관통용의 관통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33)은 승강로(31)의 자동차 출입측의 좌우 양측 2 곳과 승강로(31)의 안쪽 좌우 양측 2 곳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 5 도중의 승강로(31)에 있어서 후술하는 승강 리프트(34)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기준선(P)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준선(P)은 승강로(31)상에 배치된 승강 리프트(34)의 포크부(37)의 중심 X를 통하고 사이드 프레임(36)에 평행한 포크부 중심선이다.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은 각각 승강 리프트(34)의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바깥쪽에 기준선(P)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변위량(變位量)(M)이 설정되어 주차구간(38)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은 각각 승강 리프트(34)의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안쪽에 기준선(P)로부터 안쪽으로 변위량(M)이 설정되어 승강로(31)에서 중앙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측의 가이드 레일(33)과 안쪽의 가이드 레일(33)은 상기 기준선(P)을 중심축(대칭축)으로 하여 서로 바깥쪽 및 안쪽의 대칭위치에 있다.
승강 리프트(34)에는 외곽을 구성하는 2 개의 사이드 프레임(36)의 안쪽에 자동차의 전후 차륜을 지지할 수 있는 포크부(37)를 설치한 포크모양 스테이지(39)를 사용하여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그 출입측에 배치되는 각 사이드 프레임(36)의 각 기단부(40)가 바깥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돌출되어 지지암(支持 arm)이 되고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내에 그 관통부(35)를 통하여 관통되고 각 가이드 레일(33)내에서 가이드 로울러(4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안쪽에 배치된 각 사이드 프레임(36)의 각 기단부(40)는 안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돌출되어 지지암이 되고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그 관통부(35)를 통하여 관통되고 각 가이드 레일(33)내에서 가이드 로울러(4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41)는 각각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로울러 프레임(42)과 그 상하부로 축지(軸支)되는 로울러(43)로 이루어지고 도시되지 않은 승강구동기구에서 도출되는 구동 체인(44)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33)내를 상하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로(31)의 출입측의 좌우 양측 2 곳에 각각 가이드 레일(33)이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소정량 M 만큼 바깥쪽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가이드 레일(33)의 사이드 프레임(36)에서 바깥쪽으로의 변위량(M)과 같은 만큼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이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안쪽으로 변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5 도에 있어서 38 은 승강로의 양측에 계층적(階層的)으로 칸막이된 주차구간이며 45 는 각 주차구간(38)에 배치되는 횡행대차이다.
각 주차구간(38)에는 그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에 각 한 쌍의 횡행레일(46)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의 횡행레일(46)의 연장 중간 부분 즉 승강로(31)의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에 한 쌍의 중간레일(47)이 설치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차구간(38)에 설치된 각 쌍의 횡행레일(46)과 승강로(31)에 설치된 한 쌍의 중간레일(47)과는 거의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행레일(46)과 중간레일(47)의 사이의 연결 부분에는 승강 리프트(34)의 승강 운동에 따라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기단부(40) 즉 지지암이 통과할 수 있는 홈부(B)가 각 레일(46, 47)의 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B)는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각 사이드 프레임 기단부(40)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한 부착 방향이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단부(40)가 연장되는 방향에 맞추어 파여져 있다. 즉 출입측의 각 홈부(B)는 출입측의 기단부(40)에 대응하여 승강로(31)측에서 보았을 때 바깥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주차구간(38)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안쪽의 각 홈부(B)는 안쪽의 기단부(40)에 대응하여 승강로(31)에서 보았을 때 안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승강로(31)의 중앙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홈부(B)에 의하여 중간레일(47)의 출입측이 안쪽보다도 길게 설정되고 이와는 반대로 횡행레일(46)의 출입측이 안쪽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횡행대차(45)는 각 계층에 있어서 승강로(31)에 대하여 한 쪽의 주차구간에 1 대, 다른 쪽의 주차구간에도 1 대를 수용할 수 있다. 각 횡행대차(45)는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T 형을 이루는 프레임(48)과 그 양측에 형성된 포크부(49)로 구성된다. 또한 각 횡행대차(45)의 한 쪽 끝에 설치된 프레임부(frame 부)(50)의 양단 부분에는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주행하는 2 개의 차륜(51)이 피치 간격을 크게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의 프레임(48) 끝에는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주행하는 2 개의 차륜(51)이 작은 피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50)의 상면 양단 부분에는 제 7 도중 부호 52 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프레임부(50)의 중앙측에서 말단에 거쳐 점차 하강하는 테이퍼(taper)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근방에는 이들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에서 횡행대차(45)를 횡행 이동시키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횡행대차 구동장치(53)는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근방의 여러 곳(본 실시예에서는 3 곳)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동수단인 기어드 모터(geared motor)(54)와, 기어드 모터(54)의 출력축(出力軸)에 부착된 이송 로울러로서의 프릭션 로울러(friction roller)(5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횡행대차 구동장치(53)는 각 주차구간(38)의 한 쌍의 횡행레일(46)의 한 쪽의 바깥 쪽위치와 승강로(31)의 각 계층의 한 쌍의 중간레일(47)의 한 쪽의 바깥 쪽 위치에 설치되어 프릭션 로울러(55)의 회전에 의하여 횡행대차를 송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프릭션 로울러(55)의 로울러면은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당해 프릭션 로울러(55)의 회전에 의하여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어드 모터(54)는 횡행대차(45)를 주차구간(38)으로부터 승강로(31)로, 혹은 그 반대로 횡행시킬 수 있도록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프릭션 로울러(55)의 로울러면은 횡행대차(45)에 대하여 마찰 작용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무, 가죽, 플라스틱 기타 마찰 계수가 큰 재료가 사용된다.
제 7 도는 이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제 8 도는 역시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구성과 횡행레일(46) 또는 중간레일(47)의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제 7 도중의 A - A 선의 단면도이다.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프릭션 로울러(55)는 횡행레일(46)에서 중간레일(47)를 따라 소정의 피치 간격(이것을 S 로 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피치 간격(S)은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길이(이것을 D 라 한다)와 거의 같거나 또는 이것보다 조금 짧은 길이, 즉
S ≤ D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프릭션 로울러(55)는 각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각각의 근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와 같은 길이 및 배치관계를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프릭션 로울러(55)가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끝내기 전에 다음의 프릭션 로울러(55)이 그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기어드 모터(54)는 횡행레일(46)의 바깥 쪽 근방에서 당해 횡행레일(46)를 지지,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동일 또는 별도의 베이스부(56)에 부착되어 고정된 지지대 기구(支持臺 機構)(57)에 올려져 있다. 지지대 기구(57)는 베이스부(56)에 고정되는 하판(下板)(58)과 하판(58)의 바깥쪽 단부의 핀(59) 등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또한 하판(58)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져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판(上板)(60)과, 하판(58) 및 상판(60)의 안쪽 단부에서 양판(58, 60)의 사이에 끼워진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61)과 하판(58)의 앞 끝 부분에서 당해 하판(58)의 밑쪽(안쪽)에서 스프링(61)을 향하여 끼워지고 스프링(61)의 힘을 조정하는 조절나사(6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드 모터(54)는 상판(60)의 상면(上面)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판(58)의 상면의 안쪽 단부 및 바깥쪽 단부의 중간 위치에는 지주부재(支柱部材)(63)가 상판(60)을 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지주부재(63)의 앞 끝과상판(60)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상판(6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아주 작은 간극(間隙)(d)이 생기도록 지주부재(63)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횡행대차(45)에 부착된 차륜(51)에는 그 폭 방향 거의 중심 위치에 가이드 플랜지(64)가 설치되고 또한 이 차륜(51)을 주행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횡행레일(46)에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64)가 끼워 맞추어지는 가이드홈(guide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횡행대차(45)의 횡행에 있어서 그 차륜(51)은 횡행레일(46)을 따라 안내되면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이드 플랜지(64)와 가이드홈(65)의 조합에 있어서 차륜(51)에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횡행레일(46)에 볼록형의 가이드 플랜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가이드 플랜지(64)와 가이드홈(65)의 조합은 쌍(pair)이 되어 설치되는 차륜(51) 및 횡행레일(46)의 한 쪽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횡행대차 구동장치(53)를 구성하는 기어드 모터(54) 및 프릭션 로울러(55)는 지지대 기구(57)의 상판(60)에 부착됨으로써 스프링(61)의 탄성 작용을 받는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는 상기 스프링(61)외에 고무, 공기압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승강장치(32)의 동작에 대하여 입체주차장치 전체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입출고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를 입고하는 경우는 우선 그 입출고부에서 자동차가 놓여진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승강 리프트(34)의 상승 동작에 의하여 승강로(31)상을 상승한다. 이 때에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음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앙에서 균형을 취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 로울러(41)가 각 가이드 레일(33)상을 스무스하게 이동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원활하게 승강한다.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지정된 계층의 소정의 높이인 위치에 정지되면 계속하여 그 계층의 한 쪽의 주차구간(38)의 횡행레일(46)과 같은 계층의 중간레일(47)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기어드 모터(54)의 구동에 의하여 각 프릭션 로울러(55)(2 개)가 회전되어 상기 한 쪽의 주차구간(38)에 배치되어 있는 횡행대차(45)가 그 횡행레일(46)에서 중간레일(47)을 향하여 보내지고 승강로(31) 위까지 횡행 이동되어 거기서 멈춘다. 횡행대차(45)가 승강로(31)상에서 정지되면 계속하여 승강 리프트(34)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하강하고 상기 횡행대차(45)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에서 횡행대차(45)로 전달된다. 그 후에 횡행대차(45)는 전술한 기어드 모터(5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각 프릭션 로울러(55)(2 개)가 먼저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프릭션 로울러(55)의 반대 이송 조작을 받아 승강로(31)상에서 원래의 주차구간(38)으로 되돌아가 자동차가 수용된다.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의한 상기 횡행대차(45)의 송출, 되돌림 조작에 있어서 프릭션 로울러(55)는 당해 횡행대차 구동장치(53) 자신의 중량과 이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작용하는 스프링(61)의 힘을 더한 힘을 압력으로 하여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에 닿게 된다. 또한 스프링(61)은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대하여 인장 작용을 가하는 것도 혹은 상승 작용을 가하는 것 어느 것도 무방하므로 어느 작용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은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중량, 프릭션 로울러(55)가 횡행대차(45)를 구동하는 데에 필요한 압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은 스프링(61)의 조정에 의하여 프릭션 로울러(55)가 회전할 때에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와 미끄러지 않도록 충분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압력은 약 100 Kg 이고 따라서 스프링(61)은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대하여 인장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드 모터(54) 및 프릭션 로울러(55)가 지지대 기구(57)의 위에서 스프링(6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있음으로써 횡행대차(45)의 높이 치수에 다소 차이가 있거나 프레임부(50)가 주행 방향으로 파도와 같은 변형을 한다고 하더라도 상판(60)과 지주부재(63) 사이에 형성된 간극(d)에 의한 허용범위내에서 스프링(61)의 신축에 의하여 흡수되면서 프릭션 로울러(55)에 의한 횡행대차(45)에 대한 압력은 거의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프릭션 로울러(55)가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마치기 전에 다음의 프릭션 로울러(55)가 그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진행 방향 앞 끝 부문에 닿아 이 횡행대차(45)를 연속하여 보내는 조작을 한다. 이 횡행대차(45)가 다음의 프릭션 로울러(55)에 닿기 시작하는 때에 있어서는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상면 양단 부분에 테이퍼부(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릭션 로울러(55)는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에 천천히 올라 갈 수 있어 양자가 닿는 때의 충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횡행대차(45)를 다음의 프릭션 로울러(55)에 전달한 후에 원래의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끝낸 프릭션 로울러(55)는 횡행대차(45)에서 떨어진다. 이 때에 횡행대차 구동장치(53) 및 스프링(61)에 의하여 발생되어 있던 프릭션 로울러(55)의 압력에 의하여 지지대 기구(57)의 상판(60)은 핀(59) 결합부를 중심으로 제 8 도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이 상판(60)은 지주부재(63)에 닿아 지지되고 지주부재(63)가 프릭션 로울러(55)의 압력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달된 횡행대차(45)가 되돌려질 때에는 먼저와는 역방향으로 보내는 조작을 하기 위하여 프릭션 로울러(55)는 대기 상태가 된다.
자동차를 출고하는 경우는 우선 자동차를 수용하고 있는 주차구간(38)에서 그 횡행대차(45)가 각 프릭션 로울러(55)의 회전에 의하여 횡행레일(46)에서 중간레일(47)로 보내져 승강로(31)상까지 횡행이동한다.계속하여 승강로(31)상을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상승하여 그 횡행대차(45)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횡행대차(45)에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로 전달된다. 이 자동차의 전달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음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앙에서 균형을 이루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 로울러(41)가 각 가이드 레일(33)을 스므스하게 이동하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원활하게 상승한다. 계속하여 횡행대차(45)가 그 주차구간(38)으로 되돌아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는 그대로 입출고부로 하강하여 간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장치(32)에 있어서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을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바깥쪽에,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을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안쪽에, 출입측의 가이드 레일(33)의 포그부 중심선(기준선 P)에서 바깥쪽으로의 변위량과 안쪽의 가이드 레일(33)의 포크부 중심선(기준선 P)에서 안쪽으로의 변위량과 같게 설정하여 배치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게함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게 함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심에서 균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각 가이드 로울러(41)의 각 가이드 레일(33)상에서의 상하 운동을 스므스하게 할 수 있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원활한 승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횡행대차(45)는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프릭션 로울러(55)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주행되고 일정한 주행경로상을 횡행한다. 그리고 횡행대차(45)는 각종 구동기구나 동력전달기구가 적재되지 않아 경량이므로 횡행 조작에 있어서 기어드 모터(54)의 구동출력은 적게 하여도 무방하여 에너지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횡행대차(45)에 각종 구동기구나 동력전달기구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횡행대차 구동장치(53)가 정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집전기구 등이 불필요하여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거론한 실시예에서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프릭션 로울러(55)는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에 대하여 위에서 밑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횡방향 즉 제 8 도에서 프레임부(50)의 바깥쪽 면(우단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세에 맞추어 지지대 기구(57)의 부착 방향도 90 도 변경하면 된다. 또한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플랜지를 연장시키고 프릭션 로울러(55)를 이 플랜지의 밑면에 접촉시켜 밑에서 위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
제 9 도내지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행대차 구동장치와는 다른 구성을 갖는 횡행대차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횡행대차를 구동하는 것이다. 기타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다. 제 9 도에서 38 은 주차구간이고 45(좌측을 45a, 우측을 45b 라 한다)는 각 주차구간(38)에 배치된 횡행대차이다. 또한 각 주차구간(38)의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에 각 한 쌍씩 설치된 횡행레일(46)은 설명의 편의상 제 9 도중에서 좌측의 횡행레일을 46a, 우측의 횡행레일을 46b 로 한다.
상기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바깥쪽 근방에 이들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에서 횡행대차(45)를 횡행이동시키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횡행대차 구동장치(53)는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근방의 여러 곳(이 실시예에서는 2 곳)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구동수단인 기어드 모터(54)(54a, 54b)와 기어드 모터(54)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이송 로울러로서의 기어 로울러(gear roller)(66)(66a ~ 66d)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 로울러(66)는 횡행대차(45)와 연결되어 작동하고 이 횡행대차(45)를 횡행시키는 것이고 기어 로울러(66a)는 횡행레일(46a)의 근방에서 당해 횡행레일(46a)의 중간레일(47)쪽으로 치우친 끝부분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로울러(66b)는 중간레일(47)의 근방에서 당해 중간레일(47)의 횡행레일(46a)쪽으로 치우친 끝부분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기어 로울러(66c)는 중간레일(47)의 근방에서 당해 중간레일(47)의 횡행레일(46b)쪽으로 치우친 끝부분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기어 로울러(66d)는 횡행레일(46b)의 근방에서 당해 횡행레일(46b)의 중간레일(47) 쪽으로 치우친 끝부분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기어 로울러(66a)와 기어 로울러(66b)와의 배치관계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로울러(66a)에서 횡행레일(46a)의 중간레일(47)쪽으로 치우친 말단까지의 거리(여기서는 Q 라 한다)는 기어 로울러(66b)에서 중간레일(47)의 횡행레일(46a)쪽으로 치우친 말단까지의 거리(여기서는 R 이라 한다)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어 로울러(66d)에서 횡행레일(46b)의 중간레일(47)쪽으로 치우친 말단까지의 거리 Q 는 기어 로울러(66c)에서 중간레일(47)의 횡행레일(46b)쪽으로 치우친 말단까지의 거리 R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횡행레일(46a) 및 횡행레일(46b) 근방의 기어 로울러(66a) 및 기어 로울러(66d)에서 각각 대응하는 횡행레일(46a) 및 횡행레일(46b) 말단까지의 거리 Q 는 중간레일(47) 근방의 기어 로울러(66b) 및 기어 로울러(66c)에서 각각 대응하는 중간레일(47) 말단까지의 거리 R에 대하여,
Q > R
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 로울러(66a) 및 기어 로울러(66d)의 조합과 기어 로울러(66b) 및 기어 로울러(66c)의 조합과를 비교하는 경우, 기어 로울러(66a) 및 기어 로울러(66d)는 각각 대응하는 레일의 말단에서 충분히 중앙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기어 로울러(66b) 및 기어 로울러(66c)는 대응하는 레일의 말단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어드 모터(54a)의 출력축과 기어 로울러(66a) 및 기어 로울러(66b)는 체인(chain)(67) 및 스프로킷(sprocket)(68, 69) 기구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부재, 혹은 기타 기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부재에 연결되어 작동하며, 한 대의 기어드 모터(54a)로 2 개의 기어 로울러(66a, 66b)를 회전구동시킨다. 또한 기어드 모터(54b)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이 기어드 모터(54b)의 출력축과 기어 로울러(66c 및 66d)는 체인(67) 및 스프로킷(68, 69) 기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부재, 혹은 기타 기구로 구성되는 동력전달 부재에 연결되어 작동하며, 한 대의 기어드 모터(54b)가 2 개의 기어 로울러(66c, 66d)를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어, 이상 2 개의 기어드 모터(54a, 54b)의 각각에 의하여 구동되는 2 대의 횡행대차 구동장치(53)가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바깥쪽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로울러(66)는 그 로울러면 전 주위에 걸쳐서 복수의 톱니(70)가 형성되어 기어 구조의 로울러로 되어 있다. 한편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에는 복수의 톱니(72)를 갖는 래크(rack)(71)(71a 및 71b)가 부착되든가 아니면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71)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에 설치되는 데에 있어서 래크(71)의 후단부분(後端部分)(73)(승강로(31)측에서 먼 쪽의 말단부 : 71a 및 71b 에 대하여 각각 73a, 73b 로 한다)에서는 그 말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편, 래크(71)의 전단부분(前端部分)(74)(승강로(31)에서 가까운 쪽의 말단부 : 71a 및 71b 에 대하여 각각 74a, 74b 로 한다)은 프레임부(50)의 말단에서 일정 길이 후퇴한 위치에서 끝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횡행대차(45b)의 프레임부(50)상에 설치되는 래크(71b)에 주목하면 이 래크(71b)의 후단부분(73b)은 프레임부(50)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한편 래크(71b)의 전단부분(74b)은 프레임부(50)의 전단에서 길이 T 만큼 후퇴한 위치에서 끝나고 있다. 횡행대차(45a)의 프레임부(50)상에 설치되는 래크(71a)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이 래크(71a)의 후단부분(73a)은 프레임부(50)의 후단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편, 래크(71a)의 전단부분(74a)은 프레임부(50)의 전단에서 길이 T 만큼 후퇴한 위치에서 끝나고 있다. 그리고 기어 로울러(66)의 톱니(70)를 래크(71)의 톱니(72)에 맞물리게 하여 기어 로울러(66)을 회전시킴으로써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드 모터(54)는 횡행대차(45)를 주차구간(38)에서승강로(31)로, 혹은 그 반대로 횡행시킬 수 있도록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제 11 도는 횡행대차(45)에 설치된 래크(71)의 구조 및 기어 로울러(66)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에 형성되는 톱니(72)는 톱니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톱니 즉 래크(71)의 중앙쪽 부분에 형성되는 톱니(72)의 높이보다 서서히 낮게 되도록 변화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의 톱니(72)의 높이의 점진적인 변화는 래크(71)의 말단에서 중앙쪽의 위치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1 도에 있어서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에 설치되는 복수의 톱니(72)의 톱니 끝을 연결하면 도면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 θ 의 경사를 갖는 테이퍼 모양이 된다. 또한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의 톱니(72)는 톱니의 피치가 다른 부분의 톱니 피치보다도 서서히 크게 되도록 변화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에 형성되는 톱니(72)의 피치를 다른 부분의 톱니의 피치보다도 크게 하는 변화의 정도는, 예를 들어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72)의 피치의 값을 래크(71)의 한 끝에서 중앙쪽으로 순차적으로 a, b, c, ... 로 하고 이들보다 중앙쪽의 부분에서는 균일하게 d 라고 한다면,
a > b > c > d
혹은
d < a < b < c
등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래크(71)의 끝부분 부근의 톱니(72)의 피치는 래크(71)의 말단에서 중앙쪽의 위치에 걸쳐서 혹은 래크(71)의 중앙쪽에서 말단에 걸쳐서 서서히 크게 되도록 변하여도, 어느 쪽도 무방하다. 또한 기어 로울러(66)의 로울러면에 형성되는 톱니(70)의 피치는 d 와 같고 일정하다.
제 12 도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구성과 횡행레일(46) 또는 중간레일(47)의 사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제 10 도중의 C - C 선의 단면도이다. 제 9 도 및 제 10 도를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 로울러(66a ~ 66d)는 횡행레일(46)에서부터 중간레일(47)을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횡행대차(45a)는 횡행레일(46a) 또는 중간레일(47)상의 어디에 있더라도 그 래크(71a)가 어떤 기어 로울러(66a, 66b)와 맞물리고 또한 횡행대차(45b)는 횡행레일(46b) 또는 중간레일(47)상의 어디에 있더라도 그 래크(71b)가 어떤 기어 로울러(66c, 66d)와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배치관계를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기어 로울러(66)가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끝내기 전에 다음의 기어 로울러(66)가 그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2 도에 나타내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기어드 모터(54) 부분의 구성은 먼저 제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어드 모터(54) 부분의구성과 같다. 또한 횡행대차(45)에 부착되는 차륜(51)에 대하여 보더라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횡행대차 구동장치(53)를 구성하는 기어드 모터(54) 및 기어 로울러(66)는 지지대 기구(57)의 상판(60)에 부착됨으로써 스프링(61)의 탄성 작용을 받는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는 상기 스프링(61) 이외에 고무, 공기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 승강장치(32)의 동작에 대하여 입체주차장치 전체에 있어서의 자동차 입출고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 이 동작에 들어가기 전의 대기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횡행대차(45a)는 횡행레일(46a)상에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주차구간(38)에 수용되며 또한 횡행대차(45b)는 횡행레일(46b)상에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주차구간(38)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에 래크(71)의 전단부분(74)은 프레임부(50)의 전단에서 길이 T 만큼 후퇴한 위치에서 끝나고 있으나 횡행레일(46a) 근방의 기어 로울러(66a) 및 횡행레일(46b) 근방의 기어 로울러(66d)는 각각 대응하는 횡행레일(46a 및 46b)의 전방 말단에서 충분히 중앙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어 로울러(66a 및 66d)는 각각 대응하는 래크(71a, 71b)와 맞물리고 있다(제 10 도중의 기어 로울러(66a)와 래크(71a)와의 맞물림에 주목).
자동차를 입고시키는 경우는, 우선 그 입출고부에서 자동차가 실려진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승강 리프트(34)의 상승동작에 의하여 승강로(31)를 상승한다. 이 때에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음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앙에서 균형을 취하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 로울러(41)가 각 가이드 레일(33)상을 스무스하게 이동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원활하게 승강한다. 여기서는 제 9 도중의 우측의 주차구간(38)으로 지금부터 자동차를 입고시키는 것으로 한다.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저정된 계층의 소정의 높이인 위치에 정지되면 계속하여 그 계층의 한 쪽의 주차구간(38)의 횡행레일(46b)과, 같은 계층의 중간레일(47)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기어드 모터(54b)의 구동에 의하여 2 개의 기어 로울러(66c, 66d)가 회전되어 상기 한 쪽의 주차구간(38)에 배치되어 있는 횡행대차(45b)가 그 횡행레일(46b)에서 중간레일(47)을 향하여 보내진다. 이 때에 횡행대차(45b)는 그 래크(71b)가 우선 기어 로울러(66d)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되기 시작함으로써 횡행레일(46b)상을 제 9 도중의 왼쪽으로 이동된다. 횡행대차(45b)가 횡행레일(46b)상을 제 9 도중의 왼쪽으로 이동되어 전진하여 중간레일(47)에 가까이 가면 이번에는 래크(71b)의 톱니(72)가 기어 로울러(66c)의 톱니(70)와도 맞물리어 횡행대차(45b)는 기어 로울러(66c 및 66d)에 의하여구동된다.
이 때의 맞물림 동작에 있어서, 래크(71b)의 끝부분 부근에 형성되는 톱니(72)는 톱니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톱니 즉 래크(71b)의 중앙쪽 부분에 형성되는 톱니(72)의 높이보다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톱니의 피치가 다른 부분의 톱니의 피치보다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크(71b)의 앞끝과 기어 로울러(66c)와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기어 로울러(66c)의 회전과의 관계로 당해 기어 로울러(66c)의 톱니(70)와 래크(71b)의 앞끝 부분에 형성되는 톱니(72)와의 위치가 어떤 위상에 있어서는 맞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기어 로울러(66c)가 수 피치분 회전하는 사이에 기어 로울러(66)와 래크(71b)는 서로의 톱니(70 및 72)의 어긋남을 흡수하면서 제대로 맞물린다. 따라서 양 톱니(70 및 72)는 합치하게 되고 기어 로울러(66c)와 래크(71b)는 서로의 톱니(70 및 72)가 어긋남 없이 제대로 맞물린다.
그리고 횡행대차(45b)는 기어 로울러(66c 및 66d)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로(31) 쪽으로 횡행이동되고, 횡행레일(46b)에서 중간레일(47)로 옮겨질 때에 기어 로울러(66d)는 횡행대차(45b)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횡행대차(45b)가 승강로(31)의 거의 바로 위에 도달하면 기어드 모터(54b)는 구동을 정지하여 횡행대차(45b)를 중간레일(47)상에서 정지시킨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횡행대차(45b)가 승강로(31)의 위에서 정지된 상태가 제 10 도에 나타낸 것이다. 이 횡행 구동의 최후의 단계에서 래크(71b)의 전단부분(74b)은 중간레일(47)의 타단부 근방에 도달하고 있다. 이 때에 횡행대차(45b)상의 래크(71b)를 살펴 보면 앞서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이 래크(71b)의 전단부분(74b)은 프레임부(50)의 전단에서 길이 T 만큼 후퇴한 위치에서 끝나고 있고 또한 이 전단부분(74b)이 접근하는 기어 로울러(66b)는 중간레일(47)의 말단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래크(71b)의 전단부분(74b)이 기어 로울러(66b)에 미치지 않는 위치에서 횡행대차(45b)는 정지된다(제 10 도중의 기어 로울러(66b)와 래크(71b)가 맞물림하고 있지 않은 점에 주목). 이렇게 함으로써 횡행 조작에 의하여 래크(71b)의 전단이 진행 방향 전방의 중간레일(47) 말단 가깝게 도달한 때에 이 래크(71b)가 기어 로울러(66b)와 맞물려 횡행대차(45a)(상기의 경우는 횡행레일(46a)상에서 정지하고 있지 않으면 않된다)를 오동작시키는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횡행대차(45b)가 승강로(31)상에서 정지되면 계속하여 승강 리프트(34)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하강하여 상기 횡행대차(45b)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에서 횡행대차(45b)로 전달된다. 그 후에 횡행대차(45b)는 전술한 기어드 모터(54b)의 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각 기어 로울러(66c, 66d)가 먼저와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들 기어 로울러(66c, 66d)의 역이송 조작을 받아 승강로(31)상으로부터 원래의 주차구간(38)으로 되돌려져 자동차가 수용된다. 또한 횡행대차(45a)를 횡행시키는 조작도 상기 조작과 같은 요령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의한 상기 횡행대차(45)의 송출, 되돌림 조작에 있어서 기어 로울러(66)는 당해 횡행대차 구동장치(53) 자신의 중량과 이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작용하는 스프링(61)의 힘을 더한 힘을 압력으로 하여 횡행대차(45)상의 래크(71)에 닿아 맞물리고 있다. 또한 스프링(61)은 횡행대차 구동장치(53)에 대하여 인장 작용을 가하는 것도 혹은 상승 작용을 가하는 것, 어느 것도 무방하고 어느 작용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은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중량, 기어 로울러(66)가 래크(71)와의 사이에서 맞물리면서 이송 동작을 하여 횡행대차(45)를 구동하는 데에 필요한 압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은 스프링(61)의 조정에 의하여 기어 로울러(66)가 회전할 때에 그 톱니(70)가 횡행대차(45)의 래크(71)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충분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어드 모터(54) 및 기어 로울러(66)가 지지대 기구(57)의 위에서 스프링(6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있음으로써 횡행대차(45)의 높이 치수에 다소 차이가 있거나 프레임부(50)가 주행 방향으로 파도와 같은 변형을 한다고 하더라도 상판(60)과 지주부재(63) 사이에 형성된 간극(d)에 의한 허용범위내에서 스프링(61)의 신축에 의하여 흡수되면서 기어 로울러(66)에 의한 래크(71)에 대한 압력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양자의 맞물림 정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어 로울러(66)가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마치기 전에 다음의 기어 로울러(66)가 그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진행 방향 앞 끝 부문에 닿아 이 횡행대차(45)를 연속하여 보내는 조작을 한다. 또한 횡행대차(45)를 다음의 기어 로울러(66)에 전달한 후에 원래의 횡행대차(45)를 보내는 조작을 마친 기어 로울러(66)는 횡행대차(45)에서 떨어진다. 이 때에 횡행대차 구동장치(53) 및 스프링(61)에 의하여 발생되어 있던 기어 로울러(66)의 압력에 의하여 지지대 기구(57)의 상판(60)은 핀(59) 결합부를 중심으로 제 12 도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이 상판(60)은 지주부재(63)에 닿아 지지되고 지주부재(63)가 기어 로울러(66)의 압력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달된 횡행대차(45)가 되돌려질 때에는 먼저와는 역방향으로 보내는 조작을 하기 위하여 기어 로울러(66)는 대기 상태가 된다.
자동차를 출고하는 경우는 우선 자동차를 수용하고 있는 주차구간(38)에서 그 횡행대차(45)가 대응하는 기어 로울러(66)의 회전에 의하여 횡행레일(46)에서 중간레일(47)로 보내져 승강로(31)상까지 횡행이동한다. 계속하여 승강로(31)상을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상승하여 그 횡행대차(45)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횡행대차(45)에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로 전달된다. 이 자동차의 전달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음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앙에서 균형을 이루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 로울러(41)가 각 가이드 레일(33)을 스므스하게 이동하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원활하게 상승한다. 계속하여 횡행대차(45)가 그 주차구간(38)으로 되돌아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는 그대로 입출고부로 하강하여 간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횡행대차(45)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 로울러(66)와 횡행대차(45)에 형성되는 래크(71)가 서로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맞물리면서 이송 동작을 하여 횡행대차(45)를 구동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주행시키고 있으므로 확실한 구동력을 받아 일정한 주행경로상을 횡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횡행대차(45)는 각종 구동기구나 동력전달기구가 적재되지 않아 경량이므로 횡행 조작에 있어서 기어드 모터(54)의 구동출력은 적게 하여도 되어, 에너지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횡행대차(45)에 각종 구동기구나 동력전달기구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횡행대차 구동장치(53)가 정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집전기구 등이 불필요하여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32)에 있어서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을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사이드 프레임(36)에 대하여 바깥쪽에,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을 사이드 프레임(36)에대하여 안쪽에, 출입측의 가이드 레일(33)의 포크부 중심선(P)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변위량(M)과 안쪽의 가이드 레일(33)의 포크부 중심선으로부터 안쪽으로의 변위량(M)을 같게 설정하여 배치하고,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포크부(37)에 대한 자동차의 하중을, 포크부(37)의 출입측에서는 출입측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안쪽에서 받음과 아울러 포크부(37)의 안쪽에서는 안쪽의 각 가이드 레일(33)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받음으로써 전체로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중심에서 균형을 취하고 있으므로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각 가이드 로울러(41)가 각 가이드 레일(33)상에서의 상하운동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어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원활한 승강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의 기어 로울러(66)는 횡행대차(45)에 형성되는 래크(71)에 대하여 위에서 밑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접촉,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횡방향 즉 제 12 도에서 프레임부(50)의 바깥쪽 면(우단면)에 대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세에 맞추어 지지대 기구(57)의 부착 방향도 90 도 변경하면 된다. 또한 횡행대차(45)의 프레임부(50)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플랜지를 연장시키고 이 플랜지의 밑면에 래크(71)을 형성하고 기어 로울러(66)을 횡행대차(45)에 형성된 래크(71)에 대하여 밑에서 위로 압력을 가하면서 접촉, 맞물리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위에서 거론한 실시예에서는 횡행대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1 대의 기어드 모터(54)에 의하여 2 개의 기어 로울러(66)을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각 기어 로울러(66)을 개별적으로 각 1 대의 기어드 모터(54)에 직접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제 3 실시예)
제 13 도내지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횡행장치의 횡행레일(46)과 차륜(51)과의 적정한 맞물림을 유지하고 주차장치의 안쪽의 공간을 작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도 횡행장치를 포크식의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적용한 것으로서 예시하고 있다. 제 13 도에 있어서 31 은 입체주차장치의 승강로이고, 이 승강로(31)상에 자동차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장치(32)는 4 개의 가이드 레일(33)과 이들 가이드 레일(33)에 가이드 로울러(41)를 통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포크모양 스테이지(39)를 구비하고 있다.
4 개의 가이드 레일(33)을 각각 단면이 사각형의 기둥 모양의 부재 또는 단면이 ㄷ 자인 앵글을 마주 보게 하여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한 기둥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에 긴 방향을 따라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관통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33)은 각각 승강로(31)상에서 자동차 출입측의 좌우 양측과 안쪽의 좌우 양측에 그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관통부(35)를 승강로(31)에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다.
포크모양 스테이지(39)는 외곽을 구성하는 2 개의 사이드 프레임(36)의 안쪽에 자동차의 전후 차륜을 지지할 수 있는 포크부(37)를 구비하며, 각 사이드 프레임(36)의 기단부가 각각 바깥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돌출되고 각 가이드 레일(33)에 그 관통부(35)를 통하여 관통되고, 각 가이드 레일(33)내에 있어서 가이드 로울러(4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41)는 제 1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로울러 프레임(42)과 그 상하부로 축지되는 로울러(43)로 이루어지며 도시되지 않은 승강운동기구에서 도출되는 구동 체인(44)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33)내를 상하 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3 도에 있어서, 38 은 주차장치의 승강로(31)의 양측을 따라 계층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주차구간이다. 또한 이 주차장치의 각 계층에는 각 주차구간(38)과 승강로(31)와의 경계부에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승강로(31)에서의 승강동작에 있어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횡단하여 통과하기 위한 홈부(B)를 사이에 형성한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과 이들의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에서 횡행이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차륜(51)(제 15 도중에서 우측의 차륜을 51a, 좌측의 차륜을 51b 로 한다)을 갖는 횡행대차(45)와 이 횡행대차(45)를 횡행 구동시키는 횡행대차 구동장치(53)를 구비하고 주차구간(38)과 승강로(31)의 사이에서 자동차를 횡행시키는 횡행장치(7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횡행장치(75)에 있어서는 횡행대차(45)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를 통과할 수 있도록 프레임(48)과 그 양측에 형성된 포크부(49)로 구성되며, 프레임(48)의 양 끝쪽에 각각 제 15 도, 제 1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51a, 51b)이 축지되어 있다. 이들 차륜(51a, 51b)중에서 어느 한 쪽, 여기서는 자동차의 출입측의 차륜(51a)을 가이드 차륜으로 하고 그 차륜 주위면의 중앙부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로서 볼록 모양의 가이드 플랜지(6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안쪽의 차륜(51b)에는 이와 같은 가이드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는다.
각 주차구간(3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에 각 한 쌍의 횡행레일(46)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횡행레일(46)의 연장선상의 중간 부분 즉 승강로(31)의 자동차 출입측과 안쪽에는 한 쌍의 중간레일(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횡행레일(46)중에서 한 쪽, 여기서는 출입측의 횡행레일(46)에는 그 주행면 중앙에 긴 방향을 향하여 횡행대차(45)의 차륜(51a)의 안내로로서 가이드 플랜지(64)가 맞물림할 수 있는 오목 모양의 가이드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횡행레일(46)은 제 1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단면이 I 자인 레일에 비하여 그 폭 방향 안쪽의 반면 형상을 이루는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횡행대차(45)의 가이드 차륜(51a)에 대하여 그 중앙의 가이드 플랜지(64)가 맞물림할 수 있는 가이드홈(65)과 가이드 플랜지(64)로부터 안쪽 반면이 접촉할 수 있는 주행면(走行面)(76)을 갖고, 그 레일 폭이 가이드 차륜(51a)의 차륜 폭에 비하여 1/2에 가까운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중간레일(47)에 있어서는 제 1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단면이 I 자형의 레일에 비하여 그 폭 방향 바깥쪽의 반면 형상을 이루는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횡행대차(45)의 가이드 차륜(51a)에 대하여 그 중앙의 가이드 플랜지(64)가 맞물림 가능하고 또한 상기 횡행레일(46)의 가이드홈(65)에 연속하는 안내로로서의 가이드홈(77)과 가이드 플랜지(64)로부터 바깥쪽 반면이 접촉할 수 있는 주행면(80)을 갖고 그 레일 폭이 가이드 차륜(51a)의 차륜 폭에 비하여 1/2에 가까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출입측의 레일에 대하여는 제 17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행레일(46)도 중간레일(47)도 횡행대차(45)의 차륜(51a)의 폭에 비하여 1/2에 가까운 치수로 단축되고 가이드홈(65)을 중심으로 횡행레일(46)은 그 안쪽에, 중간레일(47)은 그 바깥쪽에 주행면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안쪽의 레일에 대하여 관찰하여 보면,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모두 안쪽의 것)의 주행면에는 출입측에 있어서의 각 레일(46, 47)과 같은 안내수단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안쪽의 횡행레일(46)에 있어서는 제 1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단면이 I 자인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횡행대차(45)의 안쪽의 차륜(51b)에 대하여 그 전면이 접촉 가능한주행면(78)을 갖고 그 레일 폭이 차륜 폭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안쪽의 중간레일(47)에 있어서는 제 16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종래의 단면이 I 자인 레일에 비하여 그 폭 방향 안쪽의 반면 형상을 이루는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횡행대차(45)의 안쪽의 차륜(51b)에 대하여 그 바깥쪽 반면이 접촉 가능한 주행면(79)을 갖고 그 레일 폭이 차륜(51b)의 차륜 폭에 비하여 거의 1/2의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안쪽의 횡행레일(46)은 제 17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행대차(45)의 차륜(51b)의 폭과 거의 같은 레일 폭인데 반하여, 중간레일(47)은 차륜(51b)의 폭에 대하여 거의 1/2의 폭으로 단축되고 횡행 레일 주행면(78)의 바깥쪽 반면의 연장상에 중간 레일 주행면(79)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레일(47)에 대하여는 레일 폭을 축소함으로써 이 입체주차장치에서는 승강장치(32)의 승강동작에 있어서 출입측 및 안쪽의 중간레일(47)에 자동차가 부딪히지 않을 정도로 필요한 소정의 길이 L을 확보하면서 출입측 및 안쪽의 중간레일(47)의 간격이 그 레일 폭의 축소분만큼 단축할 있다. 따라서 입체주차장치 전체의 조립상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을 각각 그 단축분만큼 안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주차장치의 평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쪽 치수를 작게 하여도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로(31)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횡행용 중간 레일(47, 47)의 안쪽 치수 L 의 길이는 자동차의 전장(全長)방향이 승강로(31)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치수이므로 횡행대차(45)가 주차구간(38)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횡행 레일(46, 46)과 중간 레일(47, 47)간을 탈선하지 않고 횡행 폭이 작을수록 주차장치의 안쪽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각 횡행대차(45)의 횡행대차 구동장치(53)는 기어드 모터(54)와 그 출력축에 설치되는 프릭션 로울러(55)로 구성되며, 기어드 모터(54)가 가이드홈(65)를 갖는 횡행레일(46)과 가이드홈(77)을 갖는 중간레일(47)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그 프릭션 로울러(55)가 횡행대차(45)의 프레임(48)에 가압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횡행대차(45)를 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횡행장치(75)의 동작에 대하여 입체주차장치 전체의 입출고 동장과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를 입고하는 경우는 우선 그 입출고부에서 자동차가 놓여진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승강로(31)상을 지정된 계층까지 상승한다. 계속하여 그 계층의 주차구간(38)측의 횡행레일(46)과 승강로(31)측의 중간레일(47)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기어드 모터(54)의 구동에 의하여 각 프릭션 로울러(55)가 회전되어 그 주차구간(38)상에 배치되어 있는 횡행대차(45)는 그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주차구간(38)의 위치에서 승강로(31)의 위치까지 보내진다. 이 때에 횡행대차(45)는 자동차 출입측의 각 차륜(51a)의 주위면의 가이드 플랜지(64)와 이 가이드 차륜(51a)과 같은 측의 횡행레일(46)상의 가이드홈(65)과 중간레일(47)상의 가이드홈(77)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안내되어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주행하게 된다. 즉 횡행대차(45)는 출입측의 차륜(51a)이 가이드 플랜지(64)의 가이드홈(65)상의 이동에 의하여 안내되고 횡행레일(46)의 주행면(76)에서는 안쪽 반면의 한 쪽을 접촉하면서 주행하고, 중간레일(47)의 주행면(80)에서는 바깥쪽 반면의 한 쪽을 접촉하면서 주행함과 아울러 이에 연동하여 안쪽의 각 차륜(51b)이 횡행레일(46)의 주행면(78)에서는 전면 접촉하면서 주행하고, 중간레일(47)의 주행면(79)에서는 바깥쪽 반면의 한 쪽과 접촉하면서 주행하여 승강로상으로 횡행하여 간다. 횡행대차(45)가 승강로상에서 정지되고 계속하여 포크모양 스테이지(39)의 하강에 의하여 그 횡행대차(45)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포크모양 스테이지(39)에서 횡행대차(45)로 전달되고, 횡행대차(45)는 다시 프릭션 로울러(55)의 역회전에 의한 이송 조작에 의하여 그 주차구간(38)으로 되돌아가 자동차가 수용된다.
자동차를 출고하는 경우는 우선 자동차를 수용하고 있는 주차구간(38)에서 그의 횡행대차(45)가 각 프릭션 로울러(55)의 회전에 의하여 횡행레일(46)상을 승강로까지 횡행이동한다. 여기서 횡행대차(45)의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의 횡행 동작은 전술한 대로이다. 계속하여 승강로상을 포크모양 스테이지(39)가 상승하여 그 횡행대차(45)를 통과함과 동시에 자동차가 횡행대차(45)에서 포크모양 스테이지(39)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횡행대차(45)가 한 쌍의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승강로(31)에서 주차구간(38)으로 되돌아 가면 포크모양 스테이지(39)는 그대로 입출고부로 하강하여 간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횡행대차(45)의 자동차 출입측의 차륜(51a)을 가이드 차륜으로 하고 그 주위면 중앙부에 가이드 플랜지(6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차륜(51a)에 대응하는 같은 측의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상면 중앙부에 가이드홈(65 및 77)을 설치하고, 횡행대차(45)의 한 쌍의 차륜(51a, 51b)이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가이드 플랜지(64)와 가이드홈(65 및 77)과의 맞물림 안내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하고, 중간레일(47)의 레일 폭을 각 차륜(51a, 51b)의 폭에 대하여 반 정도의 치수로 축소하고 있으므로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사이에 승강장치(32)의 승강 동작에 있어서 출입측 및 안쪽의 중간레일(47)에 자동차가 부딪히지 않을 정도로 필요한 소정의 치수 L을 확보하면서 출입측 및 안쪽의 중간레일(47)의 간격이 그 레일 폭의 축소분만큼 단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승강로(31)의 종방향 치수를 압축할 수 있어 입체주차장치 전체의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치 하나에 있어서 각 계층분의 수만큼 필요로 하는 중간레일(47)(승강로측의 레일)에 대하여 그 레일 폭을 통상의 거의 1/2 로 단축함으로써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을 실현할 수 있어 입체주차장 전체의 소형화와 함께 코스트의 절감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횡행대차(45)의 차륜(51a)의 주위면 중앙부에 가이드 플랜지(64)를 설치하는 한편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주행면에 가이드홈(65 및 77)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주행면 중앙부에 그 긴 방향을 따라 볼록 모양의 가이드 플랜지를 설치하여 횡행대차(45)의 차륜(51a)의 주위면 중앙부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 플랜지가 맞물림가능한 오목 모양의 가이드홈을 설치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이 하여도 상기 실시예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구간측의 레일인 횡행레일(46)에 대하여는 자동차의 출입측의 횡행레일(46)에 대하여 레일 폭을 단축한 것으로서 예시하고 있으나, 중간레일(4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쪽의 횡행레일(46)의 레일 폭도 단축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욱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31)의 종방향 치수를 압축하는 것뿐이라면 중간레일(47)의 레일 폭만을 단축하면 되고 횡행레일(46)의 레일 폭은 종래의 것 그대로이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엘리베이터방식 이상의 제 1 내지 제 3 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장치(32)를 지상 설치형(地上 設置型) 또는 지하 설치형의 각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나 또한 연립형(聯立型), 다탑형(多塔型)의 각종 입체주차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하여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크식의 엘리베이터방식입체주차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승강 리프트와 횡행대차의 사이에 트레이를 주고 받음으로써 자동차의 입출고를 하는 트레이식의 입체주차장치에도 같이 적용할 수 있고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 근방 바깥쪽의 고정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곳에 복수의 구동수단을 배치하고, 이들 구동수단의 회전축상에 이송 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 로울러를 그 로울러 면을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상의 횡행대차의 프레임에 상방으로부터 붙게 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횡행대차를 마찰작용에 의하여 횡행 레일 및 중간 레일을 따라 이송 동작을 하기 때문에, 횡행대차를 경량(輕量)으로 할 수 있어 구동출력이 적어도 되고 또한 구조는 비교적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5)

  1. 승강 리프트(34)가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로(31)와 그 측방에 계층적으로 형성되는 각 주차구간(38)의 사이에 상기 승강 리프트(34)가 통과할 수 있는 홈부(B)를 설치하여 배치되는 횡행레일(46)및 중간레일(47)과, 이들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을 한 쌍의 차륜에 의하여 주행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횡행대차(45)를 구비하고, 상기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상에서 상기 횡행대차(45)를 그 횡행구동기구에 의하여 상기 각 주차구간(38)과 상기 승강로(31)의 사이에서 횡행시키고, 상기 승강 리프트(34)에 대하여 자동차를 전달하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행대차(45)의 적어도 한 쪽의 일방의 차륜(51a)을 가이드 차륜으로 하여 그 주위면에 가이드부(64)를 갖춤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차륜(51a)과 같은 측의 한 쪽의 일방의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에 상기 가이드 차륜(51a)의 가이드부(64)와 맞물림하여 안내하는 안내로(65, 77)를 설치하고,
    상기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상기 홈부(B)로부터 승강로(31)측의 레일 폭을 상기 가이드 차륜(51a)의 차륜폭(車輪幅)보다도 적게 설정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차륜(51a)의 가이드부(64)는, 차륜의 주위면 중앙부에 그 원주 방향 전체에 볼록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이고,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안내로(65, 77)은, 그 주행면 중앙부에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인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차륜(51a)의 가이드부는, 차륜의 주위면 중앙부에 그 원주 방향 전체에 오목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이고,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안내로는, 그 주행면 중앙부에 볼록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인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승강로(31)측은, 안내로(65, 77)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 반분의 레일부로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횡행레일(46) 및 중간레일(47)의 주차구간(38)측은, 안내로(65, 77)을 중심으로 그 안쪽 반분의 레일부로 이루어지고,
    그 승강로(31)측은 안내로(65, 77)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 반분의 레일부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KR1020040028153A 1995-07-31 2004-04-23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KR100445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5-00195280 1995-07-31
JP7195280A JP2802735B2 (ja) 1995-07-31 1995-07-31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の横行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695A Division KR970006721A (ko) 1995-07-31 1995-11-22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351B1 true KR100445351B1 (ko) 2004-08-25

Family

ID=163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53A KR100445351B1 (ko) 1995-07-31 2004-04-23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02735B2 (ko)
KR (1) KR100445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059A (zh) * 2015-04-20 2015-07-29 唐自卓 一种立体式停车架
CN109629876A (zh) * 2018-11-29 2019-04-16 湖南泰安智能立体车库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平移系统以及立体车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059A (zh) * 2015-04-20 2015-07-29 唐自卓 一种立体式停车架
CN109629876A (zh) * 2018-11-29 2019-04-16 湖南泰安智能立体车库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平移系统以及立体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41701A (ja) 1997-02-10
JP2802735B2 (ja) 199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20244A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KR101967346B1 (ko) 승강기식 주차 시스템의 차량 횡행 이송 장치
CN111301362A (zh) 用于车辆换电的底盘举升装置、换电站
KR100531430B1 (ko)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승강장치
KR100445351B1 (ko)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장치
JP3502482B2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の横行台車駆動装置
KR100445348B1 (ko)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의 횡행대차 구동장치
CN110528938B (zh) 一种四点顶升立体车库载车装置
RU2308410C2 (ru) Привод вертикального лифта, расположенный на его кабине
JP2879191B2 (ja) 機械式駐車装置用走行台車
CN210175711U (zh) 一种搬运装置及提升装置
CN209585763U (zh) 一种车辆搬运装置
CN217374219U (zh) 一种换电小车、换电小车系统及其换电站
KR970006721A (ko) 엘리베이터방식 입체주차장치
JP2840573B2 (ja) エレベータ方式立体駐車装置の横行台車駆動装置
CN212313320U (zh) 用于车辆换电的底盘举升装置、换电站
JP2975853B2 (ja) トレー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H0139381B2 (ko)
CN210714010U (zh) 一种用于多排升降穿梭式停车系统的纵移升降车
CN216471817U (zh) 一种大车走行结构
CN218876958U (zh) 模块化的换电设备及换电站
CN215889507U (zh) 搬运机器人及立体车库
JPH02182604A (ja)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CN213509790U (zh) 一种水中升降台
CN113027201B (zh) 一种台车轨道齿轮啮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