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031B1 - 무인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031B1
KR100444031B1 KR10-1999-0000930A KR19990000930A KR100444031B1 KR 100444031 B1 KR100444031 B1 KR 100444031B1 KR 19990000930 A KR19990000930 A KR 19990000930A KR 100444031 B1 KR100444031 B1 KR 100444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ecu
vehicle
handl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808A (ko
Inventor
민병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03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시 기기의 오작동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라인을 벗어날 때 조향핸들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순간 응답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조향 시스템을 제공할 목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폭방향으로 부착되어 시험로상에 일정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된 유도선(L)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측 유도센서(4,5)와, 차실내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핸들 풀리(2)와 일체로 형성된 조향핸들(1)과, 차체(10)에 고정되며 ECU(3)를 통하여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핸들 풀리(2)와 벨트(7)로 연결된 모터 풀리(8)를 통하여 조향핸들(1)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정역모터(9)와; 상기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를 분석하여 ECU(3)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 브레이크(11)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무인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1)과 차체(10) 사이에 구성되어 조향핸들(1)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가 ECU(3)에서 비상 브레이크(11)를 제어하는 정보로 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조향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조향 시스템{SHORTAGE OF HANDS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무인 자동차의 무인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자동차의 주행시험시 기기의 오작동등에 의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을 위한 무인 조향 시스템은, 도 1에서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로상에 일정전류가 흐르는 유도선(L)이 설치되고, 상기 유도선(L)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측 유도센서(4,5)가 차량의 전방 차폭방향으로 부착된다.
또한, 차실내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핸들 풀리(52)가 조향핸들(51)의 중심축에 구성되고, ECU(3)를 통하여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정역모터(53)가 차체(54)에 고정되며, 상기 정역모터(53)의 일측에 구성된 모터 풀리(55)는 상기 핸들 풀리(52)와 벨트(5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ECU(3)는 비상 브레이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무인 조향 시스템은 자동차가 노면조건에 따라 좌측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 우측 유도센서(5)는 유도선(L)에 가까워져 전압이 상승하고, 좌측 유도센서(4)는 유도선(L)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전압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전압신호는 ECU(3)에 전달되고, ECU(3)는 상기 전압신호를 연산하여 정역모터(53)를 구동시키며, 상기 정역모터(53)는 벨트(56)로 연결된 조향핸들(51)을 우측으로 돌려 자동차가 유도선(L)을 따라 주행하게 한다.
이러한 무인 조향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가 노면조건에 따라 우측으로 이탈하려고 할 때에는 상기한 작동과 반대로 이루어져 조향핸들(51)을 좌측으로 돌리게 된다.
이때 무인 자동차(6)가 주행라인인 유도선(L)으로부터 설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상기 좌,우측 유도센서(4,5)로부터의 전압신호가 ECU(3)에 전달되고,ECU(3)는 비상 브레이크(11)에 작동신호를 보내 자동차를 정지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인 조향 시스템은 조향시험중 배선단자의 접촉불량이나 전파장애 등에 의해 조향핸들이 한쪽방향으로만 빠르게 회전하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키고, 더욱이 이러한 작동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ECU에서 미처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도 전에 주행라인을 이탈하여 충돌등의 사고를 일으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시 기기의 오작동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라인을 벗어날 때 조향핸들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순간 응답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인 자동차의 직선로 주행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무인 조향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조향 시스템의 계략도이고,
도 4는 종래 무인 조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향핸들 2:핸들 풀리 4,5:좌,우측 유도센서
7:벨트 8:정역모터 9:모터 풀리
10:차체 11:비상 브레이크 12:도전체
13:근접센서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조향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차폭방향으로 부착되어 시험로상에 일정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된 유도선(L)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측 유도센서와, 차실내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핸들 풀리와 일체로 형성된 조향핸들과, 차체에 고정되며 ECU를 통하여 좌,우측 유도센서의 전압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핸들 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모터 풀리를 통하여 조향핸들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정역모터와; 상기 좌,우측 유도센서의전압신호를 분석하여 ECU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 브레이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무인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과 차체 사이에 구성되어 조향핸들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가 ECU에서 비상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정보로 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은 상기 핸들 풀리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프레임에 의해 차체에 연결되며, 도전체가 설정거리 이상 멀어지면 상기 ECU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무인 조향 시스템은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시 배선단자의 접촉불량이나 전파장애 등에 의해 조향핸들이 한쪽방향으로만 빠르게 회전하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켜 자동차가 주행라인을 벗어날 때 상기 핸들 풀리에 부착된 도전체가 근접센서로부터 설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며, 이때 근접센서는 ECU에 회전각 이탈신호를 인가시키고, ECU는 상기 회전각 이탈신호에 따라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자동차를 정지시킴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인 자동차의 직선로 주행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무인 조향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조향 시스템의 계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조향 시스템은 시험로상에 일정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된 유도선(L)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측 유도센서(4,5)가 차량의 전방 차폭방향으로 부착된다.
또한, 차실내에는 조향핸들(1)의 중심축상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핸들 풀리(2)가 형성되고, 차체(10)에 고정되어 ECU(3)를 통하여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에 따라 정역회전 구동하는 정역모터(9)가 상기 핸들 풀리(2)와 벨트(7)로 연결된 모터 풀리(8)를 통하여 조향핸들(1)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를 분석하여 ECU(3)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하도록 비상 브레이크(11)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핸들(1)에는 핸들 풀리(2)의 소정 위치에 도전체(12)가 소정의 규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도전체(12)에 근접하여 근접센서(13)가 배치된다.
상기 근접센서(13)는 프레임(14)에 의해 차체(10)에 연결되며, 조향핸들(1)이 좌,우로 회전하여 조향핸들(1)의 회전각(±α)이 가감되어 핸들 풀리(2)에 부착된 도전체(12)와의 거리가 설정치 이상 멀어지면 상기 ECU(3)에 회전각 이탈신호를 보내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인 조향 시스템은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시 배선단자의 접촉불량이나 주변 여건에 따른 전파장애 등에 의해 조향핸들(1)이 한쪽방향으로만 빠르게 회전하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켜 자동차(6)가 주행라인인 유도선(L)을 벗어날 때 상기 핸들 풀리(2)에 부착된 도전체(12)가 근접센서(13)로부터 설정거리, 즉 설정회전각(±α) 이상으로 벗어나게 되며, 이때 근접센서(13)는 ECU(3)에 회전각 이탈신호를 인가시키고, ECU(3)는 상기 회전각 이탈신호에 따라 비상 브레이크(11)를 작동시켜 향상된 순간 응답성으로 자동차(6)를 정지시킴으로 시험로변에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조향 시스템은 무인 자동차의 조향시험시 배선단자의 접촉불량이나 주변 여건에 따른 전파장애 등에 의해 조향핸들이 한쪽방향으로만 빠르게 회전하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켜 자동차가 유도선(L)을 벗어날 때 상기 조향핸들과 차체 사이에 구성된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이 조향핸들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에 따라 ECU가 비상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 시스템의 순간 응답성이 향상되며, 상기 비상 브레이크가 적시에 작동하게 되어 충돌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량의 전방 차폭방향으로 부착되어 시험로상에 일정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된 유도선(L)과의 거리에 따라 가변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좌,우측 유도센서(4,5)와, 차실내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핸들 풀리(2)와 일체로 형성된 조향핸들(1)과, 차체(10)에 고정되며 ECU(3)를 통하여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핸들 풀리(2)와 벨트(7)로 연결된 모터 풀리(8)를 통하여 조향핸들(1)을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정역모터(9)와; 상기 좌,우측 유도센서(4,5)의 전압신호를 분석하여 ECU(3)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 브레이크(11)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무인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1)과 차체(10) 사이에 구성되어 조향핸들(1)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가 ECU(3)에서 비상 브레이크(11)를 제어하는 정보로 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조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회전각 검출수단은 상기 핸들 풀리(2)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도전체(12)와, 상기 도전체(12)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프레임(14)에 의해 차체에 연결되며, 도전체(12)가 설정거리 이상 멀어지면 상기 ECU(3)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근접센서(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조향 시스템.
KR10-1999-0000930A 1999-01-15 1999-01-15 무인 조향 시스템 KR100444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930A KR100444031B1 (ko) 1999-01-15 1999-01-15 무인 조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930A KR100444031B1 (ko) 1999-01-15 1999-01-15 무인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808A KR20000050808A (ko) 2000-08-05
KR100444031B1 true KR100444031B1 (ko) 2004-08-11

Family

ID=1957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930A KR100444031B1 (ko) 1999-01-15 1999-01-15 무인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04B1 (ko) * 2013-01-18 2014-08-06 교통안전공단 차량 방호울타리 시험용 무인차량 구동장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4680A (ko) * 1991-01-23 1992-08-25 이용구 자동차의 자동조향 방법 및 장치
KR950011249A (ko) * 1993-10-08 1995-05-15 전성원 자동차의 고속 선회시 차량자세 제어장치
KR960022097A (ko) * 1994-12-31 1996-07-18 전성원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회전각 검출 시스템
KR980001631A (ko) * 1996-06-25 1998-03-30 김영귀 차량의 급회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63407U (ko) * 1997-04-16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조향각 센서
JPH11240316A (ja) * 1997-12-30 1999-09-07 Mando Mach Corp 適応型電子制御懸架装置の動作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01182B1 (ko) * 1998-06-17 2001-11-22 이현조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4680A (ko) * 1991-01-23 1992-08-25 이용구 자동차의 자동조향 방법 및 장치
KR950011249A (ko) * 1993-10-08 1995-05-15 전성원 자동차의 고속 선회시 차량자세 제어장치
KR960022097A (ko) * 1994-12-31 1996-07-18 전성원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회전각 검출 시스템
KR980001631A (ko) * 1996-06-25 1998-03-30 김영귀 차량의 급회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63407U (ko) * 1997-04-16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용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조향각 센서
JPH11240316A (ja) * 1997-12-30 1999-09-07 Mando Mach Corp 適応型電子制御懸架装置の動作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01182B1 (ko) * 1998-06-17 2001-11-22 이현조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808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907A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front and rear road wheels
US2001002409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power sliding door
KR101491391B1 (ko) 자동차의 주행 경로 이탈 감지 방법
EP0174138A3 (en)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KR100444031B1 (ko) 무인 조향 시스템
JP2004322976A (ja) 車両用操舵装置
JP3335400B2 (ja) 自動車の操舵装置
JP5107298B2 (ja) ワイパースイッチ装置
KR950005672A (ko) 전자식 동력조향장치
KR0167925B1 (ko) 올터네이터 고장발생시 전자식 4륜 조향 시스템의 후륜 조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683082B2 (ja) 自動車用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JP2683073B2 (ja) 自動車用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KR200222891Y1 (ko) 자동차용 안테나 자동제어구조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0156408B1 (ko) 자동 비상등 작동시스템
KR19980029341A (ko) 차량용 조향 시스템
KR100447755B1 (ko) 차량 도난 방지 방법
JPH06127418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の異常時制御装置
KR100616002B1 (ko) 차량의 조향장치
CN117325931A (zh) 车辆控制装置
KR950017609A (ko) 자동차의 자동 조향장치
KR20040042599A (ko) 트레일러의 자동 히치볼 장치
JPS61295159A (ja) 車両用側方ウインド洗浄装置
KR19980051674U (ko) 보조 제동장치
KR20020074651A (ko) 와전류를 이용한 차속 감응식 스티어링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